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박람회에 참석한 관람객들을 위해 교육세미나도 눈길을 끈다. 3일 내내 이어지는 세미나는 ▲마케팅 트렌드 및 규제 세미나 ▲테크니컬 세미나 ▲화장품 과학 및 기술 세미나 등 3개 주제로 나눠 진행된다.
먼저 마케팅 트렌드 및 규제 세미나는 6월 20일 ▲ 엄선미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 리서치 애널리스의 '아시아의 프리미언 스킨케어:핵심 트렌드 및 전망' ▲플로렌스 버나딘 인포메시션&인스퍼레이션 설립자의 '뷰티산업-DIY화장품 트렌드의 진화 또는 혁명' ▲산치 멘디라타 파트너 해피마켓의 '아시아의 모바일 시장 성장이 갖는 의미' ▲새런 퀙 민텐 수석 뷰티 퍼스널 케어 혁신 및 인사이트 분석가의 '동남아시아에서의 뷰티 비즈니스 기획' ▲송자은 대한화장품협회 차장의 '한국 화장품 규제에 대한 이해 ▲윤석주 안전성평가연구소 예측독성연구본부장의 '코스메슈틱스 개발을 위한 인 실리코 접근법 ▲벨린다 칼리 퍼스널케어사이언스 이사의 '아시아의 헤어케어 트렌드' 등에 대해 발표가 이뤄진다.
6월 21일에는 ▲니콜 폴 파이브바이피프티 설립자의 '글로벌 프레그런스 마켓-새로운 기획 ▲산치트 멘디랫 해피마케터 파트너의 '화장품 브랜드를 위한 검색엔진 최적화-카라테 접근법' ▲박장서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 연구소장의 '한국의 친환경 및 바이오 기술 기반 원료 경향' ▲벨린다 칼리 퍼스널케어 사이언스 이사의 '소비자 맞춤형 상품의 현재와 미래' ▲조-앤 친들리 뷰티키친 설립자의 '유럽의 내추럴과 오가닉 제품 트렌드 ▲배지현 아모레퍼시픽 상품전략팀 상무의 '한국 스킨케어 최신동향' ▲이채원 뷰티스트림 한국 마케팅 & 영업 매니저의 '2018년 봄&여름 시즌 전망: 메이크업 컬러 및 텍스쳐' 등의 발표가 진행된다.
6월 22일에는 ▲니콜라 매틱 클라인 이사의 '화장품 원료 시장-미국&유럽과 아시아 비교 ▲니콜 폴 파이브바이피프티 설립자의 '매가 뷰티 트렌드 2020' ▲벨린다 칼리 퍼스널케어사이언스 이사의 '화장품 규정:유럽연합과 중국 등에 대해 발표하며 윤주택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 회장이 'IBITA 뷰티 시상식'을 진행한다.
![]() |
테크니컬 세미나는 6월 20일 ▲ 홍인기 래디안 리서치 매니저의 ‘세포 건강 복구를 통해 디에이징 제품을 개선하는 방법’ ▲나오야 야마모토 아지노모토 책임연구원의 ‘이목을 끄는 새로운 제형 및 우수한 질감을 위한 젤라틴화 제품’ ▲랄프 쿠슈너레이트 닥터 스트레트만 세일즈 디렉터의 ‘유화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위한 보존 솔루션’ ▲대니얼 김 에보닉 코리아 한국-퍼스널케어 비즈니스 매니저의 ‘눈에 띄는 피부 만들기-센서리 칼레이도스코프 2.0’ ▲로젠베르그 DSM Nutritional Product Ltd. 스킨케어 부문 글로벌 마케팅 매니저의 ‘PEPHA-AGE: 피부 일광 자가 방어력 촉진하기’ ▲박기돈 인코스팜 설립자의 ‘AdipoSol: 피부 광노화 예방을 위한 새로운 방법’ ▲요시히토 카사하라 세이와 카세이 테크니컬 세일즈 최고 책임자의 ‘손상된 큐티클을 회복시키는 방법-식물성 액체 큐티클’ ▲Kitty Xia UL 프로스펙터 세일즈 이그제큐티브의 ‘R&D를 더 신속하게 하기 위한 원료 리서치 최적화 방법’ 등의 발표가 진행된다.
6월 21일에는 ▲니콜라스 마조렐 스테리너리 드부아 지역 세일즈 메니저의 ‘오늘 그리고 내일의 메이크업을 위한 완벽한 에스테르 선택’ ▲Dr.Chang Wang PhD 리포텍(루브리졸 컴퍼니) APAC 지역 세일즈 & 마케팅 매니저의 ‘REPROAGE 팹타이드-젊은 피부를 위한 재생프로그램’ ▲프레드릭 세레스 지보단 액티브 뷰티 아시아태평양 세일즈 메니저의 ‘피부줄기세포 겨냥을 통한 전신 재생’ ▲죠셉 쉬에 루브리졸 스킨 에센셜 북미 기술 마케팅 메니저의 ‘민감 피부 관리용 제형을 위한 효과적인 새로운 솔류션’ ▲크리스티나 호 크로다 퍼스널 케어-미용 제형 마케팅 매니저의 ‘지속가능성 및 성분 무결성’ ▲파브리스 길레마트 디에스엠 지역 마케팅 팀장의 ‘블루를 이겨내다: 실내외의 블루 라이트 손상에서 피부보호’ ▲타쿠야 오카다 아지노모토 개발&테크니컬 서비스 어시스턴트 매니저의 ‘혁신적인 헤어케어 제품 개발을 위한 새로운 아미노산 기초 원료’ ▲톰 린스트룀 박사의 ‘코스메틱스 필드에서의 나노셀룰로오스’ ▲정세규 인코스팜 과학자문위원의 ‘환경오염에 대항하는 아쿠아타이드 트리플 쉘드 방어전략’ 등의 발표가 이어진다.
6월 22일에는 ▲에바 갤릭 비톱 비즈니스 개발 매니저의 ‘임상으로 증명된 효능이 있는 오염방지, 보호 및 복구’ ▲루메인 마티 세픽 아시아 아시아 태평양 뷰티 케어 마케팅 담당자의 ‘부드 페인트:페인팅이 당신의 감정을 고취 시킬 때’ ▲김민선 바이오스펙트럼을 대표하는 콘트롤 유니온 코리아 어시스턴트의 ‘유기농 화장품 인증 설명’ ▲데니스 즐로트닉 홀스타 수석 마케팅 개발 매니저의 ‘고성능&지속 가능한 천연 활성성분을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 ▲벨린다 칼리 퍼스널케어사이언스 이사의 ‘WOW 컬러 코스메틱 효과를 내는 색소 선택’ 등의 발표가 진행된다.
박람회 주최 측은 “2018년 인-코스메틱스 코리아에서는 ‘포뮬레이션 랩’을 신설, 실험실같은 공간을 마련해 참관객들이 화장품 원료를 직접 조합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인-코스메틱스 코리아는 항상 새로운 걸 시도하는 만큼 내년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