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8,01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국내외 제약업계에서 차세대 신약 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혁신적인 신약개발 아이템으로 부각되면서 이를 활용한 신약개발 움직임이 활발한 가운데 화장품 소재 전문 기업 알엔에스(대표이사 김청택)가 AI기술을 활용해 기능성 원료인 ‘Line-V(주름개선)’, ‘Melatein-X(미백)’ 2종을 개발했다. 화장품 신원료 개발 과정에 AI기술을 접목하면 선도물질의 탐색, 문헌정보, 특허정보, 유전자정보 등 다양한 자료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다. AI 기술을이용한 화장품 신원료는 먼저 문헌검색을 이용한 후보물질(기지의 효능 물질 발굴)을 탐색하고 AI를 이용한 신규 활성물질 도출(활성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 다양한 유도체화합물을 합성해 물질구조, 효능 상관성 분석(Structure, Activity Relatioship analysis, SAR analysis)으로 효능의 검증, 안전성과 안정성 평가와임상평가를 통해 개발된다. 알엔에스는 이 같은 과정을 거쳐 주름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원료인 ‘Line-V’와 미백 원료 ‘Melatein-X’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 주름개선기능성 원료‘Line-V’ 피부 주름은 노화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나최근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물질의 증가로 젊은 시절부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주름생성의 예방과개선 등의 피부관리가 젊은 시절부터 요구되고 있다. 피부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중에는 레티놀(Retinol)이 있다. 레티놀은 주름개선, 미백, 피부재생,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감소, 여드름 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피부자극을 유발하고 빛, 열, 산소 등에 매우 불안정해 레티놀 함유 화장품의 사용과 보관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업계에서는 그동안 레티놀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레티놀 안정화 유도체를 제조하거나 레티놀 캡슐레이션화 원료가 개발돼 사용돼 왔다. 다만, 레티놀 유도체는 레티놀에 비해 효능이 약하고레티놀 캡슐레이션 원료는 레티놀의 분해속도를 늦출 뿐 원천적으로 레티놀의 분해를 막을 수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됐다. 알엔에스는 “레티놀의 주름개선 효능은 유지하고 불안정성은 제거된 신규 주름개선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레티놀을 대상으로 AI를 활용해 신규 주름개선 화합물 ETMC를 개발했다”며, “ETMC의 제품화를 위해 천연물 유래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검색한 결과 ETMC는 원지(polygala tenuifolia) 추출물의 구성물질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알엔에스는 ETMC의 제품개발을 위해 NACATM 기술을 적용해 추출, 분획, 크로마토그래피를 순차적으로 수행해일반적인 원지추출물 대비 100배 이상의 ETMC를 함유하는 고기능성 원지추출물을 개발해 Line-V로 명명했다. AI를 이용한 Line-V 개발 프로세스 Line-V는 주름개선 효능(콜라겐합성능, 콜라게나제 합성억제능), 항염효능과주름개선 임상효능 평가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 콜라겐합성능 콜라겐합성능 평가 결과 Line-V는 0.25~4.0%의 농도에서 콜라겐합성양이 11~26% 증가했다. # 자외선 조사에 의한 콜라게나제 합성억제능 자외선 조사에 의한 콜라겐분해효소인 collagenase 생성억제능 평가실험에서 Line-V는 0.5~4.0%의 농도에서 49~59%의 콜라게나제 생성억제능을 보였다. # 항염증 효과 Line-V는 염증 유발물질 NO(nitric oxide)의 생성 억제능 평가 결과, 0.25~0.5%의 농도에서 14~41%의 NO 생성 억제능을 보였다. 이 외에도 항산화효능을 발휘했다. # 주름개선 임상평가 알엔에스는 1% Line-V 함유 크림을 제조해 대한피부과학연구소를 통해성인남녀 23명을 대상으로 주름개선 임상시험을 실시했다.임상 평가 결과, Line-V 함유 크림은 도포 2주 후부터 대조군 대비 유의한 수준의 주름개선 효능을 발휘했으며도포 8주 후 27% 이상의 주름개선효능을 발휘했다. 또 시험기간 중 중도탈락자가 없는 것으로부터 Line-V는 매우 안전한 원료임을 확인했다. 이에 알엔에스는 Line-V와 ETMC가 향후 레티놀을 대체하는 신물질 주름개선 원료로 발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피부 미백기능성 원료'Melatein X' 알엔에스가 ‘Line-V’와 함께 선보인 ‘Melatein X’는 피부 미백과 관련한 기능성 원료이다. 개구릿대(Angelica anomala) 유래의 Anomalin은 알부틴 대비 50배 이상의 멜라닌 생성억제 효능을 발휘하지만 난용성 물질로서 화장품업계에서 거의 활용되지 못했다. 알엔에스는 Anomalin을 대상으로 AI기술을 활용해 멜라닌 생성억제 효능을 발휘하는 작용기(functional group)를 도출, 다양한 유도체화합물을 합성해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평가했다. 그 결과 멜라닌 생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등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확인된 1,2-cyclohexanedion bis-ethylhexanoate를 Melatein-X로 명명했다. Melatein-X는 98% 이상의 1,2-cyclohexanedion bis- ethylhexanoate를 함유하는 무색의 유용성 물질로 제품 적용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액상의 에스터오일이다. AI를 이용한 Melatein-X의 개발 프로세스 알엔에스에 따르면, Melatein-X는 멜라닌 생성 억제효능, 멜라닌 생성 억제의 작용기전과미백임상평가에서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됐다. # Melatein-X멜라닌 생성 억제능 평가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평가 결과, Melatein-X는 알부틴 대비 50배 이상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tyrosinase의 활성억제 효과는 없었다. 