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1.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악취 1. 특징 소개 Polyfix ZRC 25GP는 Zinc Ricinoleate를 주원료로 하는 수용액이며 Zinc Ricinoleate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chelating agent를 함유하고 있다. 질소, 산소, 황 등 친핵성 원자를 가지는 악취 분자들과 리간드 결합함으로 악취를 흡수해제거하고 가온이나 물리적인 Stress에 의해서 악취들을 다시 배출하지는 않는다. 2. 기능, 장점 - 다양한 용도의 취 제거 제품에 사용 가능 - 수용성이며 cold process 가능 - 악취 분자들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며 안정한 상태로 악취와 결합 가능 - 향(Fragrnce)과 함께 사용 가능 - 자연분해 가능(Biodegradable) - 계면활성제(Surfactants)와 상용성 - Natural 컨셉 활용 가능 (EWG 1등급, 중국 사용 가능, 15% 이하 사용시 Ecocert 인증 가능) • INCI명 : Zinc Ricinoleate, Tetrasodium Glutamate Diacetate, Propandiol • 추천함량 : 0.5~10% 3. 대표적인 악취 - 소변 : Ammonia -…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김병규 기자] 코트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의 사드 보복 움직임이 부상한 가운데도 한국 화장품의 수출액은 41억 달러로 2011년(8억 2,000만 달러) 대비 5배 가량 늘었고 2016년 대비 20%나 증가한 22억 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을 제외한 해외에서도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위상이 더욱 높아지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국내 기업들의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국내와는 다른 까다로운 인증 조건에 부합하지 못한채 잘못된 상식을 접하고 유통에 뛰어 들어 해외 현지에서 비용과 시간을 낭비하는 국내 화장품 업체들도 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경제에 있어 의존도가 높았던 중국 시장이 정치적인 상황과 맞물려 우리나라에게 큰 타격으로 다가오자 대안 시장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다. 여러 정황들을 고려해볼 때 한번 진입하면 외부적 요인에 크게 지장 받지 않는 유럽 시장이야말로 화장품 업계가 관심을 가져야 할 곳이다” 이와 관련 하우스부띠끄 심형석 대표는 “유럽이나 미국에 한국 화장품을 수출하기 위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장미란 기자]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 글로벌 시장 진출이 화두가 되고 있다. 국내 화장품 시장은 레드오션이 된지 오래됐고 사드 사태의 여파로 중국으로의 진출도 예전 같지 않아지면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새로운 시장으로 나아가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세계 최대 화장품 시장인 미국으로의 진출도 당연한 수순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넓은 지역과 국내와는 다른 소비자들의 특성, 유통채널의 차이 등으로 미국 진출에 성공한 기업은 아직 손에 꼽히는 수준이다. 화장품 기업들은 특히 미국 화장품 시장 진출에 있어서 믿을 수 있는 유통 파트너에 대한 갈증을 토로하고 있다.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은 만큼 현지 사정에 밝고 브랜드 유통 전략에 적합한 바이어를 만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랜딩인터내셔널은 이러한 국내 화장품 기업과 미국 현지 유력 바이어들을 연결시키는 B2B 플랫폼 ‘바이어박스’를 론칭해 K-뷰티의 미국 시장 진출에 길잡이가 되고 있다. 코스인은 랜딩인터내셔널 사라 정 대표를 만나 랜딩인터내셔널에 대한 소개와 K-뷰티의 미국 시장 진출 전략을 들었다. “랜딩인터내셔널은 20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김병규 기자] 세계 최고의 포인트 메이크업 색조 화장품 제품을 만들기 위해 끈임없는 기술개발과 품질 향상으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기업이 있다. 작지만 강한 회사, 바로 씨앤씨인터내셔널(C&C INTERNATIONAL)이다. 시장 트렌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소비자들이 원하는 제품을 미리 생각해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상품기획체계와 다양한 연구개발과 특허로 독자적인 원천기술을 확보해 독자적인 경쟁력을 지닌 씨앤씨인터내셔널은 업계에서 독보적인 포인트 메이크업의 영역을 구축해 고객의 아름다움을 만드는 가치 있는 회사, 세계 일류기업으로 지속해서 성장해 나가고 있다. 특히 2017년에는 새로운 제조공장을 신축하고 최신식 장비와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생산능력 향상 및 품질안정화를 도모했고 또한 QC부문에서는 최신 분석 장비와 미생물 실험장비를 도입해 품질보증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씨앤씨인터내셔널은 자사 제품을 창업 초기 태국, 대만, 말레이시아, 일본 등 아시아를 비롯해 동남아 국가로 수출의 길을 연데 이어 현재는 유럽, 미국, 영국 등의 메이저 브랜드에 납품하고 있으며 화장품의 원조라고 할 수 있
