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2021년 1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

2021.09.03 11:31:03

총 193건 공개 해외특허 47건 24% 차지 ‘복합효능’ 20건 최다 ‘자외선 차단, 구강 케어’ 13건 공개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0년 12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1년 1월 공개된 한국특허는 총 193건으로 작년 12월 167건에 비해 26건 늘었다. 이 가운데 해외특허는 47건으로 전체 특허의 약 24%를 차지해 작년 12월 33%에 비해 약간 줄어든 비율을 보였다.

 

2021년 1월 공개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복합효능’ 분야가 20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자외선 차단’과 ‘구강 케어’ 분야가 각 13건, ‘피부미백’ 분야는 11건 공개 됐다. 이어서 ‘주름개선’, ‘마스크 팩, 미용시트’, ‘여드름, 잡티, 백점’, ‘피부 진정, 피부 개선’ 분야가 각 9건, ‘항염증, 아토피성’ 분야는 7건 확인됐다.

 

‘샴푸, 린스, 세정제’, ‘고형 화장료, 파운데이션’, ‘향료, 정유’, ‘기타’ 분야가 각 6건, ‘발모, 육모, 탈모방지’, ‘모발 화장료, 정발’, ‘염모제’, ‘보습’ 분야에서 각 5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전체적으로 복합효능, 자외선 차단, 구강 케어, 피부미백 분야에서 많은 특허가 발표됐고 주름개선, 마스크 팩, 여드름, 피부개선, 항염증 분야가 그 뒤를 잇고 있다.

 

내용적으로는 ‘화장원료’ 분야에서 칸나비스 식물로부터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을 분리하는 방법(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발표됐다. ‘피부미백’ 분야에서는 황금 발효 추출물(나우코스), 감국꽃 추출물(즐거운회사), 카페오일말릭산(서울대), 구멍쇠미역 추출물(강릉원주대)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과립형 분말 녹차 화장료(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누에 혈림프 유래 저분자 물질(차의과학대), 겔화된 천연 하이드로겔-무농약 인삼농축액(한성재), 멜라노필린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 오티드(올리패스코스메슈티컬즈) 특허도 공개됐다.

 

‘보습’ 분야에서는 보습성분으로서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코리아나), 말로우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단정바이오)이 보고됐다. ‘주름개선’ 분야에서는 백탁 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코스맥스), Ca-콜라겐 펩타이드의 킬레이트복합체(리앤씨바이오), 클로린 e6-커큐민 접합체(동성제약) 특허가 공개됐고, 유효성분으로서 나노콜라 겐펩타이드 킬레이트 미네랄(팜스메틱), 물푸레나무 유래 신규 쿠마린계 화합물(케미랜드), 단풍터리풀 추출물(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보고됐으며 구강점막부 착형 필름 조성물(한국프라임제약)도 발표됐다.

 

‘자외선 차단’ 분야에서는 알칸계 오일을 분산매로 하는 자외선 차단 분산물(케미랜드),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팜스킨), 사용감과 투명도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김재식) 특허가 공개됐다. ‘항노화, 항산화’ 분야에서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대구한의대), 삼치가수분해물(강릉원주대), 야생 딸기잎 추출물, 플로레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추출물(코스메카코리아), 깔라만시 추출물이 유효 성분으로 발표됐다.

 

‘복합효능’ 분야에서는 계명대학교에서 큰금계국 추출물, 가는갯능쟁이 추출물, 사데풀 추출물, 백서향 추출물 등의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특허 6건을 발표했다. 엘지생활건강에서도 천마추출물 특허와 피부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특허를 공개했다. 아띠아누화장품에서 미꾸라지추출물을 이용한 화장용 앰플과 로션 조성물 특허 2건, 코스맥스에서 그래핀 양자점 또는 산화 그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특허 2건을 보고했다.