멜라닌 생성 억제 평가에서 Melatein-X는 안전지수(독성농도/효능농도)가 매우 높아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했다. # Melatein-X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기전 Western blot을 이용한 멜라닌 생성 기전 평가 결과, Melatein-X는 멜라닌 생성 관련 유전자(p-CREB, p-MITF, tyrosinase, TRP1, TRP2)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했다. # Melatein-X미백 임상평가 1% Melatein-X를 적용한 크림을 이용해 미백 임상평가를 수행한 결과, Melatein-X 처리 샘플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멜라닌이 과량 생성된 흑화된 피부를 대조군과 비교해 도포 4주 후 피부 밝기(L)가 1.4배 개선됐다. 미백 임상평가 결과, Melatein-X는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1851년 조제 약국에서 출발한 뉴욕 코스메틱 브랜드 키엘이 오늘(12일)부터 17일까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1층에서 홀리데이 팝업스토어 ‘키엘 빌리지’를 운영한다. 키엘 빌리지는 ‘즐거움이 녹지 않는 키엘 홀리데이’를 테마로 뉴욕 크리스마스의 따뜻하고 설레는 홀리데이 무드를 구현했다. 크리스마스 특선 영화 속 한 장면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넓은 공간은 마치 연말에 여행을 온 듯한 즐거움을 선사해 홀리데이 무드를 만끽할 수 있으며키엘의 이웃과 지역 사회에 대한 따스한 애정을 느낄 수 있다. 이번 팝업스토어에서는 키엘의 가장 사랑받는 베스트 제품들을 홀리데이 에디션으로 체험할 수 있는데특별한 패키지로 소장 가치를 더했을 뿐아니라 할인된 가격 혜택도 만나볼 수 있다. 14년 연속 대한민국 No.1수분 크림 울트라 훼이셜 크림 50ml와 125ml로 구성된 ’울트라 훼이셜 크림 듀오 세트’는 팝업스토어 한정 기획 세트로 기존 50ml 제품 대비 -36%할인된 가격에 구매가 가능하다. 또팝업스토어에서는 키엘의 전문적인 스킨 프로로부터 피부 속 수분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분 GPS와 무려 13가지의 다양한 피부 고민을 진단해 주는 더마 리더를 사용한 전문적인 피부 측정도 받을 수 있다. 피부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제품을 추천해 주기 때문에피부 상태에 딱 맞는 선물을 준비할 수 있다. 키엘 포토부스, 키엘 최애 제품 투표, 홀리데이 카드 쓰기 등 다양한 이벤트도 준비돼 있으며모든 이벤트를 완수해 총 3개의 스탬프를 모으면 샘플도 제공된다. 또 전 구매 고객 대상 선착순으로 오너먼트를 제공하며 5만원 이상 구매 시에는 자몽 핸드크림 정품을 증정하고 20만원 이상 구매 시에는 신세계백화점 구매 한정 홀리데이 파우치와여행용 멀티 파우치,여행용 샘플 5종을 추가 증정하는 등 풍성한 혜택을 마련했다. 한편, 이번 키엘 홀리데이 리미티드 에디션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프랑스의 일러스트 혼성 듀오 작가인 이치노리(Ichinori)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탄생했다. 키엘이 처음 문을 연 뉴욕 이스트 빌리지 13번가를 배경으로 유니크한 캐릭터들이 함께 녹지 않는 즐거움이 가득 담긴 파티를 즐기는 모습을 정겨운 일러스트로 표현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재)충북테크노파크(원장 오원근)는 도내 중소기업인 (주)라파로페와(주)푸디웜이 태국의 SuccessMore사와Pet Lovers Centre Tailand사 등과태국 방콕에서 지난 8일 제품공급에 관한 계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피부 트러블 케어 전문기업인 (주)라파로페(대표 황기철)는 비타민 파우더 세안제 '라파비타'1만개를 초도물량으로 SuccessMore사에 공급하는 것으로 계약을 체결했다. SuccessMore사는 태국증권거래소(SET)에 상장된 뷰티헬스 전문유통판매 중견기업으로매출액은 약 3,350만 달러규모에 달하는 중견기업이다. SuccessMore 사는 (주)라파로페가 개발한 증평 인삼이 함유된 인삼뷰티케어 순미한(SUNMIHAN) 제품라인을 전략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곤충을 활용한 곤충단백질제품 스타트업 (주)푸디웜은 ‘라포그 리얼인섹트 소프트키블, 라포그 코어덴탈 츄’ 제품에 관해Pet Lovers Centre Tailand사와 연간 60만불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초도물량은 40피트 컨테이너, 15만불 규모로 선적한 후 온라인 마케팅과이벤트, 매장 디스플레이 등을 검토해내년 3월부터 방콕 펫러버센터 15개, 펫사파리 3개 매장에서 본격적으로 소비자를 공략할 계획이다. Pet Lovers Centre Tailand사는 현재 태국의 수도인 방콕을 중심으로 총 23개 매장에서 매출액 1,100만USD 규모의 팻용품 TOP 브랜드이다. 태국 뿐아니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 브루나이, 필리핀에 110여 개 매장이 있으며각 국의 팻푸드 소비트랜드, 인허가 사항을 단계적으로 검토해(주)푸디웜의 곤충단백질 제품을 동남아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충북테크노파크는 (주)라파로페, (주)푸디웜과 함께 지난해9월 태국에서 찾아가는 현장방문 수출상담회에서 진성바이어를 매칭한 후 FTA, 수출입 인허가, 디자인, 마케팅 전략 등을 각 기업과 협력해지속적으로 전방위에 걸쳐 준비했다. 더불어 태국 현지에서는 Design M 최랑 대표가 충북TP 수출콜럼버스로서 현장에서 필요한 세부적인 사항들을 주재원 역할을 하며 지원한 성과이다. 오원근 원장은 “해외바이어를 발굴해 비즈니스 관계의 시작부터 지속적인 관리와 맞춤형 지원으로 수출에 성공하기까지 연속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며, “메이드인 충북 제품이 해외시장에 이어지고 스며드는 글로벌마케팅을 계속해서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충북테크노파크는 충북수출기업 Biz플랫폼 comeKOREA 활성화와지역기업의 글로벌 마케팅을 가속화를 지원하기 위해▲3D콘텐츠 제작지원 ▲브랜드 마케팅지원 ▲수출콜럼버스 연계 현지화 지원에 대한 참여기업 모집공고를 진행 중이며지난 4일 디지털무역 종합지원을 위해개소한 ‘충북deXter’와 함께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을 추진할 계획이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화장품소재,원료의약품 전문기업 대봉엘에스(대표 박진오)가 지난 11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2023 BASF Personal Care Distributor Conference'에 참석해30여 년간 쌓아온 신뢰를 바탕으로 ‘BASF Valued Partner Award, Longest Partnership’을 수상했다고 오늘(12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BASF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주요 Personal Care Distributor들이 모여 지난 5년간의 성과를 공유하고퍼스널케어 사업부의 중요성을 알리고 결속력을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세계 1위 독일 종합화학기업인 바스프는 퍼스널 케어 원료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대봉엘에스와는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대봉엘에스는 바스프 퍼스널케어 부문의 한국 공식 대리점으로 30년 이상 견고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에 글로벌 네트워크, 트렌드, 마케팅 전략 등을 공유하고 있다. 