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ng lasting color로 보다 선명하게 'Chromapol™ ColorPOP polymer(크로마폴 컬러팝)' 헤어 컬러는 자기 자신을 보다 좋게 보이게 하고 여성에게 자신감을 준다. 컬러 프로텍션 샴푸나 컬러 프로텍션 트리트먼트는 머리색을 가능한 선명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툴이다. 염색에 관한 여성의 우선 사항은 젊게 보이려는 흰머리 염색 효과, 컬러의 질(뿌리에서 모발 끝까지 오래 지속되는 색), 머리를 건강하게 보이기 위한 컨디셔닝의 3가지인 것이 가정 또는 미용실에서 정기적으로 모발을 염색하고 있는 다양한 연령층의 여성과의 대화에서 확인됐다. 최근에 개발된 Chromapol™ ColorPOP polymer(성분 명칭 : 폴리우레탄-10)은 영구 염모제, 반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 등의 헤어 컬러제, 샴푸, 컨디셔너, 리브온 트리트먼트에서 헤어 컬러를 오래 유지하게 하여 소비자 요구나 기대를 충족시킨다. 모발 섬유에 컨디셔닝과 원활한 감촉을 부여하면서 선명하고 명확한 발색을 통해 염모제 본래의 색을 유지한다. 다양한 염료, 안료, 계면활성제와 궁합이 좋고 콜드 프로세스가 가능하며 사용하기 쉬운 비건 대응 원료이다. 그림1 영구
#무알코올 천연식물 유래 항균 화장품 원료 'WFEC 2.0' 1. 소개 인간이 감염증에 걸리는 요인 중 대부분은 물건 등에 부착된 병원성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등)이 손을 통해 눈이나 코, 입으로부터 체내로 들어가는 것이다. 많은 병원성 미생물은 난간, 엘리베이터의 버튼, 문의 손잡이 등을 통해 손에서 손으로 전달되며 감염을 확대시킨다. 따라서 적절한 타이밍에 손위생(손씻기)을 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지킴과 동시에 감염 확대를 방지하는데도 상당히 유효한 수단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 대책으로 손 씻기나 손소독액을 사용한 손위생을 권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일상생활에서의 손위생에 대한 의식은 계속 높아질 것으로 생각한다1). 그러나 잦은 손씻기나 손소독은 감염 예방 차원에서 상당히 유효하면서도 피부에 대해 거칠어짐 등의 악영 향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손의 거칠어짐이란 일반적으로 피부가 수분을 잃고 건조와 더불어 부스러기나 균열, 염증이 생긴 상태인 것으로 여겨진다. 피부를 세정제로 씻으면 피부 표면의 오염물이나 미생물 뿐아니라 동시에 각질층 표면의 피지막도 제거된다. 보통 피지막은 피지선의 피지
#모나스커스/쌀발효물의 항염증, 항산화 작용과 화장품응용 인체의 피부는 자외선이나 바이러스 등 다양한 외부 자극에 노출돼 있다. 이들에 대한 방어 기구로서 각질세 포와 세포간지질로 이루어진 각질 장벽과 인접한 세포끼리의 틈새를 밀봉하는 타이트정크션(tight junction) 장벽이 작용해 다양한 자극 물질의 외계(外界)로부터 체내로의 침입을 막고 있다. 그러나 외부 자극에 의한 과도한 노출이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각질층의 장벽 기능이 저하되면 다양한 염증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최근 전 세계에서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데 그 영향이 자연환경 뿐아니라 인체의 피부에 대해서도 미치고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1). 특히 앞서 설명한 것처럼 자외선이나 대기오염물질 등은 활성산 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 항진(亢進)을 통해 염증이나 기미, 건조 등 피부의 대미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또2020년 이후의 코로나19 사태의 바이러스 대책으로써 마스크 착용이 거의 의무화되어 있지만 이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피부의 붉은기나 건조, 여드름 등의 피부 거칠음도 보고되고 있다5). 그림1 NO 생산에 대
#피부 장벽에 중요한 물 분자의 각질층 내 침투 거동 분석 인체의 최외층을 덮는 각질층은 피부 장벽 기능에 대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각질층은 주로 탈핵해 편평 상으로 된 각질세포와 그 주위를 둘러싼 세포간지질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이들이 결정성이 높은 복합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장벽 성능이 발휘되고 있다고 생각된다1)2). 그림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질층 내에서 세포간지질은 각질세포 주위에 지질 라멜라(lamella) 구조를 형성 하고 또한 그 내부에서는 지질 분자의 탄화수소 사슬이 중심이 돼 유동(流動) 상(phase)과 육방정계(hexagonal) 상, 사방정계(orthorhombic) 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최근의 방사광 X선 회절과 전자 회절, 중성자선 회절, 근적외선 분광법 등의 방법으로 밝혀지고 있다3)~6). 그림1 피부 각질층 내에 존재하는 세포간지질의 탄화수소 사슬의 측면 배열 구조 또이들 보고에서는 세포간지질의 존재량과 구성비, 탄화수소 사슬의 길이와 이들의 배열구조가 피부 장벽 기능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많이 언급되고 있어 양자의 관계성이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2)7)~10). 각질층에는 자체 중량에 대해
