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8,03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주)브이티지엠피(대표 강승곤, 정철, 김양평)가 화장품 사업 부문에서의 해외 수출 호조 속에 올해 상반기 매출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일본 화장품 시장의 가파른 매출 상승과 오프라인 채널 확대가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됐다. 김혐겸 KB증권 연구원은 브이티지엠피에 대해 "자회사 브이티바이오(지분율 48.06%)는 천연물 신약 개발을 통해 알츠하이머 등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며, "최근 일본의 한류 열풍 속에서 브이티지엠피의 약진이 두드러진다"고 말했다. 특히 김 연구원은 "브이티지엠피는 지난 2020년 매출액 105억 원에서 2021년 607억 원으로 478% 대폭 성장했고올해1분기도 매출액 215억 원(85%)을 기록하며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매출에서는 일본향 화장품 수출 호조의 수혜로 수익률은 더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2022년 국내 상반기 일본 마스크팩 수출이 총 3,070만 달러(한화 약 400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49.7% 상승했다"고 전했다. 또 "현재 이온몰, 프라자, 로프트, 웰시아 등을 중심으로 14,000개 점포(5월말 기준)가 입점 완료하는 등 오프라인 채널 확대에 주목한다"며, "향후 추가적인 라인업 확장과신규 브랜드 론칭, 건강기능식품 진출 시 빠른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브이티지엠피는 화장품, 바이오, 라미네이팅, 음반기획, 미디어커머스, 가상자산(NFT), 2차전지, 수소연료전지발전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을 영위 중이다. 주력 사업인 화장품부문(브이티코스메틱)은 국내 외에도 일본, 중국 등에 진출해 있다.
경기도는 김포시 소재 제조업, 서비스업, 지식서비스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의 국내외 판로개척을 위해 2022년 G-FAIR KOREA 김포시 단체관에 참가 시 기본 조립부스, 국내외 바이어 연계, 홍보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오는 8월 11일까지 참가기업을 모집한다.지원대상은제조업, 제조업 관련 서비스업, 지식서비스산업(중소기업법 및 시행령 제3조 제1항 제1호)을 영위하는 김포시 소재(본사 또는 공장) 중소기업이다. 행사장소는킨텍스 제1전시장으며운영은오프라인(전시부스)+온라인(온라인전시관, 해외바이어 1:1 화상상담) 등이다.모집규모는4개 부스(18개사 기업), 기본부스(3m*3m)다.지원내용은기본 조립부스(안내데스크, 상담테이블, 등 비품 일체), 국내 외 바이어 연계지원(수출구매상담), 각종 홍보지원 등이다. 신청은방문, 우편, 이메일(gosu8932@korea.kr)로접수하면 된다. 자세한문의는김포시청 기업지원과 기업지원팀(031-980-2297)으로 하면 된다. * 제목 : 2022년 3차 G-FAIR KOREA 단체관 참가기업 모집 * 주관 : 경기도 * 사업기간 : 2022년 10월 27일~29일 * 모집기간 : 2022년 8월 11일 * 사업개요 : 경기도 김포시 소재 제조업, 서비스업, 지식서비스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의 국내외 판로개척을 위해 2022년 G-FAIR KOREA 김포시 단체관에 참가 시 기본 조립부스, 국내외 바이어 연계, 홍보 등을 지원하는 사업 * 지원대상 : 제조업, 제조업 관련 서비스업, 지식서비스산업(중소기업법 및 시행령 제3조 제1항 제1호)을 영위하는 김포시 소재(본사 또는 공장) 중소기업 * 행사장소 : 킨텍스 제1전시장 * 운영방법 : 오프라인(전시부스)+온라인(온라인전시관, 해외바이어 1:1 화상상담) * 모집규모 : 4개 부스(18개사 기업), 기본부스(3m*3m) * 지원내용 : 기본 조립부스(안내데스크, 상담테이블, 등 비품 일체), 국내 외 바이어 연계지원(수출?구매상담), 각종 홍보지원 등 단, 기본전력을 제외한 부대시설 사용료는 업체 부담 * 신청방법 : 방문, 우편, 이메일(gosu8932@korea.kr) 접수 * 상세문의 : 경기도 김포시청 기업지원과 기업지원팀(031-980-2297)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괴산유기농엑스포조직위원회는 11일 KS벽지‧제일벽지(회장 박식순)와대한민국ROTC중앙회(회장 박식순)와엑스포 성공개최를 위한 후원과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KS벽지‧제일벽지에서는 엑스포 성공개최를 기원하며 후원금 1억 원을 조직위(위원장 충청북도지사 김영환)에 기탁했다. KS벽지‧제일벽지는 친환경, 저탄소 인증벽지를 제작하는 기업으로 국내 업계 최초 100% 수성잉크 사용해친환경 부문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하는 등 대한민국을 넘어 글로벌 대표 브랜드로 도약하고 있다. 이어서 대한민국ROTC중앙회와 조직위 간의 업무협약도 진행됐다. 대한민국ROTC중앙회는 1961년창설되어 23만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봉사단체다. 박식순 회장은 “고향인 괴산에서 개최되는 유기농엑스포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KS그룹 구성원과 ROTC 회원 모두가 엑스포 성공 개최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조직위원장인 김영환 충청북도지사는 “KS벽지와 제일벽지의 적극적인 지원에 감사드린다”며,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들의 관심과 지원이 유기농엑스포 성공개최에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 또“사회 각계각층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ROTC중앙회에서 엑스포 성공개최를 위해 협력을 약속해주셔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2022 괴산세계유기농산업엑스포는 충청북도와 괴산군, IFOAM(아이폼유기농국제본부)이 공동 주최하며9월 30일부터 10월 16일까지 17일간 충북 괴산군 유기농엑스포광장 일원에서 개최된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안동시(시장 권기창)가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가 우수특구에 지정됐다. 10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최근 규제자유특구위원회를 개최하고 1~4차 규제자유특구 24개를 대상으로 2021년 운영성과를 심의해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외 3곳을 우수특구로 선정했다. 