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2022년 4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

2022.09.30 13:27:13

4월 168건 특허정보 공개 '항균제'분야 15건 최다 해외특허 43건 공개 미국 13건 최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2년 4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2년 4월에 공개된 한국특허는 총 168건으로 전월의 215건에 비해 47건 감소했다. 이 가운데 해외 특허는 43건으로 전체의 약 25%를 차지해 전월의 21%보다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2022년 4월의 한국특허는 공개건수가 전월에 비해 줄었으나 해외 특허의 비율은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2022년 4월의 공개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항균제’ 분야가 15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피부개선’ 분야가 10건을 보였으며 ‘발모, 육모, 탈모 방지’ 분야 9건, ‘세정제, 클렌징’ 분야가 8건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주름개선, 탄력개선’, ‘자외선 차단’, ‘복합효능’, ‘고형 화장료, 파운데이션, 분체’, ‘마스크 팩, 미용시트’ 분야가 각 7건을 공개됐다.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아토피성’, ‘상처치료, 피부재생’, ‘눈화장, 하이라이터, 립스틱’ 분야가 각 6건, ‘유화물, 에멀젼, 계면활성제’, ‘소독제’ 분야가 각 5건을 나타냈다. 전체적으로는 항균제와 피부 개선, 모발, 세정제,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고형 화장료, 마스크 팩 등의 분야에서 많은 특허가 발표되고 있었다.

 

또 3월의 동향과 비교하면 ‘항균제’와 ‘피부개선’ 분야에서 가장 많은 특허 건수를 보였는데 이는 3월의 경향과 비슷했다. 그 다음 순위인 ‘발모, 육모, 탈모 방지’ 분야와 ‘세정제, 클렌징’ 분야는 3월에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어 위의 4분야를 중심으로 많은 특허가 공개되고 있었다.

 

그러나 3월에 상위권에 있었던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에멀젼, 계면활성제’ 분야는 이번 달에는 중위권으로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 외에 ‘보습’, ‘구강 케어’, ‘향료, 정유’, ‘장치, 기기’ 분야의 특허도 3월과 비교하면 많이 감소했다.

 

내용적으로 살펴보면 ‘피부미백’ 분야에서는 천일사초 추출물,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 sw-1 배양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발표됐고 ‘주름개선’ 분야에서는 티트리잎, 페퍼민트잎, 약모밀, 녹차, 노니 및 파슬리의 혼합 추출물, 우방자와 비자 가종피의 혼합 추출물, 발효된 감 추출물, 라우로일 메틸글루카마이드 라우레이트가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아세틸콜린 수용체 저해 펩타이드의 주름개선 용도특허가 공개됐다.

 

‘자외선 차단’ 분야에서는 자외선 차단용 실리콘-이산화티탄 복합 분말 특허, 구형과 비구형 금속산화물 입자 또는 공극을 가진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특허와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피부온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다.

 

‘항노화, 항산화’ 분야에서는 밀크씨슬 꽃 추출물, 아로니아 추출물과 죽염의 혼합물이 유효성분으로 발표 됐고 멜라토닌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도 공개됐다. ‘복합효능’ 분야에서는 동백나무꽃추출물, 새싹더덕추출물, 당귀추출물, 대마추출물, 여뀌바늘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특허도 발표됐다.

 

‘피부장벽개선’ 분야에서는 일엽초 추출물과 민들레 전초 추출물, 또는 홍삼 부산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다. ‘항염증, 아토피 개선, 항알레르기’ 분야에서는 개구리밥 추출물과 올리브잎 추출물, 서양뒤영벌추출물, 모시풀추출물, 신이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항균제’ 분야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왕지네, 왕귀뚜 라미, 풀무치, 울도하늘소 유충에서 분리한 다양한 펩타이드의 항균 용도특허 7건을 공개했다.

