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마은재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 4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2023년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돼 올해로 151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스페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2025년 4월호 테마기획은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공시자료인 사업보고서를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 공개기업 76개사의 2024년 경영실적을 집계, 분석했다. 전체 매출액은 33조 5,776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8.8% 늘어난 규모다. 영업이익은 2조 3,060억 원으로 1년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 3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2023년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돼 올해로 151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스페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2025년 3월호는 테마기획으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공시자료인 감사보고서와 사업보고서를 기준으로 화장품 OEM ODM 업계 최근 3년간 경영실적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108개 화장품 OEM ODM 업체를 대상으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동안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2023년 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지현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 2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2023년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돼 15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2025년 2월호는 퍼스널케어 ▲민감성 피부를 위한 차세대 진정제 ▲화장품 생산에 사용되는 물에 대한 미생물학적 요구사항 제3부 : 오류 방지와 오류 감지 시 대응 방안 ▲생산라인 전체에 주목 : 홈 케어와 퍼스널 케어 산업에서 오염 관리 ▲SEM, 건강한 모발에 대한 그린 공중합체의 큐티클 밀봉 효과 규명 등을 제시
# 물속에서 폴리머 형태를 특성화하는 고급 분석 기법 마이크로 플라스틱과 나노 플라스틱에 대한 정의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지만 입자와 용액 사이의 단단하거나 잘 구분된 계면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용액에 용해된 단일 분자와 구별된다. 그러나 나노 규모에서 이러한 차이를 감지하기는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 산란 기법을 사용해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과 같은 수용성 폴리머의 거동을 나노 크기의 폴리스타이렌 비드와 비교했다. 동적 광 산란(DLS, Dynamic Light Scattering)과 소각 X선 산란(SAXS, Small Angle X-Ray Scattering)을 통해 수용성 폴리머와 분산된 나노 플라스틱의 형태와 크기를 측정했다. 수용성 폴리머와 불용성 폴리스타이렌의 나노 스케일에서 서로 다른 산란 프로파일을 볼 수 있었다. PVA 18-88(용해성 필름형 세제에 사용)과 PEG 8000은 단일 분자로 용해되어 임의의 코일 형태를 나타냈다. 그들은 시간이 지나도 응집되지 않았다. 나노 폴리스타이렌 비드는 딱딱한 입자 특성을 보였다. 원자력 현미경(AFM, Atomic Force Micro
#AI 기술 도입한 라만 분광기를 활용한 흡수도 연구 : 피부임상 연구의 신뢰성 향상 라만 분광법은 비침습적이고 정밀한 물질 분석이 가능해 다양한 산업과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데이터 해석과 신호 노이즈로 인해 흡수도 측정의 정밀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최근 AI 기술이 도입되면서 데이터 처리 속도와 정확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이를 라만 분광기의 흡수도 분석에 적용하면 보다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AI 기술을 도입한 라만 분광기를 활용해 피부 흡수도를 분석하고 육안 평가의 주관성을 개선하며 피부임상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을 탐구한다. 연구는 AI 기반 시각화와 정량화를 통해 기존 평가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며 피부 흡수도 데이터 분석의 효율을 높이고 객관성과 정확성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뒀다. 연구 대상자의 자료 수집을 위한 Nanofinder Fel xG 라만 분광기 최근 피부임상연구센터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각 연구소는 연구 결과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선진임상연구센터는 2024년 6월 개소해 연구 결과의
