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중국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으로 반등을 시도하던 화장품 주가가 꺾였다. 올해 초부터 업황 개선과 중국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선반영됐던 터라 실제 기업들의 매출 회복 가시화를 확인하기까지 숨고르기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3월 6일부터 10일까지 한 주간 화장품 기업의 주가는 전주 대비 5.19% 하락했다. 해당 화장품 기업은 네이버증권 화장품업종에 속한 기업 54곳 가운데 우선주와 거래정지 중인 코스온, 코스나인을 제외한 48곳을 기준으로 했다. 지난 한 주 국내 증시에서 주가가 가장 크게 오른 화장품 기업은 글로본(27.41%)이었다. 한동안 주춤했던 글로본의 주가는 3월 7일 상승세로 전환한 이후 +1.01%(3월 7일), +7.21%(3월 8일), +18.13%(3월 9일), +1.24%(3월 10일) 등 4거래일 연속 올랐다. 특히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주가 상승에 한 몫을 했다. 라파스(19.78%)의 주가도 한 주 사이 20% 가까이 올랐고디와이디(13.31%)의 주가도 급등했다. 이 중 라파스의 주가 상승은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s 미세바늘) 기술을 적용한 여…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국내 화장품 기업 주가가 급등세를 시작했다. 중국의 리오프닝과 함께 꿈틀대기 시작했던 화장품주는 2월 들어 주춤한 모습을 보여왔다. 하지만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며 색조 화장품의 수요가 늘어나자 반등을 모색하는 모습이다. 여기에 중국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개최로화장품주가 들썩이고 있다. 양회에서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나올 것으로 기대되면서 중국 내수 회복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월 27일부터 3월 3일까지 한 주간 화장품 기업의 주가는 전주 대비 2.32% 상승했다. 해당 화장품 기업은 네이버증권 화장품업종에 속한 기업 54곳 가운데 우선주와 거래정지 중인 코스온, 코스나인을 제외한 48곳을 기준으로 했다. 지난 한 주 국내 증시에서 주가가 가장 크게 오른 화장품 기업은 메디앙스(53.47%)였다. 메디앙스는 한 주 사이 주가가 50% 넘게 오르면서 업종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메디앙스는 유아를 위한 생활용품과 스킨케어, 수유용품 등을 제조·판매하는 유아용품 전문기업으로, 주요 시장인 중국의 소비가 살아나고 한중…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중국 리오프닝 기대감으로 지난해 말부터 연초까지 강세 흐름을 보였던 화장품 주가가 2월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였으나 국내 화장품 업황 개선은 뚜렷하다는 증권가의 분석이 나왔다. 실내 마스크 해제 발표로 국내 대다수 채널, 색조 카테고리의 수요 호조세가 눈에 띄는 등 중국과 관련 없이 수요가 견조한 기업들이 존재하는 데다 방한 외국인 유입을 통해 외부 수요까지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화장품 업종 주가는 지난해 11월 중국 리오프닝 기대감을 시작으로 1월까지 강세 흐름을 보였으나2월은 지지부진한 흐름을 나타냈다. 2월 한 달간 업종 절대 수익률은 7% 하락했으며주요 종목의 절대 수익률은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한국콜마가 각각 –10%, -5%, -1%, -8%를 기록했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리오프닝 기대감이 일부 선반영된 가운데 중국이 리오프닝 되는 과정에서 1월까지는 코로나 영향권으로 수요 약세 흐름이 나타났으며춘절을 기점으로 활동이 점진적으로 정상화됨에 따라 기대(재고 리스타킹)와 실제(재고 소진)의 시차가 존재했기 때문이다”며, “이에 따라 대중국 사업을…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본격화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기업 주가가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와 외부 활동 증가로 화장품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나 주가 상승으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월 20일부터 24일까지 한 주간 화장품 기업의 주가는 전주 대비 2.93% 하락했다. 해당 화장품 기업은 네이버증권 화장품업종에 속한 기업 54곳 가운데 우선주와 거래정지 중인 코스온, 코스나인을 제외한 48곳을 기준으로 했다. 지난 한 주 국내 증시에서 주가가 오른 화장품 기업은 씨티케이(9.72%), 아이패밀리에스씨(7.55%), 씨앤씨인터내셔널(5.78%), 클리오(5.11%), 올리패스(4.26%), 제닉(2.99%), 애경산업(2.71%), 스킨앤스킨(2.49%), 코스맥스(1.63%), 현대바이오(1.56%), 메디앙스(1.28%), 원익(0.12%) 등 일부에 그쳤다. 잇츠한불(0.00%)과 코디(0.00%)의 주가는 제자리걸음을 했으나 대다수 화장품 기업의 주가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특히 디와이디(-33.50%), CSA 코스믹(-29.41%)의 주가 하락이…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화장품업계가 3월 정기주주총회 시즌에 돌입한다. 