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8,028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중소,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개최하는 해외전시회에 개별적으로 참가 시 직접비용과 마케팅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오는 2023년 1월 6일까지 참가기업을 모집한다.지원규모는국내 중소, 중견기업 1,400개사다. 사업내용은기업 당 해외전시회 1회, 최대 500만원 내 지원항목에 대해 사후 실비를 지원한다. ① 2023년 해외전시회 직접비용(2023년 1월 1일~12월 31일 내에 개최되는 전시회에 한함) 오프라인 해외전시회 : 부스임차료(필수), 장치 설치비, 집기 대여비(선택), 온라인 해외전시회 : 전시회 참가비(필수) ② 전시품 해상, 항공 편도(수출) 운송비용 ③ 해외전시회 현지 주최사 제공 마케팅 서비스 비용 (온-오프라인 모두 해당) ④ 주최사에 의한 개최취소, 차년도 연기에 따른 해외전시회 매몰 비용, 해외주최사에 의해 이월, 반환되지 않는 실 매몰비용에 한해 정산한다.신청은온라인으로 접수하면 되고 자세한 문의는산업통상자원부(02-420-2042, ex@akei.or.kr)로 하면 된다. * 제목 : 2023년 해외전시회 개별참가 지원사업 모집 * 주관 : 산업통상자원부 * 사업기간 : 업체 선정 후 협의 * 모집기간 : 2023년 1월 6일 * 사업개요 : 국내 중소,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개최하는 해외전시회에 개별적으로 참가 시 직접비용과 마케팅비를 지원하는 사업 * 지원규모 : 국내 중소·중견기업 1,400개사 * 사업내용 : 기업 당 해외전시회 1회, 최대 500만원 내 지원항목 사후 실비지원 ① 2023년 해외전시회 직접비용(2023년 1월 1일~12월 31일 내에 개최되는 전시회에 한함) 오프라인 해외전시회 : 부스임차료(필수), 장치 설치비, 집기 대여비(선택), 온라인 해외전시회 : 전시회 참가비(필수) ② 전시품 해상, 항공 편도(수출) 운송비용 ③ 해외전시회 현지 주최사 제공 마케팅 서비스 비용 (온-오프라인 모두 해당) ④ 주최사에 의한 개최취소, 차년도 연기에 따른 해외전시회 매몰 비용, 해외주최사에 의해 이월, 반환되지 않는 실 매몰비용에 한해 정산 * 신청방법 : 온라인 접수 * 상세문의 : 산업통상자원부(02-420-2042, ex@akei.or.kr)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비엘이 스위스의 다국적 화장품 소재 공급사인 ‘RAHN Group’과 파트너십을 맺고 기능성화장품 원료 수출을 본격화한다고 6일 밝혔다. ‘RAHN group(이하 RAHN)’은 1940년에 설립된 스위스 기업으로 기능성화장품, 식품, 화학제품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스위스, 미국, 프랑스, 독일, 영국 지사를 통해 전 세계 기업들에 소재를 공급하는 다국적 글로벌 기업이다. 비엘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자사의 ‘폴리감마글루탐산칼륨(이하 PGA-K)’을 기능성화장품 원료로 ‘RAHN’에 공급하고‘RAHN’은 세계적 명품 화장품 브랜드사에 비엘의 ‘PGA-K’를 공급하게 된다. ‘PGA-K’는 비엘이 독자 개발한 식물성 유래 면역조절 물질로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면서도 수반되는 염증반응은 일으키지 않는 신개념 약물이다. 특히 화장품 원료로 활용할 경우 피부진정 효과와 보습효과가 뛰어난 장점을 갖고 있다는 것이 회사 설명이다. 회사 관계자는 “비엘이 개발한 ‘PGA-K’는 신약개발 물질로 활용될 뿐아니라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등의 기능성 소재로도 다양하게 활용되는 플랫폼 물질이다”면서 “RAHN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해 PGA-K 공급처 확대와수출확대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지난해 코로나19로침체됐던 화장품, 뷰티 전시회 시장은 엔데믹 시대를 맞이하며 오프라인 전시회로 재전환하며 대부분 좋은 결과를 이끌어 냈다. 올해 뷰티, 화장품 전시회 시장은 전년보다 더 큰 규모로 진행될 전망이다. 이전에 오프라인으로 전환하지 못했던 국내외 박람회들도 올해는 오프라인 전시회로 전환될 것이고 무엇보다 세계적인 경제 침체로 전반적인 화장품 시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바그 어느 때보다 전시회에서의 각축전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화장품 업계는 지난해 중국의 봉쇄와 궈차오(애국소비) 문화로 인해 수출에 큰 타격을 받았고 이에 대한 여파는 지금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때문에 국내 화장품 업체들은 더 이상 중국 시장에만 제한을 두지 않고 더 다양한 해외 전시회 소식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2023년 뷰티, 화장품 박람회는 국내외를 불문하고 전년보다 더 다양한 전시회들이전년보다 더 뜨거운 관심 속에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코스인은 2023년 상반기 국내외 주목할 만한 박람회들을 정리했다. # CI KOREA 2023(국제화장품원료기술전) (2023년4월18일~21일) 오는 4월에는 화장품 원료 소재와 R&D 전시회인 'CI KOREA 2023(국제화장품원료기술전)'이 킨텍스에서 열린다. 'CI KOREA 2023(국제화장품원료기술전)'는 화장품 원료와 소재, OEM ODM 서비스, 기능성, 유기농, 바이오 화장품, 패키지, 분석 서비스 등 국내 화장품업계의 제품개발, 품질향상을 위한 다양한 제품과 기술이 소개되는 전시회다. 지난 2022년 CI KOREA 2022에는 약 1,500개사의 국내외 업체가 3,585 부스로참가했다. 참관객은 46,457명을 기록했으며 이 중 150개사 200개 부스가 화장품, 바이오분야 원료와 기술 서비스 업체로 구성됐다. 전시회에서는 신기술, 신소재 세미나, 중국 시장 동향 세미나 등 양질의 에듀케이션 프로그램을 준비해 관람객에게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했다. 또 여러 신제품과 신기술 등을 소개하는 특별관을 마련하는가 하면, 오라인 미팅, 출품기업 매치메이킹 등 바이어 대면 미팅을 통해 실질적인 계약 성약률을 높여 업체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경연전람 관계자는 "이번 'CI KOREA 2023'에서는 매년 진행했던 씨아이코리아컨퍼런스를 비롯해 많은 컨퍼런스가 예정돼 있으며보다 다양한 세미나를 위해 논의 중에 있다"며, "또 해외 바이어와의 1:1 상담회를 오프라인으로 진행하고 핵심 바이어들을 직접 초청해 참가 업체 부스 내에서 상담회를 진행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바란다"고 전했다. # 제37회 서울국제화장품 미용산업박람회(코스모뷰티 서울) (2023년5월25일~27일) 올해로 제37회를 맞이하는 ‘서울국제화장품 미용산업박람회(코스모뷰티 서울)은 오는 5월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코스모뷰티 서울은 ‘국제건강산업박람회(헬스라이프스타일서울)’과 함께 1987년을 시작으로 36년째 개최되는 국내 가장 오랜 전통과 노하우를 보유한 화장품, 뷰티, 헬스 전문 전시회이며 매년 국제인증 전시회로 인증받고 있다. 지난해 열린 ‘2022 코스모뷰티 서울’은 오프라인으로 개최돼 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인파가 몰려들었는데약 300개사 450개 부스 규모 화장품 업체가 참가했으며 34,151(바이어 14,685명)명이라는 참관객이 찾아오는 성황을 이뤘다. 