또바스프가 보유한 선진 기술을 응용해 신제형 기술 가이드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협업 프로모션과 고품질 원료 제공으로 K뷰티의 발전을 함께 이끌어왔다. 한편, 개인의 건강과 편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 민텔에 따르면, 2024년 퍼스널케어 시장은 전년 대비 6.7% 성장한 약 1,82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예측했다. 대봉엘에스 관계자는 “뜻깊은 수상을 받게 되어 매우 영광이다. 이번 수상을 계기로 BASF와 더욱 견고하고 강화된 파트너십을 구축해 더 큰 역사를 만들어 나가겠다”면서 “K뷰티의 인기가 지속되면서 한국 화장품의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기능성 퍼스널케어, 친환경 퍼스널케어 등 트렌드에 맞춘 제품과 서비스의 출시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아시아의 중심에서 퍼스널케어 산업 성장의 발전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코리아나화장품의 4개 브랜드가 '2023 대한민국패키지디자인대전'에서 지난 11월 30일 브론즈 본상(동상)과팩스타상을 수상했다. 이번 디자인대전에서 수상 브랜드는 코리아나화장품의 ▲위네이지 프리미엄 로즈바이탈 라인 ▲라비다 선 솔루션 ▲텐세컨즈 리디자인 ▲앰플엔 블레미샷&인탱글샷이다. 브론즈 본상은 위네이지 프리미엄 로즈바이탈 라인이 수상했다. 핑크 빛 색상에 우아한 장미 패턴을 적용해 다마스크 장미꽃수, 다마스크 장미꽃 오일 등 제품의 성분을 잘 표현했다는 호평을 받았다. 팩스타상은 라비다 선 솔루션, 텐세컨즈 리디자인, 앰플엔 블레미샷&인탱글샷이 수상했다. 라비다 선 솔루션은 고급스러운 색상과 아이콘으로 제품 이미지를 강화했다. 텐세컨즈 리디자인은 버튼형 립스틱과 빅사이즈 쿠션을 화려하고 유니크한 용기에 담아 호평을 받았다. 앰플엔 블레미샷&인탱글샷은 친환경 라벨과 미니멀한 단상자 디자인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코리아나화장품 관계자는 “35년 업력의 브랜드 가치를 디자인에도 담아내려 노력했다”고 밝혔다. 이어 “추후에도 제품력과 브랜드 업력이 잘 드러나면서도 환경, 소비자들의 편리함까지 고려한 디자인을 꾸준히 고안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대한민국패키지디자인대전은 한국패키지디자인협회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한국디자인진흥원 등이 후원하는 국내 대표 디자인 어워드다. 시상식은 지난 11월 30일 서울시 서초구 두성페이퍼갤러리에서 열렸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코스메카코리아가 미국 유통사의 자체 브랜드(PB) 제품 대량 발주와 국내외 신형 채널로의 물량 확대를 통해 올해 4분기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고마진 제품과 고객사 믹스 개선을 통해 2024년에도 이익 양질화가 지속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NH투자증권은 코스메카코리아의 올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1,209억 원, 영업이익은 257% 급증한 134억 원으로 역대 분기 최대 매출액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했다. 코스메카코리아 2023년 4분기 실적 리뷰 (단위 : 십억원, %) 정지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유통사의 PB 제품 대량 발주, 국내외 신형 채널로의 물량 확대, 가동률 상승이 주요인이다"고 설명했다. 한국 법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669억 원, 영업이익은 164% 늘어난 50억 원으로 추정했다. 글로벌 브랜드의 아시아 사업 확장에 따른 생산 품목 증가와 국내 인디 브랜드의 북미(아마존, 세포라), 한국(올리브영, 다이소), 일본(돈키호테, 엣코스메) 등 유통채널 확대로 관련 생산 물량 낙수효과가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고마진 제품 믹스 개선과 잉글우드랩 코리아 법인과의 시너지 발현으로 전분기 대비 이익률 상승을 예상했다. 미국 법인인 잉글우드랩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한 540억 원, 영업이익은 211% 늘어난 84억 원을 추정했다. 특히잉글우드랩코리아는 미국 로컬 브랜드의 저가 스킨케어 대량 주문으로 가동률이 70% 수준으로 상승하며이익 레버리지 효과가 지속 가능할 것으로 봤다. 중국 법인은 매출액이 15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하고영업이익은 4억 원으로 흑자전환할 것으로 추정했다. 기초(머드팩) 카테고리 중심 가동률 상승으로 4분기 역시 수익성에 기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코스메카코리아 실적 전망 (단위 : 십억원, 원, 배, %) 코스메카코리아는 내년 역시 고마진 제품과 고객사 믹스 개선을 기반으로 이익 양질화가 지속될 전망이다. 정지윤 연구원은 “코스메카코리아가 처방을 보유한 글로벌 브랜드의 발주 증대, 내년 2분기 중국 Sun 제품 출시, 내년 하반기 미국 OTC Sun 제품 출시 등 고마진 제품과 고객사 믹스 개선이 지속 가능하다는 판단이다”며, “현재 주가(12월 8일, 37,350원)는 2024F 순이익 기준 12배에 불과해 밸류에이션 매력도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 대표자를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고 있는 중소기업 CEO 조찬간담회를 오는 12월 20일 오전 7시 30분 리버사이드 호텔 5층 루비홀에서 개최한다. 