 

이외에도 식물 캘러스 고압 균질 파쇄물(바이오스펙트럼), 5-벤질아미노살리 실산 유도체(지엔티파마), 복합 히아루론산(제이투케이바이오), 참가죽그물바탕말 추출물(강릉원주대), 병풀 추출물(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감 심지 추출물(공주대)이 유효성분으로 공개됐다.

 

‘항염증, 아토피성’ 분야에서는 강원대학교에서 벨루틴 또는 겨우살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특허 2건과 항염증 유효성분으로서 곱슬사초 추출물, 신이대 추출물(제이엘헬스인), 인터루킨-32 단백질(충북대), 기름밤나무 유실수(우성바이오)가 보고됐다. ‘항균제’ 분야에서는 해삼에서 분리한 항균 펩타이드(펩스젠), 식물성 유산균에 생물 독 펩타이드를 첨가해 배양한 화장품 원료(비티에스)가 보고됐다.

 

‘나노입자, 마이크로캡슐’ 분야에서는 화장품용 캡슐(엘지생활건강), 리포좀 분체(코스메카코리아), 마이크로 입자(에이티랩)가 발표됐다. ‘여드름, 잡티, 백반증’ 분야에서는 인하대학교에서 치커리 추출물, 멀구슬 나무 열매 추출물, 애플망고 추출물, 자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특허 4건을 공개했고 여드름 개선용으로 황련해독탕의 김치유산균 발효물(한국식품연구원), 천궁 및 황금 혼합 추출물(코리아나화장품), 히알루론산과 5-아미노레 불린산의 복합체(중앙대)가 발표됐다.

 

‘피부개선’ 분야에서는 부처손 추출물(제이라로비)과 젤라틴을 이용한 피부보호용 조성물(나노스토리)이 발표됐다. ‘각질제거’ 분야에서는 딸기열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에프씨씨) 특허와 표면 개질된 천연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가 보고됐다. ‘방부, 보존제’ 분야에서는 빙점강하 방부 조성물(코엠)과 상백피 추출물, 방울양배추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방부제 조성물(아이피어리스)이 발표됐다. ‘약물전달’ 분야에서는 약물방출거동 제어를 위한 온도 민감성 나노스펀지 플랫폼 특허가 보고됐다.

 

‘발람성, 사용감’ 분야에서는 나노셀룰로오스 기반의 천연증점제(씨엔엔티) 특허, ‘에멀젼’ 분야에서는 세라마이드 투명 수분산액 조성물(제이엠월드) 특허와 친환경 실리콘 에멀젼(케이씨씨실리콘) 특허가 공개됐다. ‘발모, 탈모방지’ 분야에서는 유효성분으로 진세노사이드 Rg4 또는 진세노사이드 Rg2, Rg4, Rg6 및 Rh1 혼합물(아레즈), 마유 리포좀(제주대), 메밀새싹 추출물(현대바이오랜드)이 보고됐다.

 

‘모발 화장료, 헤어 스타일링’ 분야에서는 스프레이 분사 시스템(엘지생활건강), 유동성이 있는 안정한 양이온 폴리머 분산물, 손상모발 개선용 화장료(삼인케미칼) 특허와 흑모제 특허, 갯지렁이 분해물를 포함하는 염색모발 보호제(건국대), 저자극성 천연 염모제, 모발염색용 조성물이 발표됐다.

 

‘샴푸, 세정제, 클렌징’ 분야에서는 고체샴푸(최정아), 인벤티지랩에서 프로폴리스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특허 2건, 천연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한남대) 특허가 발표됐다. ‘눈 화장’ 분야에서는 코스맥스에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과 유분산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특허 2건을 발표했다. ‘파운데이션’ 분야에서는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엘지생활건강)과 아크릴레이트계 코폴리머와 커버 파우더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아모레퍼시픽) 특허가 보고됐다.