헴프산업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마 취급 규제완화 추세와 더불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미국, 캐나다 등 해외 많은 국가들이 의료용 헴프 사업을 합법화해 나가고 있으며 화장품과 식품 분야에서도 다양한 상품들이 개발돼 시장 규모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가 우수특구에 지정될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안동시가 한국형 헴프산업의 거점도시로 도약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이루며 활력 넘치는 성장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는 2020년 8월 지정 이후 3차 특구 중 가장 먼저 실증에 착수했고 이번 우수특구 지정은 타 지역에 소재하는 역외기업의 특구 내 이전(18개사), 고용창출(72명), 안동과학대 바이오헴프학과 신설을 통한 인력양성 등 한국 헴프 산업화의 표준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현재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에는 총괄주관기관인 (재)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을 비롯한 4개 기관과 함께 (주)유한건강생활, 한국콜마(주), 교촌에프앤비(주)등 31개 특구사업자 총 35개 기관,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4월 31일 재배, 안전관리, 8월 10일 추출, 제조 분야에 대한 실증에 착수했으며 현재까지 안전성, 유효성 입증을 위한 실증데이터 축적에 집중하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조말론이 8월 향수 브랜드평판에서 3개월 연속 1위 자리를 고수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7월 11일부터 8월 11일까지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향수 브랜드 30개에 대한 빅데이터 16,378,763개를 평판 분석했다. 지난 7월 향수 브랜드 빅데이터 16,926,655개와 비교하면 3.24% 줄어들었다. 8월 향수 브랜드평판 순위는 조말론, 샤넬, 딥디크, 크리스챤디올, 불가리, 톰포드, 크리드, 바이레도, 랑방, 포맨트가 상위 10위권을 차지했다. 이어 끌로에, 베르사체, 구찌, 버버리, 러쉬, 지미추, 르라보, 존바바토스, 몽블랑, 마크제이콥스, 겐조, 클린, 페라리, 롤리타렘피카, 아쿠아디파르마, 벤츠, 키엘, 살바토레페라가모, 캘빈클라인, 펜할리곤스 향수 순으로 분석됐다. 향수 브랜드평판 2022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향수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조말론 향수 브랜드는 참여지수 687,881 소통지수 1,007,309 커뮤니티지수 787,55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482,741이 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2,654,974와 비교하면 6.49% 하락했다. 2위를 차지한샤넬 향수 브랜드는 참여지수 547,842 소통지수 962,687 커뮤니티지수 671,36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181,893이 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2,361,629와 비교하면 7.61% 하락했다. 또 3위를 기록한딥디크 향수 브랜드는 참여지수 429,615 소통지수 611,560 커뮤니티지수 493,01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534,188이 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1,503,132와 비교하면 2.07% 상승했다. 4위를 차지한크리스챤디올 향수 브랜드는 참여지수 302,741 소통지수 323,998 커뮤니티지수 309,15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35,896이 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1,000,412와 비교하면 6.45% 하락했다. 5위를 기록한불가리 향수 브랜드는 참여지수 186,479 소통지수 333,405 커뮤니티지수 232,21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52,100이 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798,956과 비교하면 5.86% 하락했다. 향수 브랜드평판 2022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향수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소통량, 커뮤니티 노출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소비자와 브랜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계분석으로 측정된다.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브랜드 영향력을 측정한 브랜드 가치평가 분석과 브랜드평판 모니터의 정성평가도 포함했다. 향수 브랜드평판 2022년 6월, 7월,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향수 브랜드평판 8월 빅데이터분석결과는 조말론 향수 브랜드가 1위로 분석됐다. 향수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 보니 지난 7월 브랜드 빅데이터 16,926,655개와 비교하면 3.24%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4.22% 하락, 브랜드소통 2.37% 하락, 브랜드확산 3.57% 하락했다"고 평판 분석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보건산업 수출액이 역대 반기 최고 실적을 기록했으나 화장품 수출은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라 진단용 시약과 백신 수출이 확대된 것과 달리 화장품은 최대 수출국인 중국 시장의 봉쇄로 직격탄을 맞은 탓이다. #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133억 5,000만 달러, 전년 대비 8.5% 증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2년 상반기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5% 증가한 133억 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반기 최고 실적으로전 산업 모두 40억 달러 이상을 달성했다. 