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김엘진 기자] 코스메카코리아는 1월 20일 JW메이어트호텔 서울에서 ‘2017 CIR 뷰티 기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2017 CIR 뷰티 기술 세미나는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사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 동반성장을 실현하고 장기적으로는 혁신 제품을 개발해 한국 화장품이 세계적으로 한 단계 도약할 계기를 만들기 위해 기획됐다. 이번 세미나에는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에이블씨엔씨, 클리오 등 코스메카코리아 고객사 31개 업체의 160여명이 참석한다. 특히 코스메카코리아의 기술혁신을 주도하는 스킨케어연구소, 메이크업연구소, 그리고 연구기획부문과 화장품 트렌드와 상품기획을 이끌어 가는 마케팅본부 등도 참여해 ▲2017 마케팅 트렌드 ▲기술 트렌드 ▲스킨케어 개발 방향 ▲메이크업 개발 방향 등에 대해 발표했다. 이날 발표는 이영하 스킨케어 연구소장, 조현대 메이크업 연구소장, 최유정 이사대우, 남세희 책임연구원 등이 실시했다. 최근 화장품 시장에서 대두되고 있는 ‘더마’ ‘안티폴루션’ ‘융합기술’ 기반의 새로운 제품 콘셉트를 제안하고 각 부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김엘진 기자] 한국 화장품이 중국 시장에서 큰 시련을 맞고 있다. 지난해 중반부터 사드 배치 문제로 촉발된 한-중 대립은 '사드보복'이라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고 이같은 보복이 화장품 시장으로 불똥이 튀면서 국내 화장품 업계가 최악의 상황속으로 빠져 들고 있다. 본지는 이같은 시점에 국내 화장품 업계의 대 중국 수출 전략의 총체적인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응전략을 제시한다. 본지는 총 4회에 거쳐 한국 화장품의 중국 수출의 총체적인 문제점과 한국 기업들의 중국 수출 전략 전환, 중국 시장 현지화 전략, 포스트 차이나 집중 공략 전략 등을 연재한다. <편집자> 최근 한국 화장품 시장은 상당 부분 중국 시장에 의지하고 있다. 업계 내에서도 ‘내수 경쟁은 출혈 경쟁일 뿐’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한 한국 화장품은 점점 더 그 규모를 키워가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 성장이 대기업에만 국한된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박승찬 중국연구소장(용인대학교 중국학과 교수)은 “중국에서 한국 화장품의 수요가 높다고 하지만 사실상 몇몇 브랜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이재수 기자] 한국 화장품이 중국 시장에서 큰 시련을 맞고 있다. 지난해 중반부터 사드 배치 문제로 촉발된 한-중 대립은 '사드보복'이라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고 이같은 보복이 화장품 시장으로 불똥이 튀면서 국내 화장품 업계가 최악의 상황속으로 빠져 들고 있다. 본지는 이같은 시점에 국내 화장품 업계의 대 중국 수출 전략의 총체적인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응전략을 제시한다. 본지는 총 4회에 거쳐 한국 화장품의 중국 수출의 총체적인 문제점과 한국 기업들의 중국 수출 전략 전환, 중국 시장 현지화 전략, 포스트 차이나 집중 공략 전략 등을 연재한다. <편집자>우리나라 최대 교역국인 중국. 대중국 수출은 우리나라 전체의 4분의 1을 차지할 정도다. 특히 중국의 한국 화장품 시장 규모는 국내 시장을 제외하고는 빼놓을 수 없는 가장 큰 규모다.대한화장품협회에 따르면 2015년 국내 화장품 시장 규모는 약 19조 8,000억원이다. 이중 수출실적은 29억 1,000만 달러(130개국)이며, 수입은 13억 9,700만 달러(72개국)이다.국제무역센터(ITC)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대중국 화장품 수출액(HS Code 3404 기준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김엘진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총 31개 업체를 화장품법 위반으로 적발, 행정처분을 내렸다. 가습기 살균제 논란을 일으켰던 성분 메틸클로로아이소티아졸리논과 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 혼합물의 검출도 이어졌다. 제이엠비의 ‘헤어투페이스 트리트먼트’는 사용 후 씻어내는 제품이 아닌 화장품으로 사용기준이 지정, 고시되지 않은 원료 메틸클로로아이소티아졸리논과 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 혼합물을 사용해 제조해 적발됐다. 지-코스텍 ‘듀클레모티쎄븐’, (주)씨엔에프 ‘다찌 스타일케어 헤어젤’, 코리아코스팩 ‘이켈 콜라겐 볼륨 헤어 에센스’ ‘이켈 헨나 볼륨 헤어 에센스’, (주)태광유통 ‘맑은느낌 100매(캡형)’ 등 5개 품목 역시 같은 이유로 적발됐다. 특히 (주)태광유통의 경우 제조에 사용된 모든 성분을 제품 용기에 기재하면서 실제 제조에 사용한 원료인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 아세토페논, 코카미도프로필피지-디모늄클로라이드포스페이트, 시트릭애씨드, 향료’를 ‘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이재수 기자] 올해 화장품 유통환경의 가장 큰 변수는 무엇일까? 지난해 중국 등 해외 관광객들의 영향으로 면세점과 온라인, 모바일, 쇼설커머스 등이 강세를 보인 반면 백화점, 방문판매 등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코스인은 유통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해 2017년 화장품 유통환경 변화와 활성화 전략을 제시한다. 코스인은 오는 2월 7일(화)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2층 제1대회의실에서 올해 예상되는 소비형태 변화와 유통환경, 유통채널별 변화를 전망하는 ‘2017년 화장품 유통시장 전망 세미나 : 화장품 유통환경 변화와 활성화 전략’을 개최한다.이번 세미나는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소비형태 변화와 화장품 유통환경, 유통채널별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화장품 유통 패러다임을 공유할 예정이다. 또 O2O 전략과 옴니채널 흐름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한다.브랜드숍과 H&B숍, 드럭스토어, 백화점, 면세점, 홈쇼핑, 온라인, 모바일, 쇼설커머스 등 화장품 유통별 변화를 전망하고 향후 유통, 마케팅 전략 수립을 모색할 계획이다.구체적인 강의주제와 강사는 다음과 같다. ▲2017 온라인 소비자 트랜드…
