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8,01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유기농 화장품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는 ‘산다화’가 올해 글로벌 화장품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에 나선다. 지난 2005년 브랜드를 만든 산다화는 제주도 직영 농장에서 직접 재배한 동백나무의 추출물과 원료를 기반으로 피부 케어 제품들을 개발하고 판매하고 있다. 산다화는 일본 최대 한국 화장품 스토어 ‘스킨가든’(SKINGARDEN)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LOT 10 쇼핑센터 등 해외 유명 매장에 입점해 아시아 화장품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 뿐 아니라 지난해부터 추진되던 미국 아마존 플랫폼에도 입성하면서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는 글로벌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현지화 마케팅을 전개해 해외 소비자 공략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산다화의 제품들은 합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 원료만으로 개발되어 COSMOS ORGANIC과 Vegan 인증을 취득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제주산 동백 오일과 동백 추출물이 함유된 ‘더블 이펙트 세럼’과 동백 꽃잎이 첨가된 ‘동백꽃 크림 마스크’가 있다. 산다화 관계자는 "산다화는 더 나은 제품으로 고객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을 위해 끊임없이 도전할 것이다. 앞으로의 성장과 발전을 기대해 주기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새해 첫 유가증권시장 상장 예정 회사이자 ‘조 단위 몸값’을 자랑하는 IPO 대어 에이피알에 대해 증권가의 장미빛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의 성장을 기반으로 외형 성장을 이룰 수 있어 성장성은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다만 상장 초기 변동성 확대에 따른 리스크에 대해서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에이피알은 화장품, 홈 뷰티 디바이스 사업을 영위하는 뷰티 테크 기업이다.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사업부별 매출 비중은 뷰티 82%(화장품 42%, 홈 뷰티 디바이스 40%), 기타(패션 등) 18%다. APR 사업부별 매출 비중 (2023년 3분기 누적) 국내 홈 뷰티 디바이스 1위 업체이며국내 뿐 아니라 해외 8개 법인을 통해 화장품과홈 뷰티 디바이스 수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은 전체의 37%로주요 수출 국가는 미국, 중국, 일본이다. 에이피알은 향후 제품 라인업 다양화와 해외 시장 개척을 통해 외형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APR 뷰티 사업 매출 추이 (단위 : 십억원, %) 특히 홈 뷰티 시장의 성장은 에이피알에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글로벌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 규모는 약 40억 달러로 추정된다. 2030년까지 연평균 35%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며이는 글로벌 스킨케어 시장 성장 속도 대비 약 7배 빠른 수준이다.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의 성장 배경에는 피부관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니즈와 현실적인 제약 간의 갈등이 자리하고 있다. 홈 뷰티 디바이스는 화장품 사용보다 더 전문적인 케어를 받고 싶지만 전문 클리닉의 높은 가격대가 부담스러운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에 홈 뷰티 디바이스는 합리적인 가격에 전문적이고 상시적인 피부 관리를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는 강점을 앞세워 날로 시장 규모를 키우고 있다. 국가별 홈 뷰티 시장 규모 전망치 (단위 : 백만달러) 현재 에이피알의 뷰티 디바이스 제품 라인업은 총 7종으로탄력, 리프팅 디바이스 ‘더마샷’, 콜라겐 생성 촉진 디바이스 ‘유쎄라’, 흡수, 모공 관리용 ‘부스트힐러’, ‘에어샷’, ‘부스트프로’, 바디용 탄력 관리 ‘바디샷’ 등이 있다. 올해도 에이피알은 뷰티 디바이스 제품 라인업 확대로 성장세를 이어 갈 계획이다. 올해 출시 예정인 제품은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홈튠’, 탄력, 리프팅 디바이스 ‘홈용 HIFU’, 제모기 등이 있으며내년에는 클렌징 기기, 바디 탄력과 리프팅 기기인 ‘바디 샷 2세대’와 ‘메디큐브 웨이브’ 출시가 예정돼 있다. 에이피알은 지난해 12월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유가증권시장 상장절차에 돌입했다. 1월 22일부터 26일까지 5일간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통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한 후 2월 1일부터 2일까지 일반 청약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상장에서 379,000주를 공모할 예정이며 공모 희망가액은 147,000원~200,000원이다. 공모 규모는 557억 원에서 758억 원 사이로공모가 기준 예상 시가총액은 1조 1,149억 원~1조 5,169억 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키움증권은 에이피알의 2023년 예상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1% 성장한 5,200억 원, 영업이익은 155% 증가한 1,000억 원, 순이익은 167% 늘어난 80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조소정 키움증권 연구원은 “에이피알의 성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판단한다. 2023년 예상 EPS(주당순이익·10,548원) 적용 시 13.9~19.0배로공모가 밴드는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이다”면서도 ”상장 초기 변동성 확대에 따른 리스크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주)코리아나화장품(대표이사 유학수)의 에스테틱 프랜차이즈 브랜드 ‘세레니끄’가 지난 9일 ‘2024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에서 8년 연속 ‘에스테틱샵 부문’ 1위 브랜드로 선정됐다. 한국소비자브랜드위원회가 주최하고 한국소비자포럼이 주관하는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은 홈페이지, 스마트폰, 일대일 유선조사 등을 통해 2024년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브랜드를 선정하고 시상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브랜드 어워드이다. 35년 전통의 뷰티 전문기업 코리아나화장품의 에스테틱 브랜드 ‘세레니끄(CELLENIQUE)’는 지난 16년간 축적된 노하우와 탄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피부 진단과 1:1 맞춤 케어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대표 에스테틱 브랜드이다. 세레니끄는 피부 전문 컨설턴트와의 상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과 진단 등으로 고객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관리 후 케어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홈 케어 컨설팅 서비스’까지 제공해매일 관리 받은 듯한 피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세레니끄에서 사용하는 제품은 480여 건의 특허를 보유한 코리아나 송파연구원에서 직접 연구개발한 안전하고 효과가 우수한 제품이다. 또CGMP 인증을 획득한 자체 천안공장에서 직접 생산하는 고기능, 고함량의 에스테틱 전용 제품이다. 관리전용 제품과 고객이 집에서도 같은 제품으로 매일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홈케어 제품도 구비되어 있다. 세레니끄는 고객의 피부를 지속적으로 진단해계속해서 변화하는 고객의 피부에 맞춰제품과 프로그램을 알맞게 적용하고 있으며 트렌드에 맞는 업그레이드된 관리와 1:1 프라이빗 케어로 프리미엄 서비스를 선사한다. 세레니끄 가맹본부는 정기적인 교육을 통해 관리사들의 피부관리 실력과 고객응대 등 서비스 스킬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정규 프로그램 외에 계절에 따른 시즌기획 프로그램 구성과 교육 지원을 통해 고객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코리아나화장품 관계자는 ‘세레니끄가 8년 연속 1위 브랜드로 선정될 수 있었던 것은 세레니끄의 제품 기술력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신뢰 덕분이다”며, “앞으로도 대한민국 대표 에스테틱 브랜드로서 고객들의 성원과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더욱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전했다.