# 화장품 품질 시스템에서의 미생물학적 위험 관리 화장품의 미생물학적 품질에 대한 요건은 유럽연합 화장품 규정(EC Cosmetics Regulation)에 명시돼 있으며 안전성 평가에서도 검토된다. 미생물학적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요구사항은 제품 개발과 제조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달성돼야 하며 이는 미생물학적 품질 관리(Microbial Quality Management, MQM)의 적용을 통해 지켜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품질 관리 시스템(Quality Management System, QMS)에서 그렇듯이 위험 관리는 MQM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위험 관리는 위험 감지와 분석, 위험 평가, 대응 조치와 후속 활동의 3가지 절차적 단계로 구성된다. 이는 미생물학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의 절차, 조치, 규격을 정의하는 단계에서부터 적용돼야 하지만 이러한 활동을 실행하고 마지막으로 제품과 사용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미생물 오염이 감지된 경우에도 적용된다. 이 글에서는 위험 관리의 작업 단계와 MQM 내에서의 작업 단계 할당에 관해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그림1 위험 관리의 작업 단계 미생물학적 위험은 화장품의 제품 안전성과 관련이
# 자외선에 의한 급성 광 손상 후 피부 회복에 T-EGF의 적용 경피 표피 성장 인자(transdermal epidermal growth factor, T-EGF)는 손상된 피부에 탁월한 회복 효과를 보이며 스킨케어 제품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햇빛에 노출되는 자외선은 다양한 유형의 피부 손상을 유발한다. 우리는 10mg/kg의 T-EGF를 함유한 애프터 선 리페어 젤을 설계하고 급성 광 손상 피부에 대한 T-EGF의 임상적 진정과 회복 효과를 체계적으로 조사했다. 그림1 TiVi 700 이미지 3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등 비노출 부위에 자외선에 의한 피부 발적 모델을 구축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T-EGF 젤 도포 전과 후의 조직 생존력(tissue viability, TiVi) 이미지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해 평균 TiVi 지수 값을 도출했다. 또한 T-EGF 젤 사용 전후의 피부 홍반 지수(erythema index, EI)와 피부색 a* 값을 측정했다. 그 결과, T-EGF 젤은 급성 광 손상으로 인한 피부 붉은기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EGF의 피부 회복 능력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심화됨에 따라
# 자외선 차단제 솔루션 : 필름 형성 왁스로 피부 보호와 내수성 향상 자외선 차단 제품은 유해한 자외선(UV)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자외선 필터에 의존하며 그 효과는 자외선 차단지수(SPF)로 측정된다. 자외선 산란 입자, 필름 형성제, 점증제 등의 제형(formulation) 첨가제는 SPF를 높이고 제품의 내구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공 스타이렌 아크릴 공중합체 입자와 Triacontanyl Polyvinylpyrrolidone(PVP) 같은 합성 물질은 자외선 필터 또는 자외선 차단 성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미세 플라스틱으로 분류 또는 합성의 특성으로 인해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재생 가능한 원료를 기반으로 한 필름 형성제가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일부 천연 왁스는 재결정화 등 제형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지속 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형성 왁스이며 RSPO 인증 팜커넬오일(palm kernel oil)인 다이코코일펜타에리스리틸다이스테아릴시트레이트(Dicocoyl Pentaerythrityl Distearyl Citrate)를 소개한다. 그림1 편광
# 여름철 피부 건강 가이드해양미생물 유래 Exopolysaccharides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내부의 수분과 유용 성분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장벽 기능, 체온조절 기능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기관이다. 그러나 피부가 강한 자외선과 높은 온도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피부의 온도가 높아져 피부 세포의 활성이 저하되고 피부 상태가 악화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피부의 표피층에서 신진 대사 작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 피부 유수분 밸런스가 무너지게 되고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주름이 형성되기도 한다. 또진피층에 존재하며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을 부여하는 콜라겐이 감소해 피부 조직이 느슨해지고 탄력을 잃게 된다. 이 뿐아니라 높은 자외선 지수는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 피부를 검게 만드는데 영향을 미친다. 멜라닌은 표피의 각질세포에 의해 28일을 주기로 소실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스트레스, 피부 노화 등에 의해 피부 세포 주기가 조절되지 않으면 각질세포가 제 시기에 탈락하지 않아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이 일어나게 된다. 또자외선으로 인한 자극으로 피부에 염증 매개 물질인 일산화질소(NO)의 생
# 피부 재생 과정서 영감받은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테트라펩타이드' 최근 20대 초반 비교적 젊은 나이의 소비자들부터 건강한 노화, Slow aging을 추구하고 있다. 실제로 더 젊어 보이거나 노화의 징후를 늦추기 위한 솔루션을 찾고 있다. 여성의 53%는 주름 감소를 상위 3대 피부 관리 문제로 꼽고 있으며(출처 : Mintel, 2024) 화장품 산업에서 지속적이고 가장 큰 피부 문제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과거에는 피부의 노화 징후를 가리거나 지우기 위해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해 왔다. 최근에는 천천히 그리고 아름다운 노화의 개념인 ‘Slow aging’의 수용의 태도가 받아들여지고 있다. 펩타이드는 화장품,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에 관여해 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매우 뛰어난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생리활성 펩타이드는 높은 효능과 우수한 안정성을 가졌으며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내에서 쉽게 처리되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장점들을 바탕으로 펩타이드는 현재 중요한 화장품 액티브 성분 중 하나이며 피부 재생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을 통해 피부 노화
# 모공 개선 효과가 탁월한 찔레꽃 추출물에 관한 연구 우리말로 '들장미'라 불리는 찔레꽃은 5월이 되면 하얗거나 연분홍의 색으로 한국 야생을 물들이는 친근한 식물이다. 