최근 지식재산권과 관련해 해외상표 브로커들이 우리나라 기업의 상표를 악의적으로 도용, 선점하는 등의 피해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등의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이러한 피해사례를 예방하기 위해 중국 상표권 분쟁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인텔런트 특허법률사무소의 유성원 변리사를 초청해 ‘화장품분야 지식재산권 보호 관련 대응 전략’을 주제로 개최한다. 유성원 변리사는 tvn ‘뉴 퀴즈 온 더 블록’에서 중국 상표 브로커의 악의적인 도용 등 피해로부터 막아내고 우리 기업을 보호한 중국 상표권 분쟁 전문가로 출연한바 있다. 이번 간담회 참석대상은 회원사, 비회원사 대표이사이고 신청은 오는 18일까지며 참가비는 무료다. 대한화장품협회 홈페이지(www.kcia.or.kr) 「교육신청」→「세미나 설명회 행사」에서 접수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KT&G의 뷰티생활건강 부문 계열사 코스모코스(대표이사 이정훈)가 특허 원료를 적용한 ‘피부 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 제형을 개발하고 식약처 심사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해 장기간 마스크를 착용하면서 피부가 예민해지거나 트러블을 겪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이에 따라 피부 장벽 케어 제품, 민감 피부 진정 제품의 인기가 높아졌다. 엔데믹 이후에도 자외선, 미세먼지, 급격한 날씨 변화, 스트레스 등으로 자극받은 민감 피부 케어에 대한 관심이 계속되고 있어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세가 전망된다. 코스모코스가 개발한 ‘퍼플 펩타이옴 더마 크림’에는 특허 원료인 배초향잎추출물 ‘퍼플 민트(Purple Mint™)’가 적용되어 있다. 청정 강원 지역에서 자생하는 우리나라 토종 민트 ‘배초향’에서 찾아낸 피부 장벽 강화와주름개선 원료이다. 여기에 제주밭벼누룩발효물에서 찾은 생체 유사 활성 펩타이드인 ‘아스퍼 바이오펩IV(Asper BiopepIV™)’를 더해 자극받은 피부를 빠르게 진정시켜 준다. 이 뿐아니라가려움 개선과 보습, 피부 장벽 회복에 도움을 주는 덱스판테놀, 10종 히알루론산, 5종 세라마이드도 함유되어 있다. 피부 장벽 구성 성분과 유사한 ▲세·콜·지(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성분은 마이크로플루다이징 공법을 통해 미세입자화해한층 더 부드럽고 빠르게 피부에 흡수되도록 완성했다. 성인 남녀 대상 효능 평가 결과, 제품 사용 4주 후 피부 가려움(VAS) 47.15% 감소, 경피 수분 손실량 13.02% 감소, 피부 수분 함유도 35.19% 증가가 확인됐다. 또인체적용시험을 통해서 즉각적인 피부 각질개선 효과, 피부 각질층 10층까지 보습 효과, 48시간 보습 지속력, 물리적 손상에 대한 즉각적인 피부 장벽 개선과진정 효과도 확인됐다. 코스모코스 ODM사업본부 관계자는 “‘퍼플 펩타이옴 더마 크림’은 코스모코스의 독자 원료, 기술력, 30년 노하우가 집약된 기능성 화장품 제형이다. 식약처의 ‘가려움 개선 기능성’ 심사를 완료함으로써 이를 증명했다. 제형 샘플과제품 개발 문의는 온라인 화장품 ODM 플랫폼 ‘코스모코스랩(cosmocoslab.com)’을 통해 간편하게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대구한의대학교 LINC 3.0사업단은 최근 홍콩에서 열린 '2023 코스모프로프 아시아박람회'에 참가했다. 홍콩 코스모프로프 아시아는 아시아 최대의 뷰티 박람회로화장품, 향수, 헤어, 네일, 스킨케어 등 다양한 뷰티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이는 국제적인 행사이다. 대구한의대학교 LINC 3.0사업단은 박람회 참가를 위해 사전교육을 진행해기업과 매칭을 진행했다. (주)바로본, 레드99, (주)미진화장품, (주)토브 등4개기업이 참여했다. Pre단계 사전교육으로는 마케팅과영어교육을 주제로 진행됐으며현지에서 활용하기 위한 매칭된 기업의 설문지와안내 포스터, 기업 관련 대본을 영문으로 제작했다. 2023 홍콩 코스모프로프 박람회참가를 통해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설문지와 포스터를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특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방문객들의 관심과 피드백을 받기 위한 도구로 활용됐다. 또LINC 3.0사업단은 지난 11월 15일 홍콩에서 변창훈 총장과 현지 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에는 LINC 3.0사업단, K-뷰티활성화사업단, 지방대활성화사업단 총 33명이 참석했으며 박람회 참가 경험과 향후 사업 방향에 대해 공유했다. 대구한의대학교 LINC 3.0사업단 산학연계교육지원센터 양은주 센터장은 “이번 박람회 참가를 통해 대학과 기업의 협력,글로벌 현장실무역량 강화를 이루며K-뷰티 산업의 국제화를 촉진하는 데 일조했다. 앞으로도 LINC 3.0사업단은 재학생들과 기업을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호남대학교 뷰티미용학과가 지난 6일 대구한의대학교 삼성캠퍼스 화장품공학관에서 대구한의대 화장품학부, 뷰티케어학과와 교류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학과 간 공유 협력 체계 구축 ▲교과, 비교과 교육과정 공동연구 ▲교류 프로그램 개발, 운영 ▲정보공유, 공동협력 등에 대해 협력키로 했다. 특히 이번 교류협력 협약의 첫 프로그램으로 지난 6일과 7일 1박2일간대구한의대와 함께하는 '우리 함께 Cosmetic & Beauty'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호남대학교 뷰티미용학과 재학생 17명이 참여했으며대구한의대학교와 화장품,뷰티케어분야 관련 ▲기자재 활용법 ▲조향 및 향수 제작 ▲스킨 및 에센스 화장품 제조실습 ▲왁싱 테라피 실습 ▲반영구화장 테크닉 실습 등 뷰티 현장 실무 분야 교육을 통한 대학교류 전공 특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학부 김수야 학부장은 "호남대학교 뷰티미용학과와 교류협력 협약을 맺게 돼 매우 기쁘며화장품 관련 인재양성 육성에 호남대학교 뷰티미용학과와 힘을 합쳐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대구한의대학교 뷰티케어학과 박윤아 학과장은 "호남대학교 뷰티미용학과와 교류할 수 있는 협약을 맺게 돼 뜻깊은 시간이었다. 뷰티 인재양성과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속적인 교류를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호남대학교 뷰티미용학과 전현진 학과장은 "이번 대구한의대학교와의 교류협력 협약 체결을 토대로 뷰티미용학과와 대구한의대학교가 연계된 다양한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해학과 간 공유 협력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한국미용산업협회(KOBIS)는 최근 중소기업중앙회의 수출컨소시엄 사업의 '2024 중국 광저우국제 미용 전시회'의 주관사로 선정됐다. 