올해 화장품 기업들의 주주총회는 3월 17일부터 31일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3월 중순 들어 주주총회가 본격화되는 만큼 아직 구체적인 일정을 알린 기업들은 많지 않지만 다양성과 전문성에 중점을 둔 이사회 구성과 사업영역 확대를 위한 사업목적 추가 등 행보가 눈에 띈다. #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업계 주주총회 ‘신호탄’ 쏜다 코스인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화장품 공개기업 68곳의 공시를 취합한 결과 2월 24일까지 주주총회 일정을 알린 기업은 20곳에 그쳤다. 올해 화장품 상장사의 주주총회 일정은 3월 17일 아모레퍼시픽과 아모레퍼시픽그룹을 시작으로 3월 31일까지 이어진다. 국내 대표 화장품 기업 중 LG생활건강의 주총 일정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아모레퍼시픽은 3월 17일 주총 일정을 잡았다. 아모레퍼시픽과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이날 오전 9시 본사 3층 아모레홀과 대회의실에서 각각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안건 처리에 나선다. 화장품 공개기업 2023년 주주총회 일정 아모레퍼시픽과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주총에서 눈에 띄는 점은 이사회 구성이다. 아모레퍼시픽은 김언수,…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중국의 리오프닝이 본격화되고 국내에서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면서 거침없는 상승세를 이어오던 화장품 주가가 조정기를 맞았다. 지난해 주요 화장품 기업의 실적 충격이 확인된 상황에서도 잇단 호재로 타격이 크지 않았던 주가가 숨고르기를 하는 모습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월 13일부터 17일까지 한 주간 화장품 기업의 주가는 전주 대비 3.79% 하락했다. 해당 화장품 기업은 네이버증권 화장품업종에 속한 기업 54곳 가운데 우선주와 거래정지 중인 코스온, 코스나인을 제외한 48곳을 기준으로 했다. 지난 한 주 국내 증시에서 주가가 오른 화장품 기업은 디와이디(11.11%), 에이블씨엔씨(5.29%), 현대바이오(4.69%), 현대퓨처넷(2.68%), 원익(2.56%), 휴엠앤씨(0.62%), 코디(0.08%) 등 일부에 불과했다. 아이패밀리에스씨(-18.73%)의 주가가 20% 가까이 추락한 것을 비롯해 씨앤씨인터내셔널(-12.82%)도 10% 넘게 미끄러졌다. 또 리더스코스메틱(-8.41%), 협진(-8.27%), 씨티케이(-7.13%), 코리아나(-6.91%), 아우딘퓨쳐스(-6.78%), 오가닉티코스메틱(…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화장품 기업 주가가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의 지난해 실적 충격을 뒤로하고 다시 상승장을 시작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조정된 데 이어 정부가 중국발 국내 입국자에 대한 단기비자 발급 중단 조치를 해제키로 하면서 화장품주가 수혜주로 주목받는 모습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월 6일부터 10일까지 한 주간 화장품 기업의 주가는 전주 대비 2.53% 상승했다. 해당 화장품 기업은 네이버증권 화장품업종에 속한 기업 54곳 가운데 우선주와 거래정지 중인 코스온, 협진을 제외한 48곳을 기준으로 했다. 지난 한 주 국내 증시에서는 주가가 20% 가까이 급등한 리더스코스메틱(19.19%)을 비롯해 아우딘퓨쳐스(18.65%), 라파스(16.39%), 오가닉티코스메틱(15.52%) 등 15% 넘는 주가 상승률을 보인 화장품 기업들이 적지 않았다. 씨티케이(11.35%), 씨앤씨인터내셔널(10.83%)의 주가도 10% 넘게 올랐고 아이패밀리에스씨(9.25%), 현대퓨처넷(9.14%), 글로본(5.59%)도 주가에 날개를 달았다. 이 밖에 엔에프씨(4.76%), 토니모리(4.76%), 아모레G(4.71%), 제이준코스메틱(4.…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지난해 실적 발표 시즌이 시작되면서 화장품 기업 주가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높은 의존도를 지닌 중국이 코로나19에 따라 지난해 강도 높은 봉쇄 조치를 지속한 영향으로 소비 부진의 여파가 국내 화장품 기업들의 실적에도 충격을 준 것이 실제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화장품 업계 TOP2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을 시작으로 주요 화장품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이어지는 가운데 주가는 개별 기업별로 엇갈린 모습을 보이는 모습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월 30일부터 2월 3일까지 한 주간 화장품 기업의 주가는 전주 대비 0.69% 하락했다. 해당 화장품 기업은 네이버증권 화장품업종에 속한 기업 54곳 가운데 우선주와 거래정지 중인 코스온, 협진을 제외한 48곳을 기준으로 했다. 국내 화장품 기업 가운데 지난 한 주 사이 디와이디(12.21%), 휴엠앤씨(11.94%), 에이블씨엔씨(10.61%), 아모레G(7.73%), 코스나인(7.40%), 씨티케이(5.65%), CSA 코스믹(4.91%)의 주가가 크게 올랐다. 