특히 폴란드, 미국, 캐나다, 중국 등 지난 2년 동안 만나볼 수 없었던 해외 업체들이 참가해 해외 화장품과 뷰티 제품, 서비스를 한 자리에서 직접 보고 느낄 수 있어 많은 업체들에게 호평을 받았다는 후문이다. B2B 전문 전시회라는 명성에 걸맞게 ▲수출 상담회와 ▲유통 상담회▲수입 상담회 등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그램을 제공해 바이어와 접촉점을 늘렸으며행사기간 3일동안 총 922건의 사전 예약된 상담을 진행해 이 중 해외 바이어 상담 매칭 건수가 605건에 달하는 등 역대 최다 사전 매칭 비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 일본 코스메 도쿄&테크 미용 박람회 (2023년1월11일~13일) 일본 최대 규모의 화장품 박람회 ‘일본 코스메 도쿄&테크 미용 박람회’는 1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다. 특히 국내 화장품업계가 최근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함과 동시에 일본 시장에서는 괄목할 만한 성적을 펼치고 있어 일본 뷰티 박람회에 대한 업계의 관심도가 뜨거운 추세다. 아시아와 세계를 잇는 ‘코스메 도쿄, 코스메 테크’에서는 뷰티 산업을 휩쓸 새로운 트렌드와 제품, 서비스를 직접 만나볼 수 있다. 오늘날 아시아, 특히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곧 세계적인 트렌드가 되고 있다. ‘제12회 코스메테크’, ‘제2회 미용의료엑스포’, ‘제5회 미용건강식품 엑스포’와 함께 개최되며 올해는 ‘화장품 마케팅 엑스포’까지 동시에 개최된다. 전시 품목은 피부 케어, 헤어케어, 건강식품, 친환경 기능성 제품, 유아용 케어 제품, 메이크업 제품, 향수 등 완제품 뿐아니라 OEM ODM, 용기, 원료, 라벨 등 코스메틱에 관련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참가한다. 일본 최대 규모의 박람회인 만큼 매년 약 3만명에 달하는 방문객들이 방문하고 있으며 화장품 업계 종사자는 물론 대형 유통기업, 수출, 수입 기업, 도소매 업자, 미용업 등의 다양한 종사자들도 방문해 비즈니스 창출과 기업 이익에 직결되는 무역의 기회를 노릴 수 있는 박람회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 2023 CBE 중국 뷰티 박람회(CBE China Beauty Expo) (2023년 5월12일~14일) 상하이에서 열리는 중국 최대 뷰티 박람회인 ‘2023 CBE 중국 뷰티 박람회’는 5월개최될 예정이다. 특히 지난해 5월로 예정돼 있던 개최일이 중국 도시 봉쇄로 인해 12월로 전격 연기되고 그마저도 온라인으로 개최돼 이번 ‘CBE 중국 뷰티 박람회’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국내 화장품 수출업계가 아무리 큰 타격을 받았어도 여전히 최대 수출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그리고 그 중국의 최대 뷰티 박람회인 만큼 이번 박람회 역시 국내 업체들에게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CBE 중국 뷰티 박람회’는 매년 100만 명 이상의 핵심 활성 전문 바이어를 모으고 온라인 테마 활동, 라이브 방송, 무역 매칭 미팅 등을 선보여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전시회다. 특히 오프라인 자원과 온라인을 통합하면서 더 많은 바이어와 업체들을 만날 수 있어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 미국 라스베가스 IECSC/BE 미용 박람회 (2023년 6월24일~26일) 오는 6월개최되는 ‘미국 라스베가스 IECSC 국제 미용, 스파 전시회(IECSC Las Vegas)’는 미국 라스베가스 지역 최대의 에스테틱, 뷰티, B2B 전시회다. 미국 내 뉴욕과 시카고, 라스베가스 그리고 플로리다에서 한 번씩, 연 4회 진행되며 참관객의 다수가 구매 결정권자로 이뤄져 대부분 전시 기간 내 제품을 구매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미국은 전 세계 화장품 시장 규모 1위에 빛나는 명실상부 화장품 대국이다. IBIS World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화장품 시장은 향후 5년간 평균 1.2% 성장해 2023년까지 약 237억 달러의 규모로 확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술과 마케팅에 중점을 두며 화장품 강국으로 떠오른 미국, 그리고 그 중 라스베가스라는 지리적 특성상 전 세계의 미용 업계 종사자들이 참여하는 박람회이며 미국 뿐아니라 전 세계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는 전시회다. 때문에 국내 화장품 업계는 물론 전 세계적인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주)에코바이오의학연구소(대표 구태규, 국제헤드스파협회 의장)는지난해 12월 15일 K-HEAD SPA 베트남 진출을 위한 협약식을 성공리에 개최했다. (주)에코바이오의학연구소와 한남대학교에서 개최한 이번 협약식은 사이공백과대 Hoang Van Phuc 총장, 박린성공업경제기술전문대 Dao Thi Le 총장, 우즈베키스탄 코칸트 대학교 이성준 총장, 한남대학교 박길철 부총장, 사이공백과대 Nguyen Duc Dung 국제처장, DTE Tran Huu Yen Loan 교수, GMVH Co,. 박상순 대표, 한국헤드스파협회 박안나 회장이 참석했다. 특히국제헤드스파협회는 헤드스파의 최고의 기술력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전국의 미용대학과 산업체에 기술력을 전파하고 있다.'헤드스파K'프랜차이즈를 통해전국의 주요 거점과백화점에서 탈모인들의 애로와 다양한 연령층의 두피건강을 책임지고 있다. 나아가이번 K-HEAD SPA 베트남 진출을 위한 협약식에서는 베트남대학과 함께 한국의 헤드스파 산업을 대표하는 프랜차이즈 헤드스파K의 대표단 12명이 참석했으며경쟁력 있는 헤드스파 기술교육 협력을 통해더 큰 미래로 나아가는 것을 목표로 협약식을 진행했다. 또헤드스파K는 2022년 국내외 시장에서뜨거운 반응으로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제11회 이데일리 W페스타, 2022 오송 화장품 뷰티 산업 엑스포, 제9차 오리엔탈 뷰티컨퍼런스 등의 주요 행사에 연달아 참석했다. 더불어(주)에코바이오의학연구소는 (사)한국서비스경영학회에서 주관한 2022년 추계 학술 세미나에 참석해두피, 모발 인식의 높아짐에 따른 헤드스파 미용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세에 대한 분석을 발표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한편, 헤드스파K는 지난해 12월 천안 쌍용점과의 계약을 완료하고롯데백화점 상인점과 울산 우정혁신점을 오픈했으며이어서 서울 건국대학교와 베트남 하노이에서도 신규 프랜차이즈(전문점)가 오픈될 예정이다. 국제헤드스파협회 교육과가맹점 대한 상담은 042-825-8808(1)로 가능하며공식 홈페이지(http://www.headspa.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유한킴벌리 그린핑거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가려움 개선 기능성 화장품 허가를 받은 신제품 '판테딘 엠디 더마 크림'을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피부장벽 기능 강화를 통해 겨울철 등 건조한 환경에서 가려움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으로피부장벽 강화에 도움을 주는 고햠량(5%)의 판테놀과 세라마이드, 달맞이꽃오일 등을 함유하고 있다. 