#타이트정크션의 항상성 제어에 의한 장벽 기능 강화의 가능성 타이트정크션(tight junction, TJ)은 상피세포에 특징적인 세포 간 접착 장치이며 가장 위쪽에서 인접한 세포간극을 밀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3개의 상피세포 접착점에서는 3세포 간 밀착결합(tricellular tight junction, tTJ)이 근접한 세포막을 모아서 그 간극을 메우고 있다. 이들이 협력해 세포 시트 위아래의 액체, 이온,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의 투과와 확산을 제한하는 물리적 장벽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TJ는 거대한 막 단백질 복합체이며4회 막 관통 단백질인 claudin(CLDN, 인체에서는 CLDN1~25까지 서브 타입을 포함해 27종류가 알려져 있다)과 occludin(OCLN), 그 세포 내의 스캐폴드 단백질(scaffold protein)인 ZO-1/ZO-2로 구성되어 있다1)~3). 그림1 세포 간 밀착결합(TJ)과 3세포 간 밀착결합(tTJ)의 주요 구성인자와 그 억제(분해)인자 또TJ는 OCLN과 비슷한 4회 막 관통 단백질인 tricelulin(Tric)과 면역글로불린 유사 도메인을 1개 가진 1회 막 단백질인 LSR(angulin
#세라마이드에 의한 각질층 세포간지질 미세구조재구축 우리의 생체는 피부를 가지고 외계(外界)로부터 격리되어 독자적인 개체를 형성하고 피부는 생체와 외계의 계면(界面)으로서 생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임무를 맡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외층의 ‘각질층’이라고 불리는 얇은 막은 물리적인 장벽, 즉 ‘배리어(barrier)’로서 생체와 외부의 물질 출입을 제어하고 있다. 각질층은 각질층 세포의 주위를 세포간지질이 둘러싼 ‘벽돌-모르타르(mortar) 구조’로서 도식화되며세포 간극(間隙)은 전자현미경의 이미지에서 줄무늬가 보이는 것으로부터 균일한 이중층으로서 그려지는 경우가 많았다(그림1). 세포 간극은 세포간지질이 충전되어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함께 생각하면 실제로는 더욱 복잡한 구조임이 분명하다. 케라틴을 중심으로 한 단백질이 주성분인 각질층 세포 주변을 각화 불용성막을 발판으로 세포간지질이 균질이 아닌 지질 이중층을 형성하고 있다. 그림2 인체 각질층의 온도 스캐닝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각질층 세포는 비교적 친수성으로 각질층 내의 수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세포간지질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화
#리포좀 제제갖는 각질층 배리어 보조 효과 이른바 스킨케어 화장품은 1. 유효 성분이나 미용 성분, 2. 제제의 제형이나 처방, 3. 텍스처, 4. 향기, 5. 도포 행위와 같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그 효과가 발휘된다고 생각된다(그림1). 다양한 피부 고민에 대해서 혹은 보다 건강한 피부로 가꾸기 위해 소비자 요구에 맞춘 수많은 유효 성분과 미용 성분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것 들이 갖는 상세한 피부 효과 메커니즘의 해명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 유효 성분과 미용 성분 이외의 2. 제제가 발휘하는 스킨케어 효과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오다(織田) 팀이나 구메(久米) 팀이 고함수 α겔 제제의 피부 효과1)2)에 대해서, 그리고 오카모토(岡本) 팀이 고보습 스킨케어 제제의 처방 설계에 대해서3) 보고를 하고 있지만 유효 성분이나 미용 성분의 피부 효과 메커니즘 연구에 비하면 새로운 연구의 여지가 있다고 한다. 그림1 스킨케어 화장품이 가진 피부 효과에 관하여 유효 성분이나 미용 성분을 단순히 배합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적절한 제제와 조합해 효과를 발휘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도 가미하면 제제 기술의 개발과 함께 제제 자체가 갖는 스킨케
