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고운세상코스메틱의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닥터지(Dr.G)가 ‘피부 건강러를 찾아라’ 캠페인 전개한다. 닥터지는 오는 7월 8일까지 유저들의 건강한 피부 습관을 도모하기 위한 ‘피부 건강러를 찾아라’ 캠페인을 진행하고 참가자를 모집한다. '피부과학으로 세상을 더 건강하고 아름답게 만들자’는 기업 철학을 바탕으로 ‘누구나 피부를 건강하게’라는 슬로건과 함께 올바른 스킨케어 문화 확산에 앞장서는 닥터지는 37만 피부 분석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접목한 피부유형 분석 프로그램 '옵티미'를 개편해 선보인 바 있다. 해당 서비스는 개인 피부 분석과 함께 피부 고민에 대한 컨설팅을 하고 개인 피부에 적합한 제품과 솔루션를 제안해 사용자들이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같은 일환으로 닥터지는 보다 많은 사람들이 ‘Ai 피부분석 서비스’를 체험하고 올바른 피부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도모하고자 ‘피부 건강러를 찾아라’ 건강 캠페인을 마련했다. 참여 방법은 오는 7월 8일까지 닥터지 공식 홈페이지와앱(App)에서 총 2회에 거쳐 ‘Ai 피부분석 서비스’를 체험하면 자동으로 응모된다. 수분과 유분,색소 등 6개피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LG생활건강이 치열한 선두 경쟁 끝에 6월 화장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차지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5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화장품 상장기업 30개에 대한 빅데이터 28,013,362개를 평판 분석했다. 지난 5월 화장품 상장기업 빅데이터 29,399,785개와 비교하면 4.72% 줄어들었다. 6월 화장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현대바이오, 한국콜마, 클리오, 아모레G, 코스맥스, 토니모리, 라파스, 스킨앤스킨이 상위 10위권을 차지했다. 이어 애경산업, 바른손, 코리아나, 한국화장품, 제이준코스메틱, 원익, 컬러레이, 내츄럴엔도텍, 현대바이오랜드, 올리패스, 글로본, 코스나인, 잇츠한불, 메디앙스, 에이블씨엔씨, 브이티지엠피, 한국화장품제조, 디와이디, 현대퓨처넷, 네오팜 순으로 분석됐다. 화장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2년 6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화장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LG생활건강브랜드는 참여지수 589,533 미디어지수 573,221 소통지수 466,041 커뮤니티지수 1,675,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SID BIO가 14일부터 1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된 ‘CPI WEEK 2022(국제제약화장품위크)’에 참가해 화장품용 천연 원료를 선보여 큰 호응을 얻었다. ICPI WEEK(국제제약화장품위크)는 2006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제약, 바이오, 화장품, 화학, 실험실, 물류 관련 전시, 컨퍼런스로 올해는 14일부터 1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으며특히 첫날부터 큰 관심을 이끈 이번 전시회는 코로나로 인해 침체돼 있던 화장품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SID BIO는 이번‘2022 CI Korea 화장품 혁신기술 박람회’에서 SID BIO만의 강점이 돋보이는 국내산 천연 소재를 활용한 여드름 개선, 채취방지, 퍼밍, 안티폴루션 주름개선 소재 등을 중점적으로 홍보했으며 그 중 피하지방세포 분화 유도를 통한 피부 퍼밍 원료인 CosFiller™ T가 큰 관심을 얻었다. 또 다양한 피부 고민 해결을 위한 슬리밍, 주름개선, 미백, 보습 등 다양한 솔루션과 화장품 소재 개발과 인허가 등에 관련해 컨설팅 등을 진행해 킨텍스를 방문한 여러 업체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SID BIO는 ‘스마트’와 ‘이노베션’ 그리고 ‘다이나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인간의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을 위한 제품을 연구개발하는 기업 유스케어팜(대표 송석진)이 세계적인 기능성화장품 원료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한 도약을 시작했다. 국내 주요 제약회사에서 20여년간 약을 연구하던 연구원들이 힘을 합쳐 설립한 유스케어팜은 집약된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뷰티, 헬스케어 분야에서 고객의 니즈에 맞춘 제품을 개발한다. 이는 20년의 기술력은 물론 기업부설연구소를 통해 자체적인 개발과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자사의 독보적 기술력으로 완성한 신소재 개발 플랫폼 UMAP(Uscarepharm Material Advancement Platform)를 통해 국내외 청정지역의 기능성 자생식물을 발견, 의약품 사용 소재의 리포지셔닝 등을 통해 기능성 신소재를 발굴해 제공하고 있다. 