또 브이티지엠피(3.70%), 코디(2.12%), 애경산업(1.74%), 아이패밀리에스씨(1.7…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EU를 중심으로 탄소배출권, 탄소국경세 도입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중국에서도 탄소중립 제도 도입 검토가 활발해지면서 국내 화장품 산업과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최근 10년 내 중소기업을 졸업한 국내 중견기업 300개 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중견기업들은 중소기업 졸업 후 미래투자와 ESG‧탄소중립 대응을 늘리는 등 국가경제 발전과 지속성장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졸업 전후 경영활동변화 중 ‘ESG·탄소중립을 위한 노력 변화’에 대해 300개 사 기업들은 ‘비슷하다’(74.3%), ‘증가했다’(25.7%) 순으로 대답했으며 ‘감소했다’의 대답은 0%를 기록했다. 또 최근 환경부는 국민들의 일상생활 속 탄소중립 실천 문화 확산을 위해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하는 ‘탄소중립포인트’의 항목을 ▲다회용컵(텀블러 등) 이용 ▲폐휴대폰 반납 ▲고품질 재활용품(투명 페트병 등) 배출 등을 확대하고 지난해 24.5억 원이던 탄소중립 포인트 지급예산을 올해 89억 원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환경부는 1월 탄소중립포인트제(녹색생…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국내 화장품 업계 TOP2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우울한 지난해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최대 시장으로 꼽히는 중국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강도 높은 봉쇄 조치를 지속하면서 소비 부진 등 경기 침체의 여파가 국내 화장품 기업의 실적에도 직격타를 가했기 때문이다. 올해에는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에 변화를 주면서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차이나 리스크’의 쓴맛을 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북미 등 새로운 시장 공략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지난해 매출, 영업이익 두자리수 감소 2월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지난해 4조 4,950억 원의 매출과 2,719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5.6%, 영업이익은 23.7% 감소한 것이다.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의 지난해 매출은 4조 1,34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0% 줄었다. 영업이익은 2,142억 원으로 37.6%나 뒷걸음질 쳤다. 국내 사업은 면세 매출의 하락으로 전년 대비 16.1% 감소한 2조 5,813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LG생활건강이 18년 만에 역성장을 기록하면서 주가에도 직격타가 됐다. 실적 발표를 전후해 주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물론 다른 화장품주도 동반 하락했다. 증권가도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이라며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하고, 매수에 ‘보수적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을 쏟아내고 있다. LG생활건강이 실적 발표를 전후해 주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정적인 전망에 실적 발표 하루 전인 1월 30일부터 약세를 보이기 시작한 주가는 실적 발표일인 1월 31일 소폭 하락한데 이어 하루 뒤인 2월 1일에는 급락했다. 2월 1일 734,000원에 거래를 시작한 LG생활건강은 장중 한때 673,000원까지 내려갔다. 이후 낙폭을 일부 회복했음에도 전 거래일 대비 52,000원(-7.00%) 하락한 691,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LG생활건강은 물론 화장품 대장주인 아모레퍼시픽(-2.82%), 아모레G(-2.80%)와 제이준코스메틱(-5.53%), 한국콜마(-1.80%), 토니모리(-1.76%) 등 화장품주도 하락세를 나타냈다. 2월 1일 주요 화장품 기업 주가 동향 이 같은 주가 하락은 LG생활건강의 실적 충격의…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설 연휴 이후 주식시장이 3일의 짧은 거래일을 보낸 가운데 화장품 기업 주가가 소폭 하락했다. 최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이슈에 따른 주가 급등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이었던 1월 27일에는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 아모레G 등 주요 화장품 기업 주가가 강세를 나타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월 25일부터 27일까지 한 주간 화장품 기업의 주가는 전주 대비 0.19% 하락했다. 해당 화장품 기업은 네이버증권 화장품업종에 속한 기업 54곳 가운데 우선주와 거래정지 중인 코스온, 협진을 제외한 48곳을 기준으로 했다. 국내 화장품 기업 가운데 지난 한 주 사이 주가가 가장 크게 오른 곳은 에스디생명공학(13.02%)이다. 에스디생명공학의 주가는 1월 9일 이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설 연휴 직후인 1월 25일 전 거래일 대비 3.64% 상승한 데 이어 다음날인 26일에도 추가 상승했다. 이날 1,642원에 거래를 시작한 에스디생명공학의 주가는 장중 한 때 1,824원까지 올랐으나 상승분을 일부 반납하고 전 거래일 대비 8.61% 오른 1,778원에 거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