올해로 35주년을 맞이한 중국 광저우 미용 박람회는 화장품, 헬스케어,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메디컬뷰티 등의 분야를 아우르며 최신 트렌드를 다룬다. 지난 3월 개최된 행사에는약 2,000여 개사, 1만여 개 브랜드가 참여했으며 명실상부 중국 최대의 미용 박람회로 평가된다. 2024 광저우 (춘계) 국제 미용 박람회는 내년 3월 10일부터 12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며박람회의 가장 핵심 장소인 아시아관과 국제관(11-2관, 4-2관)에 한국관이 만들어질 예정이다. 또이번 박람회 참가 업체들에게 장치비와 임차료는 물론물류비, 통역비, 홍보비 등이 국고로 지원될 예정이며참가업체는일부 부담금이 있다. 한국미용산업협회 관계자는 "우리 미용산업의 해외 수출을 활성화 하기 위해 전시회 주관사로 참가하게 됐다"며, 내년도 정부지원 예산지원금이 줄어 조기마감이 예상되니 참가를 희망하는 업체는 서둘러 신청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2024 광저우 (춘계) 국제 미용 박람회에 참가를 원하는 업체는 한국미용산업협회(02-765-7068)로 문의하면 된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슬로우 에이징 컨셔스 브랜드 오르띠에가 지난8일 GS SHOP 홈쇼핑 방송에서 ‘인텐시브 퍼밍 리치 크림’의 ‘명품 언니 패키지’를 또 다시 매진시키며 성공적인 2차 방송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생방송은 앞선 10월 론칭 방송 이후 연이은 매진 달성이라는 의미 있는 성과를 기록했다. 오르띠에 인텐시브 퍼밍 리치 크림은 독자성분 앱소로-펩™이 함유돼 피부 리프팅과 탄력, 주름 등을 개선시켜 주는 일명 ‘나노골드 단백질 크림’으로익성에서 론칭한 슬로우에이징 컨셔스 뷰티 제품이다. 이날 방송에 오르띠에 브랜드 디렉터로 참여한 김선희 씨는 하악 피부 리프팅 개선 효과를 거듭 강조하며나노골드 단백질 크림이 피부 흡수에 탁월해 바르는 즉시 피부를 당겨주는 느낌을 받는다는 실 구매 소비자들의 후기를 직접 소개하며 방송을 진행했다. 오르띠에 관게자는 "지난 론칭 방송 이후 2차 방송에 대한 고객 문의가 쇄도해 성원에 보답하는 마음으로 동일한 가격에 패키지 구성을 업그레이드하고 물량도 더 많이 준비했다"며,"직접 사용해본 분들에게 제품력을 인정받은 결과로 연속 매진 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어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현재 오르띠에 나노골드 단백질 크림은 초도 발주 물량이 완판돼 다음 방송을 준비 중이며 오르띠에 공식 온라인 스토어를 통해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웨딩 서비스에서 시작해 화장품회사로 변신에 성공한 아이패밀리에스씨가 2024년에도 우호적인 해외영업 환경 속 품목 다변화와 수출 지역 다변화를 통해 많은 성장의 기회를 얻을 전망이다. 다만, 마케팅 타겟 다양화는 비용 상승을 수반하는 만큼, 성장과 안정의 균형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아이패밀리에스씨는 2000년 웨딩 서비스로 사업을 시작해2016년 화장품 브랜드 ‘롬앤(rom&nd)’을 론칭했다. 2018년 본격 성장 궤도에 올랐으며2021년 10월 말 코스닥 상장했다. 현재 소비자들에게 예식장, 사진 스튜디오, 예복 업체 등을 소개, 제안하며 중개수수료를 수취하는 웨딩 사업과 색조 화장품 중심의 브랜드 ‘롬앤(rom&nd)’을 필두로 한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올해 3분기 기준 화장품 사업과 웨딩 사업의 매출 비중은 98%와 2%이다. 아이패밀리에스씨 사업부별 매출 비중 (단위 : %) 박은경 삼성증권 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한국과 일본이 높은 성장세를 견인했다면3분기에는 중국을 포함해 더 다양한 국가들에서의 성장이 더해진 모습이다”고 말했다. 올해 3분기 아이패밀리에스씨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7% 상승한 372억 원, 영업이익은 223% 오른 67억 원, 영업이익률은 8.1%pts 상승한 17.9%를 기록했다. 화장품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1% 오른 364억 원, 영업이익은 113% 오른 81억 원으로 또 한번 분기 최대 실적을 갱신했다. 3분기 기준 국내와 일본, 기타해외 매출 비중은 34%와 30%, 36%이다. 아이패밀리에스씨 연도별, 분기별 매출액 추이 (단위 : 십억원, %) 박 연구원은 “화장품부문 주력 시장인 한국과 일본 매출액은 올해 상반기 대비 소폭 낮아졌으나 중국을 비롯해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며 3개 분기 연속 전분기 대비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설명했다. 해외 매출은 24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했다. 특히 일본향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 늘었다. 연초에 전년 대비 대폭 성장한 이래 꾸준히 매출 규모를 유지 중이다. 일본의 화장품 리뷰 플랫폼 lipscosme가 발표하는 화장품 판매 순위 상위권에 아이패밀리에스씨 제품이 다수 포진했고그 외 지역으로의 직간접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119% 성장했다. 아이패밀리에스씨 국가별 화장품 누적 매출액 추이 (단위 : 십억원, %) 국내 매출은 123억 원으로 1년전과 비교해 69% 늘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매출 비중은 5:5로오프라인에서는 현재 립 제품에 매출이 집중돼 있으나 다른 제품군들로 품목을 확대하며 지속 성장을 모색 중이다. 온라인에서는네이버와 자사몰 채널에서 마케팅을 강화할 예정이다. 웨딩 서비스 매출액은 8억 4,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했다. 영업손실 2억 8,000만원을 기록하는 등 적자를 지속했다. 아이패밀리에스씨 연도별, 분기별 영업이익 추이 (단위 : 십억원, %) 박 연구원은 “전 세계적으로 한국 화장품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는 상황 속에서저가 화장품 수요 강세 트렌드가 2025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2024년에도 아이패밀리에스씨에 우호적인 해외영업 환경이 지속될 것이다”고판단했다. 그는 “품목 다변화와 수출 지역 다변화를 통한 매출 성장 잠재력은 충분히 높게 본다”면서도 “품목 다변화와 수출 지역 다변화를 통한 성장의 기회가 많은 만큼 비용 리스크도 동반 상승할 수 밖에 없다 생각해 매출 성장과 수익성 유지의 균형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SSG닷컴이 오는 17일까지 올해 마지막 ‘뷰티 쓱세일’ 행사를 열고올 한 해 가장 많이 판매된 화장품 아이템을 선정하는 2023년 결산 ‘뷰티 어워즈’를 개최한다. SSG닷컴은 올해 1월 1일부터 11월 12일까지의 실제 주문 건수와 매출액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스킨케어, 메이크업, 퍼스널케어, 트렌드뷰티 부문의 각 세부 제품 카테고리별로 1~3위 아이템을 선정했다. 