유스케어팜의 기업부설연구소는 임상실험과 분자생물학적 실험 등을 통해 피부재생과 탄력 그리고 상처 회복 등에 효과가 있는 성분들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유스케어팜은 ‘안티-에이징’의 핵심기술을 활용해 피부 미용과 조직재생, 성형, 비만, 탈모 등에 관심있는 소비자를 주 타깃으로 피부건강 제품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천연보존제, 천연 화장품원료식품원료 전문기업 비에스티(대표 이호)가 6월 14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 2전시장에서 열리는 ‘CI KOREA 2022(국제 화장품 원료기술전)’에 참가해 높은호응을 받았다. 이번 전시회는 ICPI WEEK 2022(화장품제약산업위크)와 KOREA PACK 2022(국제포장기자재전) 전시회와 동시 개최했다. ICPI WEEK 2022는 화장품과 제약산업을 주제로 연구개발 기술 정보부터 생산, R&D 장비, 원료와 소재, OEM ODM 서비스, 화장품용기, 물류 유통까지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전시회다. 비에스티는 천연보존제, 기능성화장품 원료를 선보였으며 ‘합성원료 대체하는 천연 항산화제와 항균, 항바이러스제’를 주제로15일 현장 세미나를 진행해 ‘BHT, BHA, 토코페롤 대체, 수용성, 지용성 항산화제’와 ‘무알콜, 다용도 항균, 항바이러스제’를 소개했다. 화장품 시장에서 환경, 안심,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합성원료를 대체하는 천연 소재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 많은 관심과 이목이 집중됐다. 비에스티는 식물을 기반으로 한 화장품과 식품용 천연 기능성 소재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2021년 설립된 글로벌 화장품 플랫폼 기업 넥스트팬지아(대표 임동훈)이 수출 실적 상승세를 타면서 글로벌 수출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고 있다. 넥스트팬지아는 화장품 OEM ODM 제조 수출과 국내 화장품 브랜드 수출을 함께 진행하는 기업으로지난5월까지 약 40만불 수출 달성했으며 올해말까지 약 120만불 달성을 전망하고 있다. 관계자에 따르면, 코로나 기간동안 전시회를 참가할 수 없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신규고객 확보할 수 있는 방안 연구해 다양한 시도를 자사만의 방식으로 했던 것이 많은 신규 고객 확보 성공의 이유로 꼽힌다. 넥스트팬지아 해외 신규 고객 확보 노력으로 해외 바이어가 한국의 트렌드에 대해 궁금해 하는 것에서 착안해 화장품을 좋아하는 20대의 모임인 ‘20대의 파우치’와 함께 트렌드 리포트를 공동 제작해베포해 젊은 세대들에게 큰 호응을 이끌었다. 넥스트팬지아는 CNE의 1차 벤더로 선정된바 있어 이미 10여개 브랜드, 약 60종 런칭을 완료했으며 추가 신규 브랜드 입점 논의 중이다. 또 홍콩 CNE 뿐아니라 아시아와 러시아 지역 확장도 계획 중이다. 미국과 유럽의 글로벌 대기업 뿐아니라인도, 러시아, 홍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중동지역의 가장 큰 규모로 열리는 세계적인 화장품 뷰티 박람회인 ‘두바이뷰티월드 화장품 뷰티박람회(Beauty World Moddle East 2022)’가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3일간 Dubai Intrenational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에서 개최돼 한국 뷰티 기업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 박람회는 지난 2019년68개국 1,803개사 참가했으며 138개국 44,256여 명이 참관했다.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에 따르면, 중동과 MENA지역의 잠재적인 해외 바이어와비즈니스 파트너, 선도적인 화장품회사, 최신 제품, 세계적인 컨퍼런스, 어워드 등 중동 화장품 시장의 모든 것들이 K-Beauty한국 기업을 기다리고 있다. 또 IBITA 한국관의 부스위치는 국가관이 구성된 국제관의 주 출입구 제일 좋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고 미국관 바로 옆 유럽관 등이 위치해 있어 진성 고정바이어를 만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특히 IBITA한국관은 2023년 KOTRA 정부지원으로 조기선정이 확정된 전시회이며 IBITA 한국관 참가사의 지속성을 위해 2022년IBITA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설화수가 6월 브랜드평판에서 1위를 기록하며 5월에 이어 또 다시 1위 자리 수성에 성공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5월 16일부터 6월 16일까지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클렌징 브랜드 30개에 대한 빅데이터 16,110,688개를 평판 분석했다. 지난 5월 클렌징 브랜드 빅데이터 15,979,684개와 비교하면 0.82% 증가했다. 6월 클렌징 브랜드평판 순위는 설화수, 뉴스킨, 셀퓨전씨, 바이오더마, 달바, 히스토랩, 비오템, 닥터자르트, 아벤느, 시세이도가 상위 10위권을 차지했다. 이어 라로슈포제, 피지오겔, 랑콤, 에스티로더, 뉴트로지나, 슈에무라, 바닐라코, 바비브라운, 라운드랩, 유리아쥬, 클라란스, 시슬리, 눅스, 청미정, 탈라, 듀이트리, 폰즈, 이솝, 라메르, 포레스트힐 클렌징 순으로 분석됐다. 