#제품 탄소 발자국 : 효과적인 지속가능성 전략핵심 퍼스널 케어 산업은 물론 광범위한 화학 산업은 지속가능한 관행을 채택하고 탄소 발자국을 줄여야 하는 시급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제품 탄소 발자국(Product Carbon Footprints, PCF)의 계산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BASF(바스프)사는 PCF를 계산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알고리즘 기반 솔루션을 구현해 대부분의 제품 포트폴리오의 탄소 발자국을 제공한다. 환경 보호에 대한 시급한 필요성으로 인해 전 세계 정부는 기후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더 엄격한 규제를 도입하고 있다[1]. 오늘날 퍼스널 케어 업계의 많은 기업이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탄소 배출 량을 줄이기 위해 야심찬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소비자들이 퍼스널 케어 제품을 선택할 때 점점 더 기후 친화성을 우선 시하고 있다는 사실에 힘입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2]. 매일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다양한 제품을 사용하고 기업들은 원료 물질과 성분을 얻기 위해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기에 환경 영향을 측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표준을 설정하는 것도 퍼스널 케어 업계가 직면한 과제이다. 각 제품마다 제조 공정이 다른 여러 성분이 사용된 고유한 제형을 가지고 있기에 정확한 계산에 필요한 포괄적이고 비교 가능한 데이터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다양한 공급망 파트너의 데이터를 추적하고 계산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잠재적인 데이터 격차와 부정확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림3 BASF사의 제품 탄소 발자국 계산 결과 화학 산업은 PCF 데이터를 제공해 투명성을 확보하고 기업이 전체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퍼스널 케어 제품 제조업체의 지속가능성 목표를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표준 내에서 해석의 여지가 있는 것은 기업의 원료 성분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쳐 PCF 데이터의 비교 가능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는 데 큰 장벽이 되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글로벌 시장 트렌드 리서치 기업 민텔(Mintel)은 오늘(10일) 기업의 시장 리서치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새로운 마케팅 인텔리전스 AI 도구인 민텔 리프(Mintel Leap) 출시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이 생성형 AI 도구는 Mintel의 독점적인 연구와분석 전문성을 바탕으로 구축됐다. 속도와 품질, 정확성의 3박자를 모두 갖춘 Mintel Leap는 소비자, 제품, 카테고리에 대한 빠른 검색과 추천을 제공하며혁신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려는 기업의 효율성을 증진하는 도구로 활용될 예정이다. Leap는 Mintel의 광범위하고 전문적인 소비자 분석 데이터를 신속하게 탐색해 ‘뷰티 이커머스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변화와 구매 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싶어요’, ‘경쟁이 치열한 금융 서비스 환경에 대한 분석이 필요해요’ 또는 ‘식품 서비스 업계의 현재 공급망 과제와 잠재적 솔루션은 무엇인가요?’ 등 브랜드의 일상적인 질문에 간결한 답변을 제공한다. 사용이 매우 간편해 신입 사원부터 임원 레벨까지 누구나 새로운 카테고리와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트렌드 리서치 외에 더 부가 가치가 높은 다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실제 민텔의 고객사인 Ruder Finn China의 총괄 매니저 맥켈렌 마(McKellen Ma)는 “Mintel Leap는 자사의 인사이트 발굴 프로세스에 혁신을 가져왔으며Mintel Leap를 통합한 이후 팀 전체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크게 향상됐고프로젝트에 중요한 정보를 빠르고 쉽게 찾아내 만족도가 매우 높다”며, “민텔의 진정한 차별점은 AI 기술을 원활하게 통합했다는 점이다. 기술 발전의 최전선에 서고자 하는 민텔의 노력을 목격하는 것은 고객사로서 우리에게 큰 만족감을 안겨주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혁신을 기대하며 Mintel Leap이 시장에 가져올 가능성에 대해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맷 넬슨(Matt Nelson) 민텔 CEO는 “Mintel Leap는 마켓 인텔리전스 업계의 AI 게임 체인저로고객이 데이터 기반의 전략적 인사이트를 5배 더 빠르게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첨단 생성 AI를 활용하면 수십억 개의 데이터 포인트와 수년간 축적된 민텔 애널리스트의 전문 지식을 단 몇 초 만에 검색하고 요약할 수 있다”며, “대중적으로 활용되는 생성 AI 검색은 신뢰도가 떨어지는 인터넷상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다. 하지만 민텔 Leap는 민텔이 다년간 축적해 온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기반으로 검색하기 때문에 기업이 의사결정을 위해 믿고 참고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Leap는 50년 동안 축적된 민텔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사의 질문에 직접적으로 답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전문 지식을 즉시 제공한다. 사용이 매우 간편해 신입 사원부터 C레벨 임원까지 누구나 새로운 카테고리나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며자료를 찾는 시간을 대폭 절약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다른 활동에 집중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백종현 민텔 코리아 지사장은 “국내 기업들을 위주로 시연을 진행하고 있는반응이 좋다”며, “현재 민텔 Leap는 사용을 원하는 고객사에만 폐쇄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여러 국내 기업이 Mintel Leap를 시연해 볼 수 있도록 올해 관련 세미나와 시연 미팅 이벤트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함소아제약(대표 조현주)의 함소아화장품이 새해를 맞아 자사의 브랜드 캐릭터인 6살 언니 ‘스위티’가 1월에 추천하는 ‘스위티 PICK 특가’ 행사를 오는14일까지 진행한다. 