 

‘마이크로니들’ 분야에서는 니들형 패치(카이로스) 특허와 앉은 부채 추출물(엘지생활건강)이나 이데베논과 비타민 E 아세테이트(울트라브이)를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특허가 공개됐다. ‘구강 케어’ 분야에서는 엘지생활건강이 구강질환 예방, 펌프형 치약,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등 6건의 특허를 공개했고 향균성 치약(한일제약), 치약 연마제용 분해성 과립을 함유한 치약(코스모촉매)과 제너럴바이오에서 후박나무, 하늘타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개선 조성물 특허 2건을 공개했다.

 

‘면역증강’ 분야에서는 면역세포 배양액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비티에스), ‘향료, 정유’ 분야에서는 로즈제라늄 정유(동의대),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엘지생활건강),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한국콜마), 그리고 온도제어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오에이티씨) 특허도 공개됐다.

 

한편, 해외에서 2021년 1월 공개된 특허는 미국이 15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일본 12건, 프랑스 7건, 독일 4건이 그 뒤를 이었고, 네덜란드 3건, 중국 2건, 스페인, 핀란드, 스웨덴, 러시아 각 1건을 공개했다. 이전과 같이 미국, 일본, 프랑스가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해외특허의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에서는 존슨앤드존슨컨수머에서 보습크림과 클렌징 조성물 특허 2건을 공개했고 피부 톤 미백 조성물(트루티바)과 퍼스널 케어 조성물(다우글로벌테크놀로지스)도 보고됐다.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에서 자외선 차단을 위한 광안정화 화합물 특허 4건을 발표했고 피부개선을 위한 이중상 제품(더프록터앤드갬블컴퍼니) 특허 2건도 공개됐다.

 

주름개선을 위한 미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재조합 핵산(크리스탈바이오테크)과 생물학적 작용제의 전달방법(알레간)도 발표됐다. 모발성장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사용(노쓰 캐롤라이나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특허와 모발 개질 조성물(루브리졸 어드 밴스드 머티어리얼스) 특허가 공개됐고 차아염소산 기반 눈꺼풀 세정제(오큐소프트)도 발표됐다.

 

일본에서는 가오에서 화장료와 에어로졸 화장료 특허 2건을 공개했다. 또 미백제(포라 가세이 고교)와 피부보호용 조성물(코요)이 발표됐으며 유산균 용도 특허(호쿠콘)와 유화 복합물 조성물(고큐 아르코르 고교)도 보고됐다. 카르복시메틸화 펄프의 분쇄물과 이를 포함한 첨가제(니뽄 세이시)와 N-중쇄 아실 염기성 아미노산 분체, 무기 분체 및 유제를 함유하는 화장료(아지노모토), 화장료 함침용 담체(타이키) 특허도 발표됐으며 피부용 적층 점착성 시트(코스메드 파마소 티컬), 구강용 조성물(라이온), 디엔알 화합물과 향료 조성물(다카사고 고료 고교) 특허가 보고됐다.

 

또 프랑스에서는 로레알에서 3건의 특허로 화장용 콤팩트 특허, 폴리이온 컴플렉스 입자와 산 해리 상수를 갖는 비중합성 산의 조합 특허, 실리콘 수지, 액체 폴리올, 안료를 포함하는 에멀젼 특허를 공개했다. 피부진정을 위한 산형과 식물의 종자 오일의 용도 특허와 왁스로부터 제조된 루스 파우더 제조법(아르 끄마 프랑스)이 발표됐으며 장기-지속성 고형 화장료 조성물(샤넬 파르퓜 보트) 특허와 장미증 및 피부발진을 조절하기 위한 테오브로마 카카오 원두의 외피 추출물(삐에르화브르데르모-코스메띠끄) 특허도 보고됐다.

 

독일에서는 자외선 차단 관련 티타늄 디옥사이드(베 나토 저머니) 특허와 UV 필터 조성물(바스프) 특허가 공개됐고 상피와 체표면의 재구성을 위한 고분자량 히알루론산(이콤 메디칼) 특허와 현색제 조성물을 포함 하는 2성분계 모발처리 키트(라보라토레 비오스테티큐 코스메틱) 특허가 발표됐다. 이외에도 네덜란드에서 자외선 차단 관련 선 스크린 조성물 특허 3건과 중국에서 여드름 제거용 안면 마스크와 치약 특허 각 1건, 스페인 에서 플라보노이드를 갖는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오염 조성물(몬테로에더) 특허 등이 발표됐다.