[코스인코리아닷컴 윤선영 기자] 중국 내 한류 콘텐츠를 제재하는 한한령이 화장품 산업에까지 번지고 있다. 이에 화장품 업체들은 신흥시장 발굴과 개척에 동분서주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한령 등 중국발 사드 리스크에 대한 대안으로 업계에서 신흥시장 개척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며 “유럽·중동·동남아 등 해외시장이 포스트 차이나 시대의 신성장 동력으로 부각돼 화장품 기업들의 진출이 잇따를 것”이라고 관측했다. 화장품 시장 규모 세계 1위인 중국은
[코스인코리아닷컴 황아현 기자]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미용예술학과가 2017년학년도부터 미용예술대학 단과대학으로 확대, 운영된다. 단과대학으로 확대되는 미용예술대학은 헤어・메이크업 디자인학과와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등 2개 학과가 운영된다.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는 서울 성북구 서경로 124에 위치해 있으며 2009년 11월 24일 1,200여 평의 국내 최대 규모 ‘SKU 뷰티아트 센터’를 개관해 최첨단 시설의 뷰티미용교육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정혜인 기자] 지난해 중국 해외직구족에게 인기 있었던 수입품 국가 TOP 3가 발표됐다. 1월 19일 중국 화장품 전문매체인 C2CC는 중국 해외 전자상거래 매체인 위궈망(雨果网)의 보도를 인용해 "2016년 중국 해외직구족에게 가장 인기가 있었던 수입품 상위권 국가는 일본, 미국, 한국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재수 기자] 올해 화장품 유통환경의 가장 큰 변수는 무엇일까? 지난해 중국 등 해외 관광객들의 영향으로 면세점과 온라인, 모바일, 쇼설커머스 등이 강세를 보인 반면 백화점, 방문판매 등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이에 코스인은 유통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해 2017년 화장품 유통환경 변화와 활성화 전략을 제시한다. 코스인은 오는 2월 7일(화) 오전 10시부 오후 6시까지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2층 제1대회의실에서 올해 예상되는 소비형태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엘진 기자] 코스메카코리아는 1월 20일 JW메이어트호텔 서울에서 ‘2017 CIR 뷰티 기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2017 CIR 뷰티 기술 세미나는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사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 동반성장을 실현하고 장기적으로는 혁신 제품을 개발해 한국 화장품이 세계적으로 한 단계 도약할 계기를 만들기 위해 기획됐다. 이번 세미나에는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에이블씨엔씨, 클리오 등 코스메카코리아 고객사 31개 업체의 160
국제미용가연합회 충청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국제미용예술협회, 국제프로아이롱협회, 국제익스텐션협회, 국제스피치협회, WBK협회, 코리아페이스아트협회, 국제올림머리협회, 국제르앤미뷰티아카데미협회, 약손테라피 미용건강협회가 주관하는 ‘2017년 국제 뷰티아티스트 컨테스트’가 오는 2017년 1월 21일 충남에 우치한 한남대학교에서 개최한다. 헤어, 피부, 건강, 메이크업, 반영구화장, 네일아트, 속눈썹아트, 타투 등 총 26개 종목의 미용 컨테스트가 진행되며 우수 미용기기와 화장품이 전시된다. - 주최 : 국제미용가연합회 충청조직위원회- 주관 : 국제미용예술협회, 국제프로아이롱협회, 국제익스텐션협회, 국제스피치협회, WBK협회, 코리아페이스아트협회, 국제올림머리협회, 국제르앤미뷰티아카데미협회, 약손테라피 미용건강협회- 일시 : 2017년 1월 21일- 장소 : 한남대학교(충남)- 내용 : 헤어, 피부, 건강, 메이크업, 반영구화장, 네일아트, 속눈썹아트, 타투 분야 미용 컨테스트 - 대상 : 학생, 대학생, 일반부 - 마감 : 선착순 접수 마감- 참가비 : 일반부 전 종목 17만원(종목 추가 시 14만원, 마네킨 PEE 포함), 대학부 전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정혜인 기자] 중국시장조사망이 2011~2015년 중국 스킨케어 시장 규모와 성장률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발표하고, 2016년 중국 스킨케어 시장의 변화에 대해 밝혔다. 1월 9일 중국 시장조사기관인 중국시장조사망(中国市场调查网)은 "산업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치"라며 "지난 2011~2015년 중국 스킨케어 시장의 규모와 성장률을 분석하고 2016년 스킨케어 시장의 변화를 설명한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화장품 시장 발전 규모 중국시장조사망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중국 한도이상(限额以上) 기업의 화장품류 소매 판매 총액은 전년 대비 8.8%가 증가했다. 그러나 이는 2014년의 증가율에서 1.2%포인트가 하락한 것으로 중국 한도이상 기업의 화장품류 소매 판매 총액의 증가율은 2012년 이후 4년 연속 둔화세를 나타내고 있다. 최근 중국의 도시화 추진 가속화로 중국 소비자의 소득 수준과 소비 능력이 뚜렷하게 상향됐다. 또 주민의 가처분 소득 수준도 높였고 중국 소비자를 나날이 성숙시켰다. 이는 고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