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8,028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조현장에서 애로기술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맞춤형 기술지도를 지원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참가기업을 모집한다.지원대상은상시 종업원 5인 이상인 제조중소기업이다. 사업내용은길이, 시간주파수, 전기자기, 전자파, 광도광학, 질량힘, 진공압력, 온습도, 유량, 음향진동, 비파괴, 초음파, 화학분석, 방사선, 재료물성, 반도체, 나노, 바이오, 의료계측, 수소에너지, 기타 정밀계측 등 분야의 맞춤형 기술을 지원한다.신청은방문 또는우편, 이메일로 접수하면 된다. 자세한 문의는한국표준과학연구원 중소기업협력그룹 김희수(042-868-5777, hs.kim@kriss.re.kr)에게 하면 된다. * 제목 : 2023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기술홈닥터기업 모집 * 주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업기간 : 2년 이내(종료시 연장 가능) * 모집기간 : 2022년 12월 27일 * 사업개요 : 제조현장에서 애로기술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맞춤형 기술지도를 지원하는 사업 * 지원대상 : 상시 종업원 5인 이상인 제조중소기업 * 사업내용 : 길이, 시간주파수, 전기자기, 전자파, 광도광학, 질량힘, 진공압력, 온습도, 유량, 음향진동, 비파괴, 초음파, 화학분석, 방사선, 재료물성, 반도체, 나노, 바이오, 의료계측, 수소에너지, 기타 정밀계측 등 분야의 맞춤형 기술 지원 * 신청방법 : 방문, 우편 이메일 접수 * 상세문의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중소기업협력그룹 김희수 (042-868-5777, hs.kim@kriss.re.kr)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유럽, 동남아시아 화장품, 식품 인허가 대행 업체인 하우스부티끄와 글로벌 국제물류 최대 기업인 UPS코리아가 전 세계 최대 B2B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플랫폼인 알리바바와 공동으로 내년 1월 10일 오후 2시 ‘2023년 B2B 온라인 무역 수출 시작하기’라는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한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각 국가의 무역기술장벽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수출기업들의 선제적인 대비책 마련이 불가피해졌다. 이번 웨비나의 중점적으로 우리나라 화장품 식품 등 소비재를 취급하시는 기업께 수출에 필요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UPS코리아는 국가별 주요 TBT 이슈와 목록통관에 대해설명할 예정이고알리바바 공식파트너사인 CK브릿지에서는 알리바바닷컴이라는 최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바이어 발굴과 우리나라 화장품, 식품 수출 전략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또 하우스부티끄는 우리 수출기업들의 주요 애로사항인 인증, 인허가 등을 소개하며 대응 방법에 대해설명한다. 한편, 이번 웨비나의 신청과 자세한 사항은 UPS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펜데믹을 비롯해 러-우전쟁, 중국 봉쇄 등 세계적인 악재가 겹치치자 국내 화장품 산업에도 위기가 찾아 왔다. 수출 감소와 하향 주가 등 올해화장품 시장은 그야말로 어둠 속에 갇혀버린 듯했다. 이에 화장품업계는 조금이나마 숨통을 트이고자 화장품과 관련된 여러 규제들에 대해 완화를 바라는 목소리를 높여갔다. 정부는 식품의약분야 규제혁신 100대 과제를통해 업계의 애로사항이였던화장품 원료 사용 보고의무 폐지, 화장품 책임판매관리자 자격 요건 완화 등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또식품, 생활용품 등 개별 제품별로 평가, 관리해 왔던 유해물질 위해성 평가가 종합 평가를 통한 총량 관리 체제로 전환하고화장품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부주의나 경미한 위반 등의 경우 과태료를 감경하고 중대한 위반은 가중 처분하는 기준을 명확히 했으며 영업자 등의 준수의무 위반 시 과태료 금액을 구체적으로 마련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제품의 포장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도 개정되어과대포장 방지를 위한 조항이지난 4월 신설됐다. 이에따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의 화장품류 가운데 인체, 두발세정용 제품류(단위포장)의 경우에는 15% 이하의 포장공간비율과 2차 이내의 포장횟수가 이뤄지도록 했다. 올해 화장품과 관련한 다양한 법률, 제도변경사항을 정리한다. #‘식품의약분야 규제혁신 100대 과제’ 발표 업계 애로사항 수용 '숨통'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8월 11일 ‘식품의약분야 규제혁신 100대 과제’를 발표했다. 식약처는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공동 브리핑을 통해 식품의약 분야의 신산업 성장을 지원하고 규제로 인한 기업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식품·의약 분야 규제혁신 100대 과제'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식품의약분야 규제혁신 100대 과제'에서 화장품 분야와 관련된 것은 ▲천연, 유기농화장품 인증제도 민간주도 전환 ▲화장품 원료 사용 보고의무 폐지 ▲화장품 책임판매관리자 자격 요건 완화 등이었다.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됐던 천연, 유기농화장품 인증제도 민간주도 전환(2023년 12월 폐지)은 기존에는 식약처가 지정한 기관에서 인증을 받는 데에 발생했던 애로사항 해소에 초점을 맞췄다. 식약처는 민간(협회 등)에서 인증기관의 목록을 공개해 신뢰성을 확보하고 인증 결과를 표시, 광고에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개선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인증기준 활용으로 시장 진입 용이하고 표시, 광고의 자율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화장품 원료 사용에 대한 보고 의무 폐지(2023년 12월 개정) 역시 업계의 큰 관심을 받았다. 기존 책임판매업자는 화장품 유통, 판매 전 제품에 사용된 원료 목록을 식약처에 보고하도록 의무화돼 있었지만 사후 보고보다 사전 보고 절차가 복잡하고 인력과 시간, 노력을 더 쏟아야 한다는 게 업계의 고충에 따라 폐지를 결정했다. 이로써 업체의 행정소요에 따른 경제적, 시간적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화장품책임판매관리자 자격기준 중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증을 갖고 업무 경력(1년)을 갖추면 화장품책임판매관리자가 될 수 있도록 완화(2023년 12월 개정)했다. 식약처는 화장품책임판매관리자 자격기준에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의 제조, 품질관리 업무 경력이 필요치 않을 것으로 판단했으며 이를 통해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의 고용 장벽을 낮춰 산업계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제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인체적용제품위해성 평가법률 시행령 개정 지난 1월 화장품을 비롯해 식품, 생활용품 등 개별 제품별로 평가, 관리해 왔던 유해물질 위해성 평가가 종합 평가를 통한 총량 관리 체제로 전환됐다. 식약처는 우리 몸에 들어오는 유해물질이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합 평가, 총량으로 관리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인체적용제품의 위해성평가에 관한 법률’(2021년 7월 27일 제정)을 1월 28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공식 발표했다. 식약처는 “유해물질은 ▲화장품, 식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제품 ▲오염된 대기, 토양 등 환경에도 존재하는데 유해물질이 다양한 경로로 우리 몸에 지속적으로 축적되면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제하고 “이번에 시행하는 ‘유해물질 통합 위해성평가’는 이러한 제품과 환경을 거쳐 우리 몸에 들어오는 유해물질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종합 검증하는 것으로 앞으로는 제품이 아닌 사람 중심으로 ‘유해물질 총량’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고 전했다. # 맞춤형화장품, 과태료 경감 등 '화장품 안전관리' 제도 정비 -고체비누 1차포장 표시 생략 화장품법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이 지난 2월 18일 식약처에 의해 공포됐다.식약처는과태료 감경, 가중 등 세부기준 등을 정하는 ‘화장품법 시행령’, ‘화장품법 시행 규칙’, 고시 3종을 개정, 시행했다. 식약처는 화장품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부주의나 경미한 위반 등의 경우 과태료를 감경하고 중대한 위반은 가중 처분하는 기준을 명확히 했으며 영업자 등의 준수의무 위반 시 과태료 금액을 구체적으로 마련했다.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가 아닌 자가 해당 명칭(유사명칭 포함) 사용 시 과태료 100만원, 책임판매관리자와 조제관리사 의무교육 미이수 50만원, 맞춤형화장품판매업자의 원료목록 미보고 50만원 등이 신설됐다. 화장품법 개정안에 따른 위반내용별 과태료 부과금액 (2022년 2월) 또 개정된 시행규칙에서는 맞춤형화장품판매업자가 갖춰야 하는 시설기준과 원료목록 보고 방법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이 포함됐다. 맞춤형화장품판매업을 신고하려는 자는 맞춤형화장품의 혼합·소분 공간을 그 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공간과 분리 또는 구획해야 한다. 맞춤형화장품판매업자는 전년도에 판매한 맞춤형화장품에 사용된 원료 목록을 매년 2월 말까지 대한화장품협회를 통해 식약처장에게 보고해야 한다. 또 이날 식약처는 시행규칙 개정에 맞춰 ‘화장품 생산·수입실적 및 원료목록 보고에 관한 규정’, ‘화장품 안전성 정보관리 규정’,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시험 운영에 관한 규정’을 2월 18일부터 개정, 시행한다고 밝혔다. 주요 개정내용은 ▲(원료목록 보고 규정)맞춤형화장품판매업자를 원료목록 보고대상에 추가, 보고 방법 마련 ▲(안전성 정보관리 규정)맞춤형화장품판매업자를 부작용 보고대상에 추가 ▲(자격시험 운영 규정)자격증 발급업무 추가, 발급 신청 시 결격사유 확인 절차 신설 등이다. 식품의 형태, 용기 등을 모방해식품으로 오용될 우려가 있는 화장품을 회수대상 화장품(위해성 나등급)으로 정했다. 특히고체 형태의 세안형 비누인 화장비누는 화장품의 명칭이나 제조번호 등 주요 사항을 1차 포장에 기재, 표시하지 않을 수 있도록 개정됐다.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관련 법안도 개정됐다.