함소아화장품은 자사 스테디셀러인 ▲뷰티박스 ▲기프트 네일세트 ▲함소아 플레이 컬러버블 클렌저 외 신제품 ▲함소아 세탁세제▲함소아 섬유유연제 그리고 입소문템 ▲함소아 식물순액 ▲함소아 치약 ▲함소아 칫솔 등을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한다.또3만 원 이상 구매 시 오비타 15정을 증정한다. 최근 함소아화장품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소통을 강화하고 있으며신제품 ‘함소아 세탁세제’와 ‘함소아 섬유유연제’ 출시 후 높은 댓글 반응을 보이며‘역시 엄마의 마음을 아는 함소아’, ‘함소아 화장품 열일한다’라는 호평과 함께 육아맘 니즈 저격으로 최근 엄마들의 관심과 함께 호감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1월에는 ‘우리 아이 새해계획 다짐’ 컨셉을 토대로 인스타그램과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통해 소통 영역을 확장해스토리텔링을 통해 계획만이 아닌실천을 유도할 수 있는 구매로까지 연계하는 활동도 함께 진행 중이다. 함소아화장품 마케팅 담당자는 “어린이 화장품을 단순히 뷰티로만 생각하기 쉽지만함소아화장품은 자사 제품을 매개로 아이와 엄마와의 유대감 강화와어린이 건강 습관을 길러주는 부분까지 생각하며 제품 출시와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며, “함소아화장품을 통해 엄마와 아이가 모두 건강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함소아화장품은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함소아몰, 쿠팡에서 구매가능하고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스위티 PICK 특가’는 네이버 모바일에서 ‘함소아 화장품’ 검색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아모레퍼시픽의 브랜드 비레디(B.READY)가 첫 스킨케어 라인인 ‘시카페인 트러블 리셋’을 출시하고 배우 이정하와 캠페인을 전개한다. 시카페인 트러블 리셋 라인은 피부 진정에 특화된 베타시토스테롤 성분과 모공 관리에 효과적인 카페인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스킨케어 라인이다. 스트레스, 수면 부족, 외부 자극 등으로 인해 민감해진 피부를 위한 솔루션으로 클렌징폼, 토너, 세럼, 크림을 선보인다. 대표 제품인 ‘시카페인 트러블 리셋 세럼’은 젊은 세대에게 스킨케어 전문가로 인정받는 뷰티 유튜버 ‘스완’과 민감성 피부로 고민하는 50여 명의 패널이 약 1년간 개발 과정에 함께 참여했다. 출시 전 만 20~34세 남녀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을 통해 사용 직후 확실한 피부 진정 효과와2주 사용 후 모공 부피 축소 효과를 입증했다. 아모레퍼시픽 특허 미백 성분인 멜라솔브TM를 함유해 트러블 흔적 개선 효과도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러지 테스트, 피부과 테스트, 민감 피부 적합 테스트를 완료해 예민한 피부에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브랜드 첫 스킨케어 라인 론칭을 기념하며 배우 이정하를 모델로 발탁하고 함께 캠페인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정하는 최근 디즈니플러스의 오리지널 시리즈 '무빙'에서 초능력자 '봉석' 역할로 활약하며 주목받았고특유의 밝고 긍정적인 에너지로 인기를 얻고 있다. 배우 이정하와 함께한 캠페인 영상은 오는 15일부터 브랜드 공식 채널을 비롯한 다양한 온라인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다. 올해 1월 첫 선을 보인 시카페인 트러블 리셋 라인은 비레디 공식몰, 네이버 브랜드 스토어, 아모레몰, 무신사, 올리브영 등 주요 온라인 몰과 전국 올리브영 매장에서 구매 가능하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글로벌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더마펌이 한국소비자포럼이 주관한 ‘2024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에서 중국 소비자가 뽑은 더마 코스메틱 부문 대상을 6년 연속 수상했다. 올해로 22회를 맞은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은 각 브랜드에 대한 기초 조사, 전문가 평가와심의, 소비자 조사를 거쳐 한 해를 이끌어갈 가장 기대되는 브랜드를 선정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브랜드 시상식이다. 더마펌은 2023년 11월 6일부터 19일까지 약 260만 명의 중국 현지 소비자가 참여한 소비자 조사에서 ▲서비스, 품질 만족도 ▲재구매 의도 ▲타인 추천 의도 총 3가지 평가지표를 종합해경쟁사 대비 높은 점수를 획득해 더마 코스메틱 부문 대상을 수상하게 됐다. 더마펌은 2018년 중국 시장에 본격 진출 후 차별화된 R&D 역량을 토대로 피부 고민별 다양한 고기능성 더마 화장품을 선보이며 우수한 제품력을 인정받고 있다. 약 3,700평 규모의 더마펌 원주 공장에서 소재 연구개발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모든 과정에 직접 관여하고품질관리 또한 엄격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왕홍 마케팅, 이커머스 채널 활성화, 유통망 다각화 등 고객 접점, 브랜드 경험 확대를 위한 중국 현지 밀착형 마케팅과영업 전략을 전개하며 브랜드와 제품을 효과적으로 알리고 있다. 이를 통해 더마펌은 중국 내수 경기 둔화, C-뷰티의 약진 등 위축된 현지 상황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2023년 중국 상반기와 하반기 최대 쇼핑 축제인 ‘618 쇼핑 축제’와 ‘광군제’ 기간에 각종 뷰티 카테고리 랭킹을 석권하며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또왓슨스, 산푸(SANFU) 백화점 등 총 6,800여 개 오프라인 매장에 주력 품목들을 입점시키며 브랜드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 더마펌 한윤재 대표는 “2019년 첫 수상 이후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꾸준한 지지와 신뢰를 받으며 6년 연속 수상이라는 값진 성과를 거둘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건강한 피부를 향한 더마펌의 진정성을 바탕으로 고기능성 더마 화장품을 선보이고소비자의 공감을 끌어내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로 성장할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올해로 창립 22주년을 맞은 더마펌은 미국, 유럽, 일본, 동남아 등 전 세계 30여 개국에 진출해 있으며특히 중국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중국 소비자가 뽑은 ‘2024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 더마 코스메틱 부문 6년 연속 수상을 비롯해 2019년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헤어기기 전문 브랜드 (주)제이엠더블유(JMW)에서 새롭게 론칭한 헤어케어 화장품 브랜드 ‘로아띠’가 신제품 ‘실크 너리싱 헤어오일’을 선보인다고 오늘(9일) 밝혔다. 로아띠는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화학시술로부터 연약한 모발을 보호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와 심혈을 기울여 기능의 전문성에 집중했으며자연 유래 성분으로 더욱 건강하고 아름다운 리추얼 라이프를 지향한다. 로아띠에서 처음 선보이는 신제품 ‘실크 너리싱 헤어오일’은 독자적인 전문 기술력 ‘실크 너리싱 포뮬러’와 ‘프로틴 레이어링 기법’으로 푸석한 모발에서 실크 같은 부드러운 머릿결로 만들어 준다. 캐스터 오일의 높은 지방산이 모발에 쉽게 침투해 수분과 영양을 빠르게 흡수시키고6가지 식물 유래 유효 성분이 윤기 재생에 도움을 준다. 또 ‘실크 너리싱 헤어오일’은 각종 단백질과 미네랄, 비타민 등 작은 입자의 영양 성분과 더불어 어떠한 모발 타입에도 뭉침 없이 가볍고 빠르게 빈틈없이 잘 스며드는 것이 강점이다. 특히 특허받은 ‘Natural Protector’ 성분과 연꽃잎 추출물이 외부 유해 성분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고 탄력을 더욱 강화해 주기 때문에 손상된 모발 깊숙한 곳까지 고단백 보습 관리가 가능하다.