 

# 피부미백

 

171. 미백제 (공개번호 : 10-2021-0003827, 포라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일본), 2021. 1. 12) https://doi.org/10.8080/1020207033204

 

이 발명은 뛰어난 미백작용을 갖는 미백제를 제공하는 것이며 아래 화학식(1)의 화합물 또는 그 산부가염을 미백제의 유효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구조를 갖는 아미노카르본산 유도체와 그 산부가염이 뛰어난 미백 작용을 발휘하는 것을 발견해 본 발명을 완성했다.

 

표1에 기재된 화장료(실시예1~9, 비교예, 참고예)를 조제한 후에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아래 팔 시험 부위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본 발명의 화장료를 25일간 도포한 뒤에 색채색차계로 각 시험부위의 피부명도를 측정해 미백효과를 평가했다. 그 결과, 표2와 같이 대부분의 실시예 화합물이 비교예, 참고예에 비해 색소침착 개선효과를 보였다.

 

그림1 본 발명의 미백제 화합물의 분자구조

 

 

116. 카페오일말릭산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광노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1-0010414,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외, 2021. 1. 27) https://doi.org/10.8080/1020200089496

 

그림2 본 발명의 카페오일말릭산의 멜라노좀 이동과 관련된 인자인 Rab27A 발현억제효능

 

 

이 발명은 작두콩(Canavalia gladiata)에서 분리, 동정된 카페오일말릭산(Caffeoylmalic acid)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과 광노화 억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과 미용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색소 생성억제와 각질세포로의 이동억제를 통해 우수한 미백효능, 광노화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천연물 유래이므로 부작용이 없다.

 

작두콩잎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 화합물을 분리, 동정한 후에(실시예1) 멜라닌 이동의 타깃 인자인 Rab27A, MyosinVa 발현 억제능을 분석한 결과, 그림2~3과 같이 카페오일말릭산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Rab27A 단백질 발현과 MyosinVa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했다(그림2~3, 실시예2~3).

 

또 마우스의 멜라노사이트인 멜란-에이(Melan-a) 세포를 배양한 후 카페오일말릭산으로 처리한 결과, 카페오일말릭산을 20μM 첨가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며 24.4% 멜라닌 합성을 저해했다. 따라서 카페오일 말릭산은 멜라노좀 이동성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합성도 억제함으로서 미백효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그림4, 실시예3).

 

# 자외선 차단

 

54. 알칸계 오일을 분산매로 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성 분산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1-0000283, (주)케미랜드, 2021. 1. 4) https://doi.org/10.8080/1020200077058

 

본 발명은 안전성 문제가 의심되는 실리콘 오일을 대체할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식물 유래의 오일을 분산 매로 사용하고 초미립 무기입자 분산질을 안정하게 분산시킴으로써 개선된 자외선 차단효과와 장시간 지속 효과를 제공하며 사용감이 우수하고 다른 화장품 성분과도 뛰어난 상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초미립 산화아연을 분산질로 한 자외선 차단 기능성 분산물(Zinoply V60L)을 제조한 후 자외선 A 차단지수 (PFA)를 측정한 결과, 분산물 적용 농도와 PFA 간 상관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표4, 그림2, 실시예2). 또한 (i) OTS로 표면 처리한 초미립 산화아연 분산물, (ii) 표면 처리 되지 않은 산화아연, (iii) 수첨 레시틴을 적용시킨 초미립 산화아연 분산물의 광촉매 활성을 비교한 결과, (ii)의 광촉매 활성은 약 40%였던 반면, (i)과 (iii)는 20% 가 되어 이들의 광촉매 수준은 표면 처리되지 않은 산화 아연 적용 분산물의 절반 수준이었다(그림3, 실시예2).