출시 전 실시한 인체적용실험에서도 사용 4주 후 가려움도는 약 58%, 수분 함유량은 약 40%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피부 진정과 보습, 안전성 등 기본 기능에도 충실했다. 피부진정과 보습에 도움을 주는 특허 성분 '엠디 카밍 콤플렉스'(피버퓨, 꿀풀, 오이풀 추출물)을 적용했고알레르기 유발 가능 향(식약처 고시 성분 25종) 무첨가, 민감성 피부 대상 14일 누적 자극 테스트 등을 통해 보다 안심하고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린핑거 담당자는 "연약하고 예민한 피부에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피부장벽 강화에 집중했다"며 "기능성화장품으로 인정받은 제품인 만큼피부 건강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유한킴벌리 그린핑거는 15년간의 시장 경험을 바탕으로 온 가족용 스킨케어 라인업 ▲그린핑거 포레스트, 육아용품 전문 브랜드 ▲그린핑거 베베그로우 등 화장품과 생활용품을 아우르는 종합 유아아동 솔루션 브랜드로 확장해 가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소셜벤처 슬록(주)는 오는 1월 12일 오후 16시 30분부터 18시 30분까지 헬로강남 회의실 812호(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65길 12, 한서그린빌리지 812호 강남역 10번출구)에서 화장품 자원순환 플랫폼 노웨이스트(www.nowaste.kr) 론칭 기자회견을 실시한다. 이날 기자회견은 화장품 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인 불용자원 폐기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직접 소개하고 화장품 업계의 순환경제 전환과 지속가능한 미래의시작을 함께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 일시 : 2023년 1월 12일(목) 16:30~18:30 * 장소 : 헬로강남 회의실 812호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65길 12, 한서그린빌리지 812호 강남역 10번 출구)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1851년 조제 약국에서 출발한 뉴욕 코스메틱 브랜드 키엘이 6일롯데백화점 본점 지하 1층에서 ‘롯데 메가 이벤트’ 울트라 훼이셜 크림 팝업스토어를 오픈한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13년 연속 대한민국 수분 크림 1위자리를 지키고 있는 국민 수분 크림이자 키엘의 베스트셀러인 ‘울트라 훼이셜 크림’을 더 많은 고객들과 만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울트라 훼이셜 크림 자체를 거대한 팝업스토어로 제작해재미를 더하고내부는 마치 북극에 온 듯 이글루처럼 조성해극한의 추위 속에서도 강력한 2중 보습 효과를 선사하는 ‘울트라 훼이셜 크림’의 효능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형상화한 것이 특징이다. 울트라 훼이셜 크림과 함께 신제품 ‘울트라 훼이셜 어드밴스드 리페어베리어 크림’을 경험할 수 있는 체험 존과 빙하와 펭귄 등을 활용한 포토 스팟 그리고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액티비티 존으로 구성됐으며팝업스토어를 모두 체험한 고객에게는 특별 구성된 키엘 샘플을 증정한다. 또키엘은 롯데백화점과 함께 이번 팝업스토어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한정판 제품을 선보인다. 롯데월드타워일러스트가 담긴 ‘울트라 훼이셜 크림 스페셜 에디션’ 50ml와 125ml, 롯데백화점 단독 패키지의 홈 앤 어웨이 듀오(울트라 훼이셜 크림 50ml, 125ml 세트),울트라 촉촉 세트(울트라 훼이셜 토너 250ml 세트), 투명 촉촉 세트(투명 에센스 50ml 세트)등 키엘의 인기 제품을 구매한 고객 대상으로 다양한 사은품이 증정되는 세트들도 다양하게 구성됐다. 무엇보다 ‘울트라 훼이셜 토너 500ml’ 대용량 제품을 롯데 온-오프라인 매장에 선출시해 눈길을 끈다. 한편, 키엘의 ‘롯데 메가 이벤트’ 울트라 훼이셜 크림 팝업스토어는 6일부터 15일까지 총 10일간 진행되며오픈 첫날 오전에는 뷰티 크리에이터 이사배와 오마이걸 유아·아린, 부캐 다나카상으로 활약하고 있는 코미디언 김경욱 등이 팝업스토어를 방문해 자리를 빛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KOTRA(사장 유정열)는 5일부터 8일(현지 시간)까지 총 4일에 걸쳐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되는 ‘CES 2023(Consumer Electronics Show)’ 내에 통합한국관을 운영한다. 올해도 통합한국관에 KOTRA를 비롯해 총 12개기관이 참여하며유레카관 77개사, 국가관(Country Pavilion) 14개사 등 국내기업 총 91개사를 지원한다. 12개 기관은 KOTRA,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기도, 용인시), 창원산업진흥원, 인천테크노파크, 부산경제진흥원, 대덕이노폴리스벤쳐협회, 충청남도, 경남테크노파크,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성남산업진흥원, 아주대학교 등이다. 미국가전협회가 첨단 신제품에 대해 수여하는 혁신상(Innovation Award) 수상 명단에는 삼성, LG와 같은 대기업은 물론통합한국관 참가기업도 10개사(11개 제품)가 포함돼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경쟁력을 과시할 수 있게 됐다. 주요 수상 제품으로는 음량 평준화 솔루션, 퇴행성 뇌질환 치료기, 메타뮤직시스템, 환자임상 영상을 의료영상 저장시스템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장치, 무세균 솔루션 가습기, 친환경 채소 생산 시스템, 스마트 아기침대, 스마트 소화기 보안시스템 등이 있다. 앞서 KOTRA는 참가기업에 최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월 4일‘현지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CES 주최 측인 CTA의 산업분석팀장,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VC(Venture Capital)로 활동하는 스트롱 벤처스(Strong Ventures)의 대표 등이 연사로 나서 미국 소비재 가전 시장 전망, 우리 기업의 현지 스타트업 진출 사례 등에 대한 생생한 정보를 제공했다. 또6일에는 스타트업들을 위한 피칭 행사인 ‘K-Night@CES2023’을 개최한다. 이번 이벤트에서는 통합한국관 등 국내 스타트업 10개사가 무대에 올라 프라이머 사제 파트너스(Primer Sazze Partners), 트랜스링크 캐피털(Translink Capital) 등 실리콘밸리 지역의 주요 VC를 대상으로 피칭을 진행한다. 피칭 이후에는 네트워킹 리셉션도 연달아 진행할 예정으로 우리 스타트업에 심도 있는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세계 최대 신기술 전시회라는 명성에 걸맞게 올해 CES에는 구글(Google), 아마존(Amazon), 보쉬(Bosch),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소니(Sony), 퀄컴(Qualcomm), 버라이존(Verizon), 메르세데스 벤츠(Mercedes Benz), 니콘(Nikon)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대거 참가한다. 