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시험에 합격해 자격증을 발급받으려는 사람은 자격증 발급 신청서에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또 자격증을 잃어버리거나 못 쓰게 된 경우에는 재발급 신청서에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서류를 첨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격증을 잃어버리거나 못 쓰게 된 경우에는 별지 제6호의5서식의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증 재발급 신청서에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서류를 첨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 '화장품 주의사항, 알레르기 유발성분 표시 규정' 개정 식약처는 '화장품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화장품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과 알레르기 유발성분 표시에 관한 규정(식약처 고시)'을 개정했다. 화장품법 고시 변경 내용 주요 개정 내용은 ▲외음부세정제에 주의사항 ‘질 내 사용하지 말 것’ 신설 ▲고압가스 사용 에어로졸 제품에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따른 기재사항 반영 ▲사용 목적이 유사한 제품을 같은 유형으로 조정 ▲유통실적이 없는 화장품은 유형에서 삭제 등이다. 종전의 규정에 따라 기재된 외음부세정제와 에어로졸 제품 포장은 개정 고시 시행일(2022년 12월 19일)부터 6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됐다. # 염모제 원료 5종'화장품 원료 사용금지' 지정 ‘o-아미노페놀’ 등 염모제 5종 성분이 지난 9월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로 지정됐다. 식약처는 지난 9월 5일 해당 내용을 골자로 하는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행정예고한다고 발표했다. 사용금지 지정을 추진하는 염모제 5종 성분은 ▲o-아미노페놀 ▲염산 m-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카테콜 ▲피로갈롤 등이다. 이번 개정안은 2022년 염모제 성분에 대한 정기위해평가가 진행 중인 가운데 o-아미노페놀 등 염모제 5종 성분의 유전독성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평가 결과를 반영한 조치다. 식약처는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쳐 해당 성분에 대한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으며 이에 화장품 중 사용금지 목록에 추가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고 전했다. 정기위해평가는 화장품법령에 근거해 2020년부터 5년 주기로 보존제, 자외선 차단제와 염모제 등 사용제한 원료로 고시된 총 352개 성분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 화장품 동물대체시험법 가이드라인 추가 마련 식약처는 지난 10월 25일 25일 설치류 등 실험동물을 이용하지 않고 화장품의 광독성과 피부감작성을 평가할 수 있는 ‘화장품 등 동물대체시험법 가이드라인’ 2건을 추가 발간했다. 이는 지난해 발간한 화장품 동물대체시험법 가이드라인에 추가되는 내용이다. 앞서 식약처는 화장품의 안전성을 평가할 때 가능한 동물실험 대체 시험법을 사용하는 국제적 추세를 반영해 ‘IL-8 루시퍼라아제 시험법’(피부감작성)과 ‘생체외(in vitro) 고분자 시험법’(안자극)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을 발간한 바 있다. 그리고 여전히 비건 화장품이 글로벌 대세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이를 염두한 식약처가 올해 두 건의 가이드라인을 추가로 마련한 것이다. 해당 가이드라인에 추가된 내용은 ‘인체피부모델을 이용한 광독성시험법’과 ‘화학적(In chemico) 피부감작성시험’에 대한 것이었다. 인체피부모델을 이용한 광독성시험법은 인체의 피부와 생화학적,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인공 3D 인체피부모델을 이용해 시험물질의 광독성 유발 가능성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화학적(In chemico) 피부감작성시험은 단백질 성분 중 하나인 시스테인(cysteine)을 함유한 인공 펩타이드를 가지고 화학 반응에 따른 발색 정도를 확인해 시험물질의 피부감작성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2023년상반기 역시 화장품업계에 불어닥친 위기라는 폭풍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가운데 화장품업계를 둘러싼 각종 규제와 법규들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소관 법령따른 행정처분,과태료가중처분에 관한 세부 지침 지난 5일식약처는 소관 법령에 따른 행정처분 및 과태료 가중처분에 관한 세부 지침을 마련했다. 해당 지침은 식약처 소관 법령에 따라 가중된 부과처분을 하려는 경우의 적용 순서도와 예시를 제시했다. 가중처분 적용 기준 기간이 최근 1년인 경우 예를 들어 2020년 2월 1일 3차 처분을 받고, 그 처분 후 다시 같은 위반행위를 해 2022년 1월 1일 적발된 경우 1차 처분을 부과한다. 2021년 2월 1일 1차 처분을 받고, 2021년 1월 1일에 한 위반행위에 대해 2022년 1월 1일 적발됐을 때에는 1차 처분을 부과한다. 2021년 2월 1일 1차 처분을 받고, 그 처분 후 다시 같은 위반행위를 해 2022년 1월 1일 적발된 경우 2차 처분을 부과한다. 2021년 2월 1일 1차 처분, 3월 1일 2차 처분을 받고, 2차 처분 후 다시 같은 위반행위를 해 2022년 1월 1일 적발된 경우에는 3차 처분을 부과한다. #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등급평가 기준 환경부는포장재 재활용 잉이성 등급평가 기준을 발표했다. 내용은 몸체로부터 라벨, 마개 및 집자재를 별도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분리할 수 있더라도 일부 남아있는 경우 '분리 불가능'으로 간주하며합성수지 포장재의 재질, 구조 세부분류기준,합성수지 복합재질 용기, 트레이류 포장재에 대한 재활용 용이성 평가기준을 조정한다는 것이다. # 제품의 포장재질, 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 또 환경부는 ‘제품의 포장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을 공포하고 택배의 과대포장 방지를 위한 조항을 지난 4월 신설했다. 소비자에게 전달(수송)하기 위한 목적의 화장품류 가운데 인체·두발 세정용 제품류(단위포장)의 경우에는 15% 이하의 포장공간비율과 2차 이내의 포장횟수가 이뤄져야 한다. 방향제를 포함한 그밖의 화장품류는 10%이하(향수 제외)의 포장공간비율과 역시 2차 이내의 포장횟수를 적용한다. 종합제품(세트제품)의 경우에는 포장공간비율이 25% 이하, 포장횟수도 2차 이내다. 환경부 측은 개정령 공포와 관련해 “온라인 유통 확대에 따라 택배 과대포장으로 인해 포장재 등 자원의 낭비와 1회용 택배포장 폐기물이 증가하고 있어 제품의 포장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조 제 2항을 신설, 소비자에게 수송하기 위한 목적의 제품포장에 대해서는 제 4조의 포장방법에 관한 기준을 준수하도록 했다”며, “이와 함께 별표1에 1회용 수송포장 관련 제품의 포장방법에 관한 기준을 신설해 택배의 과대포장을 방지하고자 하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환경부는 또플라스틱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1회용품의 사용억제 대상 사업자에 제과점업, 종합 소매업을 운영하는 사업자를 추가하고식품접객업·집단급식소 내에서 1회용 종이컵, 1회용 플라스틱 빨대,1회용 플라스틱 젓는 막대의 사용을 억제하도록 하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6월에 공포하고 9월에는 이에 관한 시행규칙을 발표했다. 해당 법률은 1회용품 뿐아니라발광다이오드 조명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위해유가금속 등의 회수, 재생원료 제조 등으로 발광다이오드 조명의 구체적인 재활용 방법 및 기준을 정하기 위함이라는 것이 환경부의 설명이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관세청이 지난 9월 22일부터 11월 30일까지 10주간 국민 건강, 안전 위해 및해외직구 악용 사범에 대한 특별단속을 실시해 범칙금액 총 810억 원 규모의 불법행위를 적발했다. 27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번 특별단속으로 97개 업체, 범칙금액 810억 원 규모의 불법행위가 확인됐다.이는 전년 동기대비 건수는 70%(57→97건), 금액은 182%(287억→810억 원) 증가한 것이다. 이번 특별단속은 중국 광군제(11월 11일)와미국 블랙 프라이데이(11월 25일) 등 해외직구 세일 집중 시기에 맞춰 실시됐다. 중점 단속대상은 유해성분 식품, 의약품, 안전인증을 받지 않은 완구류 등 국민 건강, 안전 위해물품의 밀반입과 ‘해외직구 간이 통관제도’의 이점을 악용한 수입요건 회피, 탈세행위, 타인 명의도용이다. 주요 적발유형은 ▲안전위해물품 불법수입 57개 업체(금액 총 511억 원) ▲타인 개인통관고유부호 도용 24개 업체(금액 총 185억 원) ▲구매대행업자가 소비자로부터 받은 관세, 부가세를 착복한 행위 6개 업체(금액 총140억 원) 등이다. 주요 품목으로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415억 원), ▲가방, 신발 등 잡화류(139억 원), ▲전기, 전자제품(79억 원), ▲운동, 레저용품, 완구류(47억 원) 등이 적발됐다. 해외직구 특별단속 적발 품목 한편, 관세청은 이번 특별단속과 병행해 14개 오픈마켓(11번가, 네이버, 머스트잇, 옥션, 지마켓, 위메프, 인터파크, 쿠팡, 티몬, 트렌비)와중고거래플랫폼(당근마켓, 번개장터, 중고나라, 헬로마켓)과 민관 합동으로 지난 11월 9일~29일까지 온라인 불법거래 집중감시를 실시했다. 이번 합동 모니터링을 통해 수입이 금지된 유해성분 식의약품, 지재권 침해물품 등 판매 게시물 12만 6,374건에 대해 게시물 삭제, 아이디 영구정지 등 계도 조치 또한 취한다. 손성수 조사총괄과장은 “최근 국민안전 위해물품의 반입과 해외직구를 악용한 타인 명의도용, 구매대행업체의 세금 가로채기 등 불법행위가 지속 증가하고 있는 것에 대해 관세청은 엄중히 인식하고 단속을 강화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도 해외직구 악용사범에 대한 상시단속체제를 구축해 소비자의 피해를 적극 예방하겠다”며 “국민도 온라인 상에서 불법 식의약품 등 해외직구 불법거래를 발견하면 관세청에 적극 신고해 달라”고 덧붙였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비건화장품 브랜드 루트리가 ‘오디베리’ 라인 신제품 ‘오디베리 5중 모공 타이트닝 클레이마스크 투 폼’을 27일 출시한다. ‘오디팩’은 ‘2022 와디즈 어워즈’ 톱10 중 2위를 기록한 루트리의 ‘오디베리’ 라인 중 엠플과 크림에 이은 신제품으로 와디즈에서 단독 출시된다. 와디즈 편딩은 12월 22일부터 내년 1월 5일까지 알림 신청이 가능하며내년 1월 30일까지 펀딩이 진행된다. 펀딩 기간 중 오디팩은 와디즈를 통해서만 구매가 가능하며리워드에 따라 최대 80%의 가격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이번 오디팩은 피부 탄력에 효과적인 오디 성분과 노폐물 흡착과제거에 탁월한 클레이 성분이 함유돼 있어 더욱 드라마틱한 모공 케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임상시험 결과 모공 속 노폐물 세정효과 90%, 피지와각질개선 30%, 피부보습 40% 등 8가지 피부개선 효과를 보였다. 2세대 클레이팩으로 클렌징을 하며 팩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 피부 도포 후 3분만에 빠르게 건조되며세안 때 따로 클렌징폼 없이 풍부한 거품과 함께 깨끗한 세안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오디 팩’은 동물성 원료와 동물실험을 배제해 ‘한국비건인증원’으로부터 ‘비건(Vegan)’ 인증을 획득했으며친환경 인증 용지와인쇄 패키지를 사용했다. 