 

이 밖에도 여뀌바늘추출물, 왕머루뿌리추출물, 해방풍 지상부 추출물, 고추냉이발효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발표됐고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신균주 페니실리움 비세티의 용도특허도 공개됐다. 새로운 균주로서 아스타잔틴 분비능을 갖는 플라노코쿠스 속 균주에 관한 용도특허와 발효된 감 추출물의 나노 리포좀을 함유 하는 화장료 조성물, 나노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다.

 

미세 플라스틱 비처방 화장료 조성물 특허와 오일 캡슐 제조장치 특허가 발표됐고 ‘상처치료, 피부재생’ 분야에서는 홍합 접착 단백질 유래의 재조합 폴리펩티드의 용도특허와 펩타이드 LL-37을 발현하는 효모 또는 피부세포 재생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억새꽃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다.

 

‘피부 진정, 피부 개선’ 분야에서는 아모레퍼시픽에서 캄페롤 배당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조성물 특허 4건을 공개했고 울릉산마늘추출물,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보고했다. ‘발모, 육모, 탈모방지’ 분야에서는 스피루리나 추출물, 퀴나졸리논 유도체, 변형된 EGF 단백질, 왕호장근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아스트로제네시스 에서 발모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특허 2건을 공개했다.

 

‘고형 화장료’ 분야에서는 코스맥스에서 압축분말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특허 6건을 공개했고 ‘향료’ 분야에서는 한국콜마에서 마누카 꿀 향취, 라벤더꽃 향취, 때죽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특허 3건을 공개했다. 장치, 기기’ 분야에서는 개인 맞춤형 화장품 제조장치와 유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한 화장품 추천시스템 특허를 공개했다.

 

한편, 2022년 4월에 공개된 해외특허는 총 43건으로서 미국이 13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일본 8건, 프랑스가 7건을 차지했으며 중국 5건, 영국과 독일 각 2건, 이외의 나라는 모두 1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해외특허를 내용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미국에서는 피부 관리를 위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스킨케어 제형과 피부 수화 시스템 관련 특허가 공개됐고 스킨케어, 피부 보충, 모발 관리, 구강 관리를 위해 메발론산 또는 락톤을 회수하는 방법과 메발로노락톤을 포함 하는 스킨케어 조성물 특허도 발표됐다.

 

또 현탁액 성분의 효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함유하는 국소 전달 시스템, 마이크로채널 기술을 사용한 히알루론산의 피부로의 마이크로 충전 방법에 관한 특허도 발표됐다. 트랜스-1233zd을 함유하는 불연성 드라이 개인위생제품 특허와 폴리우레탄 젤 특허가 공개됐고 실크 헤어케어 조성물과 탈모 치료 조성물 특허도 보고됐다. 세정을 위한 친수성 β-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를 가진 포접 복합체 조성물과 속눈썹 연장을 위한 목탄 접착제 조성물 특허도 발표됐다.

 

일본에서는 가벼운 감촉으로 끈적거리지 않고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기제에 관한 특허와 비침습적으로 우수한 보습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히알루론산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특허가 공개됐다. 또 항염증 작용을 갖는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를 함유하며 백탁되지 않고 침전물이 없는 조성물 특허와 향미, 향료, 또는 국소 조성물에 사용되는 예상치 못한 온감을 제공하는 새로운 화합물 특허가 발표됐다.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고형 화장료,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안료, 구강용 조성물 특허도 각각 발표됐다.

 

프랑스에서는 로레알에서 석류 추출물과 이의 산화 방지제로서의 화장 용도 특허와 메이크업 제거용 무수조성물 특허를 각각 발표했고 지질 합성을 증가시키는 글리코펩티드, 분홍바늘꽃 추출물의 새로운 화장료 용도 특허, 디올을 기반으로 하는 분산상 국소용 무수 조성물, 두 개의 조성을 포함하는 립스틱 제조방법, 패치와 같은 기판상에 단백질과 같은 생물학적 물질을 증착 시키는 방법에 관한 특허가 공개됐다. 중국에서는 항염증, 상처 치유, 항습진, 항여드름 효과가 향상된 피부 외용 조성물 특허 4건과 친환경 천연 방부제로 사용될수 있는 마그놀롤 유도체에 관한 특허가 발표됐다.