사드 이후 중국 수출 한·일 희비 엇갈려 지난 3월 15일 중국 정부가 한국행 관광상품 판매를 금지하면서 한·일 양국에 중국인 인바운드(면세점)과 화장품 수출에 희비가 교차했다. 사드 보복에 의해 일본이 반사수혜를 입었다고 평가하나 이는 분명히 잘못됐다. 일본 화장품 기업은 이미 그들에게 기회가 왔을 때 언제든지 이를 잡을 수 있도록 칼을 갈고 닦아 왔다. 품질과 기술력에 대한 고집이 대단하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와 가네보 백반증 사태 등 연이은 안전 문제로 일본 화장품 산업이 침체기를 겪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를 이겨내고 품질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끊임없는 신제품 개발과 브랜드 가치 창출을 이어왔다. 실제 고세는 71년간 가장 장수한 브랜드 ‘고세’, 61년 ‘알비온’, 47년 ‘코스메 데코르테’ 등 장수브랜드를 육성하며 장인정신을 가지고 브랜드 역사를 창출하고 있다. 중국 인구는 2020년 14억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1인당 GDP 역시 2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소득수준 증가에 따른 고급 소비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의 경우 도시화율이 1% 상승할때마다 가구당 소비가 연평균 75위안이 증가하는데 2015~2020
새로운 선스크린 기술과 선케어 소재 블루라이트에 의한 세포장애 작용에 대해서 ブルーライトによる細胞障害作用について Blue light, as the environmental stressor 佐藤一臣(사토 가즈오미, Kazuomi Sato) 그림1 블루라이트가 B16F1 멜라노마의 세포증식능력과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1 1. 서론 과도한 태양광노출은 멜라노마(악성흑색종)를 비롯해 각종 피부암을 일으킨다. 그 원인은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Ultraviolet : UV)에 있다. UV는 그 파장에 따라 UVA(320~400nm), UVB(290~320nm), UVC(<290nm)로 분류된다. 지표면에 도달하는 UV는 주로 UVA와 UVB로 구성돼 있다. UV의 생물학적 작용은 과거에도 많은 연구보고가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도 연간 2,000개 정도의 관련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UV가 인체에 주는 영향은 매우 크며 인체 멜라노사이트에서는 멜라닌생성 촉진, 세포증식 억제, 세포 생존율 저하를 유도한다.또한 UV는 사이클로부탄형 피리미딘 다이머(cyclobutane pyrimidine dimers : CPD)나 6-4 광 생성물(6-4 photop
새로운 선스크린 기술과 선케어 소재 최신 선스크린 원료 개발에 대하여 最新のサンスクリーン原料開発について Recent material development of sunscreen lotion 三刀俊祐(미토 슌스케, Shunsuke Mito) 宮村孝夫(미야무라 다카오, Takao Miyamura) 그림 1MZX-304OTSW, 미처리, 실리카 처리 산화아연의 입도분포 1. 서론 일본의 화장품 시장은 판매수량과 판매금액 모두 정체하고 있는 반면 자외선차단 화장품은 판매수량, 판매금액 모두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경제산업성의 통계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4년에 걸쳐서는 약 1.3배,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약 1.2배로 상승했다. 이 배경에는 자외선에 의한 악영향의 인지, 소비자의 자외선 방어에 대한 인식 증대로 인한 자외선차단 화장품의 연중사용과 남성 소비자의 사용 등 자외선차단제의 사용자층 확대를 들 수 있다. 앞으로도 자외선차단제 시장은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가 자외선차단제에 요구하는 기능은 높은 자외선 방어효과 이외에 ‘촉촉함’, ‘끈적거림이 없음’ 등의 좋은 사용성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자외선차단 화장품에는 산화티타
피부에 대한 블루라이트의 영향과 새로운 선케어에의 접근 肌に対するブルーライトの影響と新たなサンケアへのアプローチ Taking sun protection further, extending it to cover blue light from the visible range of the spectrum 淵端三枝(후치하타 미에, Mie Fuchihata) 그림1 Parsol Max, TX의 풀 스펙트럼 광 방사에 의한 B-카로틴 분해로부터의 보호 1. 서론 태양광은 생활에 빼놓을 수 없다는 사실을 우리는 본능적으로 알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큰 지출을 하면서까지 태양광이 쏟아지는 리조트에서 휴가를 보낸다. 또한 짧은 일조시간이 계절성 정서장애(SAD)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 빛은 졸음을 유발하는 멜라토닌과 기분, 식욕, 졸음에 영향을 미치는 세로토닌 등의 생체 호르몬을 제어하고 일주기 리듬, 즉 생체시계리듬을 조절한다. 또한 태양광은 비타민 D의 생합성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동시에 태양광이 미치는 악영향도 잘 알려져 있다. 과도하게 태양광을 쬐면 보이지 않는 자외선(UV) 영역의 빛이 피부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자외선은 급성통증과 생명을 위