최장규 루트리 단장은 "오디팩은 3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모공케어와 보습을 동시에 해결하는 고기능성 저자극 비건 제품이다"며, “고객의 니즈를 빠르게 반영해 매번 업그레이드 제품을 선보이는 만큼 이번에도 고객들의 많은 관심을 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루트리 오디베리 제품은 ‘2022 와디즈 어워즈’에서 ‘올해 펀딩 시장을 이끈 영향력 있는 브랜드 톱 10’에 2위로 선정됐다. 또 ‘2022 화해 뷰티 어워드’ 트렌드 어워즈(비건) 앰플 부문에서 올해 가장 주목받은 인기 제품으로 1위를 수상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아우딘퓨쳐스(대표 최영욱)가 5일 윤석열 대통령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한국무역협회장 등 1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59회 무역의 날'에서 '7백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아우딘퓨쳐스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속에도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국내 다양한 유통 진입과 적극적인 글로벌 최적화 마케팅으로 글로벌 시장에 직접 수출하는 계약을 꾸준히 증가시켜 제59회 무역의 날 '7백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는 영예를 차지했다. 아우딘퓨쳐스의 대표 브랜드 네오젠 더마로지의 제품 ‘마이크로 퍼먼트’ 라인은주력 제품으로 해외 수출 품목 중 가장 큰 매출을 올리고 있다. 제품은 한국의 막걸리 발효 개념을 사용한 쌀 발효 추출물을 반영한 스킨케어 라인으로 한국의 전통적이고 우수한 발효기술을 접목시켜 탄생했다. 무엇보다 한국 전통기술의 우수함을 해외시장에 알리며 수출액과 마케팅 효과를 동시에 잡아 업계에서도 주목도가 크다. 특히 ‘마이크로 퍼먼트’는 기능과 사용감을 화장품 트렌드 언어에 맞춘 글라스스킨(투명한 광채피부의 표현)을 소구해 해외 시장 컨슈머의 큰 공감대 형성을 일으키는데 성공해 현재까지도 꾸준한 셀링파워를 자랑하고 있다. 아우딘퓨쳐스의 또 다른 수출 주력 제품인 ‘바이오필 거즈 필링 3종(와인, 레몬, 그린티)’은 아우딘퓨쳐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양면 사용 가능한 필링 패드 제품으로 타 브랜드들이 모방한 제품을 수출할 만큼 K-뷰티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바이오필 거즈 필링 패드’는 한국의 독특한 얼굴 각질관리, 더블 클렌징 등에 착안해 개발된 제품으로 한국의 스킨케어 문하를 화장품에 접목시켜 만든 제품인 만큼 초창기 무역산업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에 K-뷰티를 알리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아우딘퓨쳐스의 미국과 홍콩, 일본, 러시아, 인도네시아 등 전 세계를 대상으로 폭넓은 수출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판매를 진행하고 있다. 먼저 브랜드 네오젠을 통해 세계적인 기업 The Hut Group이 운영하는 미국의 Skinstore와 Look Fantastic 입점 계약을 진행했으며 현지에 669개 오프라인 채널을 보유한 빅 리테일러 매장인 JC PENNEY에 입점해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현재는 미국 홈쇼핑 HSN, 대형 코스트코 체인(미국, 호주, 뉴질랜드), 미국 아마존 플랫폼과 K-뷰티 엠베서더인 소코글램 (Soko Glam)에서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특히 네오젠은 지난 3월 엑세스헐리우드(ACCESS HOLLYWOOD)에서 ‘가장 핫한 브랜드’로 선정되는 등 미국 뷰티 업계에서 K-뷰티와 아우딘퓨쳐스의 우수성을 입증해 가고 있다. 또 일본의 대표 플랫폼 라쿠텐 입점을 선두로 큐텐과 아마존 재팬에 잇달아 입점했으며 네오젠의 마스카라 제품이 라쿠텐 마스카라 부문 랭킹 1위를 2회 이상 획득하는 등 일본에서도 우수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이 밖에도 러시아의 최대 규모 뷰티 리테일러인 레뚜알(L’Etoile)에 당사의 클린&비건 브랜드인 re:p가 입점 확정돼 올해 첫 선적을 진행한 이후43만명의 팔로워를 가진 러시아 인플루언서가 운영하는 러시아 subscription box인 82BOX로부터 러브콜을 받아 올해 가을 스킨케어와 메이크업박스 참여가 확정되는 등 러시아 시장 개척과 진출에 큰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자사 제품인 필링패드가 현지에서 탑 랭킹에 올랐고 인도 내 최대 뷰티 유통업체인 NYKAA에도입점을 앞두며 현지 온-오프라인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아우딘퓨쳐스는 2023년 브랜드 비전을 더욱 구체화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네오젠 브랜드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려는 다양한 시도와 20년 이상 화장품을 개발해온 노하우로 제조, 개발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판매하고 해외 플랜트 수출를 진행하는 등 비즈니스 영역으로 다각화할 계획이다. 아우딘퓨쳐스최영욱 대표는 “글로벌 브랜드로 지속성장을 하기 위해 우수한 화장품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춘 K-뷰티 브랜드로서의 수출 확대가목표다”며, “건강하고 최적화된 피부 케어 솔루션을 전달하는 'True Benefit' 브랜드 슬로건에 따라 개인의 피부상태에 맞춘 퍼스널 스킨케어의 역할을 하는 브랜드로 성장시킬 계획이다”강조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라이브 커머스 그립을 운영하는 그립컴퍼니(대표 김한나)가 2022년 결산 발표를 통해 거침없는 성장세를 입증했다. 그립의 거래액은 2019년 4억 원에서 시작해2020년 243억 원, 2021년 858억 원을 기록했으며 2022년에는 2,000억 원을 돌파할 예정이다. 거래액 외 다른 지표들 역시 함께 성장세이다. 2021년 동기간 대비 월 방문자 수 2.9배, 월 구매자 수 2배 증가했으며 앱 누적 설치 수 또한 610만 명을 돌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대부분의 온라인 플랫폼 성장세가 둔화되는 와중에도 그립은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 나가고 있다. 그립은 그립 사용자들의 라이브 방송 참여 지표도 함께 공개했는데2022년의 총 라이브 시청 시간은 24,610,025시간이고채팅 참여 건수는 111,053,102회이다. 관련 데이터는 현재 그립에서 진행하고 있는 '그립 2022' 이벤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그립 2022'에서는 로그인만 하면 채팅 건수, 가장 많이 시청한 방송 시간대, 올 한 해 받은 할인 혜택 등 고객 개인별 그립에서의 활동 기록 데이터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올 해 그립에서 가장 많은 판매 실적을 보인 탑 셀러들을 시상하는 ‘셀러어워즈’와 함께 해당 셀러들의 할인 쿠폰 제공하는 프로모션도 진행하고 있다. 그립 마케팅팀 담당자는 "2022년은 그립이 양적 성장과 함께 고객들의 활동성도 동반 성장한 해로써 고객님들이 그립을 새로운 쇼핑 습관으로 받아들이는 것 같다"며 "2023년에도 그립만의 특성을 담은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더 큰 재미와 혜택이 있는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으로 거듭나갈 예정이니 많은 기대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참조할 수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번역하고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2년 7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2년 7월공개된 한국특허는 총 199건으로 전월의 265건에 비해 66건이 줄어서 공개건수는 매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가운데 해외 특허는 39건으로 전월의 32건보다 7건 증가했고 그 비율은 19.5%를 나타내 전월의 12%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7월 한국특허는 전월에 비해 공개건수가 크게 감소하고 있으나 해외 특허의 비율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22년 7월공개된 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발모, 육모, 탈모방지’ 분야가 15건으로 가장 많은 건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항균제’ 분야 14건, ‘자외선 차단’ 분야 12건, ‘항노화, 항산화’ 분야가 11건을 나타냈고‘복합효 능’, ‘마스크 팩, 미용시트’ 분야가 각 10건, ‘피부미백’ 분야 9건, ‘항염증, 아토피성’, ‘샴푸, 세정제, 여성청결제’ 분야가 각 7건, ‘유화물, 에멀젼’ 분야가 6건을 나타냈다. 이어서 ‘주름개선’, ‘안정성, 안정화제’, ‘소독제’, ‘고형 화장료, 파운데이션, 분체’, ‘구강케어’, ‘건강기능식품, 면역증강’ 분야가 각 5건의 공개건수를 보였다. 전체적으로는 전월에 상위권을 보였던 ‘항염증, 아토피성’, ‘항노화, 항산화’, ‘복합효능’ 분야는 중위권 이하로 떨어졌고 전월에 중위권이었던 ‘발모, 육모, 탈모방지’, ‘항균제’, ‘자외선 차단’ 분야가 7월 들어 상위권을 차지했다. 또전월에 하위권에 속했던 ‘마스크팩, 미용시트’ 분야도 중위권으로 들어왔으며 ‘안정성, 안정화제’ 분야와 ‘유용성분 추출’ 분야에도 4~5건의 새로운 특허들이 공개됐다. 내용적으로 살펴보면 ‘피부미백’ 분야에서는 광나무 추출물이나 유채 추출물의 바이오리노베이션에 의한 미백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고 유효성분으로 장수버섯 균사체, 잔나비 불로초버섯 균사체와 감초 추출물, 목련추출물, 홍화씨유 가수분해물과 삼백초 추출물의 혼합물이 보고됐다. 또한 미백 화합물로서 디메틸페닐티 오우레아와 포밀티오펜 티오세미카바존이 발표됐다. ‘보습’ 분야에서는 다층 세라마이드 라멜라 구조체에 관한 특허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포스파티딜콜린과 마그네슘 또는 칼슘 화합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다. ‘주름개선’ 분야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 탁시폴린이 보고됐고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히알루론산과 BDDE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필러 조성물이 발표됐다. ‘자외선 차단’ 분야에서는 중공형 미소 유리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특허와 유무기 융합 형태의 하이브리드 복합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으며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과 메이크업 밀착 평가 방법에 관한 특허도 발표됐다. ‘항노화, 항산화’ 분야에서는 곰보배추 추출물과 병풀 추출물, 왕벚나무 꽃 생물전환 추출물, 대마 줄기 추출물 등이 유효성분으로 발표됐고 2조 겉보 리로부터 제조된 몰트를 유효성분으로 하거나 저온성과 중온성 효소에 의한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특허도 보고됐다. ‘복합효능’ 분야에서는 당유자와 황칠 발효 추출물, 마황 발효물, 산국추출물과 그의 발효물, 곤충 추출물, 바다대나무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등이 유효성분으로 발표됐다. ‘항염증, 아토피성’ 분야에서는 나한송 추출물, 모과와 홍화씨 추출물, 문주란 추출물, 녹용 발효물 등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검은콩 발효 여과물 유래 고기능성 항염 성분 특허와 저분자 흑염소육골즙 효소 분해물과 유효 펩타이드 서열을 함유하는 조성물 특허도 발표됐다. ‘항균제’ 분야에서는 서양 유채의 생물전환 추출물, 올벚나무 추출물, 달맞이꽃 추출물, 치커리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HigBA 독소-항독소 체계를 표적으로 하는 항균 펩타이드, Hylin a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특허와 항균 활성이 증진된 케나프 전해수 추출물도 발표됐다. 