 

이 외에도 영국에서는 생물 활성 파이토케미컬 특허, 독일에서는 착색 안료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조성물과 각질화 장애의 예방, 감소를 위한 미용제 특허가 발표됐고 덴마크에서는 칸나비디올을 포함하는 외용제제, 인도에서는 식물 활성물질과 오염방지효과, 캐나다에서는 단백질과 응집된 셀룰로스 나노결정을 포함하는 미세입자의 화장품 용도 특허, 오스트레일 리아에서는 탄력섬유의 생체 내 합성에 관한 특허가 발표됐다.

 

# 피부미백

 

31.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 sw-1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2-0048365, (주)제노자임 외, 2022. 4. 19)https://doi.org/10.8080/1020200131437

 

이 발명은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 sw-1(Aspergillus fumigatus sw-1)인 기탁번호 KCTC 18851P 균주의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인체와 세포 독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고 높은 미백 활성의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스크리닝한 결과, 분리된 균주 중 1종이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의 its와 5% gap으로 90% 일치되는 결과를 얻어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로 동정했으며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 투스 sw-1(Aspergillus fumigatus sw-1)으로 명명했다.

 

그림1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 sw-1 동정 결과

 

 

(그림1, 실시예). 인 비트로(In vitro)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능을 배양기간별로 실험한 결과, 아스페르 길루스 푸미가투스 sw-1의 4일 차 배양액이 티로시나 아제 활성 억제율이 가장 우수했다(그림2, 그림3b). 농도별 티로시아나제 활성 억제 효능의 실험 결과, 4일 차 배양액 60ul 이상 포함되는 경우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이 우수했다(그림6, 그림7b). 열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 sw-1의 배양 상등액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성분은 열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림8, 그림9b).

 

# 주름개선

 

63. 라우로일 메틸글루카마이드 라우레이트(lauroyl methylglucamide laur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2-0046360, (주)더마랩 외, 2022. 4. 14)https://doi.org/10.8080/1020200129677

 

이 발명은 세라마이드 유사 화합물인 라우로일 메틸글루카마이드 라우레이트(lauroyl methylglucamide laurate), 판테놀(panthenol)과 아이소쿼시트린(isoquercitrin)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물은 콜라겐 생성 증가,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와 엘라스틴 생성촉진 효능을 나타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개선과 탄력증가 효능이 우수한 피부 항노화용 화장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발명은 라우로일 메틸글루카마이드 라우레이트에 판테놀과 아이소쿼시트린을 혼합해 사용하는 경우 피부 섬유 아세포에서 콜라겐과 엘라스틴 생성증진 효과가 상승해 더욱 우수해진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라우로일 메틸 글루카마이드 라우레이트, 판테놀과 아이소쿼시트린의 단독 용액을 제조한 후(제조예 1~3) 표1의 중량비로 상기 용액의 혼합물을 제조했다(실시예 1~11).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간 섬유아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제조예 1~3과 실시예 1~11은 모두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표2, 시험예1).

 

전구콜라겐 타입 1(procollagen type 1) 생성촉진 효과,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생성억제 효과와 엘라스틴 생성촉진 효과를 측정한 결과, 제조예 1~3과 비교해 실시예 1~11 모두 우수한 전구콜 라겐 생성촉진 효과, MMP-1 발현억제 효과, 엘라스틴 생성증가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실시예 1, 2, 4, 6 그리고 11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표3~5, 시험예 2~4).