스킨케어 부문에서는 ▲키엘 울트라 훼이셜 크림(크림)▲설화수 자음2종세트(토너/로션)▲에스티로더 홀리데이 리미티드 갈색병세트(에센스/세럼)▲키엘 칼렌듈라 딥 포밍 훼이스 워시(클렌징)▲랑콤 UV 엑스퍼트 세트(썬케어)▲비오템옴므아쿠아파워 올인원세트(맨즈케어)가 올해의 베스트셀러 아이템으로 선정됐다. 메이크업 부문에서는 ▲헤라 블랙쿠션(베이스)▲디올 립글로우(립)▲로라메르시에 아이컬러세트(아이)▲디올백스테이지 글로우 페이스 팔레트(컨투어링)가 선정됐다. 퍼스널케어 부문에서는 ▲클라랑스 예비맘크림세트(바디케어)▲모로칸오일 트리트먼트(헤어케어)▲이솝 아로마틱 핸드밤(핸드케어)▲딥티크 플레르드뽀(향수)가 카테고리별 매출 1위에 올랐다. 2030 고객 선호도가 높은 트렌드뷰티 부문에서는 아이오페(세럼), 유세린(아이크림) 등 스킨케어 브랜드들이 선정됐다. 한편, 쓱닷컴은 올해 마지막 ‘뷰쓱딜’ 행사를 개최해 럭셔리 뷰티 브랜드와 트렌드 뷰티 브랜드 인기 제품을 할인 가격에 판매를 진행한다. 이에 행사 기간 매일 한 브랜드를 선정해 집중 할인 혜택, 쓱닷컴 단독 사은품 등을 제공하는 ‘오늘의 추천 브랜드’ 행사를 개최한다.
■ 개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12월호는 특집'화장품업계 최신 연구'를주제로▲표피 각화세포의 비대칭성 분열이 피부 색소 침착 형성을 제어 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에 대해▲새로운 화장 체험을 위한 디지털 기술 개발▲줄기세포에 주목한 새로운 접근법을 통한 육모 성분의 탐색▲3G(Global, Gender, Generation)▲차세대 제한기술의 개발을 향해▲피부 줄기세포 연구의 진전과 화장품 개발에의 응용 ▲최첨단 피부 과학과 식물연구등으로 구성됐다. [컬럼] 2024년 주요 국가 화장품 수출을 위한 규제 대응 [특집] 화장품업계 최신 연구 1.표피 각화세포의 비대칭성 분열이 피부 색소 침착 형성을 제어 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에 대해 A novel regulatory mechanism underlying asymmetric division of human keratinocytes and the development of skin pigmentation (주)판켈 종합연구소(ファンケル 総合研究所) 榎本有希子・西澤志乃・石渡潮路・櫻井哲人 2.새로운 화장 체험을 위한 디지털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for new cosmetic experience (주)시세이도 미래 개발 연구소(資生堂 みらい開発研究所) 荒井 観・荒川尚美 3.줄기세포에 주목한 새로운 접근법을 통한 육모 성분의 탐색 Exploration of hair-growth ingredients using a new approach focusing on stem cells (주)밀본(ミルボン) / 오사카 공립대학 대학원 의학연구과(大阪公立大学 大学院医学研究料) 菊地哲宏・渡邉紘介 오사카 공립대학 대학원 의학연구과(大阪公立大学 大学院医学研究科) / 오사카 대학 대학원 공학연구과(大阪大学 大学院工学研究科) / 일본학술진흥회(日本学術振與会) 下条 裕 (주)밀본(ミルボン) / 오사카 공립대학 대학원 의학연구과(大阪公立大学 大学院医学研究科) 伊藤 廉,오사카 공립대학 대학원 의학연구과(大阪公立大学 大学院医学研究科) 小澤俊幸 4.3G(Global, Gender, Generation) KOSÉ’s latest research on cosmetics “3G (Global, Gender, Generation)” (주)고세 연구전략실(コーセー 研究戦略室) 浜松和芳 5.차세대 제한기술의 개발을 향해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antiperspirant technique 오사카 대학 대학원 약학연구과 첨단 화장품 과학 공동 연구강좌(大阪大学大学院 薬学研究科先端化粧品科学共同研究講座) 加藤寛子 (주)맨담 첨단기술 연구소(マンダム 先端技術研究所) 久加亜由美, (주)맨담 스킨케어 연구소(マンダム スキンケア研究所) 茶谷芳光 오사카 대학 대학원 약학연구과 첨단 화장품 과학 공동 연구강좌(大阪大学大学院 薬学研究科先端化粧品科学共同研究講座) / (주)맨담 첨단기술 연구소(マンダム 先端技術研究所) 原 武史 6.피부 줄기세포 연구의 진전과 화장품 개발에의 응용 Progress in stem cell research in skin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development (주)일본 메나드 화장품 종합연구소(日本メナード化粧品 総合研究所) 長谷川靖司 7.최첨단 피부 과학과 식물연구 Cutting edge dermatology and plants research (주)노에비아 그룹 종합연구개발부(ノエビア グループ 総合研究開発部) 新垣健太 [최신 연구] 1.섬유아세포에서 활성산소종 유발성 세포 장애에 영향을 주는 수소 나노 버블의 유용성 Effects of hydrogen nanobubbles on reactive oxygen species-induced cytotoxicity in 3T3-L1 fibroblasts 加藤久詞・竹島陽介・安東 淳・井澤鉄也 2.키즈(kids) 연구로 산업 빅뱅을 일으켜라! Industrial big bangs via science projects for kids 加世田国与士 3.메추라기 난각막 펩타이드 Quail eggshell membrane peptide 服部隆史 [테마기획] 2023년 3분기 화장품 공개기업 75개사 실적 분석 [Topics] 직접 취재로 살펴본 대만 화장품 제도와 PIF 제도주의점 [포커스] 대한화장품학회 ‘2023년 제3차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750명 참가 ‘성황' [세미나 지상중계] 코스인-KBI 공동주관 ‘글로벌 이슈, 2024년 화장품시장 이슈와 전망 컨퍼런스’ [소비자 조사보고 시리즈] 소비자가 사용하는 바디케어 제품 종류는? [기업탐방] ‘작지만 강한 기업’ 예그리나, 글로벌 리딩 뷰티 컴퍼니 '도약' [물류] 디지털 교역과 디지털 생산의 부상 [특허정보] 2023년 7월 공개 한국 화장품 특허 현황 [Catch the Wind] 고맙습니다! 프레그런스저널 Journal by Journal 2023년 글로벌 화장품 미용 대표 박람회 일정표 편집위원, 전문위원, 해외통신원 소개 알림, 판권 ■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소개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1973년 창간된 일본 유일한 향장품(화장품, 의약부외품)에 대한 연구개발 기술 전문 저널인 프레그런스저널(FJ)의 한국판이다. 국내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한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전문지로 일본과 국내의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원료, 부자재, OEM ODM, 임상실험, 기계설비 등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한다.