#표피항상성 유지 메커니즘과 찔레꽃열매추출물의 각화세포 분화 촉진작용 우리 몸은 조직 줄기세포가 자기복제 능력과 다(多)분화능력이라는 두 가지 능력을 제어하면서 방대한 세포의 집합체인 장기를 구축하고 그 후 증식과 분화의 균형을 교묘하게 조정함으로써 조직 항상성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피부는 생체 내의 환경과 외부를 사이에 두고 병원체와 유해 물질의 침입을 막는 동시에 생체 내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장벽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표피 줄기세포의 증식과 분화의 균형을 엄격하게 제어함으로써 수십 년에 걸쳐 구성세포의 증감을 교묘하게 조절하고 있다. 이러한 조직 줄기세포의 조절 메커니즘은 장기마다 다양하며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조직 노화와 병 상태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문제가 된다. 그림1 피부 조직의 표피 줄기세포(A)와 뇌 조직의 신경 줄기세포(B) 본고에서는 표피 줄기세포를 조절하는 생체 시스템에 대한 연구 동향을 논술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찔레꽃 열매추출물(Rosa Multiflora Fruit Extract)의 생리활성에 대한 최근의 연구를 소개한다. 찔레꽃열매추출물은 장미과 찔레의 열매 등으로부터 추출되는 식물추
#각질층 세포간지질 배향성평가방법 구축 표피의 최외층을 덮고 있는 각질층은 각질층세포와 그 틈새를 채우는 세포간지질로 이루어지며 세포간지 질은 라멜라 구조라고 불리는 층상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수분을 유지하기 위한 보습 기능과 체외로부터의 이물질 침입, 체내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막는 장벽 기능을 갖고 있다. 피부의 장벽 기능은 각질 층의 하층에 있는 과립층의 라멜라 과립으로부터 각질 층으로 방출된 지질이 세포간지질이 되어 각질층 세포의 틈새를 메우고1)각질층 구조를 유지함으로써 발휘된다. 그 때문에 피부의 장벽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립층으로부터 각질층으로의 지질 공급과 각질층의 구조 유지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림2 Laurdan에 의해 염색한 배양표피의 지질 배향성 (주)시세이도에서 개발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디메틸에테르(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dimethylether : EPDME)(그림1)는 보습기능을 가지며도데실황산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 SDS)으로 거칠어진 피부에 경피수분증발량(TEWL)의 상승을 억제해 장벽 기능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 개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6월호는 특집 ‘피부 장벽의 새로운 연구결과와 응용'을 주제로▲ 각질층 세포간지질 배향성의 평가방법 구축 ▲ 표피의 항상성 유지 메커니즘과 찔레꽃열매추출물의 각화세포 분화 촉진작용 ▲ 리포좀 제제가 갖는 각질층 배리어 보조 효과에 대해 ▲ 세라마이드에 의한 각질층 세포간지질 미세구조의 재구축 ▲ 타이트정크션의 항상성 제어에 의한 장벽 기능 강화의 가능성 ▲ 피부 장벽에 중요한 물 분자의 각질층 내 침투 거동 분석 등을 구성했다. [칼럼] 탈모치료예방의 새로운 해석, 두피 마이크로바이옴 [테마기획] 2021년 OEM ODM 전문기업 106곳 실적 분석 [특집] 피부 장벽의 새로운 연구결과와 응용 1. 각질층 세포간지질 배향성의 평가방법 구축, Evaluation method construction of lipid ordering in the intercellular lipids, 시세이도 미래개발연구소(資生堂 みらい開発研究所) 海野佑樹 2. 표피의 항상성 유지 메커니즘과 찔레꽃열매추출물의 각화세포 분화 촉진작용, Homeostatic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2년 6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6월호는 특집 ‘피부 장벽의 새로운 연구결과와 응용'을 주제로▲각질층 세포간지질 배향성의 평가방법 구축 ▲표피의 항상성 유지 메커니즘과 찔레꽃열매추출물의 각화세포 분화 촉진작용 ▲리포좀 제제가 갖는 각질층 배리어 보조 효과에 대해 ▲세라마이드에 의한 각질층 세포간지질 미세구조의 재구축 ▲타이트정크션의 항상성 제어에 의한 장벽 기능 강화의 가능성 ▲피부 장벽에 중요한 물 분자의 각질층 내 침투 거동 분석 등을 구성했다. 테마기획은 2021년화장품 OEM ODM 전문기업의 경영실적을 분석했다. 마케팅 섹션에서는 최근 빼놓을 수 없는 디지털 마케팅 분야에 대해 다뤘다. 물류 섹션에서는 젊은세대의 특징인 귀차니즘을 반영한 물류 서비스를 소개했다. 차이나리포트에서는 최근 중