 

# 자외선 차단

 

73. 공극을 가진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2-0042711, 솔브레인(주), 2022.
4. 5)https://doi.org/10.8080/1020200125877

 

이 발명은 미세 공극을 가진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용 입자와 상기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높은 자외선 차단지수(SPF)와 PA 지수를 가질 수 있으며 장시간이 경과해도 층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우수한 분산 안정성을 나타낸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용 입자는 구형 또는 비구형, 공극의 크기는 1nm~50nm, 공극도는 20%~80%, 비표면 적(BET)은 250m2/g~700m2/g, 크기는 50nm~500nm이며 금속산화물 입자일 수 있다. 표면적이 279m2/g인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제조한 후에 표1의 조성비로 표면에 미세 공극이 형성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했다(실시예 1).

 

표2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높은 자외선 차단지수(SPF)와 PA지수

 

 

또 비표면 적이 495m2/g인 세륨옥사이드 입자(실시예 2), 비표면적이 61m2/g인 세륨옥사이드 입자(비교예)도 제조했다.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지수(SPF)와 PA 지수를 측정한 결과, 비표면적이 큰 실시예의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비표면적이 작은 비교예에 비해 더욱 높은 SPF와 PA 지수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2, 실험예).

 

# 방진 화장품

 

119.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품 (공개번호 : 10-2022-0048586, (주)펠리즈코스, 2022. 4. 20)https://doi.org/10.8080/1020200131643

 

이 발명은 피부에 자가 세정력을 부여해 미세먼지가 피부에 잔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표면 미세구조 형성용 입자, (b)표면 보호층 형성용 고분자, (c)유화제, (d)물을 포함하되 상기 표면 미세구조 형성용 입자는 금 나노입자인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 함과 동시에 피부 표면에 미세구조를 형성해 미세먼지의 흡착을 방지하므로 기존의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품에 비해 높은 미세먼지 차단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 표면의 미세구조가 형성돼 소수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땀이나 물에도 쉽게 지워지지 않아 장시간 동안 미세먼지의 차단이 가능하다. 표1과 같은 조성으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품을 제조했으며 표1의 콜로이달 금 나노입자는 입자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가 표면에 결합돼 콜로이달 화합물을 형성하며 평균 크기가 30nm, 입자반지름 표준편차가 5nm인 콜로이달 금 나노입자를 사용했다(실시예 1).

 

그림1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품의 소수성 미세구조 형성 모습

 

 

실시예와 비교예의 화장품 조성물을 유리판에 도포하고 정제수를 분사한 후 표면에 남아 있는 물방울의 숫자를 관찰해 자가 세정력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는 표면에 균일한 미세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소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표2, 시험예 1). 또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고 카본블랙 대류장치에서 카본블랙이 안착되도록 시험한 결과 실시예 1은 많은 양의 카본블랙이 정착하지 못해 카본블랙 픽셀값의 변화가 매우 작은 것을 확인했다(표3, 그림6 (a), (c)).

 

# 프로바이오틱스

 

113.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2-0048514, ㈜아모레퍼시픽, 2022. 4. 20)https://doi.org/10.8080/1020200131207

 

이 발명은 프로바이오틱스가 화장품 제형의 방부원료로 인해 완전히 사멸하지 않고 활성균으로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으면서도 조성물 제형이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분말 제형의 프로바이오틱스, 양이온성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와 음이온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생균(활성균) 상태의 프로 바이오틱스를 파우더화해 오일에 담지한 후 이를 캡슐화해 수상으로부터 이를 보호함으로써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활성 유산균의 생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 사이에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계면이 존재할 수 있다. 표1~2와 같이 실시예 1~3과 비교예 1~3을 제조한 후에 제형 내 유산 균의 생존 정도를 확인한 결과, 오일에 담지한 유산균(실시예 1~3)이 수상부에 포함된 유산균(비교예 1~3)과 비교해 약 1.5~2배 정도 오래 생존하는 것을 확인했다(그림 3~5, 시험예).