보건산업 수출 성과 (단위 : 백만달러, %) 산업별로는 의료기기 수출액이 49억 3,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2% 증가했고의약품 수출액이 전년 대비 45.0% 늘어난 43억 5,000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반면 화장품 수출액은 40억 6,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46억 1,000만 달러보다 11.9% 감소했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 지속에 따라 미국, 일본, 호주, 캐나다 등으로 진단용 시약과 국내 위탁생산(CMO) 백신의 수출이 확대됐으나화장품 최대 수출국인 중국 시장의 봉쇄 등 공급망 불안정 심화로 화장품 수출은 감소했다. # 상반기 의약품 수출 증가율 45.0% 바이오의약품, 백신이 주도 상반기 의약품 수출액은 43억 5,000만 달러로 보건산업 분야 중 전년 동기대비 수출 증가율(+45.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약품 수출을 이끈 바이오의약품(16억 8,000만 달러, +29.2%)과 백신류(7억 8,000만 달러, +490.8%)는 전체 의약품 수출의 절반이상(56.4%)을 차지했다. 특히백신 수출은 코로나19 백신 위탁 생산(CMO)제품의 호주, 대만, 싱가포르 등으로 수출이 집중되며 크게 증가했고, 기타 원료(3억 5,000만 달러, +14.4%)와 기타 조제용약(3억 4,000만 달러, +5.4%)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다. 2022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현황 (단위 : 백만달러, %) # 의료기기 수출액 49억 3,000만 달러 보건산업 전체 수출 중 비중 1위 의료기기 수출액은 49억 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5.2% 증가했으며, 보건산업 전체 수출 중 의료기기 분야 수출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의료기기 수출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진단용 시약(24억 8,000만 달러, +2.8%)은 변이 바이러스 재확산의 영향으로 예년과 비슷한 수준의 수출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 대만, 캐나다, 일본 등으로 수출이 크게 늘어났다. 반면, 독일(2억 6,000만 달러, △77.4%)은 우리나라 진단용 시약의 수출이 감소해 수출 순위가 하락했다. 진단용 시약 외 의료기기 주력 수출 품목인 초음파 영상진단기(3억 9,000만 달러, +21.7%), 임플란트(3억 4,000만 달러, +33.6%), 방사선 촬영기기(3억 3,000만 달러, +10.2%) 등은 미국, 중국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요 수출 품목 순위 (단위 : 억달러, %) # 중국 봉쇄, 러·우 전쟁 등 거듭된 악재에 화장품 수출 울상 화장품 수출액은 40억 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1.9% 감소했다. 국내 화장품 최대시장인 중국의 도시봉쇄와 러·우 전쟁 여파로 화장품 수출은 중국(18억 9,000만 달러, -20.7%), 홍콩(2억 1,000만 달러, -34.3%), 러시아(1억 3,000만 달러, -17.5%) 등에서 크게 줄어들었다. 화장품 수출 상위국 현황 (단위 : 백만달러, %) 최근 화장품 소비트렌드가 럭셔리 기초 브랜드에서 중저가 색조브랜드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기초화장용 제품류(31억 달러, -16.2%) 수출은 감소한 반면, 색조화장용 제품류은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하며 4억 6,000만 달러를 달성했다. 화장품 수출 상위 품목 현황 (단위 : 백만달러, %) 진흥원 한동우 보건산업혁신기획단장은 “올해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은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만든 진단용 시약과 백신 관련 기업의 노력에 힘입어 역대 반기기준 최고 실적을 냈다”고 평가하는 한편, “코로나19에 의한 한시적 성과로 끝나지 않고 이 성과가 꾸준히 이어지기 위해선 정부와 산업계의 공조와 기술개발이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라이브 커머스 그립을 운영하는 그립컴퍼니(대표 김한나)가 신규 입점 셀러들에게 90일 동안 방송판매 수수료를 면제해 주는 ‘신규 입점 셀러 0%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1일 밝혔다. ‘신규 입점 셀러 0% 프로모션’은 입점 승인 후 90일 동안 방송,판매 수수료 면제 혜택을 제공한다. 단 PG 사에 지급할 결제 수수료 3.5%는 제외된다. 판매 독려를 위해 14일 동안 사용 가능한 라이브 쿠폰 형태의 방송 응원금 100만 원도 함께 지원한다. 해당 프로모션은 사업자 등록증이 있는 판매자라면 누구든 참여할 수 있다. 더불어‘도전 신인왕’, ‘히든스타’ 등 신인 셀러를 위한 기획전 참가 기회 역시 제공한다. 앱 내 상단 배너 노출, 쿠폰 지원 등을 통해 매출 증대를 지원할예정이다. 그립컴퍼니 안현정 부대표는 “그립이 성장할 수 있던 것은 많은 셀러들이 그립과 함께한 덕분이다”며, “셀러들을 위한 프로모션인 만큼입점 후에도 그립 안착을 위해 다양한 혜택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갈 예정이니 많은 기대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그립은 최근 7월 기준 앱 누적 설치 수 500만을 돌파했으며MAU는 170만으로 작년 연말 대비 4배 이상 증가하는 등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2월에는 소상공인 온라인 진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최근 중장년층의 성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바노바기성형외과가 동안성형의 대표 병원으로서 브랜딩을 위해 시니어 모델을 발탁했다고 밝혔다. 프리미엄 리프팅을 비롯한 섬세하고 안전한 안티에이징 케어로 동안성형의 대표 병원으로 자리매김한 바노바기성형외과는 이번 시니어 모델 발탁을 통해 그 위치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 지난 1월 유엔와이 컴퍼니와 한국모델지도사협회 주최로 열린 시니어 모델연합 패션쇼 '유페스티벌’의 스폰서로 참여한 바노바기성형외과는 대회에 참가한 약 70여명의 시니어 모델들 중 바노바기성형외과의 이미지와 부합되는 남녀 모델을 각각 발탁해 이미지 모델로 기용했다. 