이 외에도 제품 사용 시 오일리한 잔여감 없이 모발에 빠르게 흡수돼 깔끔한 마무리감을 더했으며 직접 개발한 피오니, 화이트 머스크 향이 케어와 함께 은은하게 오랫동안 지속된다. JMW 관계자는 “로아띠 헤어오일은 수많은 전문가가 선택한 하이퀄리티 품질을 기반으로 개발됐으며살롱에서만 받을 수 있었던 디자이너의 전문적인 프리미엄 케어를 집에서도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면서 “헤어기기와 헤어제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해온 제품 기술력과 케어 기능까지 더해 헤어오일의 정석으로 불리울 것이다”고 전했다. JMW는 로아띠 헤어오일 런칭 기념으로 풍성한 이벤트와 할인 혜택도 준비했다. JMW 공식몰과 네이버 브랜드스토어에서는 로아띠 헤어오일 신규 런칭 기간 동안 최대 52% 할인과 더불어 구매자 전원에게 미니어처를 100% 제공하는 1+1 이벤트, 리뷰 이벤트 등 푸짐한 혜택을 함께 만나볼 수 있으며각 쇼핑 채널별 다양한 이벤트가 순차적 오픈될 예정이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하나증권은 토니모리가 2023년 체질 개선을 통해 턴어라운드할 것으로 기대했다. 로드샵과 유통점, 면세 비효율 매장 축소로 고정비를 줄이고온라인과 해외 거래선 육성 등으로 2023년 별도 매출이 1,000억 원을 돌파하고이익률이 8%까지 회복할 것으로 추정했다. 자회사의 경우 2022년 합산 손익이 77억 원 손실을 기록했다. 하지만 손실 법인 매각과 구조조정으로 손실을 줄이고ODM 자회사의 영업력 확대로 2023년은 합산 자회사 손익이 흑자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토니모리의 주가는 아쉽게도 2023년 4% 하락하며동일 기간 코스피가 19% 상승한 것 대비 언더퍼폼했다. 2023년4분기 성과는 호실적이 기대된다. 하나증권은 토니모리의 4분기 실적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407억 원, 영업이익은 30억 원으로 전분기에 이어 흑자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토니모리의 2023년 4분기 연결 실적 요약 (단위 : 십억원, %)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별도 영업이익이 2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하며 전반적으로 이익 체력이 상승했으며자회사 합산 이익이 8억 원으로 흑자전환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4분기 토니모리의 성과를 ‘온라인+면세+수출 견조’, ‘ODM 수주 상승’ 등 키워드로 정리했다. 국내는 매출이 209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 성장하고영업이익은 8억 원으로 같은 기간 46%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온라인 수요 증가, 관광객 구매 증가가 성장을 견인하며 뉴채널(온라인), 면세, 로드샵, 유통점 매출 성장률을 각각 52%, 41%, 3%, -9%로 예상했다. 박은정 연구원은 “로드샵의 경우 매장 오픈, 관광 상권 기여도가 35% 수준까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면세의 매장 오픈, 트래픽 상승으로 월별로 구매액이 상승 추세다. 온라인, 로드, 면세 외형 확대로 전반적으로 이익 체력이 상승했다”면서 “면세의 경우 손익이 낮은 편이나 할인율 축소, 전용 상품 출시 등을 통해 손익 개선에 주력 중이다”고 설명했다. 토니모리(별도) 분기별 매출 추이 (단위 : 십억원, %) 해외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76억 원, 영업이익은 113% 늘어난 15억 원을 예상했다. 미국 중심으로 성장 중이며얼타, 타겟 등의 입점 등을 계기로 아마존에서 인지도가 상승하고 미니소도 추가 입점되며 성장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일본은 벤더 변경으로 일시적으로 매출이 감소했다. 매출 증가에 따라 수익성은 상승할 것으로 추정했다. 자회사 합산 실적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123억 원, 영업이익은 8억 원으로 흑자전환할 전망이다. 연초부터 비효율 법인 매각, 비효율 부분 구조조정 효과가 동반됐으며ODM 제조법인 메가코스가 인디, 글로벌 물량이 증가 추세 지속됨에 따라 이익 체력이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토니모리(연결) 분기별 이익 추이 (단위 : 십억원, %) 하나증권은 토니모리의 2024년 실적을 연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1,800억 원, 영업이익은 112% 늘어난 181억 원으로 내다봤다. 박은정 연구원은 “2024년 토니모리는 신규 채널 추가와 자회사(ODM) 외형 확대를 통한 이익체력 상승을 기대한다”며, “국내는 관광객 증가에 따른 외형 증가, 신규 채널(다이소, 올리브영, PX) 입점을 통한 외형 성장, 해외는 미국 중심으로 확장 예상(채널, SKU 확대) 한다. 자회사 메가코스는 인디 브랜드 물량 증가로 매출 500억 원 돌파, 영업이익률 10% 수준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코스메틱 전문 기업 (주)다름인터내셔널에서 2022년 런칭한 비건 스킨케어 브랜드 베르티(VERTTY)가 국내 대표 NFT 마켓 플랫폼 ‘메타갤럭시아(MetaGalaxia)’와 함께 NFT 에어드랍 이벤트를 선보인다. 이번 이벤트는메타갤럭시아 홈페이지에 접속해베르티 브랜드와 제품에 관한 퀴즈를 푸는 방식으로 NFT 수령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간단하게 참여 가능하다. 이벤트는 매주 1회씩 총 5회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며 회차별 퀴즈 정답자 중 선착순 500명에게는 베르티 캐릭터와 자일리톨 크림, 시카 패드, 비타민 토너 등의 베르티 대표 스킨케어 제품이 담긴 NFT가 지급된다. 더불어매회 500명의 NFT 수령자들을 대상으로 총 20명을 추첨해지급받은 NFT에 매칭된 베르티 스킨케어 제품 1종을 선물로 제공한다. 베르티 NFT 에어드랍 이벤트는 비건 뷰티 브랜드 베르티와 ‘메타갤럭시아(MetaGalaxia)’의 운영사인 갤럭시아메타버스(주)가 주최한 이벤트로 양사는 지난달 NFT 상품개발과마케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NFT 상품이 발행되는 메타갤럭시아는 국내 최대 IP를 보유한 큐레이션 기반 NFT 마켓 플랫폼으로 디지털 아트, 스포츠, 럭셔리, 컬렉터블 등의 아트형 NFT와 화장품, 티켓, 쿠폰 등 실물 상품들이 결합된 유틸리티 NFT를 제공한다. 다름인터내셔널 강인희 대표는 “NFT 에어드랍 이벤트를 통해 고객들에게 베르티를 알릴 수 있어 기쁘며베르티와 메타갤럭시아를 사랑해 주는 모든 분들에게보답하기 위해추후 양사 간 협업을 통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하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전했다. 베르티 NFT 에어드랍 이벤트는 지난8일부터 2월 11일까지 총 5회에 걸쳐 진행되며 메타갤럭시아 공식 홈페이지에서 만나볼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에이블리코퍼레이션(대표 강석훈)이 운영하는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에이블리가 2024년 스타일 트렌드로 ‘D.O.P.A.M.I.N.E(도파민)’을 선정했다고 오늘(9일) 밝혔다. ‘D.O.P.A.M.I.N.E’은 ▲Ditto consumption(디토 소비) ▲Ornament ribbons(리본 장식 열풍) ▲Personalized deco(꾸미기에 빠진 MZ세대) ▲At-home beauty(홈뷰티) ▲Make it cropped(크롭 트렌드) ▲Introducing skincare (스킨케어 강조) ▲New era of footwear(풋웨어 시대) ▲Efficient time(분초사회 속 효율적인 소비 추구)을 의미한다. 에이블리는 “일명 행복 호르몬이라 불리는 '도파민(Dopamine)'처럼 소비자에게 즐거움과 만족감을 선사하는 쇼핑 트렌드에 주목했다”며, ”월 740만 명의(MAU) 전문몰 앱 1위 규모 사용자 수를 보유한 만큼2024년에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변화하는 트렌드에 기민하게 움직여 만족스러운 쇼핑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취지이다“고 밝혔다. 자신의 취향과가치관이 유사한 인물, 콘텐츠, 채널 속 상품을 따라 구매하는 ‘디토소비(Ditto consumption)’ 트렌드가 이어질 전망이다. 