예로부터 찔레 열매나 뿌리 등을 두피 부스럼과 종기 치료 등에 사용해 왔는데 최신 연구를 통해 밝혀진 다양한 효능들이 더해지면서 찔레꽃 추출물의 산업적 활용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찔레꽃 추출물(Rosa multiflora extract, RME)이 모공발생에 관여하는 다양한 인자에 대해 복합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지 살펴본 것이다. 연구결과, 찔레꽃 추출물은 수렴성을 나타내는 탄닌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피지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외 기질과 관련된 항산화, 항스트레스, 히알루론산 합성 효능이 있음을 확인했다. 또 인체 임상시험에서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한 제품이 모공의 면적, 깊이, 수, 부피, 밀도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고피지 역시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였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찔레꽃 추출물이 모공을 개선하는 소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피부에 존재하는 모공(pore)은 털인 모간(hair shaft)이 자라나오는 구멍으로 피지가 분비되는
#피부장벽 개선과 항염 효과탁월한 소나무잎 유래 피토-세라마이드(GWSS Pine Tri-mide)연구 각질층에서 발견되는 총 지질의 40% 이상을 구성하는 세라마이드는 피부 탄력과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화장품 성분으로서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소나무잎에서 추출한 식물성 세라마이드를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GWSS Pine Tri-mide는 소나무잎을 침유한 오일에서 특수 발효법을 통해 얻는다. 소나무잎 오일과 스핑고신을 반응시켜 소나무 유래 세라마이드 NP와 피토-세라마이드(GWSS Pine Tri-mide)를 수득한다. 상업용 세라마이드 NP와 비교해 GWSS Pine Tri-mide는 농도 의존적으로 IL-1β와 NO 생성의 발현 수준을 낮춰 우수한 항염 활성을 보였다. 또두 가지 세포주에 대해서도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고 GWSS Pine Tri-mide를 함유한 제형으로 인체 임상 시험을 실시한 결과 영유아에게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피부 수분 손실을 막고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하는 효과가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Pinus densiflora 유래의
# 라만 분광기이용한 세라마이드피부 흡수 효과 배경 : 세라마이드는 피부 지질 성분의 일정 부분을 차지하는 필수 표피 성분이다. 세라마이드는 뛰어난 보습력을 가진 화장품 원료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많은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세라마이드의 유익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세라마이드의 피부 흡수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라마이드가 피부 흡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라만 분광기를 이용해 임상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과정 : 건성 피부를 가진 건강한 한국인 성인 남녀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시험군들은 시험 참여 24시간 전부터 시험 부위에 어떠한 화장품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임상센터에 방문해 항온 항습 조건에서 30분간 대기 후 측정이 진행됐다. 연구 제품은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뉘며 시험군에는 세라마이드가 5000ppm 포함됐고 대조군에는 세라마이드가 포함되지 않았다. 나머지 성분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됐다. 시험 부위는 연구대상자의 양쪽 하박에 진행됐다. 결과 : 라만 분광기를 이용해 피부 흡수도 측정을 진행한 결과 각각의 제품 도포 30분후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 피부 흡수량, 피부 흡수 깊이, 피부 흡수 속도가 통계적으
#모공 케어위한 피부 재생과 노화 방지에 탁월한 천연 단백질 기반 성분RejuviPoreZyme의 개발 사람의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 3개의 층으로 구분돼 있다. 이 중 표피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각질 형성 세포는 피부 재생과 상처 치유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또표피층 아래에 위치한 진피층은 섬유아세포와 collgen, elastin, glycan과 같은 세포외기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 두 층으로 구성된 피부는 체내와 체외 환경을 분리해 주는 효과적인 장벽으로 기온과 습도의 변화로부터 유체가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며 물리, 화학, 생물학적인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극을 보호해 주는 기능이 있으므로 손상된 피부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회복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피부가 손상되거나 노화가 진행되는 원인은 자연 노화인 내인성 노화와 사회에서 발생하는 각종 환경오염, UV, 생활 패턴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외인성 노화가 있다. 이때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은 피부세포에 단백질, DNA 등의 물질과 반응해 콜라겐 결합 조직의 형성을 파괴하고 피부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편집위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4년 9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4년 9월 공개된 화장품 분야의 특허 건수는 총 134건으로 전월의 201건에 비해 60여 건 이상 감소했다. 해외 기업은 35건을 공개해 전월의 46건에 비해 감소했으나 비율은 26%로서 전월의 23%와 비슷했다. 또국내 기업은 42건(31%)을 공개해 전월의 73건(36%)에 비해 많이 감소했으나 국공립기관, 법인은 13건(10%)으로 전월의 8건(4%)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 한편, 대학 산학협