바노바기성형외과의 새로운 얼굴로 발탁된 시니어 모델들은 황시훈과 초경화로 우아하고 품위있는 이미지로 바노바기성형외과가 추구하는 이미지상과 일치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들은 앞으로 바노바기성형외과의 욜드세대(65~79세 사이의 젊은 노인 인구)를 대표하는 이미지 모델로서 다방면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바노바기성형외과 반재상 대표원장은 “이번 시니어 모델 발탁을 통해 욜드세대와의 접점을 늘리고 중장년층의 당당한 젊음과 아름다움을 되찾는데 앞장서고자 한다”며, “과도한 수술로 인위적인 젊음을 내세우기 보다는 품위있고 여유로운 느낌을 주는 자연스러운 동안성형을 추구할 것이다”고 전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신세계인터내셔날(대표 이길한)이 올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세를 이뤘다. 8월 10일 신세계인터내셔날의 공시에 따르면, 2022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3,839억 원, 영업이익 387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2.7%, 영업이익은 46%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특히 이번 2분기 수익 성장에는 이른 바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의 수혜에 따른 화장품과 패션 등 소비재 품목에서의 수요 성장이 긍정적인 작용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먼저, 화장품 부문은 지난해 론칭한 PB 고급화장품 브랜드 뽀아레의 2분기 매출 성장이 두각을 보였다. 뽀아렌레는전년 동기 대비 110% 신장했다. 아울러 니치 향수를 주축으로 퍼퓸 등에서도 안정적인 실적을 보였다. 여기에 뷰티&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인 ‘자주(JAJU)’사업부문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자체 온라인몰 에스아이빌리지의 2분기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 늘었다. 이에 대해 신세계인터내셔날 관계자는 "7월에도 상반기의 좋은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어 3분기 실적도 기대되는 상황이다"며, "신규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성장시켜 브랜드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수입 브랜드를 통해 얻은 수익을 자체 브랜드 육성에 투자해 탄탄한 성장 기반을 마련해 나갈 것이다"고 전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미래소비자행동이 '1,2,4-트라이하이드록시벤젠(이하 THB)'을 함유한 염색샴푸 출시가 최근 오히려 늘고 있다고 지적하며 모다모다를 비롯한 기업들이 THB를 주요 염모성분으로 사용하면서 소비자들의 안전을 등한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미래소비자행동은8월 시중에 유통되는 염색샴푸를 조사한 결과, 총 35종 중 THB 성분을 주요 염모성분으로 사용하고 있는 제품이 7종에 이른다고 11일 밝혔다. 미래소비자는 식약처의 화장품사용금지 목록 등재가 늦어지면서 소비자 우려가 가장 높은 THB 함유 염색 샴푸가 급격히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먼저 올해초 '모더블랙 자연갈변 샴푸(에쎄르)', '케리케어 내츄럴리 다크닝 샴푸(상희피앤피)', '탈모랩 프로바이오틱스 블랙 샴푸(일동제약)'가 1,2,4-THB를 이용한 제품을 차례로 출시했다. 1,2,4-THB 함유 제품 사진과 성분 비교표 올해 3월 규제개혁위원회의 권고안이 내려진 이후로는 '블랙모리 샴푸(한국보원바이오)', '스티즈랩 리얼블랙 샴푸(예그리나)', '모다모다 프로체인지 다크닝 샴푸(모다모다)' 등 3개 제품이 추가됐다. 이에 따라 처음 출시된 '모다모다 프로체인지 블랙 샴푸'를 포함해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1,2,4-THB 샴푸는 총 7개에 이른다. THB는 유전독성 가능성으로 유럽연합과 아세안 국가에서 사용이 금지된 성분으로 국내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지는 않았으나 유전독성이 잘 알려져 사용하는 기업이 없었다. 식약처에서도 위해평가 결과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THB 성분은 국민안전을 위해 화장품사용금지 성분으로 등재하는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지난 2021년 8월 THB 성분을 함유한 ‘모다모다 프로체인지 블랙 샴푸’가 출시되며 식약처가 고시개정을 서둘렀으나 모다모다의 반발로 지난 3월 규제개혁위원회가 해당 사안에 대해 심의하고 식약처와 해당기업이 객관적인 평가 방안을 마련해 2년 6개월 동안 추가적인 위해검증을 통해 사용금지 여부를 최종 결정'하라는 개선 권고를 내린 바 있다. 결국 개선 권고에 따라 THB 사용금지 조치는 보류됐다. 이미 유럽연합과 아세안 국가에서 사용이 금지된 성분이지만 국내에서는 여전히 금지처분에 대한 공방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미래소비자행동 조윤미 대표는 "모다모다는 마치 규개위가 사용금지 조치의 부당함을 인정한 듯 홍보하며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심지어 올해 6월 출시된 후속 제품 '모다모다 프로체인지 다크닝 샴푸'에도 1,2,4-THB를 버젓이 넣었다"며 해당 업체를 비난했다. 또 "식약처도 모다모다 제품 검증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염색샴푸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잠재적인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사용상의 주의사항을 제시하고 염모 기능성 허가도 없이 새치커버, 염모기능을 강조하는 허위과장 광고 실태에 대한 강력한 모니터링과 행정조치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 광노화에 의한 진피유두층콜라겐 피브릴 구조변화 광노화는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됨으로써 일어나는 피부의 노화이다. 광노화된 피부에서 볼 수 있는 노화의 징후로는 주름이나 처짐 등을 들 수 있는데1)2)이들의 주된 원인은 진피에서의 콜라겐 섬유의 감소이다3)4). 이러한 콜라겐 섬유의 감소는 자외선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s) 발현이 항진하는 데 기인하는 콜라겐의 분해 뿐아니라5) 콜라겐 섬유를 생성,구축하는 능력이 저하되는 것도 요인으로 꼽힌다6). 