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분야에서 국내 보다 앞선 일본의 수준 높은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논문과 최신 트렌드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글로벌 화장품 시장을 겨냥한 국내 업계에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 프레그런스저널사와 정기적으로 화장품 신소재 신기술 교육 세미나, 기술 이전, 수출입 교역, 화장품 B2B 박람회 등 다양한 공동업무 진행을 통해 전문저널의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다. 회사명 : (주)코스인 설립일자 : 2012년 4월 대표이사 : 길기우 사업내용 : 화장품 뷰티 산업 온라인 웹뉴스, 교육 세미나 정보 사업, 컨설팅 사업, 국내외 화장품 박람회 공동 주관, 협회 신문 발간 대행 사업, 출판 및 전자상거래 사업 등 주소 : 서울시 금천구 디지털로9길 99 805호(가산동 스타밸리) TEL 02-2068-3413 FAX 02-2068-3412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아모레퍼시픽 공식 쇼핑몰인 아모레몰에서 오늘(11일)부터 2주간 ‘2023 Winter 아모레 세일 페스타’를 개최한다. 연중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쇼핑 페스티벌인 아모레 세일 페스타(이하 아세페)는 이번 행사에서 '차원이 다른 싼타 클래스'라는 슬로건과 함께 크리스마스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선보인다. 아모레퍼시픽 대표 브랜드들의 아세페 한정 기획세트와 콜라보 장인 모남희의 미니 키링이 숨겨진 크리스마스 어드벤트 캘린더를 출시한다. 1만 개 한정 수량으로 준비한 어드벤트 캘린더는 7만원 이상 제품 구매 시 7,900원에 구매 가능하다. CJ더마켓과 함께하는 ‘브랜드 데이’에서는 ‘단 하루 혜택’과 릴레이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며라이브 방송 상품을 구매하면 CJ더마켓에서 사용 가능한 할인 쿠폰을 받을 수 있다. 신규 고객을 위한 혜택도 준비했다. 아세페 기간 동안 아모레몰 신규 가입 고객에게는 즉시 사용 가능한 뷰티포인트 5천점과 함께 3만원 이상 구매했을 경우 모남희 미니 거울을 선착순 지급한다. 한편, 이번 아세페는 ‘유죄인간’ 이석훈이 메인 모델로 활동한다. 로맨틱한 산타 콘셉트의 지면과 영상 광고를 선보이고 아세페 최초로 진행하는 미니콘서트의 게스트로 출연한다. 콘서트 응모는 오는13일까지 아모레몰에서 신청 가능하다. 아모레퍼시픽 e커머스 디비전 김경연 상무는 “이번 아세페 행사가 2023년을 마무리하는 고객에게 쇼핑의 즐거움과 행복을 전하는 따뜻한 행사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주수아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3년 12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12월호는 특집으로 '화장품업계 최신 연구'를주제로▲표피 각화세포의 비대칭성 분열이 피부 색소 침착 형성을 제어 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에 대해▲새로운 화장 체험을 위한 디지털 기술 개발▲줄기세포에 주목한 새로운 접근법을 통한 육모 성분의 탐색▲3G(Global, Gender, Generation)▲차세대 제한기술의 개발을 향해▲피부 줄기세포 연구의 진전과 화장품 개발에의 응용 ▲최첨단 피부 과학과 식물연구등으로 구성됐다. 세미나 지상중계는 화장품업계에서 가장 많은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행사인 코스인과 KBI 공동주관'글로벌 이슈, 2024 화장품 시장 이슈와 전망 컨퍼런스' 실황을 다뤘다.포커스에서는 지난 11월 16일 더케이호텔 서울 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에서 화장품 연구개발자 등 7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대한화장품학회 ‘2023년 제3차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에 대해 다뤘다. 기업탐방은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ODM OBM 전문 제조기업 예그리나의 분석기사를 보도했다.소비자 조사보고 시리즈는'소비자가 사용하는 바디케어 제품 종류'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했다. 물류 섹션에서는 물류 트렌드를 바꾸고 있는 디지털 교역과 생산에 관해살펴봤다. 최신 한국 특허정보 소개는 2023년 7월 공개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이 게재됐다. 한편,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국내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한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저널로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원료, 부자재, OEM ODM, 임상시험, 기계설비 등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를 제공하고 있다. 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등 전국 유명 대형서점과 예스24, 인터파크, 도서11번가, 알라딘, 갓피플 등 유명 인터넷 서점 등에 배포돼 보다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뷰티 플랫폼기업 씨티케이(260930, 대표이사 정인용)가 빅데이터와AI 기반 글로벌 화장품 인허가 플랫폼 운영기업 씨디알아이(CDRI, 대표이사 김준일)에 전략적 투자 집행을 결정했다고 오늘(11일) 밝혔다. 이번 투자집행에 대해 정인용 씨티케이 대표이사는 “최근 씨티케이클립에 글로벌 신규 고객풀이 크게 확대되면서 이에 따른 각종 규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며 “CDRI 플랫폼과의 연계 시너지를 통해 더욱 빠르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설명했다. 전략적 투자와협업 진행을 결정한 것은 CDRI가 가진 빅데이터와 블록체인 기술 등을 기반으로 ‘씨티케이클립’ 고객들에 더욱 고도화된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씨티케이가 운영하는 씨티케이클립 플랫폼은 화장품의 기획부터 개발과 생산까지 뷰티의 모든 것을 턴키로 제공하며아시아 뿐아니라 미국과 유럽을 아우르는 글로벌 뷰티 기업들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각 국가와 시장별 규제와 인허가 구조는다양하고 복잡한 만큼화장품을 개발하고 런칭하기 위해서는 이에 부합한 정확하고 정밀한 설계가 필요하다. 씨티케이가 CDRI와 함께 개발할 맞춤식 솔루션은 이런 수요에 맞춰AI를 기반으로 고도화된 자동 인허가 신청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목표다. 