 

그림3 초미립 산화아연 분산물의 광촉매 활성비교

 

 

147.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1-0006151, (주)팜스킨, 2021. 1. 18) https://doi.org/10.8080/1020190082065

 

이 발명은 센나(Alexandrian Senna, Senna alexandrina)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380~500nm 파장의 블루라이트의 통과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피부세포를 보호한다. 따라서 블루라이트 차단기능 또는 블루라이트로부터 파생되는 피부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과 각종 질환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거나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이나 약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블루라이트를 추출물이 포함된 큐빅에 조사해 블루 라이트 빛의 투과를 확인한 결과, 정제수가 들어 있는 큐빅에서는 블루라이트가 통과되나 센나잎 추출물이 포함된 큐빅은 블루라이트가 흡수되어 통과되지 않았다(그림1, 실험예). 센나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유라디칼소거실험을 실시한 결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실험예2), 센나잎 추출물은 50μg/mL까지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실험예3).

 

그림1 센나잎 추출물의 불루라이트 차단효과

 

 

# 복합효능

 

32. 그래핀 양자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등록번호 : 10-2239987-0000, 코스맥스(주) 외, 2021. 1. 19) https://doi.org/10.8080/1020190082791

 

이 발명은 그래핀 양자점(Graphene Quantum Dots, GQ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재생,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산화 효과를 제공해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래핀 양자점(GQD)을 제조한 후에(제조예1) 사람의 섬유아세포 세포주에서의 세포수 변화를 측정해 세포독성을 평가한 결과, GQD를 처리한 경우 세포증식을 저해시키지 않았고 세포증식 촉진효과를 확인했다(그림1).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활성산소종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100ng/mL와 1000ng/mL GQD 처리 농도에서 GQD의 세포 내 ROS에 대한 항산화 효능이 있음을 확인했다(그림2). Ascorbic acid 처리 세포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해 세포재생 촉진 효과를 평가한 결과, GQD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처리한 경우에서 세포재생이 더욱 촉진됨을 확인했다(그림4). 자외선에 의해 증가하는 콜라게나아제(MMP-1)에 대한 GQD의 저해능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 섬유아세포주를 이용해 MMP-1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UVB 조사군에서 MMP-1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한 것에 반해, GQD 처리 군에서는 그 발현량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그림5).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한 결과, 피부 세포에 GQD 처리시 type 1 procollagen 생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했으며(그림6), 피브릴린 발현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림7). 보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체 섬유아세포에서 발생하는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GQD 무처리 군에 비해 GQD를 처리한 각세포에서 HAS-3(그림8)과 AQP-3(그림9) 발현 증가가 촉진된 것을 확인했다.

 

그림1 그래핀 양자점(GQD)의 세포독성 평가

 

 

100. 피부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등록번호 : 10-2214378-0000, (주)엘지생활건강, 2021. 1. 15) https://doi.org/10.8080/1020200179361

 

이 발명은 피부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컴플라나토사이드 에이(complanatoside A ; Myricetin 3,4'-diglucoside;3-(beta-D-Glucopyranosyloxy)-2-[4-(beta-Dglucopyranosyloxy)-3,5-dihydroxyphenyl]-5,7-dihydroxy-4H-1-benzopyran-4-one; CAS No. : 146501-37-3 ; 구입처 : Tauto Biotech Co., Ltd)는 화학식1로 표시되며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총량을 증가시키고 콜라게나제 활성을 억제해 피부재생 또는 주름개선 효과를 높이고 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멜라닌 총량을 감소시켜 미백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약학적 조성물, 피부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으로 사용 가능하다.