그림1 진피 유두층과 진피 망상층의 콜라겐 섬유구조 진피는 표층의 유두층과 심층의 망상층의 두 층으로 나눌 수 있다. 진피 유두층은 세포외기질의 밀도는 비교적 낮지만 세포밀도는 높다. 이것에 반하여 진피 망상층은 세포외기질의 밀도가 높고 세포밀도는 낮다7). 이들 두 층은 데코린(decorin)이나 베르시칸(versican) 등의 세포 외기질의 구성 성분에서도 차이가 있다8)9). 또각각의 층을 구성하는 섬유아세포의 성질도 증식10)11), 세포외기질의 생성9), 성장 인자의 생성8)12)의 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특히 진피 유두층은 진피 망상층에 비해 연령증가에 의한 변화가 현저하다12).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정부 주도로 운영되던 천연, 유기농화장품 인증제도가민간 주도로 전환된다. 또 지금까지 업무를 가중시켰던 화장품 원료 사용에 대한 보고 의무도폐지된다. 이와함께화장품 책임판매관리자 자격 요건도 완화된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공동 브리핑을 통해 식품·의약 분야의 신산업 성장을 지원하고 규제로 인한 기업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식품·의약 분야 규제혁신 100대 과제'를 선정, 발표했다. 11일 발표된 규제혁신 과제는 신산업 지원(19), 민생불편·부담 개선(45), 국제조화(13), 절차적 규제 해소(23) 등 식품분야와 의료기기, 의약품, 화장품 분야 100대 과제다. 분야별 규제혁신과제 현황 대한상의와 식약처는 "이번 규제혁신 과제가 국민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검토하되 안전, 생명, 건강과 직결되지 않은 규제는 원점(Zero-base)에서 재검토하고바이오헬스케어, 융복합제품 등 신산업 분야는 선제적으로 지원, 정부개입을 최소화하고 민간 자율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는 것을 원칙으로 선정됐다"고 전했다. 식의약 규제혁신 100대 과제 선정 이중 화장품 분야에서 ▲천연, 유기농화장품 인증제도 민간주도 전환▲화장품 원료 사용 보고의무 폐지 등 화장품산업 규제 완화 부분이 담겼다. 아울러 ▲의료기기 맞춤형 신속 분류제도 도입▲혁신의료기기 지정 대상 확대 등 신산업 성장을 위한 과제와 민간 자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과제들로 발표됐다. 그 중에서도 큰변화가 예상되고 있는천연, 유기농화장품 인증제도 민간주도 전환은 기존에는 식약처가 지정한 기관에서 인증을 받는 데에 발생했던 애로사항 해소에 초점을 맞췄다. 식약처는 민간(협회 등)에서 인증기관의 목록을 공개해 신뢰성을 확보하고인증 결과를 표시, 광고에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개선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인증기준 활용으로 시장 진입 용이하고표시, 광고의 자율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천연, 유기농화장품 세계 시장 규모는2027년 545억 달러(한화 약 63조 원)으로 예상(Future Market Insight, 2018)되고 있다. 정부 주도의 천연, 유기농화장품 인증이 아니라 인증요건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국제기준과 달라 제품을 국내외에서 판매하는 기업의 경우 인증을 중복으로 받아야 했다. 이에 다양한 민간 인증기준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면 인증에 따른 비용 부담이 줄어관련 제품 출시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식약처를 화장품법과화장품법 시행규칙을 개정하고 관련 고시를 오는 2023년 12월까지 폐지한다는 계획이다. 지금까지 업무를 가중시켰던 화장품 원료 사용에 대한 보고 의무도폐지된다. 기존 책임판매업자는 화장품 유통, 판매 전 제품에 사용된 원료 목록을 식약처에 보고하도록 의무화되어 있었다. 지난 2012년 선진 규제시스템으로 도입됐던 화장품 원료 사용보고는 이후10년간 성장한 국내 산업수준을 반영할 필요가 요구됐다. 이에따라 식약처는 책임판매업자의 화장품 원료 보고의무를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업체의 행정소요에 따른 경제적, 시간적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오는 2023년 12월까지화장품법과시행규칙, 화장품의 생산, 수입실적 및 원료목록 보고에 관한 규정을 개정한다는 계획이다. 화장품 책임판매관리자 자격 요건도 완화된다.화장품책임판매관리자자격기준 중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자격증을 갖고 업무 경력(1년)을 갖추면 화장품책임판매관리자가 될 수 있도록 완화한다.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의 전문성을 고려할 때책임판매관리자 선임을 위한 실무 경력 추가 요구는 과도하다는 판단이다. 식약처는 이를 통해 화장품책임판매관리자 자격기준에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의 제조, 품질관리 업무 경력이 필요치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의 고용 장벽을 낮춰산업계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23년 12월까지 화장품법 시행규칙을 개정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번 100대 규제혁신은 대한상의를 비롯해 분야별 업계, 협회, 학계와의 간담회와토론회를 통해 발굴됐으며국민대토론회 등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아모레퍼시픽 대표 이너뷰티 브랜드 바이탈뷰티의 '명작수 녹'이 녹색기술제품 인증을 획득했다. 올해 4월 출시한 바이탈뷰티 '명작수 녹'은 진귀한 초고압 녹용과 홍삼, 인삼열매를 담아 신체 전반의 생명력을 깨우는 프리미엄 건강기능식품이다. 이제품에는 엄격하게 선별한 진귀한 녹용과 대지의 기운을 품은 홍삼, 인삼에서 단 한 번만 얻을 수 있는 귀한 인삼열매를 담았다. '명작수 녹'은 제조 과정에 인증받은 아모레퍼시픽의 녹색기술 '초고압 인삼 가공 기술(천삼화)'을 사용했다. 해당 기술은 기존 방식보다 홍삼 가공 공정을 단축하고에너지 사용량과 탄소 배출량도 약 1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또열을 가하거나 화학물질을 첨가하지 않고도 인삼에 잔류하는 토양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아모레퍼시픽은 2020년‘초고압 인삼 가공기술(천삼화)’로 ‘녹색기술인증’을 받았다. 이번 ‘녹색기술제품 인증’(인증번호: GTP-22-03139)은 기 획득한 녹색기술이 제품에 적용되었음을 녹색인증사무국,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을 통해 공식적으로 검증받은 것이다. 