클렌징 브랜드평판 2022년 5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클렌징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설화수 클렌징 브랜드는 참여지수 368,822 소통지수 348,160 커뮤니티지수 207,90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24,889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CJ온스타일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채널 ‘라이브쇼’의 누적 주문금액이 1,000억 원을 돌파했다. CJ온스타일 라이브커머스 채널 ‘라이브쇼’는 론칭 이후 약 1년 간 누적 시청 수는 2천만 건, 방문 고객 수는 1천만 명을 훌쩍 넘기며 누적 주문금액 1,000억 원을 달성했다. 27년 넘게 쌓아온 영상 기반 쇼핑 사업에 대한 전문성과 차별화된 라이브커머스 제작 노하우가 성공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CJ온스타일 ‘라이브쇼’ 총 주문금액은 론칭 이후 약 1년 만에 1,000억 원을 돌파했다. 2021년 약 60억 원에 머물던 월 평균 주문금액이 올해 들어서 약 100억 원에 달할 정도로 성장 속도가 가파르다. 이로 인해 올해 5월 주문금액과 시청자 수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약 2배 규모로 확대됐다. 충성 고객과 애청자 규모를 가늠하는 잣대인 방송 알림 신청 건수 또한 15만 명에 달한다. 고퀄리티 방송 프로그램에서 검증된 상품만을 고객에게 판매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전반적인 채널 선호도가 상승했다는 평가다. CJ온스타일 라이브쇼의 성공 요인으로는 전문적인 라방 콘텐츠 기획, 제작 역량이 첫 번째로 손꼽힌다. CJ온스타일이 고유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글로벌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더마펌이 차세대 전달 기술인 ‘엑소좀(EXOSOME)’을 접목시킨 신제품을 출시했다. 더마펌은차별화된기술로 '엑소좀'을 접목해병의원 전용신제품‘RX 바이오 엑소좀 앰플’ 4종을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현재 화장품 업계를 비롯해 제약, 바이오 업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엑소좀’은 세포 간 신호를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을 하는 약물전달체로유효성분을 더욱 깊게 전달해 빠르고 높은 효능을 발현시킨다. 특히 이번 신제품에 적용된 엑소좀의 기술은 기존 제품들과 달리 더마펌만의 독자적인 연구 기술 노력의 결실로 기술 안정화에 성공해 기존 추출물 대비 효능과 지속성을 더 높인 것이 차별화된 장점이다. 더마펌의 ‘RX 바이오 엑소좀 앰플’은 피부 고민 타입별로 선정된 우수한 엑소좀을 라인별 유형성분과 접목시킨 제품으로 목적에 따라 데일리 케어 또는 스페셜 케어로도 사용할 수 있는 특수 앰플이다. 전문가용 기기 또는 흡수유도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이 가능하며 병의원 전용으로 출시돼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고효능을 선사한다. 특히 안티에이징 케어 라인인 ‘RX 바이오 엑소좀 파워 PEP’는 재생능력이 뛰어난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고운세상코스메틱의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닥터지(Dr.G)가 대표 수분·진정 솔루션 ‘레드 블레미쉬’ 라인 판매량이 본격적인 여름을 앞두고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닥터지는 최근 올리브영이 진행한 ‘올영세일’ 행사에 참여해 레드 블레미쉬 제품 물량을 전년 같은 행사 기간과 비교해 2배 가량 넘게 판매했다. 특히 브랜드 대표 베스트셀러 ‘레드 블레미쉬 클리어 수딩 크림’은 하루 평균 판매량이 지난해 5,722개에서 올해 13,400개로 무려 134% 증가했다. 닥터지 측은 “레드 블레미쉬 라인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피부 트러블을 호소하는 사례가 늘면서 지난해까지 2년 동안 기록적인 판매량을 보였다”며, “올해 정부 방역 정책이 엔데믹(풍토병)으로 전환되면서 실외 마스크 해제 등이 판매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으나 예상과 달리 판매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닥터지 레드 블레미쉬 제품군은 여드름과 민감성 피부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수분, 진정 솔루션으로 올리브영과 뷰티 전문 플랫폼 등 주요 온·오프라인 유통채널에서 베스트셀러로 자리 잡았다. 특히 레드 블레미쉬 클리어 수딩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조말론이 6월 디퓨저 브랜드평판 1위 탈환에 성공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5월 15일부터 6월 15일까지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디퓨저 브랜드 23개에 대한 빅데이터 3,924,413개를 평판 분석했다. 지난 4월 디퓨저 브랜드 빅데이터 4,419,377개와 비교하면 11.20% 줄어들었다. 