고객이 직접 코디 콘텐츠를 올리는 에이블리 앱 ‘코디’ 탭 관련 상품 거래액이 급증하고 있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11~12월 ‘코디’ 콘텐츠 작성자 수는 약 5만 명으로 태그된 상품 수는 10만 개가 훌쩍 넘어섰다. ‘북마크(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관심을 의미)’ 수 기준 상위에 태그된 ‘애니원모어’ 쇼핑몰 ‘메리디 챠콜 레이어드 티셔츠’는 콘텐츠 등록 이후 일주일 만에 판매량이 61% 증가했다. ‘상품 태그(착장 상품 정보 등록)’ 기능을 통해 자신이 입은 제품을 공유하면 해당 상품을 따라서 구매하는 소비자가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발레코어 룩과 함께 떠오른 ‘리본 장식(Ornament Ribbons)’ 관련 검색어가 인기 검색어 상위권에 대거 포진했다. 리본으로 머리를 묶거나 반묶음 머리에 리본 헤어핀 등 헤어스타일링 액세서리를 시작으로 리본 블라우스와원피스, 발레리나 토슈즈 형식의 리본 플랫 슈즈, 부츠에 벨벳 리본까지 머리부터 발끝까지 리본이 포인트 액세서리로 자리 잡았다. MZ세대 꾸미기(Personalized deco) 열풍으로 ‘폰꾸(스마트폰 꾸미기)', '노꾸(노트북 꾸미기)', '다꾸(다이어리 꾸미기)', '신꾸(신발 꾸미기)', '백꾸(가방 꾸미기)' 등 'N꾸' 검색어가 다양해졌다. 지난해 에이블리 라이프 카테고리 '신발 꾸미기' 거래액은 전년 대비 60% 이상 증가했으며최근에는 ‘가방꾸미기’를 위한 ‘키링’이 인기다. 인형 소재부터 눈, 코, 입까지 자신의 스타일로 꾸밀 수 있는 ‘모루인형 만들기’가 새로운 꾸미기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기성품을 그대로 사용하기보다 커스터마이징하며 개성 표현을 중시하는 MZ세대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간편하게 스스로 관리하는 셀프 뷰티와 함께 At-home beauty(홈뷰티) 시장이 각광받고 있다. 에이블리 뷰티 데이터 분석 결과, ‘바비리스’의 ‘볼륨 웨이브 봉 고데기’, ‘보다나’의 ‘판 고데기’, ‘일소’와 ‘디디다’의 ‘블랙헤드 제거기’, ‘라피타’의 집에서 직접 할 수 있는 ‘반영구 제모기’, ‘와이츄’의 ‘속눈썹 펌 키트’가 인기 상품에 올랐다. 헤어스타일링 기기부터 클렌징과피부관리, 속눈썹 고데기 등 홈뷰티 관련 상품이 고객 수요에 따라 각 분야별로 다양해지는 추세다. 여름 티셔츠부터 겨울 아우터까지 크롭 트렌드(Make it cropped)는 4계절 패션 아이템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크롭 패딩’ 거래액은 전년 대비 70%, ‘크롭 니트’는 147% 증가했다. 티셔츠 뿐 아니라 가디건, 자켓, 니트, 패딩까지 다양한 품목에서 ‘크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세 품목 검색 외에도 ‘크롭’ 키워드 검색 후 카테고리별로 탐색하는 쇼핑 경향도 돋보였다. 화장품은 스킨케어에 집중하는(Introducing skincare) 이들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같은 기간 ‘토너패드’ 검색량은 180% 이상 증가했으며‘페이셜팩’(135%), ‘수분크림’(92%) 키워드도 검색이 늘었다. 피부만큼 입술 보습에 대한 관심으로 ‘립케어’ 검색은 55배 이상(5,430%), ‘립밤’은 160% 상승했다. ‘에이프릴스킨’의 ‘클렌징 밤’과 ‘마녀공장’의 ‘클렌징 오일’처럼 클렌징 제형도 워터, 폼, 밤, 오일로 다양하게 인기를 끌고 있다. 이외에도 시간의 효율성을 추구하고 ‘시성비(시간의 가성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만큼 분초사회 속 효율적인 소비(Efficient time)가 주목받고 있다. 시간을 아껴주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타일 쇼핑도 ‘초개인화’가 강화될 전망이다. 한편, 에이블리는 “새해 고객 빅데이터와 15년간 ‘개인화’를 연구한 팀이 모여 만든 ‘AI 추천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쉽고 빠르게 ‘나만의 스타일’을 찾아주는 쇼핑 환경을 추구하는 만큼스타일커머스에서 ‘추천 기술’ 중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개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1월호는 지난해 11월 SOFW JOUNAL과 업무계약을 체결하고 2024년 1월부터 SOFW JOUNAL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한다. 퍼스널 케어 최신 연구를 주제로 ▲제품 탄소 발자국 : 효과적인 지속가능성 전략의 핵심 ▲지속가능한 혁신의 실현 : 컨디셔닝 바이오폴리머 AURIST AGC가 헤어케어와 바디워시의 용도를 혁신하는 방법 ▲미세 전류 장치에서 영감을 얻은 차세대 얼굴 인식 기술 ▲마이크로바이옴 친화적 성분과 함께 성장하는 지보단 액티브 뷰티 포트폴리오 ▲제품의 보존력 강화를 위한 허들 기술 1부 등으로 구성됐다. [컬럼] 당신의 브랜드는 미래를 위한 대비가 되어 있는가? [테마기획] 2024년 국내외 화장품 연구개발(R&D) 트렌드 이슈 설문조사 [퍼스널케어] 1. 제품 탄소 발자국 : 효과적인 지속가능성 전략의 핵심 Product Carbon Footprint: A Key to Effective Sustainability Strategies 비앙카 실리그 박사, 얀 쇼네붐 박사 2. 지속가능한 혁신의 실현 : 컨디셔닝 바이오폴리머 AURIST AGC가 헤어케어와 바디워시의 용도를 혁신하는 방법 Unlocking Sustainable Innovation: How Conditioning Biopolymer AURIST AGC Transforms Hair Care and Body Wash Applications 가시무라 다케노리, 피에라 페리쿠 3. 미세 전류 장치에서 영감을 얻은 차세대 얼굴 인식 기술 The Next Dimension in Facial Definition Inspired by Microcurrent Devices 마우리시오 발레리오-산티아고, 콘수엘로 가르시아, 벨렌 아귀레, 라몬 수비로스, 알베르 솔레이, 젬마 몰라, 라켈 델가도 4. 마이크로바이옴 친화적 성분과 함께 성장하는 지보단 액티브 뷰티 포트폴리오 인증된 우수성을 위한 지보단 액티브 뷰티의 노력 Givaudan Active Beauty Portfolio Grows with Microbiomefriendly IngredientsGivaudan Active Beauty’s commitment to certified excellence Exploration of hair-growth ingredients using a new approach focusing on stem cells 캐서린 잔체타, 패트릭 로브, 시릴 자린 5. 제품의 보존력 강화를 위한 허들 기술 1부 Multifunctionals Empowered Part 1 발린트 코로스케니 박사, 자스민 살멘, 마리아 폰탄 야네스 [최신 연구] NICT 투과 물질과 결합된 FGF2, EGF 성장인자, Type A Light chain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 BTX)의 피부, 세포 투과 능력 검증과 효능 평가 [학술대회] 제1회 일본화장품기술자회(SCCJ) 학술대회 구두 발표 내용 요약 [기업탐방] 코스모코스, ‘인디 뷰티 브랜드 전성시대’ 공략 ODM 사업 ‘박차’ [특허정보] 2023년 8월 공개 한국 화장품 특허 분석 [박사학위논문] 2022학년도 2학기 화장품 분야 박사학위 논문 [물류] 뉴노멀 시대 물류기업의 미래 [2024년 박람회 ] 2024년 국내 해외 화장품 박람회 일정표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만드는 사람들] 편집위원, 전문위원 ■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소개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지난해 11월 독일 SOFW JOU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JOUNAL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한다. 독일 SOFW JOU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되어 15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그리고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한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전문지로 일본과 국내의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원료, 부자재, OEM ODM, 임상실험, 기계설비 등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한다.