심사 과정에서는 ‘초고압 처리한 홍삼을 활용해탄소 저감화와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키면서도 건강 기능에 대한 주요 성분의 함량을 유지한 기술이 적용된 식품 제품으로써녹색기술제품으로 적합하다’는 평을 받았다. 아모레퍼시픽 R&I센터 김완기 헬스케어연구소장은 "이번 녹색기술제품 인증은 친환경적인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아모레퍼시픽의 끊임없는 연구로 이뤄낸 의미 있는 성과이다”며, "아모레퍼시픽은 앞으로도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라는 뜻을 밝혔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 이니스프리(www.innisfree.com)가재활용 캠페인인 ‘공병 프리퀀시 시즌 2’ 그랜드 오픈(Grand Open)을 기념하며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시행한다. ‘지구를 위해 버리지 말고 돌려주세요!’라는 취지로 2003년부터 지속해온 이니스프리의 ‘공병수거 캠페인’은 화장품 용기가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다 사용한 화장품 용기를 수거해 재활용하고 이에 동참한 고객들에게 뷰티 포인트 등을 적립해 주는 제도이다. 2021년에는 음료 등이 아닌 공병을 반납하고 모아 리워드를 받는 ‘공병 프리퀀시’를 런칭해 많은 호응을 받은 바 있다. ‘버려지는 공병이 0병이 될 때까지! 이니스프리의 #공병대환영’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올해 2022년 8월 11일부터 더욱 업그레이드된 NEW ‘공병 프리퀀시 시즌2’는 내년3월 31일까지 8개월간 진행된다. 공병 1개당 뷰티 포인트 300점 적립은 물론생애 첫 공병수거 참여 고객 대상 뷰티 포인트 5,000점, 매달 공병수거를 실천한 고객에게 주는 10,000점 리워드를 포함해 5개, 10개, 20개 등 프리퀀시 스티커 개수에 따라 추가 뷰티 포인트와‘수퍼 화산송이 모공 마스크 2X’ 본품 등을 증정해 환경을 생각하는 고객들에게 돌려주는 혜택을 강화했다. 더불어 이번 ‘공병 프리퀀시 시즌 2’ 캠페인 런칭을 기념하며 8월 11일부터16일까지 3가지 BIG 혜택도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먼저 공병수거와 함께 5만원 이상 구매 시,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을 줄인 샴푸 바와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만든 업사이클링 비누 받침대가 증정된다. 또더 오래 쓸 수 있는 이니스프리 대용량 제품인레티놀 시카 흔적 앰플 50mL, 블랙티 유스 인핸싱 앰플 50mL, 블랙티 유스 인핸싱 트리트먼트 에센스 145mL 구매 시, 기본 할인은 물론 10% 추가 할인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 여기에 해당 기간 동안 공병 수거 참여 시, 프리퀀시 스티커 1개를 더 적립해 준다. 8월 11일부터 9월 13일까지는 SNS에 공병수거 참여 사진을 인증하면 추첨을 통해 미니네트백 등 다회용품을 증정한다. 이니스프리 마케팅 관계자는 “지난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1년간약 1,105톤의 공병을 재활용해1,418톤의 온실가스를 저감했으며 이는 소나무 10,157그루를 심은 효과이다”며, “작년연간 205,581명의 고객들이 약 2,422,272개의 공병 반납에 참여해 준덕분에 화산송이 제품으로의 재탄생 등 재활용을 실천할 수 있었다. 이니스프리는 앞으로도 환경을 생각하는 다양한 활동에 더욱 관심을 갖고 힘쓸 것이다”고 덧붙였다. 나와 지구를 위한 착한 프리퀀시를 모을 수 있는 이니스프리의 NEW ‘공병 프리퀀시 시즌 2’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innisfree.com)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프랑스의 대표적인 클린 뷰티 브랜드 꼬달리가 꼬달리 공식몰인 한남동 부티크 단독으로 ‘섬머 백 증정’ 사은품 혜택을 진행 중이다. 꼬달리는 12만원 이상 꼬달리 제품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화이트닝+모공케어 3종’과 함께 섬머 백 증정 혜택을 8월부터 진행 중에 있다. 섬머 백과 함께 증정되는 제품 중 하나인 비노퍼펙트 래디언스 세럼(10ml, 증정용)은 꼬달리의 베스트 화이트닝 세럼으로14년 연속 프랑스 안티다크스팟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크 스팟을 완화해 빛나는 광채 피부로 가꿔어 주는 제품으로 임상 결과 세럼 1병 사용 후 다크 스팟이 63% 완화되는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또 꼬달리의 특허 성분인 포도나무 줄기 수액 '비니페린'이 함유돼 있는데‘비니페린’은 비타민 C보다 62배 높은 브라이트닝 효과가 있어 광채 부스팅에 효과적이며 얼룩덜룩한 피부톤을 고르게 개선해 준다. 비노퍼펙트 다크 스팟 코렉팅 글리콜릭 나이트 크림(15ml, 증정용)은 비니페린과 글라이콜릭 애씨드가 함유된 화이트닝 나이트크림으로 다크스팟을 완화하고 부드럽게 각질을 제거해 생기 있고 환한 피부로 아침을 맞이할 수 있다. 비노퍼펙트 라인은 자연유래성분 95%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내추럴한 화이트닝 케어 라인으로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미네랄 오일, PEG, 동물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다. 이번 행사는 한남동에 위치한 꼬달리 부티크 매장과 꼬달리 공식몰에서만 단독으로 만나볼 수 있다. 제품은 수량이 한정돼 있으며 재고 소진 시 종료된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의 새치케어 샴푸 ‘리엔 물들임’이 시장조사업체 닐슨코리아가 집계한 샴푸, 린스 시장 조사에서 점유율 1위 품목에 등극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리엔 물들임 자연갈색 샴푸’는 지난 5월부터 6월까지 두 달간 판매된 샴푸, 린스 전체 제품 중 판매금액 기준 5.9%의 점유율로 1위 품목을 차지했다. 상위 100개 품목 기준에서도 4.6%의 점유율로 1위를 기록해2위 제품과 2.6%포인트 차이를 보이며 입지를 단단히 했다.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새치케어 샴푸 시장에서 ‘리엔 물들임’은 할인점과 홈쇼핑, 온라인을 비롯한 전 채널에서 고른 판매를 보여주며 출시 45일만에 누적 매출 100억 원(소비자판매가 기준)을 돌파하기도 했다. 