 

화학식1의 화합물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해 세포 수준에서 콜라겐 총량을 측정한 결과, 일반적으로 콜라겐 합성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 C보다 적은 농도에서 더 우수한 콜라겐 증가율을 나타냈다(표1, 실시예1). 또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2, 실시예2). 화학식1 의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해 세포 수준에서 멜라닌 총량을 측정해 미백효과를 확인한 결과, 미백물질로 알려진 알부틴(200ppm)과 비교할 때, 적은 농도에서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해 멜라닌 총량이 현저히 감소했다(표3, 실시예3).

 

화학식1 컴플라나토사이드 에이(complanatoside A)

 

 

# 약물전달, 경피흡수

 

50. 역미셀을 형성하는 발효유화제를 이용한 감잎 추출물및 비타민 B 포집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1-0001560, (주)유나이티드엑티브 외, 2021. 1. 6) https://doi.org/10.8080/ 1020190077834

 

본 발명은 역미셀을 형성하는 발효유화제를 이용한 감잎 추출물과 비타민 B 포집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유효물질을 피부의 지질층에 융합시켜 효과적으로 유효 물질을 침투, 흡수시킬 수 있다. 또 유효 물질의 안정성과 보관성을 향상시켜 친환경적이고 인체친화적인 피부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유효성분의 피부침투와 흡수를 향상시켜 보습력, 주름개선, 피부노화, 항염 등의 피부학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미백효과가 향상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andida bombicola UA-06(한국생명공학연구원) 균체를 수득하고(제조예1) 감잎 추출물을 제조한 후에(제조예2) 상기 종균배양된 미생물과 식물성 오일을 발효시켜 역미셀을 형성하는 발효유화제를 제조했다. 표1의 조성으로 상기 발효유화제, 감잎 추출물, 비타민 B 를 혼합해 포집, 정제 단계를 거쳐 감잎 추출물과 비타민 B 포집 조성물을 제조했다(그림1, 실시예1~8).

 

조성물의 봉입율을 확인한 후에(표3, 실험예1) 장기 보관 시 온도별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실시예7~8은 보관 조건에 따른 투명도, 색상, 침전에 따른 안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표4, 실험예2). 표2의 조성에 따라 제조한 에센스(실시예9)와 비교예1의 미백효과를 비교한 결과, 비교예1보다 실시예9의 제형이 피부의 미백효과와 피부톤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표5, 실험예3).

 

그림1 본 발명의 감잎 추출물 및 비타민 B 포집 조성물의 제조과정

 

 

# 증점제

 

25. 나노셀룰로오스 기반의 화장료용 천연증점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셀룰로오스 기반의 화장료용 천연증점제 (공개번호 : 10-2021-0000456, (주)씨엔엔티, 2021. 1. 5) https://doi.org/10.8080/1020190075592

 

그림1 나노셀룰로오스 기반 화장료용 천연증점제의 제조과정

 

 

이 발명은 친환경 소재인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하고 화학적인 첨가제의 비사용으로 친환경적인 증점제를 제공할 수 있고 증점제로서 요구되는 물성과 안정성과 무자극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피부에 이용되는 화장품의 베이스 재료로서 적용할 수 있는 나노셀룰 로오스 기반의 화장료용 천연증점제에 관한 것이다.

 

제조방법은 셀룰로오스 현탁액 마련 단계, 셀룰로오스펄프 해리 단계, 셀룰로오스 펄프 분쇄 단계, 셀룰로 오스 나노화 단계로 구성된다(그림1). 제조된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 천연 증점제의 폴리올 첨가에 따른 점도 측정 결과, NS-H01+glycol과 NH-H01+glycol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수종에 따른 영향은 없었고 글리콜 양에 따른 점도의 변화도 거의 없었다(그림8~9).

 

PH농도에 따른 점도 측정 결과, PH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그림10~11). 보존 안정성을 시험해 본 결과, 다양한 온도에서 천연증점 제의 변색과 변취가 전혀 일어나지 않아 보존 안정성이 우수했다(그림15~17). 세포독성시험 결과, NH-01과 NS-01 모두 25%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고 NH-H01의 경우, 글리콜이 함유된 경우 인간 유래 각질세포의 세포성장율을 증가시켜 보습력을 증가시켰다(그림18~29).