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분야에서 국내 보다 앞선 독일과 유럽연합의수준 높은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논문과 최신 트렌드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글로벌 화장품 시장을 겨냥한 국내 업계에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 프레그런스저널사와 정기적으로 화장품 신소재 신기술 교육 세미나, 기술 이전, 수출입 교역, 화장품 B2B 박람회 등 다양한 공동업무 진행을 통해 전문저널의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다. 회사명 : (주)코스인 설립일자 : 2012년 4월 대표이사 : 길기우 사업내용 : 화장품 뷰티 산업 온라인 웹뉴스, 교육 세미나 정보 사업, 컨설팅 사업, 국내외 화장품 박람회 공동 주관, 협회 신문 발간 대행 사업, 출판 및 전자상거래 사업 등 주소 : 서울시 금천구 디지털로9길 99 805호(가산동 스타밸리) TEL 02-2068-3413 FAX 02-2068-3412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이 로렌스 위너의 작품 세계와 개념 미술에 대한 이해를 돕는 ‘갤러리 토크’를 오는 15일 개최한다. 서울 용산에 위치한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개최되는 이번 갤러리 토크는 미술사학자인 우정아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의 강연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참여를 원하는 사람은 아모레퍼시픽미술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선착순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우 교수는 이번 강연에서 개념 미술과 미니멀리즘의 등장 배경과 함께 칼 안드레, 온 카와라, 댄 플라빈, 조셉 코수스, 솔 르윗 등 함께 영향을 주고 받은 주요 작가들에 관해 강연할 예정이다. 또로렌스 위너가 이러한 미술사적 흐름에 어떤 역할과 기여를 했는지를 중점적으로 논의하며 그의 철학과 작품 세계를 자세히 전달할 계획이다. 이번 강연은 개념 미술 전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로렌스 위너의 ‘언어 조각(Language Sculpture)’ 작업들과 그의 작품 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좋은 기회가 될 전망이다. 2021년 로렌스 위너 타계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대규모 회고전이자 아시아 최초의 개인전인 ‘LAWRENCE WEINER: UNDER THE SUN’ 전시는 오는 28일을 끝으로 막을 내린다. 한편,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2024년에도 다채로운 전시를 선보일 예정이다. 우선 3월에는 로스앤젤레스 출신의 아티스트이자 디자이너인 ‘스티븐 해링턴’의 개인전을 국내에서 처음 개최한다. 이후 9월에는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세계적인 아티스트 듀오인 ‘엘름그린 & 드라그셋’의 전시가 펼쳐진다. ■ 로렌스 위너 전시 개요 ▶ 전시제목 : LAWRENCE WEINER: UNDER THE SUN ▶ 전시기간 : 2023년 8월 31일~2024년 1월 28일 ▶ 관람시간 : 오전 10시~오후 6시(17시 30분 티켓 발권 마감),월요일 휴관 ▶ 전시장소 :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100) ▶ 전시예약 : 아모레퍼시픽미술관 공식 홈페이지(http://apma.amorepacific.com) ▶ 문의 : 아모레퍼시픽미술관,02-6040-2345,museum@amorepacific.com ▶ 출품작 : UNDER THE SUN(태양 아래)(1999/2000), A BIT OF MATTER AND A LITTLE BIT MORE(약간의 물질 그리고 아주 조금 더)(1976)를 포함한 언어 조각 47점 외 작가 아카이브 및 영상 자료 약 60점 + 아모레퍼시픽미술관 고미술 소장품 15점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클리오가 지난해 4분기 또 다시 분기 최대 매출을 거둘 것이라는 증권가의 분석이 제기됐다. 국내와 해외 모두 온라인 매출이 크게 늘어나면서 외형 성장을 이끌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에 하나증권은 클리오를 중소형 브랜드사 최선호주로 꼽고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3,000원을 유지했다. 하나증권은 클리오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을 연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늘어난 904억 원, 영업이익은 117% 늘어난 113억 원으로 컨센서스를 8%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3년 연간 분기 최대 매출을 지속 경신하며처음으로 연결 매출 900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클리오의 2023년 4분기 연결 실적 전망 (단위 : 십억원, %)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기대 대비 채널, 지역 전반적으로 매출이 강했으며특히 국내와 해외 온라인 매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외형 확대와 믹스 개선으로 인센티브 지급에도 수익성이 두자릿수를 기록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4분기 국내와 해외 매출은 각각 571억 원, 333억 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6%, 44% 성장을 전망했다. 국내는 모든 채널이 두루 성장할 것으로 봤다. 채널별 성장률은 H&B, 온라인, 홈쇼핑, 면세 각각 23%, 39%, 72%, -34%를 예상했다. H&B는 높은 기저에도 클리오, 페리페라의 높은 브랜드력, 고성장하는 구달의 침투율이 상승하며 두자릿수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했다. 4분기는 자사몰과 외부몰, 뷰티플랫폼을 두루 육성하며 온라인 매출 또한 3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은정 연구원은 “홈쇼핑까지 견조하게 외형 성장하며고객층 확대가 나타나고 있다. 면세는 채널 감소에도 불구, 관광객 수요 증가로 전분기 대비 48%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클리오의 주요 채널, 지역 매출 추이와전망 (단위 : 십억원, %) 해외는 지난해 4분기 일본, 중국까지도 성장하며 해외 매출이 44% 고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중국, 미국, 동남아시아 각각의 매출 성장률은 25%, 9%, 85%, 80%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은 아마존에서 고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구달의 매출 기여도가 미국의 50%를 돌파한 것으로 추정한다. 특히 비타씨 세럼 중심으로 견조하며추후 SKU 확대 효과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일본의 경우 구달의 오프라인 접점이 확대되며 전분기에 이어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중국은 낮은 기저이나온라인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며 매출이 성장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남아시아는 온-오프라인 모두 각각 75%, 84%로 두루 고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외 고른 외형 확대와 믹스 개선 등으로 채널, 지역의 효율이 상승하며 영업이익률은 12.5%, 전년 동기 대비 5.3%p 개선 기대된다. 클리오의 주요 채널, 지역별 매출 비중 추이 (단위 : %) 하나증권은 2024년 클리오의 실적을 연결 매출 3,900억 원, 영업이익 48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46% 성장을 전망했다. 국내와 해외 각각 15%, 27% 성장을 가정했다. 