특히이마트와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3사에서 6월 한 달 간 헤어카테고리 판매 1위를 기록했고홈쇼핑에서 역시 입소문에 힘입어 판매 방송 중 3.8초에 1병씩 판매되는 등 큰 호응을 이끌어 냈다. “물들임을 쓰면서 염색으로부터 해방됐다”, “쓴지 2주가 지나면서부터 주변에서 어디서 염색했는지 물어볼 정도로 헤어컬러가 너무 예쁘게 변했다” 등 실제 온라인몰에 축적된 고객 후기를 통해 긍정적인 반응도 이어지고 있다. ‘리엔 물들임’ 새치케어 샴푸와 트리트먼트는 ‘물들임’이라는 제품명처럼 봉숭아 물들이듯 자연스럽게 새치를 물들이는 ‘블랙틴트 콤플렉스TM’ 성분을 함유했다. 매일 머리를 감는 것만으로 세련된 갈색으로 새치 커버가 가능한 것이 특징으로 먼저 써본 고객들의 96.7%가 3주 후 헤어 컬러 변화에 만족했다.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등 20가지 화학성분과 산화염모제 주성분을 무첨가했고피부자극테스트와독일 더마테스트 엑설런트 등급을 획득해 자극이 걱정되는 두피에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LG생활건강 마케팅 담당자는 “고객들이 좀 더 안심하고 만족스럽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물들임 새치케어 샴푸의 효과적인 사용법과 제품 관련 주요 문답을 정리한 FAQ를 전달하는데 힘쓰고 있다”며, “이를 통해 새치 샴푸 1등으로 떠오른 물들임이 고객분들께 지속적인 신뢰와 사랑을 받는 브랜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리엔 물들임은 전국 대형마트와온라인몰과 홈쇼핑에서 만나볼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롯데면세점(대표이사 이갑)은 창립 42주년을 맞아 올해 초 새롭게 선보인 비주얼 아이덴티티(VI)가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2’에서 본상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67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독일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는 세계 최고 권위의 디자인 공모전 중 하나로24명의 전 세계 디자인 전문가들이 작품의 혁신성, 독창성, 차별성 등을 평가해 수상작을 선정한다. 롯데면세점은 올해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의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에서 본상(Winner)를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2017년 롯데면세점 전용 서체로 최우수상 격인 베스트 오브 베스트(Best of Best)에 선정되고2020년 롯데면세점 창립 40주년 헤리티지북과 엠블럼으로 본상을 수상한 데 이은 네 번째 수상이다. 새 비주얼 아이덴티티의 모티브는 인류 비행 기술의 첫 번째 성공 사례인 열기구로면세점 뿐아니라 다른 관광유통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트래블 리테일러(Travel Retailer)’로 도약 중인 롯데면세점의 ‘성공 DNA’를 담아냈다. 여섯 가지의 열기구 그림은 화장품, 패션, 전자기기 등 면세점의 대표 상품 카테고리를 상징하는 것으로열기구의 풍선 부분은 이색적인 모양과 형형색색의 색감으로 나타내 여행이 주는 다양한 재미와 기쁨을 표현하고자했으며하단의 곤돌라는 롯데면세점의 CI(Corporate Identity)를 그대로 활용해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했다. 롯데면세점은 국내외 20개 매장 뿐아니라 쇼핑백, VIP 카드, 공식 홈페이지, SNS 홍보 채널 등 다양한 고객 접점에서 새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활용하며 일관된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해 오고 있다. 이갑 롯데면세점 대표이사는 “양질의 상품과 쇼핑 서비스 뿐아니라 브랜드 정체성이 잘 표현된 비주얼 아이덴티티 또한 기업의 마케팅 경쟁력이다”며,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적재적소에 활용해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다”고 말했다.
전라남도는 도내 화장품, 미용 제품 생산, 유통 중소기업의 수출확대를 위해 2022 두바이 화장품 미용 전시회 참가 시 수출상담회비, 부스 임차료, 통역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오는 8월 10일까지 참가기업을 모집한다.지원대상은화장품, 미용 제품을 생산, 유통하는 기업으로 본사 또는 공장이 전라남도내에 소재한 (수출)중소기업이다. 전년도 수출 2천만 불 이하인 (수출)중소기업으로전남 제품(화장품, 이미용품)을 생산, 유통하는 중소기업,국세와 지방세 완납 중소기업, 우크라이나 사태 수출피해기업 참여시 가점을 부여한다.수출목표는600천불(6개사 × 100천불)이다.지원내용은수출상담회비, 부스 임차료, 장치비, 통역비, 항공료 50%(1사 1인, 1백만 원 한도) 등이다. 신청은온라인으로 접수하면 되고 자세한문의는전라남도(061-286-2452)로 하면 된다. * 제목 : 2022년 두바이 화장품 미용 전시회 참가기업 모집 * 주관 : 전라남도 * 사업기간 : 2022년 7월~12월(6개월) * 모집기간 : 2022년 8월 10일 * 사업개요 : 전라남도 내 화장품, 미용 제품 생산, 유통 중소기업의 수출확대를 위해 2022 두바이 화장품 미용 전시회 참가 시 수출상담회비, 부스 임차료, 통역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 * 지원대상 : 화장품, 미용 제품을 생산, 유통하는 기업으로 본사 또는 공장이 전라남도내에 소재한 (수출)중소기업, 전년도 수출 2천만 불 이하인 (수출)중소기업, 전남제품(화장품, 이미용품)을 생산, 유통하는 중소기업, 국세와 지방세 완납 중소기업, 우크라이나 사태 수출피해기업 참여시 가점 부여 * 수출목표 : 600천불(6개사 × 100천불) * 지원내용 : 수출상담회비, 부스 임차료, 장치비, 통역비, 항공료 50%(1사 1인, 1백만 원 한도) * 기업부담 : 체재비, 부스 추가장치비, 운송료, 항공료(일부), 기타 개인경비 등 * 신청방법 : 온라인 접수 * 상세문의 : 전라남도(061-286-2452)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MSS 그룹(대표 정회훈)의 뷰티&라이프 브랜드 ‘모나리자’가 자연 유래 보습, 안정 성분이 함유된 ‘내추럴 포레스트 물티슈’(100매, 10입)을 출시했다. 업체 측에 따르면 모나리자 내추럴 포레스트 물티슈는 녹차잎(수분 유지), 제주 편백잎(피부 스트레스 완화), 알로에베라잎(피부 유연) 추출물 등 피부에 좋은 자연 유래성분을 함유한 제품이다.별도 향료를 첨가하거나 화학처리를 하지 않은 무향료 제품으로7단계 정수 과정을 거친 깨끗한 물을 사용해 제품의 안전성을 높였다. 이어 18가지 유통화장품 검사와 피부자극테스트를 완료했다. 모나리자 관계자는 “내추럴 포레스트 물티슈는 제품명에서 알 수 있듯이 자연 유래 보습 성분들을 함유해마음 편히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며, “모나리자는 앞으로도 소비자들이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우수한 품질은 물론, 안전성과 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제품들을 꾸준히 선보일 예정이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제품은 품질경영 시스템에 대한 국제 표준 ISO 22716을 획득한 공장에서 제조했다. ISO 22716은 국제표준화기구 ISO에서 제정한 우수한 화장품 제조를 목적으로 하는 국제표준규격(GMP)이다. 아울러 포장재의 경우에도 ‘국제산림관리협의회(FSC)’에서 산림 인증을 받은 친환경 박스를 사용했다.