삼성전자, LG, SK,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현대중공업 등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도 활발히 전시 마케팅을 전개할 예정이다. 한편, CES가 전망한 2023년 유망 트렌드로는 공급망, 식량난, 기후위기를 꼽을 수 있다. 글로벌 난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혁신 솔루션이 속속 모습을 드러내는 가운데 메타버스/Web3, 디지털 헬스, 모빌리티 등 개인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스마트 라이프 기술도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 기업들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제품을 전시해 바이어들과 참관객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기대된다. 유정열 KOTRA 사장은 “세계 최대 소비재 가전전시회인 CES 2023은 비즈니스 파트너를 발굴하는 것 뿐아니라 글로벌 트랜드를 알아보기 좋은 기회이다”며, “KOTRA는 우리 혁신기업이 이번 전시회에서 전 세계에서 모인 바이어들에게 혁신 기술을 선보이고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밝혔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LG생활건강의 감성적 피부과학 브랜드 ‘오휘’가 새해를 맞아 오휘의 뮤즈 김태리, 손석구와 함께한 디지털 필름 ‘김태리X손석구, 오휘 더 퍼스트 제너츄어 심마이크로 에센스로 피부 빛을 쌓다(이하 빛을 쌓다)’를 공개했다. 오휘가 공개한 ‘빛을 쌓다’는 2022년 한 해를 뜨겁게 달궜던 오휘의 두 뮤즈 김태리, 손석구가 더 퍼스트 라인의 대표 에센스 ‘더 퍼스트 제너츄어 심마이크로 에센스’와 만나 위트 넘치고 감각적으로 탄생한 디지털 필름이다. 오랜 내공으로 다져진 두 대세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력은 오휘만의 고급스러운 이미지 속에서 하나의 예술 작품 같은 우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특히오휘는 지난해 12월26일 공개된 디지털 필름 1편 ‘김태리X손석구, 오휘 더 퍼스트 제너츄어 심마이크로 에센스로 피부 빛을 채우다(이하 빛을 채우다)’가 공개 10일만에 누적 조회수 530만회를 기록하는 등 큰 화제를 모으자6일 2편 ‘빛을 쌓다’를 공개했다. 1편 ‘빛을 채우다’에서는 ‘더 퍼스트 제너츄어 심마이크로 에센스’의 황금빛 제형이 담긴 샴페인 잔과 레드 카펫의 화려한 분위기 속 김태리, 손석구의 재치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어 공개된 2편 ‘빛을 쌓다’는 두 뮤즈가 반짝이는 젠가를 활용해 ‘피부에 빛을 쌓는’ 상황으로, 진짜 게임을 하듯 몰입한 열정적인 모습이 돋보인다. 김태리와 손석구가 선보인 ‘더 퍼스트 제너츄어 심마이크로 에센스’는 오휘의 럭셔리 토탈 케어 라인 ‘더 퍼스트’의 대표 제품으로, 피부에 채워지고, 환해지고, 강화되는 3중 크레센도 안티에이징 효과로 빛이 다른 피부를 선사하는 금빛 동안 에센스다. 영상에서는 제품의 특징을 빛나는 크리스탈이라는 직관적인 오브제를 활용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강조한다. 오휘 브랜드 관계자는 “완벽한 아름다움의 실현하는 오휘의 뷰티 철학과 예술적 감각으로 대중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오휘의 뮤즈 김태리와 손석구가 만나 최적의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며 “2023년 새해에도 두 대세 배우가 만들어 낼 오휘의 예술적 가치와 고객경험을 기대해 달라”고 말했다. 한편, 오휘의 두 뮤즈 김태리와 손석구의 빛나는 조합이 돋보이는 ‘더 퍼스트 제너츄어 심마이크로 에센스’ 디지털 필름은 오휘 공식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앙방이 1월 샴푸 브랜드평판 1위 자리를 수성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2022년 12월 6일부터 2023년 1월 6일까지샴푸 브랜드 30개에 대한 빅데이터 24,093,972개를 평판 분석했다. 지난 12월 샴푸 브랜드빅데이터 25,344,841개와 비교하면 4.94% 줄어들었다. 1월 샴푸 브랜드평판 순위는 앙방, 헤드앤숄더, 닥터그루트, 아베다, 아모스, 케라시스, 려, TS, 르네휘테르, 엘라스틴이 상위 10위권을 차지했다. 이어 쿤달, 로블로, 러쉬, 시세이도, 미쟝센, 도브, 밀크바오밥, 비욘드, 아로마티카, 케라스타즈, 부케가르니, 오가니스트, 록시땅, 제이숲, 댕기머리, 라우쉬, 팬틴, 앙포레, 보타랩, 댄트롤 순으로 분석됐다. 샴푸 브랜드평판 2023년 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샴푸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앙방 샴푸 브랜드는 참여지수 797,402 소통지수 691,856 커뮤니티지수 746,06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235,319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2,167,486과 비교해 보면 3.13% 상승했다. 2위를 차지한헤드앤숄더 샴푸 브랜드는 참여지수 789,272 소통지수 656,490 커뮤니티지수 564,49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010,254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2,065,374와 비교해 보면 2.67% 하락했다. 또 3위를 마크한닥터그루트 샴푸 브랜드는 참여지수 715,997 소통지수 694,056 커뮤니티지수 431,11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841,171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1,925,503과 비교해 보면 4.38% 하락했다. 4위를 기록한아베다 샴푸 브랜드는 참여지수 531,915 소통지수 562,922 커뮤니티지수 366,01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460,855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1,617,320과 비교해 보면 9.67% 하락했다. 이어 5위를 차지한아모스 샴푸 브랜드는 참여지수 530,128 소통지수 537,044 커뮤니티지수 358,38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425,553으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1,400,976과 비교해 보면 1.75% 상승했다. 샴푸 브랜드평판 2023년 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샴푸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샴푸 브랜드평가지표에는 브랜드채널 평가, 브랜드에 대한 평판리스크, 브랜드 마케팅지표 분석과 한국브랜드모니터의 정성평가도 포함했다. 