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8 (토)

  • 맑음동두천 8.3℃
  • 구름조금강릉 10.4℃
  • 맑음서울 12.2℃
  • 맑음대전 10.2℃
  • 맑음대구 10.3℃
  • 맑음울산 11.0℃
  • 맑음광주 11.8℃
  • 맑음부산 14.0℃
  • 맑음고창 8.3℃
  • 맑음제주 14.3℃
  • 맑음강화 9.0℃
  • 구름조금보은 7.7℃
  • 맑음금산 7.6℃
  • 맑음강진군 9.4℃
  • 맑음경주시 7.6℃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중국 리포트] K-코스메틱 ‘미투’ 경쟁 점입가경

브랜드숍간 원조 논란 치열 한국산 화장품 이미지 타격 우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설경 기자] K-코스메틱 베끼기 열풍이 지속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중국 화장품 전문 신문사 C2CC는 한국 화장품이 전세계에서 주목을 받으면서 ‘미투’ 제품을 생산해 경쟁하는 브랜드사가 많아지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한국 뷰티 미용 업계가 전세계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한방화장품, 쿠션비비, 색조 등 인기 제품이 출시되면서 K-뷰티 열기가 지속 중이다. 따라서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도 K-뷰티를 주목하고 있으며 에스티로더는 최근 처음으로 한국 중소기업 브랜드에 투자했다. 올해 한국 화장품의 수출 규모는 역사상 최초로 2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된다.


화장품 업계가 짧은 기간동안 고속 성장을 달성하면서 위험도 숨겨져 있다. 대표적인 것은 한국 화장품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미투’다. 즉, 한 브랜드의 특정 제품이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게 되면 다른 브랜드에서 제품 개념부터 패키지, 세부 사항까지 똑같게 ‘표절’해서 출시한다는 것이다.


최근 ‘원조’ 제품과 ‘표절’ 제품의 출시가 갈수록 짧아지고 있어 소비자들이 이들 제품을 구분하는데 더욱 어려워지고 상황이다.


피해 회사와 가해 회사의 경계가 점점 모호해지고 A가 B제품을 모방하고, B가 C제품을 모방하고, C는 또 A제품을 모방해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으며 한 회사가 피해회사인 동시에 가해 회사인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올해 인기 제품인 대나무 수딩젤로 예를 들면 토니모리, 더샘, 더페이스샵, 비욘드, 니베올라, 듀이트리 등 브랜드에서 잇따라 제품을 출시했다. 브랜드사에서는 모두 천연 대나무추출물을 함유했다고 표기하고 패키지에서도 대나무 디자인으로 유사하게 출시했다. 브랜드마다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출시한 제품이라고 홍보하며 어느 브랜드가 원조인지 구분하기 힘든 상황이다.

지난 7월 토니모리는 더샘이 자사의 피치핸드크림을 ‘표절’했다고 지적했다. 두 제품은 패키지 디자인부터 향기까지 매우 비슷했고 일반 소비자들은 이를 구분하기 어려워했다. 토니모리 측은 피치핸드크림이 출시한 후에 누적 판매액이 300억원을 돌파했다.

그러나 더샘의 ‘표절’ 제품이 출시한 후 토니모리의 제품 판매 실적이 하락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토니모리는 더샘과 ‘표절전쟁’하고 있는 가운데 클라우드는 자사의 개리쏭 크림과 클라우드 크림을 ‘표절’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제품 패키지부터 컬러, 제품명까지 거의 비슷하게 출시됐기 때문이다.

지난 11월 한국 화장품 업계의 대기업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일부 화장품, 생활용품 특허에 대해 서로 공유하기로 했고 양사 특허 관련 소송도 취하했다. 아모레퍼시픽은 LG생활건강의 치아미백 특허를 부착할 수 있고, LG생활건강은 아모레퍼시픽의 쿠션 화장품 특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 화장품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미투’ 같은 논란이 지속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업계는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자사에서 연구개발한 핵심 기술이 없을 경우 제품 생산할 때 피동적인 위치에 처하기 마련이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다수의 화장품 기업들이 자사 생산 시스템이 없고 OEM ODM에 외주 생산하는 방식으로 화장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기업이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생산하고 각자의 브랜드를 붙여서 판매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한국 화장품의 품질 제고에 마이너스로 작용하고 있다. 화장품 기업은 자사의 연구개발 활동을 끊임없이 높여 보다 좋은 경쟁환경을 만들고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