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3 (월)

  • 맑음동두천 16.3℃
  • 맑음강릉 17.2℃
  • 맑음서울 17.2℃
  • 맑음대전 16.9℃
  • 맑음대구 17.9℃
  • 맑음울산 16.1℃
  • 맑음광주 17.7℃
  • 맑음부산 17.7℃
  • 맑음고창 16.6℃
  • 맑음제주 18.7℃
  • 맑음강화 12.9℃
  • 구름많음보은 14.0℃
  • 맑음금산 14.3℃
  • 맑음강진군 17.0℃
  • 맑음경주시 16.2℃
  • 맑음거제 16.6℃
기상청 제공

"아세안 시장 진출 PB 전략 강화해야"

투미코리아 최 영 대표, 글로벌 유통기업과 협업해야 생존 강조


 
▲ 투미코리아 최 영 대표는 국내 업체의 해외 시장 진출 전략으로 PB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최근 국내에서도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소비재 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중저가를 중심으로 개발된 PB 화장품 브랜드가 성장세를 나타내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8월 23일 ㈜코스인이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개최한 ‘아세안 화장품 시장 진출 전략 세미나’에서 국내 PB 화장품 브랜드의 아세안 시장 진출 방안이 발표돼 관심이 집중됐다.

 

투미코리아 최 영 대표는 ‘PL(Private Label) 국내외 동향과 사례 어떻게 사업을 펼쳐 나가야 할 것인가?’를 주세로 발표했다.

 

최 영 대표는 “아무리 좋은 브랜드, 제품이 있어도 어떤 유통 경로를 통해 누구에게 판매할 것이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아세안 시장은 국내 대기업도 진출해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도 아세안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최 대표는 “이마트, 농협은 같은 할인점이지만 각 할인유통도 각각의 속성이 있다. PB 브랜드는 품질만 좋으면 된다는 생각은 금물”이라며 “우수한 품질의 제품과 마케팅 서비스를 접목해 유통 업체와 시장을 공략해야 한다.

 

특히 이날 세미나에서는 랑콤, 로레알, P&G 등 글로벌 기업들이 이미 아세안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중소기업들이 아세안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글로벌 유통사 또는 브랜드와 한류 브랜드를 접목한 제품을 개발해 진출해야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발표됐다.

 

최 대표는 “글로벌 브랜드와 유통사가 아세안 시장을 장악한 가운데 직접 진출은 현재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중소기업은 어렵다”며 “글로벌 유통사들은 진출한 국가의 내셔널 브랜드 세일을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PB 브랜드를 개발해 수익을 창출한다. 아세안 시장은 이미 글로벌 시장으로 성장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때문에 글로벌 기업 또는 글로벌 유통사에 PB 제품을 개발해 공급하는 것이 아세안 시장에서 연착륙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소비자는 브랜드와 사용경험과 반복 구매를 통해 구매를 하기 때문에 브랜드 파워가 구매 포인트라고 강조하는 최 대표는 “중소기업은 브랜드를 알리는 방법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코카콜라는 빨간색 라벨이 상징이었지만 아르헨티나에서 판매되는 코카콜라의 라벨은 초록색이다. 그래도 코카콜라로 소비자들은 인식하고 구매를 한다. 이것이 브랜드 파워”라며 “아세안 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제품을 공급하는 위치가 아닌 서비스, 마케팅도 글로벌 기업과 유통사에 제공하는 PL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