샴푸 브랜드평판 2022년 11월, 12월, 2023년 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샴푸 브랜드평판 2023년 1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는 앙방 샴푸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샴푸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 보니 지난 12월 샴푸 브랜드 빅데이터 25,344,841개와 비교하면 4.94%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4.98% 하락, 브랜드소통 4.63% 하락, 브랜드확산 5.05% 하락했다"고 평판 분석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동성제약(대표 이양구)은 중국 최대 온라인 플랫폼 알리바바의 쇼핑 플랫폼인 티몰(Tmall) 브랜드관이 공식 오픈했다고 5일 밝혔다. 브랜드관 ‘동성제약관’ 론칭이 중국 봉쇄로 인해 지연되었다가 4일 공식 오픈됐다. 이에 동성제약은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서며 대표 브랜드 제품들을 선보이며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동성제약관’ 오픈을 통해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한 제품은 대한민국 국민 상비약으로 사랑받는 대표 건위, 정장제 ‘동성 정로환 에프정’과 ‘동성 정로환 에프환’이다. 지난 2019년 리뉴얼 된 ‘정로환’은 기존 크레오소트에서 구아야콜 성분으로 변경됐으며정장 기능과복통 완화, 소화 불량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황백엑스산을 추가해‘건위, 정장제’로 기능을 확대됐다. 그 외에 변종 코로나로 고통받고 있는 중국 소비자들을 위한 건강기능식품과 비타민 제품을 함께 선보인다. 면역관리에 도움을 주는 ‘이뮨초이스’와 ‘바이오 츄어블 D 4000IU’, 호흡기 질환 유행시기에 필수인 비타민C 보충제 ‘미인이 먹는 비타민 C’, 기침 가래에 효과적인 감기약 ‘두캅스에이연질캡슐’ 등 동성제약의 노하우가 집약되어 있는 제품들을 브랜드관에서 판매할 계획이다. 동성제약 국제전략실 관계자는 “최근 중국 내 코로나 확산으로 지사제 수요 급증에 따라‘동성제약관’ 오픈 직후 ‘정로환’ 제품에 대한 중국 내 구매 문의가 당초 예상보다 훨씬 많아 놀라고 있다"며, “중국 내 정로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내부 준비 중이다”고 전했다. 그리고 “동성제약의 다양한 제품을 중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선보이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자사 제품의 우수성을 중국 소비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알리고 사랑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영업, 마케팅을 진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아모레퍼시픽 대표 이너뷰티 브랜드 바이탈뷰티의 ‘슈퍼콜라겐 에센스’가 2023년 토끼 해를 맞아 패브릭 디자인 브랜드 키티버니포니(KittyBunnyPony)와 협업한 NEW YEAR 스페셜 에디션을 한정 출시한다. 바이탈뷰티 ‘슈퍼콜라겐 에센스 X 키티버니포니 NEW YEAR 스페셜 에디션’은 슈퍼콜라겐 에센스 28일분에 추가 증정 15일 분과 키티버니포니 파우치를 증정하는 키트로 구성했다. 슈퍼콜라겐 에센스를 상징하는 핑크빛의 생기 있는 패키지에 키티버니포니의 대표 패턴 ‘해피 버니’가 선물 꾸러미를 들고 있는 모습을 담아 건강함이 가득한 새해의 시작을 선물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흡수가 빠른 저분자 액상 콜라겐으로 마시면서 손쉽게 피부관리가 가능한 ‘슈퍼콜라겐 에센스’는 바이탈뷰티의 베스트셀러 제품 중 하나다. 지난 2010년 슈퍼콜라겐 라인 출시 이후 1억 병 이상 판매되는 등 대세 콜라겐으로 자리 잡으며 고객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슈퍼콜라겐 에센스의 주원료인 ‘AP콜라겐효소분해펩타이드’는 아모레퍼시픽의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국내 최초 식약처의 피부개선 기능성을 인정받은 개별인정형 콜라겐 원료다. 인체적용시험결과 국내 최다인 총 12개 지표에서 유의적 개선을 확인했다. 피부 보습과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2중 기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바이탈뷰티 관계자는 “계묘년 토끼의 해를 맞아 출시한 이번 스페셜 에디션은 새해 행운과 감사의 마음을 담은 디자인과 구성으로 설 시즌을 맞아 특별히 준비했다"며, "바이탈뷰티 베스트셀러인 슈퍼콜라겐 에센스에 키티버니포니의 유니크한 디자인 패키지와 콜라보 파우치까지 더한 특별한 에디션으로 소중한 사람에게 매일이 더 아름다워지는 일상을 선물해 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정판인 ‘슈퍼콜라겐 에센스 X 키티버니포니 NEW YEAR 에디션’은 1월 6일부터 바이탈뷰티 네이버 브랜드 스토어, 1월 9일부터는 카카오톡 선물하기(14일분 한정) 등 주요 온라인 몰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한정판 에디션으로 판매가 조기 마감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잇츠한불의 클리니컬 솔루션 브랜드 잇츠스킨(it’S SKIN)이 ‘베이직 스킨케어 라인 AD’을 출시한다고 6일 밝혔다. ‘베이직 스킨케어 라인 AD’는 ▲펩타이드 콜라겐 4종▲브이세븐 히아루로닉 3종▲블루 스네일 2종 등총 3가지 라인의 9가지 품목으로 선보인다. 먼저 ‘펩타이드 콜라겐 라인’은 미국베지테리언협회(AVA) 인증 비건 콜라겐이 함유된 집중 탄력 케어 라인으로 클렌징 폼, 토너, 세럼, 모이스처라이저 4종으로 구성됐다. 건강하고 깨끗한 비건 인증 콜라겐과 10대 슈퍼 푸드로 알려진 귀리에서 추출한 귀리펩타이드가 함유돼 있는 주름개선 기능성 라인으로 피부를 더욱 탄탄하고 건강하게 가꿔 준다. ‘브이세븐 히아루로닉 라인’은 히아루론산과 발효기술로 얻은 비타민 콤플렉스가 함유된 보습 생기케어 라인으로 젤 클렌저, 토너, 크림 3종으로 구성됐다. 수분 자석인 히아루론산이 피부에 촘촘히 수분을 공급하고 7종의 비타민 콤플렉스와 미백 기능성 성분인 나이아신아마이드가 피부 활력은 물론, 안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블루 스네일 라인’은 달팽이 점액 여과물을 함유한 집중 진정 케어 라인으로 세럼, 모이스처라이저 2종으로 구성됐다. 특히 6개월령의 건강한 달팽이만을 선별해 효과 높은 원료를 사용했고 피부를 더욱 건강하게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는 식물성분인 구아이아줄렌, 병풀추출물,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을 함유해 피부 진정에 시너지를 효과를 더할 수 있다. 또 잇츠스킨은 베이직 스킨케어 라인 AD를 기념해 지난 2일부터 오는 31일까지 자사몰인 잇츠스킨 뷰티몰에서 최대 30%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펩타이드 콜라겐 라인’, ‘브이세븐 히아루로닉 라인’, ‘블루 스네일 라인’ 단품 각각 20% ▲’펩타이드 콜라겐 라인’ 3종 세트, ‘브이세븐 히아루로닉 라인’ 3종 세트, ‘블루 스네일 라인’ 2종 세트 각각 30% 할인을 진행한다. 