2023.11.25 (토)

  • 맑음동두천 -0.5℃
  • 구름조금강릉 3.1℃
  • 맑음서울 0.5℃
  • 맑음대전 0.6℃
  • 맑음대구 3.7℃
  • 맑음울산 4.6℃
  • 맑음광주 3.3℃
  • 맑음부산 6.1℃
  • 맑음고창 0.9℃
  • 구름조금제주 6.4℃
  • 맑음강화 -2.6℃
  • 맑음보은 0.4℃
  • 맑음금산 -0.2℃
  • 맑음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3.0℃
  • 맑음거제 3.1℃
기상청 제공

기획특집

사드로 중국 읽기 [5] 정도경영과 내실화로 사드 탈출

중국 온라인 마케팅 주력…홍콩 우회수출 2월 130% 급증 통관 강화 우려

사드 보복으로 K-뷰티가 타격을 입으면서 관계자들 사이에서 '새로운 중국 읽기'가 한창이다. 사드 보복 조치에는 경제행위 이상의 '숨은 의도'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중국을 '제2의 내수시장화'를 위해서라도 그들의 속내를 다각도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⑴ K-컬처+K-뷰티 ⑵ 내수진작책 ⑶ 로컬 브랜드 ⑷ CFDA ⑸ 차이나 인사이트 ⑹ 2017 중국 시장 동향 ⑺ K-뷰티의 대응 <편집자 주>


[코스인코리아닷컴 권태흥 기자] 지난 3월 30일 보건복지부는 ‘화장품산업발전기획단’을 출범시켰다. 이 자리에서 중국경영연구소 박승찬 소장은 “사드 보복은 지금까지 드러나지 않은 내용이 점차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비관세 장벽은 수출 전단계이지만 문제는 브랜드숍 기업들이 어떻게 타격을 입을지가 향후 사태 진전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또 박 소장은 “3‧15 소비자의 날 행사에 방영되지 않았지만 한국 화장품의 불법 유통 과정을 촬영한 게 있었다.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중국 정부의 법규 준수 요구와 더불어 불법 유통 단속도 강화될 것이므로 △정도경영 계도 △중국 제도 변화에 따른 대응 등이 계속 강조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트라 김준환 차장은 “일부 중국인들의 롯데마트 소동이 소비자 반응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현지 유통업체들이 부담을 갖고 있다. 또 한국 화장품 비즈니스가 돈이 되기 때문에 물밑에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김 차장은 “홍콩 우회수출은 유통비가 들고 인증절차도 밟아야 하기 때문에 직접 중국 위생허가 받고 통관하는 거에 비해 실익이 없다”고 설명하며 “기업들은 이번 기회에 내실화를 기하면서 게릴라 작전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동향에 대한 전문가들의 발언에서 중국과 중국인들의 속내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사드 보복이라고 말하진 않지만 사드 보복은 계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중국의 특수한 시스템에 그 해답이 있다.

먼저 중국은 시장경제가 아니다. 민간 부문에 조직적으로 침투한 중국 공산당은 민간기업의 절반 이상을 장악했으며 대기업일수록 당과 정부의 통제가 강력하다. 즉 현재의 중국 경제는 공산당 정부가 민간기업을 합병한 ‘민관복합체’인 셈이다.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중국 내 비국유 민간기업의 52%가 사내에 공산당 부서를 두고 있다. 외국 기업이나 외국계 NGO 에서도 공산당 부서 존재를 쉽게 찾을 수 있다. 한한령이나 중국관광객 방한 금지 등 공식적으로 문서 없이 구두 전달로만 해도 사드 보복이 가능한 이유다.

롯데마트에 대한 일부 중국인들의 행패는 지극히 계산적이다. 이 때문에 중국내 화장품 업체들이 사드 관련 소식에 쉬쉬하는 분위기는 언론에 노출됨으로써 반감을 일으키지 않으려 하기 때문이다.

둘째 K-뷰티는 K-컬처를 업고 소비자들을 파고 들었다. 중국은 문화에 대한 관점이 우리와 다르다. 문화는 ‘사업’으로 중국 공산당과 정부의 이데올로기 전파를 수행한다. 그 하위개념이 ‘산업’이다. 광전총국이 ‘중국 비하’나 ‘혐한(嫌韓)’을 문제 삼아 간혹 한류 스타를 규제한 것은 이 때문이다.

중국은 한류가 한국민의 자존심이라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사드에 대항하는 방안으로 한한령을 발동한 것이다. 또 중국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방송‧영화‧연예인의 언행 등은 항상 한한령의 대상이 된다.

한편, 4월 2일 외교부가 중국을 WTO에 제소하자 환구망은 “한국의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중국 수출이 올해 1월 51.6%, 2월 97.4% 급증했는데 WTO 제소는 앞뒤가 안 맞는다”고 비난했다. 전문가들은 “구체적 정부 공문이 없어 승소는 힘들지만 중국엔 부담”이라는 의견이다.

올들어 지난 1~3월 중국 수출이 증가했지만 사드 이슈는 한동안 지속될 것어서 화장품 업계는 마음을 못놓고 있다. 중화권(중국+홍콩) 비중이 1월(61.2%)→2월(69.9%)로 커진 데는 홍콩 우회수출 급증(수출증가율 1월 36.6%→2월 130.2%)으로 보인다.

이런 사실조차 중국 당국이 알까 조심스러운 게 화장품 업계 관계자들이다. “올해는 온라인 판매에 주력한다”는 게 주요 기업들의 소극적인 방안이다. J대표의 “중국 내 소비자들이 사드 이슈에 따르지 않고 조용히 구매해주길 바라는 마음 뿐“이라는 말이 실감날 정도로 아직은 조마조마한 게 요즘의 업계 풍경이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