새로운 균주로서 바이셀라 시바리아 균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GFC0707P 균주가 발표됐고 스피룰리나를 이용한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엑소좀과 시크리톰 생산 방법에 관한 특허도 공개됐다. ‘나노입자’ 분야에서는 지방산 도입 고분자 나노 입자와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반투명 제형의 나노에 멀젼의 화장품 용도특허가 공개됐다. ‘캡슐, 비드’ 분야에서는 화장품용 히알루론산 비드에 관한 특허와 비드형 이중 캡슐 화장료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고 ‘유용 성분 추출’ 분야에서는 마치현 또는 차가버섯으로부터 산성 첨가제와 아임계수 추출을 이용해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방법과 폴리아민 고함유 고추 추출물의 추출방법, 그리고 죽엽으로부터 파라-쿠마린산 정제방법에 관한 특허가 공개됐다. ‘상처치료, 피부재생’ 분야에서는 효모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과 조직수복용 생체 재료 특허가 공개됐다. ‘안정화’ 분야에서는 미네랄 소재를 이용한 유효성분 안정화 방법에 관한 특허 2건과 EGF를 안정화한 니오좀 조성물,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다. ‘발모, 육모, 탈모방지’ 분야에서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개선 용도로서 다이어트지아 신나메아 균주 등 5종류의 균주가 소개됐고 오미자 씨앗 추출물, 장미꽃잎 추출물, 생열귀나무 추출물, 소미초 추출물과 신규 FK506 유도체, 아트라릭산, 리놀레산과 바닐린산, 희토류 복합바 이오광물질의 증류추출액이 탈모방지의 유효성분으로 보고됐다. ‘샴푸, 클렌징’ 분야에서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오일-투-폼 타입 2층상 세안제,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맥주의 특성을 반영한 샴푸, 인삼농축액 혼합물을 이용한 샴푸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다. 또은 콜로이드를 함유한 미분무용(크림, 로션, 젤타입) 화장품 특허와 히알루론산, 폴리에틸렌글리콜과 실리콘 함유 성분을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에 관한 특허가 공개됐고 ‘마스크 팩’ 분야에서는 모델링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멀티 마스크 팩, 해수를 함유하는 상변화 미용팩 조성물, 코팩 효과를 내는 다기능 마스크에 관한 특허가 발표됐다. 또천심련 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일주기 리듬 장애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카페인을 함유한 안티셀룰라이트 화장료 조성물, 세노테라피용 조성물, 구독형 맞춤형 화장품 제공방법, 고 HLB 레시틴의 제조 시스템에 대한 특허도 공개 됐다. 한편, 2022년 7월에 공개된 해외 특허는 총 39건으로서 프랑스가 15건의 특허를 공개해 가장 많은 특허 건수를 나타냈고 다음으로 일본이 9건, 미국이 7건을 공개했 으며 네덜란드가 2건, 나머지 국가들은 모두 1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해외 특허를 내용적으로 살펴보면 프랑스에서는 15건의 특허 중에서 13건을 로레알이 공개했다. 로레알은 자외선 차단을 위한 화염 분무 열분해에 의한 코팅된 산화아연 입자의 제조법과 선케어 조성물 관련 특허를 5건 보고했으며 보습용으로 히알루론산계 폴리이온 컴플렉스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항산화용 레티놀계 조성물, 신남산 유도체와 특정 성분의 조합을 포함하는 안정한 조성물, 분말 화장료 조성물 특허를 각각 공개했다. 또구형 소수성 실리카 에어로겔과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하는 W/O에멀션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특허와 모발염색 분야에서 (폴리)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과 착색제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케라틴 섬유의 처리 공정에 관한 특허 2건을 발표했다. 한편, 서팩트 그린은 케라틴 섬유의 컨디셔닝제로서의 글리신 베타인 유도체에 관한 특허를 발표했고 콤팩트한 내충격성 분말 형태의 화장 조성물 특허도 보고됐다. 일본에서는 카오에서 주름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피부 치료 방법과 착색 부직포에 관한 특허 5건을 발표했다. 또코세에서 유성 고형 화장료 특허 2건을 보고했고 속눈썹 연장용 접착제와 유중수형 화장료 특허도 공개됐다. 미국에서는 피부 질환 치료에서 국소적 사용을 위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 조성물, 카나비노이드를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조성물, 다단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고 열 스타일링 된모발용 수성 컨디셔너 제제와 CMC-기반 결합제를 포함한 분산성 부직포 재료에 관한 특허도 공개됐다. 한편, 네덜란드에서는 점착성이 적은 자외선 차단 조성물 특허 2건이 발표됐고 성장 촉진 펩티드(아일랜드), 새로운 항균 항진균 조성물(인도), 가교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 또는 부티레이트-포르메이트 유도체와 이의 가교 방법(이탈리아) 등의 특허가 발표됐다. #화장기초소재 173. 고 HLB 레시틴의 제조 시스템과 그를 이용해 제조된 고 HLB 레시틴 (공개번호 : 10-2022-0095932, (주)아데니스, 2022.7.7) https://doi.org/10.8080/1020200187955 이 발명은 레시틴의 HLB(hydorphilic-lipophilic balance ; 친수성-지용성 균형)를 조절해 용해성과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레시틴을 제조할 수 있는 고 HLB 레시 틴의 제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해 제조된 고 HLB 레시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 시스템은 표준 레시틴과 지방산을 포함하는 반응액에 생촉매를 가해 에스터 교환을 수행시키는 반응장치와 상기 에스터 교환의 반응산물로 부터 지질을 제거시키는 탈지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HLB가 7 미만이던 종래의 레시틴을 HLB가 7~20, 바람직하게는 8~15의 범위의 고 HLB 레시틴으로 조절할수 있다. 이러한 고 HLB 레시틴은 수용성이 5중량%에 불과했던 기존의 레시틴과 달리, 수용성이 30중량% 정도까지 향상되기 때문에 리포좀 제형 개발시 리포좀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타 유형의 친수성 계면활성 제를 따로 섞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레시틴만으로도 구성 가능한 제형의 폭이 넓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생물기반 반응 공정을 사용하기 때문에 세포 독성이 높은 유기합성 반응촉매가 사용되지 않아 생체적합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림2 고 HLB 레시틴의 제조시스템 공정 흐름도 # 피부미백 6. 광나무 추출물의 바이오리노베이션에 의한 미백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공개번호 : 10-2022-0095489, (주) 헬리오스 외, 2022.7.7) https://doi.org/10.8080/1020200187046 이 발명은 광나무 추출물의 바이오리노베이션에 의한 미백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그림1)에 관한 것으로 천연물인 광나무의 유효성분을 미생물의 효소적 기능을 이용해 B16F10 흑색종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시키는 반응물을 생성함으로써 피부의 안정성을 높이고 부작용을 감소시키면서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미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미백 조성물은 미생물인 바실러스 아미로리쿼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의 합성을 통해 광나무 추출물로부터 생성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유효성분을 함유한다. 실시예에서 α-MSH로 자극된 B16F10 melanoma 세포에 대해 광나무 추출물(LJ)과 바이오리노베이션(Biorenovation) 기법을 이용해 생물전환시킨 반응물 (LJBR)의 미백 활성을 조사했다. 그림1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 제조방법의 공정도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25, 50, 100μg/mL)내 에서 melanin생성량과 melanin합성에 관여하는 TRP-1, TRP-2, MITF 그리고 tyrosinase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LJ와 LJBR 모두 melanin 합성을 저해했지만 LJBR 이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또LJ는 melanin 합성 관여인자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지 않은 반면, LJBR은 농도 의존적인 저해 활성이 확인됐으며 특히 100μg/mL농도에서 TRP-1과 tyrosinase발현은 무처리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했다. # 자외선 차단 185.