박은정 연구원은 “해외 중심으로 두자릿수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며우선 순위는 미국 > 일본 > 동남아 순으로 집중할 전망이다”면서 “미국은 구달의 비타씨 세럼을 주축으로 SKU 증가를 통한 외형 확대, 일본의 경우 채널과 진출 브랜드 확대로 추가적인 외형 성장을 도모할 전망이며동남아시아 또한 온-오프라인 접점 확대로 두자릿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외로 스킨케어 기여도가 확대됨에 따라 전사 이익 체력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여기에 관광객 증가는 추가 성장 요소이다”고 강조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임종세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1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지난해 11월 독일 SOFW JOU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JOUNAL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한다. 독일 SOFW JOU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되어 15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그리고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1월호는 독일의 퍼스널 케어 최신 연구를 주제로 ▲제품 탄소 발자국 : 효과적인 지속가능성 전략의 핵심 ▲지속가능한 혁신의 실현 : 컨디셔닝 바이오폴리머 AURIST AGC가 헤어케어와 바디워시의 용도를 혁신하는 방법 ▲미세 전류 장치에서 영감을 얻은 차세대 얼굴 인식 기술 ▲마이크로바이옴 친화적 성분과 함께 성장하는 지보단 액티브 뷰티 포트폴리오 ▲제품의 보존력 강화를 위한 허들 기술 1부 등 5편의 연구논문으로 구성됐다. 테마기획으로 2024년 국내외 화장품 연구개발(R&D) 트렌드와 이슈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화장품회사 연구원, 원료업체 관계자, 대학 화장품학과 교수 등 218명이 참여했으며 2024년 화장품 원료소재 분야와 제형기술 분야의 최대 화두로 '비건'을 꼽았다. 최신연구로는 'NICT 투과 물질과 결합된 FGF2, EGF 성장인자, Type A Light chain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 BTX)의 피부, 세포 투과 능력 검증과 효능 평가'를 게재해네오리젠바이오텍이 개발한 혁신적인 NICT 투과기술과응용에 대해 고찰했다. 학술대회 코너에서는지난해 12월일본 오미야 소닉시티에서 열렸던 제1회 일본화장품기술자회(SCCJ) 학술대회의 최신 학술연구 구두발표 36편을 요약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직접 참관과 온라인을 병행해 진행했으며 총 36편의 구두발표와 61편의 포스터발표, 그리고 IFSSC에서 발표된 51편의 포스터 전시, 4편의 기조강연과 초청강연, 2편의 일본화장품기술자회(SCCJ) 저널 최우수 논문 발표가 진행됐다. 이번 학술대회의 최우수 발표상은 구두발표에서는 가오의 Shunsuke Nakamura 연구원이 ‘SSL-RNA를 활용한 새로운 피부 분류 지표 개발’로 수상했으며 포스터발표에서는 시세이도의 Yohei Takahashi 연구원이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한 각질층의 유연성’으로 수상했다. 기업탐방 섹션으로 최근 화장품 ODM 사업에서 주목받는 코스모코스의 현황과 전략소개했다. 코스모코스는 지난해 2월말 오픈한 화장품 ODM 플랫폼 '코스모스랩'을 구심점으로 국내외 화장품 ODM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최신 한국 특허정보는 2023년 8월 공개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을분석했다.2023년 8월공개된 한국특허는 총 220건으로 전월의 230건에 비해 10건 정도 감소했다. 이 가운데 해외 특허는 76건으로 전월의 54건에 비해 22건 이상 크게 늘었으며 그 비율도 35%로서 전월의 23%에 비해 10% 이상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2023년 8월의 한국 특허는 전월에 비해 공개건수는 약간 감소했으나 해외 특허가 차지하는 건수와 비율은 큰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22학년도 2학기 화장품 분야 박사학위 논문은 조해원 '두피관리용 Acetyl Hexapeptide-8 앰플의 항노화 및 탄력 개선 효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이선영 '피부미용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의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용원 '누룩에서 분리한 Saccharomycopsis fibuligera A8을 이용한 미강 발효물의 효소활성, 항산화능 및 항염활성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정은탁 '섬기린초(Sedum takesimense)의 기능성 물질 규명과 특성 분석 및 바이오 소재로의 활용' (부경대학교 대학원) 등 8편을 게재했다. 이밖에 물류 시리즈는 디지털 네이티브와 초개인화를 다뤘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인식하고 현재의 삶을 중시하며 즉각적인 만족과 행복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태도는 ‘YOLO(You Only Live Once)’라는 표현으로 잘 나타나고 있다. 한편,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국내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한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저널로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원료, 부자재, OEM ODM, 임상시험, 기계설비 등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를 제공하고 있다. 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등 전국 유명 대형서점과 예스24, 인터파크, 도서11번가, 알라딘, 갓피플 등 유명 인터넷 서점 등에 배포돼 온-오프라인에서 보다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컨템포러리 서울 뷰티 브랜드 헤라가 브랜드 철학과 페르소나를 담은 클래식 립스틱 '루즈 클래시'를 출시한다. 브랜드의 글로벌 앰버서더 제니와 함께한 2024년 첫 신제품으로 세련된 컬러와 고급스러운 글로우 제형이 입술에 정교하고 편안하게 밀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립스틱의 발림성이 좋으면 밀착력을 높이기 어려운 기존의 한계를 넘기 위해 헤라의 '럭셔리 앵커-핏' 기술력을 적용해 부드러운 발림성과 쫀쫀한 밀착력을 구현했다. 입술에 닿는 순간 얇고 부드럽게 밀착되며착색 없이 12시간 균일하게 선명한 컬러와 윤기가 지속된다. 총 10가지의 색상으로 선보이며헤라의 헤리티지인 '서울리스타'의 룩에서 영감을 받은 '서울 레드'가 대표 컬러이다. 서울 레드는 채도를 높여 입술을 덮는 것이 아니라 본연의 입술 색상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맑고 화사하게 발색된다. 그외 색상 역시 입체적이면서 깊이감 있는 컬러로 구성했으며서울 기반의 하이엔드 패션 디자이너 '제이든 초(JADEN CHO)'와의 협업을 통해 다채로운 시각으로 컬러 스펙트럼을 완성했다. 또오랫동안 사랑받을 클래식한 디자인으로 고안했으며감각적인 블랙과 골드 조화의 케이스로 제품에 품격을 더했다. 헤라 립 카테고리 최초로 리필 구조의 포장재를 접목시켜립스틱을 다 사용한 후 내부 용기만 리필 제품으로 교체하면 외부 용기는 재사용할 수 있다. 헤라는 루즈 클래시 출시를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오늘(9일)부터 2월 28일까지 아모레성수 매장 2층에서 '서울 레드(SEOUL RED)' 콘셉트로 루즈 클래시 전 색상을 경험할 수 있는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며국내 주요 8개 백화점에서는 전체 공간이 서울 레드 컬러로 연출된 이색적인 매장을 선보인다. 신제품은 지난 8일부터 아모레몰, 카카오톡 선물하기와 전국 백화점 매장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오는 15일부터는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면세점 등에서도 구매 가능하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K-뷰티 전문가들로 구성된 봉사단체 K-뷰티사회공헌협회(회장 차현승, 한승희)는 지난해 12월 12일 (주)K-바이오코스(대표 이미희)와 함께 경주 YMCA를 통해 동절기 비건 화장품 세트와 생활필수품을 기탁했다고 8일 밝혔다. 