잇츠스킨 관계자는 “이번에 출시하는 신제품 베이직 스킨케어 AD라인은 민감한 피부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10가지 유해 성분을 제외하고 처방해 모두 비자극 제품으로 판정된 제품이다”며, “또 보습, 진정, 탄력 등 라인별로 명확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맞춤 품목구성으로 출시했으니 개인의 피부 고민에 맞춰 선택해 사용해 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잇츠스킨(It’S SKIN)의 신제품 ‘베이직 스킨케어 AD’ 라인은 잇츠스킨 온라인 공식몰과 화해에서 구매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은 최근 온라인쇼핑몰 ‘엄마가게(맘앤마트)’ 관련 소비자불만이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 피해주의보를 발령했다. ‘엄마가게(맘앤마트)’는 2022년에 배송, 환급 지연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일부 쇼핑몰과 판매방식, 피해유형 등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업체는 커피류를 미끼상품으로 소비자를 유인하고 주문한 상품의 배송 또는 환급을 지연하는 등의 소비자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피해 품목 중에는 ‘커피’가 320건(70.3%)으로 가장 많았고다음으로 ‘화장품’ 60건(13.2%) 순으로 많았다. 품목별 1372소비자상담 접수 현황 (2022년 12월 1일~12월 31일) 작년 12월 한 달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엄마가게’ 관련 상담은 총 455건이고같은 기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피해구제 신청 건은 총 9건으로 신청 사유는 모두 배송, 환급 지연이다. 특히 업체와 연락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소비자피해의 확산이 우려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상품을 시세보다 상당히 저렴하게 판매한다고 광고하는 쇼핑몰 이용에 주의하고상품을 주문할 때는 현금보다 가급적 신용카드를 이용할 것과 현금결제만 가능한 경우에는 거래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해당 업체의 배송, 환급 지연으로 피해를 본 소비자들은 1372소비자상담센터로 문의해 대응 방법을 안내받고신용카드로 결제한 경우는 즉시 신용카드사에 결제 취소 등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전라남도는 글로벌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전남 소재 중소기업의 수출 확대와 시장 다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인도(뭄바이, 뉴델리) 지역 시장개척 수출상담 참가 시 바이어 발굴, 상담장 임차, 통역, 항공료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오는 1월 5일까지 참가기업을 모집한다. 지원대상은전남 제품을 제조, 생산 유통하는 전남 소재 중소기업이다.지원내용은바이어 발굴, 상담장 임차, 통역, 항공료(50%, 1백만원 한도) 등이다.화상상담 전환시 바이어 발굴, 통역, 샘플발송, 긴급지사화 등이다. 기업부담(약 300만원)은바이어 발굴시 활용할 견본 제품, 항공료, 체재비 등이다.신청은온라인으로 접수하면 되고 자세한 문의는전라남도(061-286-2451, johanna@kotra.or.kr, sims96@korea.kr)로 하면 된다. * 제목 : 2023년 인도 시장개척 수출상담 참가기업 모집 * 주관 : 전라남도 * 사업기간 : 2023년 2월 20일~2월 25일 * 모집기간 : 2023년 1월 5일 * 사업개요 : 글로벌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전남 소재 중소기업의 수출 확대와 시장 다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인도(뭄바이, 뉴델리) 지역 시장개척 수출상담 참가 시 바이어 발굴, 상담장 임차, 통역, 항공료 등을 지원하는 사업 * 지원대상 : 전남제품을 제조 생산 유통하는 전남 소재 중소기업 * 지원내용 : 바이어 발굴, 상담장 임차, 통역, 항공료(50%, 1백만원 한도), 화상상담 전환시 바이어 발굴, 통역, 샘플발송, 긴급지사화 등 기업부담(약 300만원) : 바이어 발굴시 활용할 견본 제품, 항공료, 체재비 등 * 신청방법 : 온라인 접수 * 상세문의 : 전라남도(061-286-2451, johanna@kotra.or.kr, sims96@korea.kr)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현대인들은 건강과 아름다움에 관심을 가지고 더욱 높은 삶의 질을 영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오늘날 화장품은 미용을 목적으로 피부의 결점을 커버하는데 치중하지 않고 피부를 치료하고 만족감을 높이며 개성을 표현하는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화장품과 치료용 약을 확실히 구분했지만최근에는 순한 성분을 보유하고 확실한 성능을 보장하며 미용의 효과를 보이는 병원 화장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2023년 소비자는 병원 화장품에 대해 어떤 생각들을 가지고 있을까? 인사이트코리아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병원 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확인했다. 빅데이터 분석 전문기관 인사이트코리아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트렌드 보고서의 일환으로 ‘병원 화장품’ 트렌드를 분석했다. 인사이트코리아는 급변하는 시장을 선도하는 최적의 마케팅 인사이트 창출을 위해 Netnography 기법을 적용한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인사이트코리아의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인 Deep MininG 자체 기획분석으로 2022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소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와 인사이트를 담고 있다. 병원 화장품 연관어 (단위 : 건, %) 인사이트코리아는 병원 화장품에 대한 연관어 분석을 통해 종류, 사용 효과, 선택 요인, 성분, 사용감 등을 확인했다. 병원 화장품의 연관어를 보면 선택 요인과 관련한 언급량이 가장 두드러졌으며 이어 사용 효과, 종류, 사용감, 성분 순으로 언급량이 높게 나타났다. 병원 화장품의 종류는 크림/앰플/세럼, 스킨/로션/보습제 순으로 많이 언급됐다. 사용 효과는 잡티/여드름 관리부터 피부탄력/영양, 피부진정/유지, 피부노화방지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밖에도 다양한 연관어가 제시됨에 따라 병원 화장품을 선택하게 된 요인이나 성분, 사용감까지 폭넓게 고려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원 화장품 종류 (단위 : 건, %) 병원 화장품 종류는 크림/앰플/세럼, 스킨/로션/보습제 순으로 언급량이 높았다. 특히 크림에 대해서는 “크림을 바르고 자면 아침에 피부결이 매끈하다고 느낄 정도”라며 만족감을 드러낸 언급이 확인됐다. 인사이트코리아 관계자는 “병원 화장품과 관련해서는 주로 토너, 로션 등의 기초화장품과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등의 효과를 지니는 크림 등의 기능성화장품의 언급량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또 “시트팩과 클렌징 제품, 메이크업 베이스까지 다양한 종류가 병원 화장품으로 언급됐다”고 덧붙였다. 