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과 메이크업 밀착 평가 방법 (공개번호 : 10-2022-0094532, (주)아모레퍼시픽, 2022.7.6) https://doi.org/10.8080/1020200185825 이 발명은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 실리콘계 자외선 차단제와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며 높은 자외선 차단력을 가지면서도 얇고 우수한 커버력, 지속력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과 화장막의 밀착 여부 또는 메이크업 투명도 지수를 정량적으로 도출 할 수 있는 메이크업 밀착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 유중수형 조성물과 달리 자외선 차단 효율이 우수한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가 내상인 물에 녹아들어 처방의 공간적 효율을 높여 지속력, 얇은 화장막 등 구현하고자 하는 처방의 범위가 넓어지며 동일한 차단력을 확보하기 위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도 기존 함량 대비 줄일 수 있어 더 얇은 화장막을 구현할 수 있다(그림1). 실시예에서 표1의 처방으로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in vitro 자외선 차단력, 메이크업 투명도 지수, 커버력 (1/T), 지속력을 측정해 함께 표시했다. 표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종래의 high SPF지수를 확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성물만이 메이크업 투명도 지수 값이 1.4 미만의 조건을 만족해 얇은 화장 막을 만족하면서도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개념도 또화장 두께에 따른 메이크업 투명도와 메이크업 균일 정도를 측정한 결과, 투명도는 기존 대비 30% 두께에서 균일한 밀착 커버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그림2), 메이크업 균일 정도는 기존 대비 얇은 두께인 경우에도 균일하게 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3). # 신규 균주 128.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와 이의 용도 (공개번호 : 10-2022-0092787, 동아제약(주), 2022.7.4) https://doi.org/10.8080/1020210174925 이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 cillus paracasei) DLP38 균주(기탁번호 KCTC18868P) 와 이의 배양물 등을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상기 신규 균주는 유해 미생물에 대해 항균과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며 피부 유익균의 생장 촉진, 피부 유해 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있어 항균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발효음식 10여 종으로부터 유산균 후보 균주 289개를 선정해 본 발명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DLP38 균주를 동정 했다(실시예 1). 신규 균주 배양물의 항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 향균 활성 평가 균주인 Pseudomonas aeruginosa,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 모두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생육이 완전히 저해됨을 확인했다(표1, 실험예 1-1). 또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종 13개 균주의 항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 13개 균주 중오직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DLP38 균주에서만 평가 균주 4종 모두의 생육을 완전히 저해했다(표2, 실험예 1-2). 신규 균주의 항진균 활성 평가도 항균 활성 평가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그림1, 표3, 실험예 2). 그림1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DLP38 균주의 항진균 활성 평가 결과 또피부 상재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 신규 균주에 의해 피부 유해균인 스테필 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의 생장은 대조군 대비 OD600값이 60.8% 감소됐고피부 유익균인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의 생장은 대조군 대비 22.6% 증가했다(그림2, 실험예 3). # 유용성분 추출 126. 산성 첨가제와 아임계수 추출을 이용한 차가버섯으로부터 유용성분의 추출 방법 (공개번호 : 10-2022-0092333, (주)녹스벨한국연구소, 2022.7.1) https://doi.org/10.8080/1020210037729 이 발명은 차가버섯을 천연 재료로부터 얻어진 산성 첨가제가 첨가된 물로 아임계 추출해 차가버섯으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추출 방법은 차가버섯으로부터 유용성분인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폴리페놀을 매우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 조건의 조절을 통해 카페익산(caffeic acid)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일정한 추출 온도에서 추출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추출한 각 추출물들의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산성 첨가제를 넣은 경우가 산성 첨가제를 넣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추출 온도도 10℃ 정도 낮으면서도 총 폴리 페놀의 함량은 2배 정도 높았다(그림4, 실시예 2). 표1 과 같은 추출 조건별로 카페익산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추출 조건에 따라 카페익산의 함량에 큰 차이가 있었다. 추출 온도가 135℃와 148℃인 경우에 다른 경우에 비해 월등히 많이 추출됐다(그림9, 실시예 2). 각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산성 첨가제를 넣은 ‘아임계(2)’ 의 경우에는 70% 이상의 DPPH 라디칼 소거율을 보였 고, 산성 첨가제를 넣지 않은 ‘아임계(1)’은 55% 정도의 DPPH 라디칼 소거율을 나타냈다(그림10, 실시예 3) 그림4 추출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비교 # 유효성분 안정화 93 미네랄 소재를 이용한 유효성분 안정화 방법 (등록번호 : 10-2417656-0000, (주)엘지생활건강 외, 2022.7.6) https://doi.org/10.8080/1020210084969 이 발명은 미네랄 소재를 이용한 유효성분 안정화에 관한 것으로 유화제를 포함하는 연속상과 캡슐화 성분과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분산상을 혼합한 후, 상기 캡슐화 성분의 경화 반응을 통해 유효성분이 포함된 마이 크로캡슐을 제조할 경우, 상기 캡슐화 성분은 토양 성분과 동일하기 때문에 자연에 배출되었을 때 환경 문제가 없어 미세플라스틱 이슈에서 벗어날 수 있다. 캡슐화 성분을 이용해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 뒤에 세탁 후 향의 강도를 평가한 결과,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할 경우 발향성이 나타났다. 특히 캡슐화 성분으로 실리카 전구체를 사용한 경우 마찰 후 향의 강도가 3 이상으로 발향성이 높게 나타났다(표1~2, 실시예 1~10).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 후에 세탁 후 향의 강도를 평가한 결과, 양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해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의 잔향성이 높았으며 비이온성, 음이온성 유화제의 순서로 잔향성이 낮아졌다. 그림1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이는 양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해 제조한 경우 캡슐화 반응이 계면에서 균일하게 일어나므로 향오일 보존력이 높아 마찰 후 잔향성이 높게 나타났음을 의미한다(표 3~4, 실시예 11~20).또마이크로캡슐의 표면이 작용기로 개질된 경우에도 잔향성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5~6, 실시예 21~22). 한편, 유화제 함량에 따라 크기가 조절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 후에 입자 크기를 측정한 결과, 마이크로캡슐이 1.5μm의 평균 입경을 가졌으며 마이크 로캡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잔향성이 커짐을 확인했다. 이는 입자가 클수록 캡슐의 표면에 작용하는 장력을캡슐이 버티지 못하고 깨짐으로서 잔향성을 유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표7~8, 그림3, 실시예 23~32). #발모, 육모, 탈모방지 11.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균주와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개선 용도 (공개번호 : 10-2022-0096258, 코스맥스(주), 2022.7.7) https://doi.org/10.8080/1020200188528 이 발명은 신규한 미생물, 그의 파쇄액, 배양액, 추출액, 발효액과 이들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신규한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Streptococcus pneumoniae) 균주에 의하면 발모촉진, 탈모방지와 모근 강화 효과가 있으므로 모발 또는 두피 상태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건강한 두피를 가진 남성의 두피를 세척해 얻은 샘플을 배양해 신규 미생물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균주(이하 ‘SP-9’, 기탁번호 KCCM12823P)를 분리, 동정했다(실시예 1). SP-9균주의 배양액이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현저하게 유도하는지를 평가한 결과, 우수한 모유두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냈다(그림2, 실험예 1). 인간 모유두세 포에서 모발 생장을 유도하고 두피 건강을 유지시키는 성장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는지를 평가한 결과, 혈관내피 성장인자(VEGF),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7(FGF7), 간세포 성장인자(HGF)의 우수한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냈다(그림3~5, 실험예 2). 그림2 신규한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균주의 모유두세포 증식 효과 # 건강기능식품 167. 다당체 기반 천연 양친매성 고분자 (공개번호 : 10-2022-0097002, (주)아데니스, 2022.7.7) https://doi. org/10.8080/1020200189937 이 발명은 당질의 에스테르화를 위한 반응기술과 그 산물과 이를 이용한 비타민 D결핍증상 완화기술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목적은 vitamin D를 사용하지 않고 vitamin D결핍증을 완화시키는 생리활성소재에 있어 조직투과성이 우수하면서도 효능은 동등 이상인 당질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은 라이페이즈를 이용해 당질을 소수성 에스테르로 전이하는 기술과 이를 통해 생체 투과성이 향상된 소수성이 증가된 당질 유도체, 그리고 전이된 산물에 대한 활용을 포함한다(그림1).