 

그림2b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현미경 관찰 사진

 

 

유상부의 점도에 따른 제형 안전성을 실험한 결과, 유상부의 점도가 너무 낮으면 활성균의 생존력이 감소하고 유상부의 점도가 너무 높게 되면 오일 캡슐의 크기의 균일도가 낮아져 제형 외관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형 안정도가 좋지 않다는 것을 확인했다(표3, 시험예).

 

# 분체, 마이크로비드, 미세입자

 

60. 미세 플라스틱 비처방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2-0048224, 코스맥스(주), 2022. 4. 19)https://doi.
org/10.8080/1020200131124

 

이 발명은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안티케이킹제를 코팅한 탈크와 벌킹제를 코팅한 마이카를 포함해 안정도를 충분히 확보 함과 동시에 적절한 사용감과 기존 화장료 조성물에 상응하는 광택과 강조 화장 효과를 재현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미세 플라스틱의 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 우려가 있는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펄감, 발림성, 밀착력과 색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표1의 성분과 함량으로 실시예와 비교예를 제조했다(그림1, 제조예).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과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해 관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 미세 플라스틱류를 배제하고 제조된 실시예 1은 미세 플라스틱류를 포함하는 비교예 1~3과 비교했을 때 외관 펄감, 발림성, 밀착력, 펄감 표현력, 가루 날림에서 높은평가를 받았으며 구매 욕구에 있어서 가장 높게 평가됐다.

 

그림2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표면에 도포한 모습

 

 

또 실시예 1과 같은 성분 조성으로 제조하되 마이카/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4는 외관 펄감, 발림성, 밀착력과 가루 뭉침에서 실시예 1보다 낮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마이카/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제형이 미세 플라스틱류를 포함한 제형보다 우수한 제형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구매 욕구 부분에서도 가장 뛰어난 평가를 받았다 (표2, 그림3, 실험예).

 

# 상처치료, 피부재생

 

16. 홍합 접착 단백질 유래의 재조합 폴리펩티드와 그의 용도 (공개번호 : 10-2022-0043985, (주)바이오빛, 2022. 4. 6)https://doi.org/10.8080/1020200126264

 

이 발명은 홍합 접착 단백질 유래의 EGF-유사 폴리펩티드에 기능성 펩티드가 융합된 재조합 폴리펩티드, 상기 재조합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상기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숙주 세포에 형질전환 한 형질 전환체와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조합 폴리펩티드는 일상용품 뿐만 아니라 화장품, 의약품과 의약 소재로 활용할 수 있고 기존에 생체적합 접착 소재로만 활용되었던 홍합 접착 단백질을 세포재 생, 상처치유, 피부개선, 염증, 아토피와 감염문제 해결 등의 분야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MGFP-2 유래 폴리펩티드와 항균 펩티드가 결합된 재조합 폴리펩티드를 생산, 분리, 정제하고(실시예 4~5),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한 결과, 대장균 BL21/pET22b로부터 발현, 분리된 단백질은 MGFP-2 유래 폴리펩티드와 항균 펩티드가 결합된 재조합 폴리펩티드임을 확인했다(표1, 실시예 6).

 

그림1 본 발명의 재조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위한 벡터 구성도

 

 

상기 재조합 폴리펩티드의 세포재생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각질세포에 대한 세포 재생력을 평가한 결과, 배양 72시간 후에 대조군 대비 약 150% 세포 재생력이 증가함을 확인했다(실시예 7). 또한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해 대표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E. coli)과 대표 그람 양성균(S. aureus) 모두에서 99.9% 의 항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7, 실시예 8).

 

# 발모, 육모, 탈모방지

 

154. 퀴나졸리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2-0043455, (주)에피바이오 텍, 2022. 4. 5)https://doi.org/10.8080/1020200126866

 

이 발명은 퀴나졸리논 유도체(화학식 I~II)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모유두 세포를 증식시키고 모발 성장주기의 휴지기 상태를 성장기로 전환시킴으로써 모발의 성장을 촉진한다.