 

살균력을 평가한 결과, 시험물질 NH-H01, NSH01, NH-H01+Glycol 10%, NH-H01+Glycol 30%, NH-H01+Glycol 50%, NS-H01+Glycerin 10%, NSH01+Glycerin 30%, NS-H01+Glycerin 50%은 시험을 수행한 모든 균주에서 살균력이 확인되지 않았던 반면, 시험물질 CNF powder는 Escherichia coli(대장균)과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에서 99.9%, Pseudomonas aeruginosa(녹농균)에서 99.6%의 살균력이 확인됐다(그림30~38). 피부자극과 안자극 동물대체 시험 결과, 모두 비자극 물질로 판정됐다(그림39~40).

 

# 발모, 육모, 탈모방지

 

181. 메밀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근강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1-0002005, (주)현대바이오랜드, 2021. 1. 6) https://doi.org/10.8080/1020200077680

 

그림1 메밀새싹의 70%(w/w)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과 호모오리엔틴의 HGF mRNA 발현증가 활성

 

 

이 발명은 호모오리엔틴(Homoorientin)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밀새싹(Bucckwheat bud)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근강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메밀새 싹은 생리활성 성분이 가장 최대화된 우수하고 안전한 새싹식물로서 상기 메밀새싹과 이로부터 분리된 호모오리엔틴 화합물은 모근강화 관련인자로 알려진 VEGF, HGF 유전자와 모발성장의 관련인자로 알려진 KFG, IFG-1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DHT(Dihydrotestosterone)으로 유도된 남성형 탈모와 Substance P로 유도된 스트레스성 탈모,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탈모증상을 완화해 종래의 탈모치료제인 미녹시딜이나 모근강화 물질인 카페인과 비교해 그 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조성물의 모근강화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HGF(Hepatocytegrowth factor), VEGF(Vascullar Endotherial Growth Factor) 유전자 발현 실험을 모유두세포를 통해 실시한 결과, Control 대비 메밀새싹의 70%(w/w)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은 HGF 유전자 발현을 26.4%, VEGF 유전자 발현을 71.68% 증가시킴으로 모근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했다(표4~5, 그림1~2).

 

# 마이크로니들, 패치

 

84.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공개번호 : 10-2021-0003456, (주)엘지생활건강, 2021. 1. 12) https://doi.org/10.8080/1020190079276

 

이 발명은 근수축 감소 활성과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를 가져 주름감소 효과를 갖는 앉은 부채(Symplocarpus foetidus)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적용해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 투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앉은 부채 추출물을 제조한 후 주름개선 활성을 조사 하기 위해 마우스 유래 근육세포주와 마우스와 랫의 하이브리드 신경세포주를 사용해 신경근접합부 형성실험과 근수축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앉은 부채 추출물은 2시간 처리 후 농도 의존적으로 근수축을 감소시켰다. 특히 앉은 부채 추출물 20ppm에서 약 47%의 근수축 횟수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그림1, 표1). 또 앉은 부채 추출물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해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생합성 총량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콜라겐 합성을 촉진해 콜라겐의 총량을 증가 시키는 효능을 있음을 확인했다(그림2, 표2).

 

앉은 부채 추출물이 함유된 마이크로니들(표3)과 크림(표4)을 제조해 주름개선 효과를 비교한 결과,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을 사용한 그룹의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했다(그림3, 표5).

 

그림3 앉은 부채 추출물 함유 마이크로니들과 크림의 주름개선 효과 비교

 

 



이상호 기자 leekisti@cosinkorea.com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9길 99 스타밸리 805호 전화 02-2068-3413 팩스 : 02-2068-3414 이메일 : cosinkorea@cosinkorea.com 사업자등록번호 : 107-87-7047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3-서울영등포-1210호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지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박지현 코스인코리아닷컴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