[코스인코리아닷컴 한지원 기자] 흔히 논 등의 경작지 주변이나습지에서 서식하는 담수식물인 하늘지기 추출물이 피부 개선 활성화 효과가 밝혀지면서 국제화장품원료집(ICID)에 등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하늘지기의 추출물을 지난달 23일 국제화장품원료집(ICID)에 등재하고 이 추출물의 피부개선 활성에 대한 기능성 물질 분리 등의 심화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늘지기는 논 등 경작지 주변이나 습지에서 흔히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모여나고 털이 있기도 하며 높이는 15~50cm이고꽃은 7~10월에 피는 담수식물이다. 국제화장품원료집(ICID)은 미국화장품협회에서 발간하는 자료집으로화장품 원료에 대한 국제 표준 명칭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등재된 원료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공식 명칭(INCI Name)을 부여받아 전 세계 화장품 시장에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생물자원 국명과 학명은하늘지기(Fimbristylis dichotoma (L.) Vahl)이고 화장품 원료 명칭은Fimbristylis Dichotoma Extract이다. 이용부위는전초(whole plant)이고효능은▲헤어컨디셔닝제 ▲피부보호제 ▲피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한국콜마가 무기자차와 유기자차 성분을결합해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 자외선 차단력이 뛰어나고 백탁현상이 없는 선크림을 안정적으로 만드는 하이브리드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한국콜마는 유기자외선차단제(유기자차)와 무기자외선차단제(무기자차) 성분을 결합한 복합체 원료를 선크림 제형 내에 안정화하는 ‘유브이-듀오 플러스(UV-DUO PLUS)’ 기술을 개발했다고 오늘(24일) 밝혔다. 자외선차단제는 자외선 차단 방식에 따라 유기자차와 무기자차로 나뉜다. 유기자차는 피부에 흡수된 자외선을 열에너지로 변환해 방출하는 방식으로피부가 하얘지는 백탁현상이 적고 발림성이 좋다. 무기자차는 피부 표면에서 자외선을 반사하는 방식으로피부 자극이 적고 자외선차단력이 뛰어난 반면 백탁현상이 나타난다. 두 가지 메커니즘을 모두 적용한 혼합자차는 피부 자극을 줄인 무기자차와 부드럽게 발리는 유기자차의 장점만 살려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다. 하지만 성분 혼합 시 유기자차 성분이 제형 내 오일 성분과 응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제품을 피부에 발랐을 때 자외선 차단 성분이 피부를 촘촘히 감싸지 못하고 자외선이 투과되는 빈 공간이
#천연고분자 키토산응용 - 화장품용 서방성 보존제,탄진 응집제,이산화탄소 흡착제 특성 평가 천연고분자 물질인 키토산의 응용성에 대해 확인해 보기 위해키토산을 서방성 방출, 환경 분야에 응용해 화장품 보존제, 수 처리, 기체 흡착제로써사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Part I에서는 천연고분자인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LMWSC)을 이용해 core-shell type 나노입자를 제조해 core에 화장품 보존제로 많이 사용하는 트로폴론을 담지해 화장품 보존제로써 사용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LMWSC)에 소수성인 Stearic acid(SA)를 가교제 EDC를 이용해 LMWSC-g-SA를 제조하고 이에 보존제인 트로폴론을 dialysis method에 의해 담지해 서방성 약물 방출을 유도할 수 있는 LMSAT를 제조했다. LMSAT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1H NMR, DLS, Fluorophotometer와 TEM을 통해 분석했으며 LMSAT로부터 트로폴론의 담지 효율, 방출 거동은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확인했다. LMSA의 세포독성 여부는 MTT assay를 통해 평가했으며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 화장품 제형에 따른 인공피부의 경피흡수도 비교 연구 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유효 성분이 피부에 잘 흡수되기를 기대하지만 피부의 장벽 기능으로 인해 흡수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화장품은 피부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증진하는데 기여하는 제품으로 성분과 제형이 제품의 효과, 안정성, 안전성에 영향을 준다. 그 중에 화장품 제형은 제품의 물리적 특성과 사용 편의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질감, 사용감, 보관 방법 등에 영향을 미치며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에도 영향을 주어 제품의 효능, 효과를 결정한다. 화장품 제형에 따라 성분의 활성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제형은 제품의 성능과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화장품 산업과 피부과학 연구에서는 제형 선택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제형의 특성이 피부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6가지 다른 화장품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와 아데노신 성분을 단일 또는 이중으로 적용해 인공 피부에서 경피흡수도를 비교했다. 에센스 제형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부직포에 함침시켜 침적 마스크로 사용하는 경우 흡수율이 더 높았다. 이는 부직포가 공기 중 수분의 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