병원 화장품 사용효과 (단위 : 건, %) 소비자들은 병원 화장품의 사용효과로 잡티/여드름 관리를 첫 손에 꼽았다. 이어 피부탄력/영양, 피부진정/유지, 피부노화방지, 피부톤 보정, 가려움 완화, 피부청결유지 등의 순으로 높은 언급량을 보였다. 병원 화장품 사용자들은 주로 잡티나 여드름 관리, 피부탄력과 피부 유지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며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인사이트코리아 측의 설명이다. 실제 이와 관련해 “피부를 보호하고 건강하게 해주고 표피층의 구조를 손상없이 유지해 준다”는 언급이 있었다. 또 “주름과 미백, 자외선 차단까지 한번에 된다는 점 때문에 더 믿고 사용할 수 있어서 좋다”, “가려움을 느끼는 최종 단계(TRP 경로)에 작용해 표피 말단에서 가려움증을 직접 조절해 준다”는 언급에서 확인되듯 병원 화장품은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민감한 피부의 청결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나아가 피부 발진이나 아토피 등 민감한 피부의 가려움을 완화하고 화상이나 흉터 등을 관리하는 영역까지 폭넓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화장품 성분 (단위 : 건, %) 병원 화장품의 성분과 관련한 언급에서는 추출물과 비타민에 대한 부분이 두드러졌다. 이어 천연, 콜라겐, 화학, 아미노산, 허브/녹차, 히알루론산, 단백질, 한방 등이 병원 화장품의 성분으로 제시됐다. 인사이트코리아 관계자는 “병원 화장품이 순하고 치유력이 좋다는 인식이 있는 만큼 추출물이나 천연, 허브/녹차, 한방 등의 자연 성분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또 피부톤 보정과 노화 방지를 위해 비타민 A와 같은 성분이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소비자들은 병원 화장품의 성분에 대해 “톳추출물, 녹차, 효모베타글루칸, 목련, 개똥쑥, 병풀잎 등 식물성으로 이뤄져 있다”, “레티놀=순수 비타민 A이며 이것의 가장 큰 역할은 노화방지이다” 등 구체적인 반응을 쏟아냈다. 특히 “화학약품은 이제 그만! 천연성분으로 피부를 케어하자”는 언급을 통해 병원 화장품에 대해서는 화학 등 인위적인 성분이 빠진 것을 강조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병원 화장품 선택 요인 (단위 : 건, %) 소비자들이 병원 화장품을 선택하는 요인은 무엇일까? 인사이트코리아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 ‘전문가의 추천’이 전체의 57.0%도 압도적인 수치를 나타냈다. 이와 관련, “화장품 과학을 전공한 피부과 의사가 만들어 믿고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인 것 같다”는 등의 언급도 확인됐다. 이어 제품 가격이나 향기, 자극성 유무, 제형, 제품 용량, 제품 디자인, 브랜드, 안전성 등이 병원 화장품 선택 요인으로 꼽혔다. 인사이트코리아 측은 “병원 화장품은 기능이 강화된 제품이므로 전문가의 추천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피부염이 있는 사람들도 사용하기 때문에 자극 없이도 기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피부과 화장품의 선택 요인 중 하나인 ‘안전성’과 관련, “피부과 화장품은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이 증명된 화장품”이라는 언급을 소개했다. 아울러 “다른 일반 화장품처럼 제품의 가격, 향기, 제형 등 일반적인 부분들도 다양하게 언급됐다”며 “가격의 경우 세일 제품은 저렴하다는 글도 있지만 처방받은 화장품의 경우 가격이 비싸다는 언급이 있었다”고 말했다. 병원 화장품 사용감 (단위 : 건, %) 병원 화장품의 사용감으로는 보습감/흡수력, 순함/저자극, 가벼움, 부드러움, 유분감, 밀착력, 당김/따가움 등이 언급됐다. 특히 제품을 사용한 뒤 피부가 촉촉하고 흡수가 잘 된다는 언급이 많았고, 순하고 부드러우며 자극이 적어 발진이 있는 피부 등 다양한 피부에 사용할 수 있음을 어필하기도 했다. 인사이트코리아 안수현 이사는 “병원 화장품의 경우 고영양 제품으로 밀착력 있는 흡수력에 대해서도 언급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코스인은 빅데이터 분석 전문기관 인사이트코리아(대표 문준열)와 공동으로 2018년 1월부터 기획시리즈 [화장품 빅데이터 분석]을 연재한다. 기획시리즈는 매달 1회씩 연재되며 소셜 미디어(SNS)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 관심도가 높은 화장품에 대한 유의 있는 데이터를 분석해 자료를 공개하고 있다. 기획시리즈에 대한보다 상세한 자료와 문의는 코스인 편집국(02-2068-3413)으로 하면 된다. 인사이트코리아 빅데이터 분석 자세한 서비스 내용은 Deep MininG 홈페이지(http://www.insightdeepmining.com/)를 참조하고 빅데이터 석에 대한 문의는 인사이트코리아 Deep MininG팀(안수현 이사, 02-3483-0586)으로 하면 된다. * 인사이트코리아는 뷰티 제품과 마켓 고객반응 파악을 위한 스페셜 타겟 패널 리서치를 2020년 1월 에포터 앱과 공동 연구해 론칭했다. 정성, 정량,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성형, 피부, 미용, 상처치유, 회복 등과 관련한 고관여 스페셜 뷰티 패널이 참여하고 있다. (아래 배너 이미지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삼양그룹(김윤 회장)은 5일 판교 삼양디스커버리센터에서 ‘삼양 이노베이션 R&D 페어(이하 SIRF) 2022’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SIRF는 한 해 동안 삼양그룹 연구원들이 일궈낸 R&D 성과를 전시, 발표하는 행사다. 2012년 처음 시작돼 연구개발 의욕을 높이고 지식 공유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부터 오프라인 행사는 최소화하고온라인으로 행사를 중계하는 온-오프라인 동시 운영 방식으로 개최되고 있다. 오프라인으로 연구소별 우수 성과와 전략 과제 중심의 발표가 이루어지면연구원들은 온라인 중계 영상을 시청하며 댓글을 통해 소통하고 지식을 공유한다. 삼양그룹은 이번 SIRF 2022에서 18개의 주요 과제를 전시하고우수 R&D 사례 2건에 대해 시상했다. 대상은 화학연구소의 ‘이소소르비드 공정 개발 및 상업화’ 과제가 수상했으며우수상은 의약바이오연구소의 ‘경구 항암제 레날리드 정 제품 개발’이 선정됐다. SIRF 포상은 이익 등 경제적 성과, 회사 경쟁력 기여도, 혁신성, 창조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된다. 대상을 차지한 화학연구소의 ‘이소소르비드 공정 개발 및 상업화’ 과제는 글로벌 두 번째이자 국내 최초로 상업화에 성공한 바이오 기반 화학소재 ‘이소소르비드’에 대한 개발부터 양산까지 전 공정에 걸쳐 신기술을 확보했다는 점을 인정받았다. 삼양그룹 최초로 식품바이오연구소와 화학연구소의 R&D 융합 연구로 진행된 이번 과제를 통해 삼양그룹은 친환경 분야에서의 스페셜티 소재 개발과양산 기술 뿐아니라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에 필요한 기반 소재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연구 과제를 주도한 삼양이노켐 류훈 PU장은 “오랜 시간 연구해온 과제의 결실을 맺은 것만으로도 기쁜데 큰 상까지 받게 돼 영광이다”며, “이소소르비드의 핵심 생산 공정에 대한 특허를 확보해 기술 장벽을 높이고소재 적용 범위를 지속 확대해 화이트 바이오 시장을 선도할 것이다”고 소감을 밝혔다. 