 

모유두 세포와 외모근초 세포의 증식을 측정한 결과, iDPC(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에서는 화학식 II의 화합물(N-[2-(5-chloro-1H-indol-3-yl)ethyl]-6-(4-oxo-3,4-dihydroquinazolin-3-yl)hexanamide)을 10uM 농도로 처리했을 때 모유두 세포 2D와 3D spheroid에서 모두 증식을 촉진했고 primary DPC와 ORS 세포에서는 각기 다른 농도로 처리했음에도 불구하고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그림1~4, 실시예 1).

 

모유두세포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실험한 결과, iDPC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에 의해 모유두세포의 대표 유전자인 Sox2, Versican(VCAN), CD133, Corin, β-catenin, Wnt5a의 발현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했다(그림5~10, 실시예 2).

 

그림1 화학식 II의 화합물 처리에 따른 iDPC증식 결과

 

 

생쥐 콧수염과 돼지털 모낭의 성장 효과를 측정한 결과, 음성 대조군에 비해 생쥐 콧수염의 경우 2일째에 증가한 것을 확인했고 돼지털 모낭 역시 2일, 5일째 모두 모섬유질의 성장 효과가 현저히 증가했다(그림11~14). 실험동물인 생쥐의 등에 국소적으로 처리했을 때 모발 주기가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유도돼 실제로 발모 촉진 효과가 있는지를 실험한 결과, 음성 대조군에 비해 털이 유의미하게 자랐으며 털의 무게는 약 1~3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그림15~16, 실시예 4).

 

# 고형화장료, 파운데이션

 

26. 압축분말상의 과립화를 통해 외관 표현을 구현한 압축 분말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압축분말상 제조방법 (공개번호 : 10-2022-0049721, 코스맥스(주), 2022. 4. 22)https://doi.org/10.8080/1020200133166

 

이 발명은 기존의 메이크업 고체 압축분말상의 일반적인 외관 한계를 극복한 화려한 발색력을 보여줄 수 있는 메이크업 고체 압축분말상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성형성이 우수해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설계할 수 있으며 화려한 발색력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1의 조성으로 압축 분말상의 반제품을 제조해 제형안정도를 시험한 결과, 에스터오일의 점도가 높아질수록 경도가 높아졌는데 이는 에스터오일의 점도가 높을수록 파우더의 응집력을 높여 높은 제형안정도를 부여했다. 낙하에 따른 loss 율은 유사하게 나타났다(표2~3, 실시예 1).

 

오일 바인 더의 점도에 따른 사용감과 발림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발색력과 발림성을 측정한 결과, 비교예 1~4는 점도가 높아질수록 발색력과 발림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반면, 실시예는 높은 발색력과 발림성을 보여 줌과 동시에 제형안정성을 줄 수 있었다(표4, 실시예 1).

 

그림4 본 발명에 따른 펄 또는 글리터를 포함 또는 포함하고 있지 않는 과립상의 조합으로 나타낸 외관

 

 

휘발성 오일 함량에 따른 과립상 안정도를 실험한 결과, 실시예에서 가장 온전한 과립상이 형성됐다(표6, 실시예 2). 또한 압축분말상의 과립화를 통해 하나의 압축분말상에 다양한 외관 색상을 표현할 수 있었다. 그림4는펄 또는 글리터를 포함 또는 포함하고 있지 않는 과립상의 조합으로 압축분말상의 제형에 구애되지 않고 조합해 성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실시예 3).

 



이상호 기자 leekisti@cosinkorea.com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9길 99 스타밸리 805호 전화 02-2068-3413 팩스 : 02-2068-3414 이메일 : cosinkorea@cosinkorea.com 사업자등록번호 : 107-87-7047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3-서울영등포-1210호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지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박지현 코스인코리아닷컴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