6월 디퓨저 브랜드평판 순위는 조말론, 코코도르, 양키캔들, 딥디크, 산타마리아노벨라, 에이센트, 쿤달, 디즈니, 우드윅, 라운드어라운드가 상위 10위권을 차지했다. 이어 데일리콤마, 아로마코, 모먼트, 센티멘탈, 에이로마, 초마루, 멜로우, 어느멋진날, 에멜시, 데메테르, 메르시앤코, 나크제이, 르몽도르 디퓨저 순으로 분석됐다. 디퓨저 브랜드평판 2022년 5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디퓨저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조말론 디퓨저 브랜드는 참여지수 384,126 소통지수 359,728 커뮤니티지수 110,44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54,301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852,402와 비교하면 0.22% 상승했다. 2위 코코도르 디퓨저 브랜드는 참여지수 3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제약, 바이오, 화장품, 식품산업계의 제품 연구개발등을 총망라하는 ‘2022 ICPI WEEK’가 개최돼 성황을 이루고 있다. ICPI WEEK(국제제약화장품위크)는 2006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제약, 바이오, 화장품, 화학, 실험실, 물류 관련 전시, 컨퍼런스로 올해는 14일부터 1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된다. 특히 첫날부터 큰 관심을 이끈 이번 전시회는 코로나로 인해 침체돼 있던 화장품 시장에 오랜만에 활기를 돋우고 있다. ICPI WEEK가 개최되는 2전시장은 426개사의 800개 부스를 설치하고 제약, 바이오 분야와 화장품 제품 개발을 위한 원료, 신약, 바이오기업, 벤처스타트업, 위·수탁 등 관련 서비스와 함께 연구실험, 분석장비를 소개한다. 또 행사 기간 중 약 100여회 이상의 산업계 전문가가 참여해 투자포럼과 컨퍼런스,기술세미나가 열려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전시 사무국은 원활한 행사 진행을 위해 공급망별로 전시제품을 구분해 참관객들이 효율적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전시회를 디자인했다. 행사를 주최하는 김길수 경연전람 전무는 “온라인전시관을 개관해 출품업체와의 비대면 소통채널을 구축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국내 뷰티 브랜드와 미국 유통업체를 연결하는 B2B 테크놀로지 기업 랜딩인터내셔널이 뷰티 어드바이저 트레이닝을 위한 통합 교육 서비스 앱 ‘BeautyFluent’를 새롭게 론칭했다. ‘BeautyFluent’는 얼타뷰티와 JCPenney 등 대형 뷰티 리테일러의 직원들이 입점한 국내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전문적인 뷰티 컨설팅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신개념 뷰티 어드바이저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돕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다. 특히 이번 신규 서비스 론칭은 뷰티 어드바이저의 업무를 단순 고객 응대나 판매 업무 수행을 넘어 글로벌 유통 채널에 입점한 국내 뷰티 브랜드 전문가와 인플루언서로 승격시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BeautyFluent’에서는 뷰티 어드바이저가 휴대폰으로 제품 바코드를 스캔하기만 하면 브랜드 스토리와 제품 정보 등을 곧바로 불러올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유통 채널의 뷰티 어드바이저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육과 업스킬링을 통한 역량 향상을 꾀해보다 체계적인 고객 응대에 나설 수 있다는 특장점이 있다. 또 랜딩인터내셔널은 ‘BeautyFluent’를 통해 일방적 교육 자료 전달이 아닌 쌍방형으로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메디힐이 6월 마스크팩 브랜드평가에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5월 14일부터 6월 14일까지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마스크팩 브랜드 30개에 대한 빅데이터 5,462,460개를 평판 분석했다. 지난 5월 마스크팩 브랜드 빅데이터 5,609,758개와 비교하면 2.63% 줄어들었다. 6월 마스크팩 브랜드평판 순위는 메디힐, AHC, 닥터자르트, 아비브, 듀이트리, 듀이셀, 설화수, 셀더마, 러쉬, 프리메라가 상위 10위권을 차지했다. 이어 차앤박, 미키모토, 은율, 구달, 센텔리안24, 홀리카홀리카, 더마픽스, 리더스, 다자연, 아이디, 더마토리, 시드물, 마녀공장, 제이엠솔루션, 미구하라, 퍼스트랩, 리리코스, 안나홀츠, 맥스클리닉, 메디앤서 마스크팩 순으로 분석됐다. 마스크팩 브랜드평판 2022년 6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마스크팩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메디힐 마스크팩 브랜드는 참여지수 627,623 소통지수 489,912 커뮤니티지수 347,36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464,896으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