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oligofructan의 에스테르화 유도체의 조직투과성을 조사한 결과, 시료의 투과량은 0.0021g으로 약 4.2%로 확인된 반면, 에스테르화하지않은 시료의 투과량은 0.0000g으로 투과성이 없었다(그림2, 실험예 1). 피부 상피세포의 vitamin D receptor의 발현량에 미치는 시료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oligofructan의 음성대조군 대비 26%가 증가됐다. 한편, 당질 에스테르의 경우 35% 증가 효과를 보여 실제 세포의 증식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그림3, 실험예 2). 피부 상피세포의 증식속도에 미치는 시료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oligofructan과 calcitriol의 경우 음성대 조군 대비 32~34%의 증가 효과를 보였고당질 에스테 르의 경우에도 39% 증가 효과를 보여주어 vitamin D와 동등한 효과를 나타냈다(그림4, 실험예 3). 그림1 본 발명의 따른 소수성 에스테르 화합물의 분자구조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1851년 조제 약국에서 출발한 뉴욕 코스메틱 브랜드 키엘이 연말을 맞아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기부금을 전달했다고 26일 밝혔다. ‘#키엘홀리데이’ 이벤트 등을 통해 마련된 키엘의 이번 기부금은 ‘기업의 이윤은 반드시 지역사회에 환원한다’는 기업 철학에 따라 마련됐다. 이번 ‘#키엘홀리데이’ 이벤트는 누구나 기부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로레알코리아 사내와 키엘 공식 SNS 계정에서 함께 진행됐다. 홀리데이 시즌을 맞아 제작된 키엘의 다양한 GIF 스티커로 나만의 사진을 꾸미고 그 인증샷을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게시하면 홀리데이 스티커 1개당 1,000원의 기부금이 쌓여 기부에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다. 키엘은 이번 이벤트를 통해 조성된 기부금을 포함해 총 2천만 원의 기부금을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전달했다. 기부금은 어린이들이 더 따뜻한 연말을 보내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각각 1천만원씩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의 저소득 가정 아이들의 꿈을 응원하고 난방비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인 ‘산타원정대’와 무연고 아동 지원 프로그램 ‘품다’ 후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한편, 키엘은 지난해 연말에도 푸르메재단 넥슨어린이재활병원에 트리를 설치하고 기부 이벤트를 진행한 바 있으며앞으로도 지역사회를 위한 따뜻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한국콜마홀딩스 윤동한 회장 모친(故 김효숙 여사, 향년 96세)이12월 27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빈소는영남대 의료원 장례식장 301호에 마련됐으며발인은2022년 12월 29일 오전9시에 엄수된다. 장지는경남 창녕군 성산면 이천리(연곡) 선영이다. * 빈소 : 영남대 의료원 장례식장 301호(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170) * 발인: 2022년 12월 29일(목) 09:00 * 장지 : 경남 창녕군 성산면 이천리(연곡) 선영 * 연락처 : 053-620-4647 * 상주(유족) : (子) 윤동한(尹東漢) 한국콜마홀딩스(주)회장, (子婦) 김성애(金星愛) (子) 윤영한 (尹英漢), (子婦) 조순봉(趙順峰) (子) 윤규한 (尹珪漢) 前 북경콜마 동사장, (子婦) 한정화(韓貞和) (子婦) 김선나(金善那) (女) 윤경희 (尹景姬) (孫子) 윤상현(尹相現) 한국콜마홀딩스(주)부회장, (孫婦) 이지연(李知沿) (孫子) 윤근식(尹根植) (孫子) 윤상일(尹相日) (孫子) 윤상락(尹相洛) (孫子) 윤상언(尹相彦) (孫女) 윤여원(尹侞媛) 콜마비앤에이치(주)사장, (孫壻) 이현수(李賢洙) 김앤장 변호사 (孫女) 윤희영(尹喜榮), (孫壻) 김명성(金明星) (孫女) 윤명식(尹明植), (孫壻) 신주식(申主湜)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클린뷰티 브랜드 토리든이 현대백화점, SK케미칼 ‘이음’과 함께 친환경 가치소비를 실현하는 ‘하우 투 리그린(How to Re.Green) 캠페인’에 참여한다. 지난26일부터 진행되고 있는 ‘하우 투 리그린(How to Re.Green) 캠페인’은 그린 소재의 지속 가능성을 주제로 SK케미칼의 그린 플랫폼 이음과 더현대닷컴의 ESG 전문 온라인 편집관 ‘리.그린’이 주최한다. 문을 연 팝업 스토어에서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이고탄소 발생량 저감을 도울 수 있는 플라스틱 순환 생태계 소개와 함께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화장품, 패션 상품을 판매해고객들로 하여금 친환경 가치소비를 제안한다. 토리든은 현대백화점 판교점 Re.Green 팝업 스토어에서 12월 26일을 시작으로 12월 31일까지 총 6일간 참여할 예정이다. 해당 캠페인은 ‘친환경 소재’, ‘동물복지’, ‘탄소발자국 저감’, ‘사회발전 기여’라는 4가지 기준에 부합하는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는 행사이다. 토리든은 다이브인 세럼 용기에 화학적 재활용 소재 ‘클라로 CR’을 사용해 친환경 소재 기준에 부합, 이번 캠페인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토리든 관계자는 ”현대백화점, SK케미칼 ‘이음’과 함께한 이번 팝업 스토어를 통해 리사이클링의 우수성과 그린 소재의 지속가능성을 알리는 기회가 된 것 같다”며, “이런 의미 있는 캠페인에 함께하게 되어 뜻깊고, 토리든도 앞으로도 모두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다양한 클린뷰티 캠페인을 선보일 계획이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팝업 스토어에서 선보인 토리든의 다이브인 세럼은 올리브영과 토리든 온라인 몰에서 만나볼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기적의 1분 트리트먼트'로 유명한 뷰티 브랜드 '모레모'가 화해, 글로우픽, 파우더룸 등 국내 3대 뷰티 어워드에서 1위를 석권해 뷰티업계 최고 영예인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화장품 전문기업 세화피앤씨(대표 이훈구)는 모레모 헤어케어 제품이 국내 최대 화장품 정보 플랫폼 '화해'와 '글로우픽', '파우더룸' 뷰티어워드에서 헤어에센스/오일, 헤어마스크/팩, 컨디셔너/트리트먼트 부문 1위를 수상하는 등 국내 3대 뷰티어워드 3관왕을 석권했다고 밝혔다. 이들 어워드는 국내 대표 뷰티 플랫폼 화해, 글로우픽, 파우더룸이 소비자들의 제품 실사용 리뷰와 평점을 집계해 발표하는 소비자주도형 어워드로국내에서 가장 공신력있는 뷰티 어워드로 손꼽힌다. 올해 뷰티 어워드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모레모 헤어제품은 총 4종으로5개 부문에서 1위와 위너에 올랐다. ▲딜라이트풀 오일이 '2022 화해 뷰티어워드' 헤어에센스/오일 부문 1위, '2022 글로우픽 어워드' 헤어오일 부문 위너 ▲헤어트리트먼트 미라클2X가 '2022 글로우픽 어워드' 헤어마스크/팩 부문 1위 ▲앰플 워터트리트먼트 미라클100이 '2022 파우더룸 뷰티어워드' 컨디셔너/트리트먼트 부문 1위 ▲리커버리밤B가 '2022 화해 뷰티어워드' 린스/트리트먼트/팩 부문 위너에 각각 선정됐다. 특히 모레모 전략제품인 '딜라이트풀 오일'은 글로우픽 어워드 헤어오일 부문 5회 연속 수상했고'헤어트리트먼트 미라클2X'는 글로우픽 어워드 헤어마스크/팩 부문 5회 연속 수상, '리커버리밤B'는 화해 뷰티 어워드에서 2년 연속 수상하는 등 국내외에서 가장 핫한 뷰티 아이템으로 평가받고 있다. 세화피앤씨 마케팅 담당자는 "올해 1천만불 수출의 탑 수상과 국내 3대 뷰티 어워드 그랜드슬램의 영예를 안겨준 모레모 고객들께 깊이 감사드린다"면서 "2023년에도 다채로운 헤어케어 제품을 선보여 소비자들의 헤어 고민을 해결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세화피앤씨는 46년 끊임없는 연구로 20여건의 핵심특허와 독보적인 염모제-헤어케어 기술을 보유한 화장품 전문기업이다. '모레모', '모레모 포맨', '리비긴', '리체나' 등 프리미엄 염색약과 헤어케어 제품을 아시아, 중동, 북미 등 전 세계 47개국에 공급해 K뷰티 대표기업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전공정 CGMP와 ISO22716,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완료한 자체 시설에서 연구개발과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중국이 코로나19 방역 완화 움직임에 속도를 높이면서 하루가 다르게 치솟던 국내 화장품 기업 주가가 ‘조정’에 들어갔다. 그동안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던 만큼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월 19일부터 23일까지 한 주간 화장품 기업의 주가는 전주 대비 3.52% 하락했다. 해당 화장품 기업은 네이버증권 화장품업종에 속한 기업 54곳 가운데 우선주와 거래정지 중인 코스온, 협진을 제외한 48곳을 기준으로 했다. 지난 한 주 사이 국내 화장품 기업 중 주가가 오른 곳은 최근 기록적인 주가 상승률을 보였던 아우딘퓨쳐스(6.47%)를 비롯해 코스맥스(4.20%), 애경산업(2.76%), 씨앤씨인터내셔널(2.29%), LG생활건강(1.73%), 한국콜마(1.44%), 잉글우드랩(1.28%), 한국화장품제조(1.07%), 아모레퍼시픽(0.75%), 오가닉티코스메틱(0.39%), 현대퓨처넷(0.39%), 코스메카코리아(0.21%) 등 일부에 불과했다. 아우딘퓨쳐스는 12월 12일부터 16일 사이 주가가 91.86%나 치솟은 데 이어 지난주에도 상승세를 나타냈다. 전환사채(CB) 발행과 유상증자를 결정, 신사업을 위한 대규모 자금을 확보한 데다 일본 시장 진출을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진 덕분이다. 아우딘퓨쳐스는 자사 화장품 브랜드 ‘네오젠’의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해 일본 최대 엔터테인먼트사인 에이벡스와 마케팅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에이백스와의 마케팅 콜라보레이션은 올해 8월부터 추진됐으며아우딘퓨쳐스는 최근 이를 공식화했다. 아모레G(0.00%), 한국콜마홀딩스(0.00%)의 주가는 한 주 사이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국내 주요 화장품 종목 수익률 무상감자에 따라 11월 25일부터 12월 18일까지 매매거래가 정지됐던 제이준코스메틱(-17.76%)은 거래 재개 후 빠르게 주가가 빠졌다. 거래 재개 첫 날인 12월 19일 7,490원으로 거래를 시작한 제이준코스메틱은 장중 6,380원까지 떨어졌다. 이후 낙폭을 일부 회복해 전 거래일 대비 560원(-7.48%) 내린 6,93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후 제이준코스메틱의 주가는 12월 21일 소폭 반등 후 이틀 연속 하락하면서 12월 23일에는 전 거래일 대비 30원(-0.48%) 하락한 6,16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앞서 한 주 눈에 띄는 주가 상승을 기록했던 디와이디(-16.19%)는 지난 한 주 사이 그간의 상승분을 일부 되돌렸다. 