SPF를 효과적으로 높여 가시광선 · 근적외선까지 방어하는 새로운 미립자계 자외선흡수제 SPFを効果的に高め,可視光・近赤外線まで防御する新規の微粒子系紫外線吸収剤 New particulate UV filter which enhances SPF effectively with VIS & IR-A protection 正木功一(마사키 고이치, Koichi Masaki) 分部孝範(와카베 다카노리, Takanori Wakabe) 그림1 Tinosorb A2B의 자외선방어 스펙트럼과 화학구조 1. 서론 최근 들어 태양광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이 다수 보고되고 있으며 자외선방어의 필요성은 일반적으로도 널리 인식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에 비로소 SPF표시의 자외선차단 화장품이 발매됐지만 UVB파장(290~320nm)에 의한 선번(sun burn), 직접적인 DNA손상, 피부암과의 관련성 등의 연구로부터 당초에는 UVB의 방어가 주류였다.한편, UVB에 비해 에너지로서는 낮지만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약 90%를 차지하는 UVA파장(320~400nm)은 피부의 심층부까지 침투해 간접적인 DNA손상이나 광노화에 대한 영향이 있다고 알려지게 되면
타조항체를 이용한 광(光) 대책용 화장품의 개발 ダチョウ抗体を用いた光対策用コスメの開発 Development of ultraviolet radiation care products using ostric h antibodies 塚本康浩(쓰카모토 야스히로, Yasuhiro Tsukamoto) 西浦耕平(니시우라 고헤이, Kohei Nishiura) 龍 英明(류 히데아키, Hideaki Ryu) 前田 修(마에다 오사무, Osamu Maeda) ▲그림1 세계 최대의 조류인 타조와 알 건강한 암컷은 연간 100개 이상을 약 50년간 산란한다. (A) 번식기중의 암컷 타조와 알. 알은 약 1.5kg이고 연간 100개 이상을 산란한다.(B) 타조 알(깬 후): 계란 중량의 25-30배이고 알레르기성이 매우 낮다. (교토대학의 타조항체 연구시설에서 촬영) 1. 서론 항체는 병원체 등의 이물이 체내에 침입할 때 B세포에서 생성되는 글로불린 단백질로서 여러 생체인자와 함께 이물의 제거나 불활성화 등을 행한다. 항체의 최대 특징은 ‘특이성’ 반응으로 생체에서 꺼내도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분자를 검출하기 위한 진단시약 등에 이용되고
새로운 선스크린 기술과 선케어 소재 이상적인 UV 선스크린 분자를 목표로 한 기초연구로부터의 접근 理想のUVサンスクリーン分子を目指した 基礎研究からのアプローチ UV-Vis absorber equipped with efficient photo-thermal conversion system: Relaxationprocesses of photoexcited 2’-hydroxychalcone analogues having diene moiety 山路 稔(야마지 미노루, Minoru Yamaji)篠崎由妃乃(시노자키 유키노, Yukino Shinozaki)新井達郎(아라이 다츠오, Tatsuo Arai) ▲ 그림1 본 연구에서 사용한 화합물의 분자구조와 그 약칭 1.서론태양으로부터 UV-A(315~380nm), UV-B(280~315nm), UV-C(200~280nm) 자외선이 인간의 피부에 직접 쏟아지면 화상이나 기미, DNA 손상 등이 유발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애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UV 선스크린의 개발은 건강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보내기 위해 필수적이다.현재 선스크린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4-tert -butyl-4
새로운 선스크린 기술과 선케어 소재 자외선·근적외선을 막아주고 사용감을 개선하는 복합분체 가공 공정 개발 紫外線・近赤外線を防ぎ使用感を改良する複合粉体加工プロセスの開発 Development of a composite powder processing process to prevent ultraviolet rays and near infrared rays and improve the feeling of use 鈴木高広(다까히로 스즈끼, Takahiro Suzuki) ▲ 그림1 자외선과 근적외선에 의한 광노화 작용 1. 서론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서 파운데이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이전에는 파운데이션이 일본 국내에서 판매액이 가장 큰 화장품이었지만 2008년 발발한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 정상에서 밀려났고 선두로 나선 것이 화장수이다. 매출이 부진한 파운데이션은 미용액에도 뒤쳐져 3위로 떨어졌다. 경기가 침체되고 실업률이 높은 사회에서는 사람들의 불안감과 스트레스가 증가한다. 리먼브라더스 사태 후에는 메이크업 화장으로 화사하게 채색하는 마음이 후퇴해 파운데이션 매출이 내려갔고 주름이나 피부 처짐, 기미, 칙칙한 피부 등 스트레스에 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