[코스인코리아닷컴 전문위원 이승훈]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지난해 기준으로탈모증으로 치료받은 국민은 234,780명이다. 이와 함께 치료를 포기하거나 탈모 고민을 안고 있는 샤이(shy) 탈모인을 포함한다면 1,000만 명에 달한다는 추산이 있어 2022년 대선에 탈모치료제 건강보험 적용 공약이 핫 이슈로 떠오르기도 했다. 탈모 환자가 늘면서 해피드럭(happy drug)인 ‘탈모치료제’ 개발도 활발해지고 있다. 해피드럭이란 건강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삶의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증상을 완화하거나 개선해 행복도를 높여 주는 약물을 일컫는다. 해피드럭은 의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간의 평균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그 가치에 대한 무게감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을 중시하는 현대인들의 욕구에 맞춰 시장 규모 역시 나날이 커져가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인에게 스트레스란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남녀노소, 직장인, 학생, 주부 등 각계의 사회 구성 원마다 직간접적인 스트레스와 매일매일 싸우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스트레스로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기사만 봐도 그 존재의 위력
#맞춤형 비건 뷰티솔루션 'PhytoDNA® 시리즈' 1. 소개 코로나19가 지속됨에 따라 홈케어(Home Care)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피부과 미용주사 중 연어주사로 알려진 PDRN(Polydeoxy ribonucleotide)은 손상된 피부를 재생시켜 주며 피부톤을 개선해 주는 소재로 사용되지만 Vegan 화장품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스스로의 신념이나 가치관을 표출하는 ‘미닝아웃 (Meaning Out)’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비건 뷰티(Vegan Beaut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모아캠은 홈케어와 비건뷰티에 부합하는 Vegan PDRN을 저분자화해화장품에 원료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으며 ‘PhytoDNA®’라는 모아캠의 기술을 지칭하는 상품명으로 PhytoDNA시리즈를 제품화했다. 2. PhytoDNA® DNA는 인산(Phospate), 당(Ribose) 염기(Base)로 구성되어 있는 모든 생물의 근원이며 염기서열의 형태로 유전정보를 담고 있다. DNA는 mRNA(messenger RNA)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Protein을 형성해 생물의 특성을 나타낸다. 모아캠은 유전체가 미리 결정되어 발현되
#3D 바이오프린트법이용한 근육이완-항주름 해결책위한 새로운 시도 표정 주름은 노화의 초기 징후 중 하나이다. 그것은 주로 얼굴의 근섬유(muscle fiber)가 과도하게 자극됨으로써 피부가 안쪽으로 당겨져 피부 표면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이다. 세포 레벨에서는 신경세포의 세포외배출(exocytosis)이라고 불리는 프로세스로 시냅스(synapse) 전(前) 성분이라고 알려진 피부 신경세포에서 신경전달물질이 방출됨으로써 근육 수축의 프로세스가 일어난다. 그리고 신경전달물질이 근육세포(시냅스 후 성분)에 도달해 그 수축을 유도한다. 표정 주름 대책의 대부분은 보툴리눔 독소(botulinum toxin)와 같은 근육이완제의 사용과 같이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억제함으로써 시냅스 전 부분에서의 어프로치에 초점을 맞춰왔다. 실제로 보툴리눔 독소에 착상한 화장품은 효율적이고 비침습적인 표정 주름 대책으로 과거 20년간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그림1 3D 인체 골격근 구성체(construct)의 제작 수축 현상 후의 근윤에 무엇이 일어나는가 하면, 수축에 이어 표정근은 단시간에 이완되어 안정 시의 상태로 돌아가 표정 주름의 징후는 사라진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순환형 농법서 탄생한 '和 ism® 와일드타임' 식물 추출물 제조 공정에서 반드시 생산되는 추출 잔류물의 폐기처리에는 연료 소비와 CO₂ 배출과 같은 환경에 대한 부하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자사 농장인 히사이팜(히로시마현 미하라시 히사이초)에서 추출 잔류물의 회수와 퇴비화를 실시하고 있다. 또이 퇴비를 농장의 흙으로 되돌려 새로운 유용식 물을 재배하는 순환형 농법에 힘쓰고 있으며 식물의 재배에서 연구개발, 제조, 추출 잔류물의 퇴비화까지 일관되게 관여함으로써 제품의 가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그림1). 그림1 자사 농장의 순환 환경형 농업 현황 자사에서 재배하는 이점에는 높은 트레이서빌리티와 유용성이 기대되는 상태의 식물을 이용해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으며 현재 자사 농장의 순환형 농법에서 와일드타임을 포함한 10여 종의 식물이 재배되고 있다. 와일드타임(Thymus serpyllum L.)은 건조에 강하며 옆쪽 면으로 대지의 표면을 덮듯이 자라는 차조기과의 식물이다. 원산지는 유럽 남부이며 허브탕으로 이용하거나 와일드타임을 불태운 연기로 신전 등 중요한 공간을 정화하려는 목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