이 외에도 제닉(-13.57%), 메디앙스(-11.28%), 글로본(-11.20%), 바른손(-10.00%)의 주가가 10% 넘게 주저 앉았고 에스디생명공학(-9.12%), 라파스(-7.65%), 내츄럴엔도텍(-7.62%), 선진뷰티사이언스(-6.41%), 스킨앤스킨(-6.08%), 코디(-5.78%), 한국화장품(-5.70%), 원익(-5.61%), CSA 코스믹(-5.59%), 세화피앤씨(-5.43%)의 주가도 하락세를 보였다. 휴엠앤씨(-4.95%), 엔에프씨(-4.76%), 씨티케이(-4.55%), 에이블씨엔씨(-3.96%), 현대바이오(-3.88%), 코스나인(-3.77%), 클리오(-3.33%), 코리아나(-2.61%), 현대바이오랜드(-2.55%), 올리패스(-2.35%), 브이티지엠피(-2.26%), 네오팜(-2.07%), 컬러레이(-1.65%), 리더스코스메틱(-1.21%), 본느(-1.18%), 토니모리(-0.95%), 잇츠한불(-0.57%), 아이패밀리에스씨(-0.42%)도 화장품업종 전반의 주가 하락세를 피해가지 못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아모레퍼시픽의 컨템포러리 서울 뷰티 브랜드 헤라가 2023년 첫 신제품으로 ‘센슈얼 누드 라인’을 선보인다. 헤라 센슈얼 누드 라인은 맑은 컬러의 수분 립밤 ‘센슈얼 누드 밤’과 볼륨메이크업 립글로스 ‘센슈얼 누드 글로스’로 구성된다. 총 7가지 컬러로 선보이는 ‘센슈얼 누드 밤’은 모든 제품에 달맞이꽃 오일과 피토스테롤 등의 보습 효능 원료가 함유되어 보습감이 30시간 동안 지속된다. 특히‘112호 본프리’ 컬러는 세라마이드 성분을 10,000ppm 함유한 제형으로 입술 보습 효과가 우수해 다음날까지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입술 컬러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색되는 ‘112호 본프리’ 컬러를 포함해투명하고 맑은 유리알 컬러들로 구성했으며입술에 닿으면 녹으면서 부드럽게 발리는 멜팅 제형으로 누구나 쉽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센슈얼 누드 글로스’는 맑고 영롱한 광택이 입술에 볼륨감을 선사해 주는 립글로스로플럼핑 메이크업 룩을 연출할 수 있다. 립글로스 특유의 끈적임은 덜어내고 밀착감을 높였으며스킨케어 효능 원료를 함유해 메이크업 후에도 입술을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어떤 피부톤이든 분위기 있는 립 메이크업을 연출할 수 있는 4가지 컬러로 출시된다. 또12월 28일부터 헤라 공식 채널을 통해 브랜드 글로벌 앰버서더 제니와 함께한 감각적인 영상과 화보도 공개된다. ‘Born to be Free’라는 캠페인 메시지를 중심으로 누구나 자유롭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센슈얼 누드 라인의 특징을 담아냈다. 해당 콘텐츠에서 제니는 과장이나 정제 없이 본연의 자유롭고 당당한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다. 새롭게 선보이는 헤라 센슈얼 누드 라인은 12월 28일 ‘카카오톡 선물하기’ 단독 사전 출시를 통해 특별한 선물 구성으로 먼저 만나볼 수 있다. 1월 1일부터는 전국 백화점 헤라 매장을 비롯한 오프라인 채널과 아모레몰, 헤라 브랜드 공식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의 온라인 채널을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헤라 글로벌 몰을 통해 전 세계 60여 개 국의 고객들도 구매 가능하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뷰티, 패션 브랜드 3CE 스타일난다가 국내 미혼모 지원을 위한 3억 4천만 원 상당의 의류 9,348벌을 NGO단체 희망조약돌에 기부했다고 26일 밝혔다. 3CE 스타일난다에서 미혼모지원단체 희망조약돌에 기부한 3억 4천만 원 상당의 여성 의류 9,348벌은 미혼모 지원 센터에 전달됐으며 저소득 미혼모들이 보다 풍요로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됐다. 3CE 스타일난다는 지난 9월에도 미혼모지원단체 희망조약돌에 2,200만 원 상당의 여성 의류 1,254벌을 전달하며 국내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손길을 더하고 있으며 그룹사인 로레알코리아와 함께 매년 수억 원 상당의 뷰티제품과 의류를 소외계층에 전달하는 등 꾸준한 나눔 실천으로 기업 사회공헌 활동(CSR)의 모범을 보이고 있다. 3CE 스타일난다는 패션과 더불어 코스매틱 브랜드인 3CE를 통해 국내와아시아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브랜드다. 3CE 스타일난다 관계자는 “많은 미혼모분들이 자녀를 돌보느라 자신을 돌보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에 처해 있음을 안다”며, “3CE 스타일난다는 국내 취약계층과 미혼모들이 더욱 나은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NGO단체 희망조약돌 이재원 이사장은 “모든 여성이 아름다움을 누릴 수 있는 권리가 있음에도 경제적 어려움으로 포기하게 되는 미혼모들에게 희망을 전달해 주신 3CE 스타일난다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희망조약돌은 앞으로도 활발한 지원을 통해 미혼모분들이 사회에 용기내 나아갈 수 있도록 열심히 활동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미혼모지원단체 희망조약돌은 정치나 종교와 같은 이해집단에 얽매이지 않고 국내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하는 NGO단체로 아동지원, 미혼모지원, 미혼부지원, 노인지원 등 다양한 지원활동을 통해 나눔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탈모인 1,000만 시대에 탈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담은 서적이 출간됐다. ‘탈모, 알면 길이 보인다’는 탈모와 관련된 단편적인 지식이 아닌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우연한 기회에 탈모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어 외국 연구 논문만 100편 이상을 읽고 관련 전문가들을 찾아다니며 공부를 한 김순철씨가 펴낸 책이다. 저자인 김순철는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행정고시에 합격해 경제 부처에서 근무했다. 민간 기업에서도 근무하는 등 다양한 분야의 경험을 했다. 인도 병리학 의사와 공동으로 ‘모낭의 미세 인자를 이용한 주사액 개발’ 특허도 출원했다. 현재 (주)헤어폴리클바이오(Hair Follicle Bio) 회사를 설립해 천연 식물 추출물을 기반으로 한 탈모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탈모에 대한 상당 수준의 지식을 갖게 될 뿐 아니라 연관된 기초 지식까지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힘을 갖출 수 있다.흔히들 아는 만큼만 보인다고 한다. 특히탈모 분야는 아직까지는 확립된 치료 방법이 마땅히 없기 때문에 알아야 한다. 알고 있어야 올바른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고 나름의 길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탈모관련 서적들은 단편적인 지식전달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지만 '탈모, 알면 길이 보인다'는 탈모로 고통을 받고 있는 1,000만 탈모인들의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이 책은 총 216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카락이 자라나는 특성, 탈모의 주요 원인, 현재의 다양한 치료방법 및 한계, 생활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탈모 예방, 치료법, 과학적으로 검증된 탈모에 도움이 되는 식물들을 소개하고 있다. # 출판사 서평 탈모는 일부 특정 부류의 사람들만의 문제가 아니고 우리 자신의 문제이다. 대부분의 사람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노화현상 등으로 결국 탈모에 직면하게 되기 때문이다. 탈모가 심한 경우에는 이는 일종의 질환이다. 따라서조기진단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탈모 치료를 적극적으로 나서기에 앞서 탈모를 야기하는 작은 생활 습관부터 하나하나 고쳐 나가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탈모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한다. 원인이 다양한 만큼 대처방법도 다양할 수 밖에 없다. 어떤 경우에는 탈모가 일시적으로만 발생하여 저절로 치유되는 경우도 있다. '탈모, 알면 길이 보인다'는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특히 역점을 뒀다. 그리고탈모인들의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들과 궁금하게 생각하는 여러 사례와 대처방법 들을 풍부하게 담고 있어 탈모인들에게 실질적으로 큰 도움이 되리라 확신한다. # 목차 / 제1장 / 머리카락은 어떻게 자라나는가 022 머리카락이 자라나는 모낭이라는 주머니는 어떻게 생겼을까 024 피부에 좋은 것은 탈모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 025 우리의 모낭에는 힘이 세고 능력이 탁월한 줄기세포라는 것이 있다 028 머리카락이 자라나는 데 모유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030 모발은 주기를 갖고 자라나고 빠진다 033 하루에 100개 정도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것이다 / 제2장 / 탈모의 원인은 무엇인가 038 탈모는 왜 일어나는 것인가 039 탈모는 자연적인 노화 현상으로도 발생하는 것이다 041 탈모는 유전적인 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한다 042 면역 체계의 고장, 스트레스, 약물 치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045 남성 호르몬의 과다가 탈모의 중요한 원인이다 050 나이 든 남성이 남성 호르몬 과다를 젊은이만큼 걱정할 필요는 없다 051 탈모의 전조 증상은 머리카락이 가늘어지는 것이다 052 원형 탈모증은 면역 체계 고장이 원인이다 054 혈관이 좁아지거나 혈액 흐름이 좋지 않으면 탈모가 일어난다 055 천연 미녹시딜에 해당하는 천궁 058 열 및 염증 현상은 탈모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059 M 자형 탈모는 주로 남성에게 나타난다 061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이 가장 많은 칡뿌리를 활용해 보자 064 두피 건조는 탈모를 촉진하는 매우 중요한 원인이다 066 물을 자주 마셔야 탈모도 예방하고 건강을 지킨다 068 비만과 스트레스도 탈모를 유발한다 071 탈모 부위에도 모낭은 남아 있는가 073 여타 탈모 유형 / 제3장 / 현재의 치료 방법은 어떤 것이 있고 한계는 무엇인가 076 기존 탈모 치료제는 무엇이 있나 077 먹는 약인 프로페시아와 바르는 약인 미녹시딜을 함께 사용할 수 있나 078 카페인은 피부뿐만 아니라 탈모에도 도움이 된다 080 프로페시아도 바르는 약으로 활용할 수 없나 082 천연 프로페시아 톱야자 090 엑소좀 주사 092 PRP(혈소판 풍부 혈장-자가혈 치료술) 주사 093 SVF(지방 줄기세포) 주사 093 리제네라 액티바 AMT 095 저출력 레이저 치료술 096 모발 이식술 098 신체 부위 중 매우 독특한 특성이 있는 두피의 모낭들 099 모발 이식술의 한계와 문제점도 분명히 알자 101 모낭을 그대로 옮겨 심어야만 머리카락이 자라나는가 102 맥주 효모와 관련한 이야기 104 탈모 관련 건강 보험의 적용 범위 106 소위 