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국내 기업들이 중국 Z세대를 사로잡기 위해서는 이들의 ‘자기만족형’소비 성향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적극 공략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구자열) 청두지부가 16일 발간한 ‘중국 Z세대의 소비로 본 성향 분석’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중국 인구의 19%를 차지하는 Z세대(1995년~2009년 사이 태어난 세대)의 소비가 가계 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로 전 세계 Z세대의 가계 지출액 비중 평균(5%)보다 2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률 또한 중국 Z세대는 76%, 세계 평균은 85%로 나타나면서 중국의 Z세대는 저축보다는 소비에 더 적극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엇보다 가장 큰 특징은 키덜트(Kid+Adult) 소비에 열중한다는 것으로 중국 Z세대는 피규어 등 아트토이 소비자의 39%를 차지하고 있다. Z세대의 키덜트 소피 문화를 조사한 결과, 연평균 피규어 소비액이 ‘1000위안(한화 약 19만원) 초과’라는 응답이 41%에 달했고 특히 ‘5000위안(약 95만원) 이상’도 1.9%나 있었다. 피규어 구매 동기로는 ‘캐릭터 애호’(76%), ‘감상용’(67.9%), ‘수집 성취감’(66.6%)를 꼽았다.
구매 시 어떤 상품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는 랜덤박스 구매횟수가 ‘연 7회 이상’인 경우는 55.7%였고 ‘연 20회 이상’도 6%나 됐다. 랜덤박스 구매동기 역시 ‘언박싱의 기쁨 추구’(74.3%), ‘수집’(59.5%), ‘해당 캐릭터가 좋아서’(41.9%) 등으로 나타났다.
중국 Z세대는 ‘비주얼이 곧 정의'라고 생각할 정도로 외모 관리에 관심이 높아 화장품 산업 성장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2020년 중국 Z세대 중 24.5%가 한 달에 1회와 그 이상 화장품을 구매하는 반면, 세일에서 구매하는 비중은 6.4%에 불과하다.
2020년 Z세대의 스킨케어 제품 사용빈도를 보면 매일 사용하는 비중이 62.2%에 달하며 일주일 3회 이하 사용하는 비중은 19.2%에 불과하다. 반면, 중국 전체 소비자의 경우 스킨케어 제품을 매일 사용하는 비중은 31%에 불과하고 일주일 3회 이하 사용하는 비중이 35%이다.
2020년 중국 Z세대는 스킨케어 제품 중 마스크팩, 크림, 핸드크림 순으로 가장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색조화장품 사용 빈도를 보면 Z세대가 매일 사용하는 비중은 38.3%를 차지하나 중국 전체 소비자의 비중은 11.2%에 불과해 Z세대가 27.1%p 높다.
2020년 중국 Z세대는 색조화장품 중 입술 관련 메이크업 제품(립스틱, 틴트 등), 눈 메이크업 제품(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등),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파운데이션, 블러셔 등) 순으로 가장 많이 구매하고 있다.
중국 Z세대가 화장품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으로는 SNS(웨이보, 샤오홍슈 등)가 48.3%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어서 전자상거래 플랫폼(타오바오, 징둥, 핀둬둬 등), 오프라인 매장 등이 활용되고 있다.
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 불규칙한 생활과 건강에 좋지 않은 행위를 하는 것과 동시에 건강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펑커양셩(朋克养生)’ 이 유행하고 있다. 헬스동영상에 ‘좋아요’누르기도 다이어트로 간주하기(59.7%), 밤을 새면서도 아이크림은 사용하기(39.9%), 배달음식 먹으면서 건강보조식품 함께 먹기(25.6%), 콜라·맥주에 구기자 넣기(17.4%) 등이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중국의 Z세대가 가장 우려하는 건강문제는 피부 트러블, 시력 저하, 탈모 등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식이요법, 자율생활, 저지방·저가당·저기름 등 3저 식품 구매 등 다양한 건강 관리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고범서 청두지부장은 “중국 Z세대는 높은 구매력을 지닌데다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소비 성향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도 소비 규모가 계속 커질 전망이다”면서 “중국 Z세대를 사로잡기 위해서는 이들의 소비 특징과 선호가 충분히 반영된 제품으로 공략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