우수상에 선정된 ‘경구 항암제 레날리드 정 제품 개발’은 차별화된 퍼스트 제네릭(복제약) 개발로 경구형 혈액암 시장까지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캡슐에서 정제로 제형을 변경하는 기술 노하우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날 김윤 회장은 사내 인트라넷을 통해 “대외 환경의 불확실성 심화 속에서 ‘위기 극복’과 ‘미래 성장’의 두 가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R&D 고도화가 필수적이다”며, ▲미래 성장 동력 발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R&D 효율화 ▲오픈이노베이션과융복합 기술 발굴을 강조하며 신기술의 조기 사업화를 위한 실행력 제고를 당부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라로슈포제가 1월 병원화장품 브랜드평판 1위 자리를 차지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2022년 12월 5일부터 2023년 1월 5일까지 병원 화장품브랜드에 대한 빅데이터 3,641,885개를 평판 분석했다. 지난 12월 병원화장품 브랜드 빅데이터 3,295,598개와 비교해보면 10.51% 증가했다. 1월 병원화장품 브랜드평판 순위는 라로슈포제, 제로이드, 리쥬란, 에스트라, 바이오더마, 히스토랩, DMS, 이지듀, 닥터랩, 마리포사가 상위 10위권을 차지했다. 이어 이안셀, 셀바이셀, 이지함, 에스테덤, 모라츠, 리본셀, 스킨엠디, 트리티스, 씨엔피, 비즈톡스, 운드힐, 테라크네, 헬리오케어, 워터맥스, 이로미스 순으로 분석됐다. 병원화장품 브랜드평판 2023년 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병원화장품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라로슈포제 브랜드는 참여지수 244,188 소통지수 265,201 커뮤니티지수 206,85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16,243으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615,896과 비교해 보면 16.29% 상승했다. 2위를 차지한제로이드 브랜드는 참여지수 234,940 소통지수 253,885 커뮤니티지수 199,75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88,582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564,337과 비교해 보면 22.02% 상승했다. 또 3위를 마크한리쥬란 브랜드는 참여지수 176,356 소통지수 185,537 커뮤니티지수 146,37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08,270으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520,952와 비교해 보면 2.43% 하락했다. 4위를 기록한에스트라 브랜드는 참여지수 165,721 소통지수 172,778 커뮤니티지수 139,60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78,107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436,296과 비교해 보면 9.58% 상승했다. 이어 5위를 차지한바이오더마 브랜드는 참여지수 159,033 소통지수 170,348 커뮤니티지수 132,83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62,219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418,419와 비교해 보면 10.47% 상승했다. 병원화장품 브랜드평판 2023년 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병원화장품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병원화장품 브랜드평가지표에는 브랜드에 대한 채널 평가도 포함됐다. 병원화장품 브랜드평판 2022년 11월, 12월, 2023년 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병원 화장품 브랜드평판 1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는 라로슈포제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병원 화장품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 보니 지난 12월 병원 화장품 브랜드 빅데이터 3,295,598개와 비교하면 10.51%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9.77% 상승, 브랜드소통 11.09% 상승, 브랜드확산 10.67% 상승했다"고 평판 분석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아모스프로페셔널이 2023 브랜드페르소나 헤어아티스트 뮤즈로 제이드뷰티 김상희 원장을 발탁했다고 밝혔다. 제이드뷰티 김상희 원장은 전 웰라 아시아 크리에이터 디자이너로 활약하며 다양한 트렌드 스타일 창작과 세미나 활동을 이어 온 헤어아티스트로 2023년부터 아모스프로페셔널 헤어아티스트 뮤즈로브랜드 비주얼과교육 디렉터로 활동할 예정이다. 김상희 원장은 “지금까지 다양한 글로벌 무대에서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국 브랜드와 미용 시장을 성장시키는 데 기여하고 싶어 아모스프로페셔널과 함께하게 됐다”며, “앞으로 새로워질 아모스프로페셔널과 헤어디자이너로서 멋진 가능성과 가치 나누고 성장할 모습을 기대해 달라”고 전했다. 브랜드 관계자는 “성장하기를 멈추지 않는 김상희 원장의 활약이 기대된다”며, “한국 미용 시장과 미용인 성장에 기여할 아모스프로페셔널의 행보에도 헤어디자이너와 고객의 많은 기대 부탁한다”고 밝혔다. 한편, 김상희 원장은 2023년 1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활발히 펼칠 계획이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비건 화장품 전문 브랜드 '애드랩(addlab)'이 연말을 맞아 사랑의 열매에 자사 제품을 기부했다. 서울시 사랑의열매 본부를 통해 진행된 전달식에서는 김서호 애드랩 대표이사를 포함한 임직원 일동이 참석해 화장품을 전달했다. 이날 애드랩이 기부한 제품은 ‘톳 퓨어 버블 클렌징폼’ 200개와 ‘톳 퓨어 클렌징 오일’ 200개로 약 800만 원 상당이다. 애드랩 관계자는 “연말을 맞아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해 기부를 진행하게 됐다. 앞으로도 애드랩은 기업가의 사명을 바탕으로 꾸준한 나눔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에 지속적으로 동참할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기부된 ‘톳 퓨어 버블 클렌징폼’은 건조한 피부에 도움을 주는 톳 추출물과 피부 결을 부드럽게 가꾸어 주는 쌀가루가 지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해 주는 데일리 제품이다.‘톳 퓨어 클렌징 오일’의 경우 EWG 그린 피부에 좋은 9가지 천연 오일과 보습에 탁월한 톳 추출물, 알란토인이 메이크업 잔여물과 각질, 피지를 자극없이 케어해 준다. 두 제품은 모두 피부자극 테스트를 완료한 100% 비건 인증 제품으로 민감성 피부를 포함한 모든 피부에 자극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기부된 제품들은 모두 사회 곳곳의 취약계층을 돕는 데 쓰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