■개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7월호는 특집 '광노화에 의한 피부의 노화 징조와 그 방어'를 주제로▲ 광노화에 의한 진피 유두층의 콜라겐 피브릴 구조의 변화에 대해서▲ Endo180의 감소에 의한 광노화를 진행시키는 메커니즘과 Endo180의 생성 촉진 작용을 가지는 식물추출물의 화장품에의 응용▲ 인체 피부세포에서 광노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소포체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작용에 대해▲ 인체 광노화 피부의 노화 징조와 개선약▲피부 노화 징후와 오토파지▲ UVA가 일으키는 SASP관련 인자에 의한 노화 유도 등을 구성했다. [칼럼]화장품산업 '흐림', 향후 전략은 "브랜드 마케팅 관건" [테마기획] 화장품업계 플랫폼 개발 현황분석 [특집] 광노화에 의한 피부의 노화 징조와 그 방어 1.광노화에 의한 진피 유두층의 콜라겐 피브릴 구조의 변화에 대해서, Changes in collagen fibril construction in the papillary dermis by photoaging, 일본 메나드화장품종합연구소 (日本メナード化粧品総合研究所) 吉岡 寿 2.Endo180의 감소에 의한 광노화를 진행시키는 메커니즘과 Endo180의 생성 촉진 작용을 가지는 식물추출물의 화장품에의 응용, Mechanism of photoaging progression by Endo 180 reduction and application of plant extract promoting Endo production to cosmetics,마루젠제약 종합연구소(丸善製薬 総合研究所) 岩橋広恭 3.인체 피부세포에서 광노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소포체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작용에 대해,Alleviating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human skin cells caused by photoaging,Sea Act(シー·アクト) 坪井 誠 · 阪田泰子 · 石川英明 4.인체 광노화 피부의 노화 징조와 개선약, Sign of human photoaging skin and improvement treatments,도쿄공과대학 응용생물학부(東京工科大学 応用生物学部) 前田憲寿 5.피부 노화 징후와 오토파지, Autophagy in skin aging, 가오 생물과학연구소(花王 生物科学研究所) 村瀬大樹 · 重山紗紀 · 川端慶吾 6.UVA가 일으키는 SASP 관련 인자에 의한 노화 유도,UVA induces induction of senescence via SASP-related factors,C'BON 연구개발부 연구과(シーボン研究開発研究課) 青野 栞 · 田中千智 · 小田彩水 [원료 최신 연구 동향 ]BST-AR / (주)BST, CROP / (주)모아캠, Photosome-V PE / By Barnet [신소재 신원료 소개 Ⅰ]Vosgian Fir Seed Oil/제조원 : BIOLIE SAS 수입원 : 동흥화학(주) [신소재 신원료 소개 Ⅱ]Aomori Cherry Extract/동아화성(주) [신소재 신원료 소개 Ⅲ]TelophiTMbiotech ingredient(텔로파이)/일본 르부리졸(주) [신소재 신원료 소개 Ⅳ]SPHINOCⓇDefenda(스피녹스 디펜다)/에보닉 재팬(주) [원료기업 탐방]바이오뷰텍, 화장품 원료 세계화 정진 ‘고기능,고효능 집중’ [원료기업 탐방]인코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최신 트렌드 경영 박차 [화장품 빅데이터 분석 시리즈]토너패드 트렌드 분석 [MARKETING] '성패의 갈림길' 브랜드 아이덴티티 핵심 '소비자 인식' [물류] 미래시장 지배자 O2O 온디맨드 시대 '물류가 중심' [차이나 리포트] 엄격해진 중국 법규 '꽌시 NO, 점검만이 살길' [최신 한국 특허정보 소개] 2022년 3월 공개 한국황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 Journal by Journal 식약처 화장품시험검사기관 지정 현황 NEWS & NEWS 2022년 글로벌 화장품 미용 대표 박람회 일정표 편집위원, 전문위원, 해외통신원 소개 편집후기, 판권 ■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소개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1973년 창간된 일본 유일한 향장품(화장품, 의약부외품)에 대한 연구개발 기술 전문 저널 프레그런스저널의 한국판이다. 국내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한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전문지로 일본과 국내의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원료, 부자재, OEM ODM, 임상실험, 기계설비 등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한다.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분야에서 국내 보다 앞선 일본의 수준 높은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논문과 최신 트렌드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글로벌 화장품 시장을 겨냥한 국내 업계에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프레그런스저널사와 정기적으로 화장품 신소재 신기술 교육 세미나, 기술 이전, 수출입 교역, 화장품 B2B 박람회 등 다양한 공동업무 진행을 통해 전문저널의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다. 회사명 : (주)코스인 설립일자 : 2012년 4월 대표이사 : 길기우 사업내용 : 화장품 뷰티 산업 온라인 웹뉴스, 교육 세미나 정보 사업, 컨설팅 사업, 국내외 화장품 박람회 공동 주관, 협회 신문 발간 대행 사업, 출판 및 전자상거래 사업 등 주소 : 서울시 금천구 디지털로9길 99 805호(가산동 스타밸리) TEL 02-2068-3413 FAX 02-2068-3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