아이디에이션(기획개발) 단계부터 UX와UI까지 씨티케이클립의 고객 맞춤식 서비스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2020년 설립된 뷰티 IT 솔루션 기업인 CDRI는 화장품 빅데이터에 AI 기술을 접목한 경쟁력을 기반으로 화장품 인허가 절차와임상시험 자동화를 저비용에 빠르게 제공한다. 600여 개의 뷰티 기업들을 대상으로 총 36개국에 누적 3,500건 이상의 인허가 신청을 진행해온 경험을 가졌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국내 화장품 기업에 대한 투자심리가 좀처럼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일부 기업의 주가가 크게 오르기는 했지만 전체적인 분위기를 반전시키지는 못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월 4일부터 8일까지 한 주간 화장품 기업의 주가는 전주 대비 0.85% 하락했다. 해당 화장품 기업은 네이버증권 화장품업종에 속한 기업 61곳 가운데 우선주와 거래정지 중인 스킨앤스킨, 씨엔티드림, 에스디생명공학을 제외한 53곳을 기준으로 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2월 1일 스킨앤스킨의 주권매매거래정지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스킨앤스킨은 주식의 병합, 분할 등 전자등록 변경, 말소에 따라 12월 6일부터 신주권 변경상장일 전일까지 거래가 정지된다. 지난 한 주 사이 국내 화장품 기업 가운데 주가가 가장 크게 오른 것은 코스나인(19.32%)이다. 지난주 들어서도 잠잠하던 코스나인의 주가는 12월 8일 376원에 거래를 시작해 전 거래일 대비 112원(29.79%) 오른 488원에 거래를 마치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와 관련해 특별한 이슈는 전해지지 않았으나 일각에서는 중국 최대 규모 네트워크 판매 기업인 티엔스와의 협력관계 구축으로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것이 주가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진코스텍(11.91%), 한국콜마홀딩스(11.19%)의 주가도 10% 넘게 뛰었다. 또 씨티케이(8.76%), 코스맥스(7.94%), 한국콜마(7.50%), 바른손(7.21%), 코스메카코리아(6.11%), 엔에프씨(5.21%), 브이티(5.11%)의 주가도 강세를 보였다. 메디앙스(4.40%), 잉글우드랩(3.26%), 선진뷰티사이언스(2.11%), 아이패밀리에스씨(2.01%), 제로투세븐(1.54%), 올리패스(1.46%), 컬러레이(1.46%), 현대퓨처넷(1.23%), CSA 코스믹(1.11%), 노드메이슨(1.01%), 라파스(0.70%), 잇츠한불(0.68%), 원익(0.40%), 셀바이오휴먼텍(0.26%), 세화피앤씨(0.21%)의 주가도 올랐다. 내츄럴엔도텍(0.00%)의 주가는 한 주 사이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국내 주요 화장품 종목 수익률 반면, 파워풀엑스(-32.27%), 에스알바이오텍(-25.67%)의 주가는 한 주 사이 폭락했다. 파워풀엑스의 주가 하락에 대해서도 특별한 이슈는 전해지지 않았다. 파워풀엑스의 주가는 12월 4일(-1.14%)부터 5일(-14.94%), 6일(-15.00%) 연일 하락세를 보이다 7일(9.70%) 가까스로 반등에 성공했으나 8일(-13.62%) 다시 미끄러졌다. 에스알바이오텍도 지난 한 주 주춤거리던 주가가 12월 8일 전 거래일 대비 380원(-11.55%) 내린 2,910에 거래를 마쳤다. 마녀공장(-15.25%), 글로본(-11.11%)의 주가도 크게 내렸다. 애경산업(-9.04%), 본느(-6.18%), 나우코스(-5.92%), 씨앤씨인터내셔널(-5.25%), 오가닉티코스메틱(-4.65%), 디와이디(-4.59%), 에이블씨엔씨(-4.45%), 클리오(-3.83%), 제이준코스메틱(-3.68%), 한국화장품제조(-3.58%), 한국화장품(-3.25%), 이노진(-3.15%), 현대바이오(-2.91%), 아우딘퓨쳐스(-2.53%), LG생활건강(-2.29%), 아모레퍼시픽(-2.03%), 코디(-1.58%), 코리아나(-0.89%), 아모레G(-0.73%), 토니모리(-0.61%), 제닉(-0.56%), 현대바이오랜드(-0.50%), 네오팜(-0.43%)의 주가도 약세를 나타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올 한해 동안 진행한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과 '피부-유전체 분석 정보’에 대한 결과를 종합 분석, 공유하는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 분석 세미나'와 ‘피부-유전체 사업 결과와 맞춤형 화장품 개발 세미나’를 지난 7일과 8일 서울 학여울역 SETEC 컨벤션홀에서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해외 시장의 동향과 트렌드 정보 조사 결과(EC21 R&C) ▲해외 주요 수출 국가의 K-뷰티 현황(EC21 R&C)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 마케팅 조사 사업 결과(우리누리)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해외 마케팅 지원 사업 소개와 활용 방안(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중국, EU, 일본 화장품 규제 현황 정보-규정 변화와 서류 준비 주의사항(CIRS Korea) ▲미국 화장품 현대화법 현황 및 대응 전략(리이치24시코리아)에 대해 공유했다. 이번 세미나는 화장품 수출에 필요한 시장 동향과 트렌드 정보부터 주요 국가의 규제 현황과 피부특성, 유전체 자료까지 한번에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특히 수출 국가 다변화 전략 수립과 국가별 맞춤형 화장품 개발 등 화장품 업계에 도움이 됐다. 연구원은 18개국의 피부 측정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피부특성 정보은행’ 운영하고 있으며 데이터 분양을 통해 기업의 맞춤형 화장품 개발과 스마트 뷰티 테크 기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12월 8일에는 ‘피부-유전체 사업 결과와 맞춤형 화장품 개발 세미나’를 개최해 ▲일본의 제품 개발 가이드라인-개발자 관점(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일본의 제품 개발 가이드라인-마케터 관점(칸타코리아) ▲피부-유전체 정보제공 플랫폼 소개(와이즈사이언스) ▲인도네시아의 피부 유전체 분석센터 구축사업 피부측정 결과(더마프로)▲피부 유전체 분석센터 구축사업 설문조사(리이치24시코리아)▲피부 유전체 분석센터 구축사업 유전체 결과(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피부 유전체 분석센터 구축사업 미생물 분석(중앙대학교) ▲피부특성 정보은행 소개 및 활용 팁(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등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