이날 기탁식에는 (주)K-바이오코스 이미희 대표, K-뷰티사회공헌협회 차현승 공동회장, 대전다문화센터 이사인 한승희 공동회장, 경주 서라벌대학교 대학원장인 이상덕 고문, 영화감독 박기복 자문위원, 서경석 자문위원, 최유선 이사, 최주희 이사, 경남정보대 겸임교수 박외숙 이사, 박미라 이사, 이다교 회원과 대전 한승희 메이크업 관계자, 경주 YMCA 이은숙 사무총장 등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기탁받은 물품은 경주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 다문화가정, 사회적 배려 계층 등 적재적소에 동절기 생활편의를 위해 전달됐다. K-뷰티사회공헌협회 차현승 회장은 "나눔을 통한 따뜻한 공동체 조성과 사회통합을 위해 이번 기탁을 진행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생활 속의 작은 실천으로 사회공동체의 손길이 필요한 계층에 더 다가가는 사회공헌활동을 지속해서 펼쳐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물품 기탁에 동참한 (주)K-바이오코스 이미희 대표는 “해외에 주로 수출하는 자연주의 코스메틱으로 정성을 다해 만든 화장품인 만큼 함께 나누는 분들께서 따뜻하고 건강한 생활에 도움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K-뷰티사회공헌협회는 K-뷰티 문화의 진흥과 미용 기능인들의 사회적 인식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순수 봉사단체이며 함께한 (주)K-바이오코스사 보나파이드는 인체 무해 친환경 화장품 수출로 미국, 호주, 동유럽,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주목받는 글로벌 비건 전문 코스메틱 기업이다. 이들은 앞서 강원도 원주 가톨릭사회복지회와 부산 영도구청에도 각각 2천만원 상당의 자사 제품을 기탁한 바 있다. 한편,오는 12일 2024년첫 공헌활동으로 '귀환 고려인 동포와 좋은 이웃되기'나눔행사를 시작으로 대전 한승희 메이크업과 부산 웨딩뷰티그룹 라비드에스떼의 협조로 어르신 프로필사진 메이크업 봉사와 따뜻한 배려가 필요한 여성 청소년들의 친환경 여성용품 기탁도 준비하는 등 사회공헌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글로벌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대표이사 김병훈)의 차세대 뷰티 디바이스 ‘부스터 프로’ 관련 연구결과 2건이 국내 뷰티 관련 학술지에 게재됐다. 에이피알은 오늘(9일) 자사의 기업부설연구소 ‘글로벌피부과학연구원’을 통해 진행한 뷰티 디바이스 ‘부스터 프로’ 관련 2건의 연구 결과가 ‘한국미용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제29권 6호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한국미용학회지는 1995년 창간되어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등재된 뷰티 관련 대표 학술지 중 하나다. 이번에 공개된 연구는 ‘고주파 마이크로포레이션(RM) 및 일렉트로포레이션(EP) 피부 미용기기와 글루타티온 앰플 병용의 피부 개선 효과’ 및 ‘미세전류, 중주파 기능이 탑재된 가정용 미용기기가 안면 피부 탄력 및 리프팅에 미치는 영향’ 등 2건이다. 두 건 모두 지난해 10월 출시한 ‘부스터 프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부스터 프로’는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 브랜드 론칭 이래 에이피알이 쌓아온 관련 기술 노하우를 집대성한 차세대 제품이다. 두 건의 연구 중 ‘고주파 마이크로포레이션(RM) 및 일렉트로포레이션(EP) 피부 미용기기와 글루타티온 앰플 병용의 피부 개선 효과’는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 병용의 시너지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획됐다. 해당 실험에서 만 20~60세의 한국 여성 42명은 약 2주간 글루타티온 앰플과 ‘부스터 프로’의 미세전류(MC) 기능(2주) 및 중주파(EMS) 기능(4주)을 사용하며 사용 전과 후의 피부 노화 지표의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모든 참여자가 눈가 주름과피부 볼륨과 진피치밀도에 있어 유의미한 개선 지표를 나타냈다. 다른 연구인 ‘미세전류, 중주파 기능이 탑재된 가정용 미용기기가 안면 피부 탄력 및 리프팅에 미치는 영향’은 ‘부스터 프로’에 적용된 미세전류(MC) 기능과 중주파(EMS) 기능의 효용성 검증을 위해 기획됐다.해당 실험 역시 만 20~60세의 한국 여성을 대상을 했으며44명이 약 2주간 뷰티 디바이스를 사용한 뒤의 피부 상태를 사용 전의 결과와 비교했다. 그 결과, 해당 실험에서도 피부 탄력과 리프팅에 있어 유의미한 지표 변화가 관찰됐다. 에이피알에 따르면 두 건의 연구는 뷰티 디바이스의 효용성을 증명하는 한편, 향후 더 개선된 뷰티 디바이스를 선보이기 위한 노력이다. 홈 뷰티 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가정 내에서 간편하게 사용 가능한 뷰티 디바이스와다양한 기전 연구는 필수라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에이피알 관계자는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의 시너지와 뷰티 디바이스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 관련 유의미한 변화가 관측됐다”며 “향후 더욱 다양한 대상 연령대와더 긴 관찰 기간 적용 등으로 더 나은 뷰티 디바이스를 만들기 위한 연구를 이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고효능 자연주의 브랜드 이니스프리(www.innisfree.com)가 오늘(9일) 오후 7시 이니스프리 공식몰 라이브 방송을 시작으로 11일까지 총 3일간 127만 뷰티 크리에이터 회사원A와 ‘콜라겐 그린티 세라마이드 탄력장벽 크림 기획전’을 진행한다. 이니스프리 공식몰에서는 9일오후 7시에 ‘회사원A X 콜라겐 세라마이드 크림 기획전 오프닝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며 오직 라이브 방송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단독 구성과 더불어 방송 중 퀴즈 이벤트와 구매인증 이벤트 등이 마련돼 더 큰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니스프리 ‘콜라겐 그린티 세라마이드 탄력장벽 크림’은 맑은 바다에서 자라는 해조류 중 하나인 ‘청각’ 추출 탄력 효능 성분 ‘청각 유래 유사 콜라겐’에 피부 장벽 케어에 효과적인 ‘그린티 유래 세라마이드’를 더한 포뮬라로 보습, 장벽, 탄력까지 한 번에 케어하는 고효능 크림이다. 특히 코를 중심으로 눈가, 양 볼, 턱이 이어지는 하트존 피부의 탄력을 개선해줘 탄탄하고 촉촉한 수분 볼륨감을 느낄 수 있으며겉탄력과 속탄력을 동시에 케어해 매끈한 탄력광 피부를 완성해 준다. 또보습 지속력이 72시간 유지되어 피부가 건조하고 예민해지기 쉬운 겨울철, 저자극 데일리 탄력크림으로 사용하기 제격이다. 아울러 127만 뷰티 크리에이터 회사원A은 지난6일 공개한 본인의 유튜브 컨텐츠에서 2024 뷰티 트렌드인 ‘슬로우에이징’ 제품으로 ‘콜라겐 그린티 세라마이드 탄력장벽 크림’을 추천했다. 실제로 민감성 피부로 알려진 그는 4주 동안 직접 ‘콜라겐 세라마이드 크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탄력이 눈에 띄게 개선된 부분을 과학적으로 입증해 더욱 눈길을 끌었다. 회사원A는 직접 아모레퍼시픽 용인연구소를 3차례 방문하며 콜라겐 크림 사용 전과 사용 4주 후의 피부 측정을 진행했으며그 결과 4주만에 피부 나이가 3.4세어려지고 피부 탄력 장벽이 18.7%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 이에 이니스프리는 이번 회사원A의 영상과 라이브 방송을 시청한 많은 고객이 합리적인 가격에 ‘콜라겐 그린티 세라마이드 탄력장벽 크림’을 경험했으면 하는 마음을 담아 ‘콜라겐 크림 본품 1개+리필 1개+ 80ml 증정’ 구성을 최대 44% 할인된 가격에 제공한다. 또오직 회사원A 라이브 방송에서만 4만원 이상 구매 시 3천원 추가 할인, 방송 단독 구성 구매 시 뷰티 포인트 3천점이 추가 적립되며사은품 ‘하트 듀오 괄사 마사저’도 증정한다. 한편, 이니스프리 ‘콜라겐 그린티 세라마이드 탄력장벽 크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니스프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