탈모인의 성지를 이용할 경우의 위험성 108 나에게 맞는 미녹시딜의 농도는? 109 두타스테리드(Dutasteride) / 제4장 / 모낭과 머리카락도 피부의 일부이다 114 두피를 알아야 탈모에 대처할 수 있다 116 두피에는 상재균 등 매우 유익한 미생물들이 존재하면서 활동을 한다 117 두피에 있는 피지는 유익한 역할을 더 많이 한다 119 두피 투과력(Penetration)은 탈모뿐만 아니라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120 피부를 통과할 수 있는 물질은 아주 극소수에 불과하다 122 피부를 통과하는 몇 가지 방법 126 두피의 pH는 5.5인 약산성이다, 거기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128 자외선은 피부의 적이다, 탈모에도 당연히 악영향을 미친다 132 자외선 차단제는 안전한가 134 샴푸의 주성분은 탈모의 요인인 합성 계면활성제임을 명심하자 139 심지어 치약에도 합성 계면활성제가 들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 제5장 / 생활 속에서 지혜를 찾아보자 142 천연 계면활성제를 활용해 보자 147 우엉 뿌리가 사포닌을 듬뿍 함유하고 있다고? 150 과도한 샴푸의 사용이 탈모의 원인이 된다 152 탈모 방지용 샴푸가 과연 효과가 얼마나 있을까 153 짧은 시간 안에 완전히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거짓말에 속지 말자 156 적극적인 탈모 치료에 앞서 탈모를 야기하는 생활 습관부터 줄여 보자 158 가르마도 가끔씩 바꿔 기분 전환을 해 보자 159 두피를 건강하게 하고 혈액 흐름을 좋게 하는 간단한 방법들 163 샴푸는 언제 하는 것이 좋은가 164 린스는 가급적 두피에 닿지 않도록 사용해야 한다 165 긍정 마인드의 중요성 / 제6장 / 탈모에 좋은 식물들 170 탈모 시장의 현주소 171 식물에서 대안을 찾으려는 노력들 173 탈모에도 과학적 근거가 있는 식물들을 활용해야 한다 176 특정 식물로 약을 만들지 못하는 이유 178 식물도 환경이 성분을 좌우한다 180 식물 추출법이 왜 그토록 중요한 것일까 184 녹차(Green Tea) 187 사과(Apple) 189 병풀(호랑이풀) 191 알로에 젤(Aloe Vera Gel) 195 박하(Peppermint) 197 잇꽃(Safflower) 198 인디언 구스베리(Indian Gooseberry) 200 포도씨유(Grapeseed Oil) 202 어성초 206 이 책을 마치며 210 주요 참고 문헌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2023년 식·의약 안전기술 연구개발사업'(이하 연구사업)의 주관연구기관을 12월 26일부터 2023년 1월 19일까지 온라인으로 모집한다. 식·의약 안전기술 연구개발사업은식·의약 제품 생산, 판매, 유통, 소비까지 전 단계를 대상으로 과학적 안전관리 기준과 평가기술 등 안전관리 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해정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를 말한다. 이번에 공모하는 연구사업은 식약처에서 새롭게 추진하는 7개 과제는 ▲실사용데이터(RWD) 활용 면역항암제 치료의 유효성, 안전성 평가 ▲실사용증거(RWE) 생성을 위한 레지스트리 활용 기반 마련 ▲기능성 원료 등 중복, 병용섭취 안전성 예측기술 개발, 적용 ▲빅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 적정 섭취 평가기술 개발, 적용 플랫폼 구축 ▲독성평가용 오가노이드 플랫폼 개발을 위한 검증 ▲mRNA 구조체 및 전달체를 이용한 난치성 감염병 치료용 백신의 개발을 위한 평가기술 개발 ▲컴퓨터 모델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의료기기 디지털 개발, 평가도구 개발 등이다. 이와 관련해 ‘정부R&D사업 부처합동설명회’가 2023년 1월 4일 16시 40분부터 17시 20분까지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된다. 식약처는 2023년 연구사업에 우수한 연구 연구기관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 것을 기대하며앞으로도 규제과학을 기반으로 국민 안심을 실현하기 위해 식·의약 분야 연구사업을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신규 과제 공모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연구관리시스템(rnd.mfds.go.kr>공지사항) 이나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피지오겔이 12월 더마화장품 브랜드평판에서 1위 자리 탈환에 성공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11월 26일부터 12월 26일까지 더마화장품 브랜드 27개에 대한 빅데이터 19,576,167개를 평판 분석했다. 지난 11월 더마화장품 브랜드 빅데이터 19,033,101개와 비교하면 2.85% 증가했다. 2022년 12월 더마화장품 브랜드평판 순위는 피지오겔, 가히, 키엘, 닥터지, 라로슈포제, 시드물, 바이오더마, 세타필, 아이오페, 에스트라가 상위 10위권을 차지했다. 이어 닥터자르트, 빌리프, 차앤박, 셀퓨전씨, 유세린, 닥터디퍼런트, 시타, 센텔리안24, 파티온, 제네틱, 안나플러스, 아크네스, 앰플엔, 엔비, 세바메드, 셀뮬러, 헬로셀 더마화장품 순으로 분석됐다. 더마화장품 브랜드평판 2022년 1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더마화장품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피지오겔 브랜드는 참여지수 291,283 소통지수 1,056,518 커뮤니티지수 662,79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010,594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2,046,829와 비교해 보면 1.77% 하락했다. 2위를 차지한가히 브랜드는 참여지수 160,741 소통지수 797,201 커뮤니티지수 1,029,98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987,925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2,193,427과 비교해 보면 9.37% 하락했다. 또 3위를 마크한키엘 브랜드는 참여지수 228,929 소통지수 1,010,504 커뮤니티지수 581,87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821,304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1,588,323과 비교해 보면 14.67% 상승했다. 4위를 차지한닥터지 브랜드는 참여지수 258,950 소통지수 922,801 커뮤니티지수 518,64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700,397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1,666,143과 비교해 보면 2.06% 상승했다. 이어 5위를 기록한라로슈포제 브랜드는 참여지수 238,995 소통지수 833,937 커뮤니티지수 464,77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537,710으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1,301,486과 비교해 보면 18.15% 상승했다. 더마화장품 브랜드평판 2022년 1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더마 화장품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더마화장품 브랜드평가지표에는 브랜드에 대한 채널 평가도 포함됐다. 더마화장품 브랜드평판 2022년 10월, 11월, 1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더마화장품 브랜드평판 12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는 피지오겔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더마화장품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 보니 지난 11월 더마화장품 브랜드 빅데이터 19,033,101개와 비교하면 2.85%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4.96% 상승, 브랜드소통 0.47% 상승, 브랜드확산 5.84% 상승했다"고 평판 분석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헤어전문제조사 서울화장품이 청담마녀 재클린과의 첫 협업 상품 ‘재클린스타일 퍼펙트볼륨’을 출시한다. ‘재클린스타일 퍼펙트볼륨’은 31년 경력의 노하우를 보유한 청담마녀 재클린 원장과 서울화장품의 신규 브랜드 ‘재클린 스타일’의 첫 협업 제품이다. 이 제품은 끈적이지 않는 확실한 세팅력으로 볼륨과 스타일링 유지가 가능하며, 두피 자극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 세계적 향료 전문회사 CPL AROMAS 사의 조향사 크리스티안 프로벤자노가 조향한 향료를 사용해 플로랄 머스크향, 로즈 앰버향, 시트러스 버베나향으로 출시된다. 제품은12월 26일현대홈쇼핑에서 론칭하며국내 오프라인 매장 판매를 시작으로 북미, 유럽, 아시아권 수출을 진행한다. 브랜드 관계자는 “신제품은 자작나무수 5%, 실크단백질 4%, 식물성오일 10종, 펩타이드 11종, 아미노산 17종, 단백질 9종을 함유했을 뿐아니라 파라벤, 미네랄오일 등 걱정 성분 15가지가 들어있지 않은 제품이다”며, “볼륨, 두피케어 등 관련 6개 특허성분으로 빈모 걱정이 있는 분들도 손쉽게 스타일링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재클린 스타일은 염모제, 샴푸, 두피 앰플 등 헤어 전문 제품을 연이어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화장품은 LG생활건강, 올리브영, 아리따움을 비롯해 해외 KARMART, mannings, A.S Watsons 등 브랜드들의 헤어 제품들을 개발과제조하는 헤어케어 전문 제조사이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글로벌 코스메틱 브랜드 메디힐이 연말연시를 맞아 소중한 사람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할 수 있는 ‘연말연시 맞이 마스크팩 선물세트 할인 행사’를 실시한다. 이번 메디힐 마스크팩 할인 행사는 연말연시를 맞아 가족이나 친구 등 소중한 사람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한 선물 고민을 덜어주고자 기획됐다. 또부담은 줄이면서 선물의 기쁨은 배가 될 수 있도록 선물세트를 최대 50% 할인한다. No.1 마스크팩 브랜드 메디힐은 선물세트를 다양한 피부고민에 맞춰 선택할 수 있도록 메디힐의 마스크팩 베스트 제품과 스킨케어 세트로 구성했다. 대표 제품인 ‘베스트 마스크팩 세트’는 메디힐의 베스트셀러인 ‘티트리 에센셜 마스크’와 ‘콜라겐 에센셜 마스크’, 시그니처 수분 마스크팩인 ‘더 N.M.F 앰플 마스크’로 구성됐다. 특히 ‘티트리 에센셜 마스크’는 올리브영 어워즈 마스크팩 부문에서 5년 연속 1위를 수상하며 제품력을 인정받고 있다. 그 밖에 겨울철 건조하고 민감한 피부의 진정 케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양&진정 마스크팩 세트’, 수분 보습에 매끈한 윤기까지 더해 주는 ‘모공&보습 마스크팩 세트’와겨울철 미백케어를 위한 ‘미백 베스트 마스크팩 세트’ 등이 있다. 또메디힐 스킨케어 제품과 함께 피부 진정에 즉각적인 효과를 주는 ‘티트리 에센셜 마스크’와 피부 흔적 케어에 도움을 주는 ‘마데카소사이드 에센셜 마스크’가 더해져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진정 레시피 세트’도 특별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한편, ‘연말연시 맞이 마스크팩 선물 세트 50% 할인’은 오는 1월 31일까지 메디힐 공식몰인 ‘메디힐샵’에서 단독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