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송아민 기자] 국내 화장품원료 기업이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화장품원료 업계에서 빠르게 성장하면서 지난4월 9일 오창 제3산업단지에 신공장을 준공한 엑티브온도 이중 하나다. 엑티브온의 신공장은 924평의 건축면적, 1,394여 평의 연면적, 2,073여 평의 대지면적에 달하는 규모로 완공됐다. 조윤기 엑티브온 대표는 준공식 기념사를 통해 ‘글로벌 화장품 소재 기업으로의 도약'을 강조했다. 방부제의 위험성이나 리스크를 없애면서 제품의 안전성은 높인 방부대체제 제조 기술을 자체 보유하고 있는 엑티브온은 최근 마련한 신공장을 통해 해외 시장 매출 비중을 국내와 동일한 수준까지 극대화할 계획이다. 오창 신공장은 각종 소재 연구개발이 가능한 연구실을 갖춘 연구사무동과 각각 200여 평에 달하는 자동화 설비를 갖춘 2개 공장동, 위험물창고동 등 4개 창고동으로 이뤄졌다. 엑티브온은 지난 10년간 개발해온 피부 친화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화장품 소재에 더욱 집중해 전 세계가 인정하는 안전하며 효과 있는 친환경적 소재 생산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조윤기 엑티브온 대표를 만나 그가 말하는 ‘글로벌 화장품 소재기업으로의 도약’과 원료기업의 현황에 대…
[코스인코리아닷컴 송아민 기자] 글로벌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리더스코스메틱이 10대들을 위한 영캐주얼 브랜드 ‘라보티카’를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추구하는 내추럴 더마코스메틱 브랜드로 의미를 확장해 리런칭했다. 미국 전용 제품으로 첫 선을 보인 ‘라보티카’는 피부에 순한 저자극 성분만을 사용해 해외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환경보호와 순하고 자극 없는 성분이 핵심인 ‘착한 화장품’이 각광받음에 따라 내추럴 더마코스메틱 브랜드로 ‘라보티카’의 새로운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라보티카’는 전세계의 치료 목적으로 활용되는 약용 식물들을 특수한 가공방법을 통해 고순도 고함량으로 배합한 것이 특징이며 모든 제품은 파라벤 6종, 페녹시에탄올 등 유해 성분 없이 제조된다.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추구하는 브랜드 철학에 따라 환경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는 생산 공정을 거친다. 특히 환경보호 활동에 적극 동참하기 위해 FSC 인증 지류를 적용한 제품 패키지를 사용할 예정이다. ‘FSC(산림관리협의회, Forest Stewardship Council)’ 인증 지류란 생산, 제작, 가공, 유통 전 과정에 있어 산림과 생태계를 위한 10가지 원칙과 56개 친환…
[코스인코리아닷컴 박상현 기자] 국내 화장품 업체가 자외선 차단제를 미국 시장에 출시할 때 미국 FDA와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한화장품협회가 미국 OTC Drug(Over the counter drug)와 관련해 지원에 나섰다. 대한화장품협회는 최근 자외선 차단제 등 OTC Drug 제품을 미국에 수출하려는 업체들은 추후 미국 FDA로부터 제조소 감사 등에 철저히 대비할 것을 촉구했다. OTC Drug는 처방전 없이 일반 대중이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유효성 있는 의약품으로 자외선 차단제와 여드름 제품, 제한제, 아스트린젠트(수렴제 또는 신체조직을 수축시키는 물질) 효과가 있는 스킨 프로텍턴트(살릭 애시드가 들어간 제품) 등이 이에 해당한다. 대한화장품협회가 자외선 차단제 등과 같은 OTC Drug 제품을 미국에수출할때 업체의 주의를 촉구한 이유는 미국의 화장품 관련 법규가 한국과 중국과 달리 안전성 책임을 회사에 지우기 때문이다. 만약 문제가 발생할 경우 파파라치는 물론 각종 소송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 협회의 설명이다. 실제로 지난 2015년 미국에서는 영화배우 제시카 알바가 운영하는 'the honest'라…
[코스인코리아닷컴 정가현 기자]뷰티 유튜버 '포니 신드롬'(PONY Syndrome)은 체리 레드 립 메이크업을 공개했다. 포니 신드롬은 뷰티 유튜버로 다양한 컨셉의 화장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482만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영상에서 뷰티핏 마이 데일리 컬러트랙 세븐 립스 인뮤직(BEAUTY MY DAILY COLORTRACK Seven lips in music)을 사용했다. 핑크 색을 띠면서 비디오 테이프 포장 컨셉으로 나온 제품으로 7가지 립 컬러가 들어 있다. 건조한 입술에 고르게 착색되는 제품으로 메이크업에 포인트를 주기에 적합하다. 이 영상은 조회수가 무려 492,752회에 달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송아민 기자]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신남방, 신북방국가를 포함한 20개국 93개사 바이어를 초청해 중소기업과 1:1 수출상담을 진행하는 ‘해외 유력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4월 23일부터 24일까지 이틀간 롯데호텔서울에서 개최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하고 중기중앙회가 주관하는 이번 수출상담회는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 한국아웃도어스포츠산업협회, 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 등 8개 중소기업 관련 단체가 협업해 진행됐고 442개 국내 중소기업이 총 1,500회 규모의 수출상담을 실시했다. 이번 행사장에는 25개 화장품 관련 국내 기업이 쇼케이스를 준비했으며 해외 뷰티 바이어는 35개사가 참가했다. 상담은 화장품 외에도 ICT솔루션(HW&SW), 섬유, 식품, 도로안전시설, 공구류, 아웃도어용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업종으로 이뤄졌다. 더불어 상담회와 연계해 개최한 ‘중소기업 비즈포럼’에서는 ‘중소기업 해외 시장 온라인 진출 전략’을 주제로 아마존코리아 등에서 강연을 진행하며 사례 분석과 성공전략을 제시할 예정으로 사전 모집부터 수출경험이 적은 수출초보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메이크업 케이스를 생산하는 오스타글로벌통상…
[코스인코리아닷컴 송아민 기자] 한국뷰티산업무역협회(KOBITA 회장 이홍기)와 코이코(KOECO 대표 김성수)는 베트남 호치민 SECC 전시장에서 4월 18일부터 20일까지 개최된 ‘2019 코스모뷰티 베트남’에 한국 뷰티업체들과 함께 참여해 수출 판로 개척과 바이어 상담을 지원했다. 이번 전시회는 올해 12회를 맞이한 베트남 최대 규모 뷰티 전시회로 39개국 15,000여 명 이상의 참관객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종료됐다. 한국관과 중국관, 싱가포르관, 대만관 등 다양한 국가관을 조성해 진행된 전시회에는 12개국 220여 개의 뷰티 브랜드가 참가했다. 한국관에는 스킨케어 브랜드인 앤에스리테일, 바운쎌, 닥터엘시아, 듀이트리 등과 색조 화장품인 멀블리스, 화진화장품 등이 참가해 기존의 인기를 입증했다. 이례적으로 네일(SJ 네일), 키즈코스메틱(젤리컵), 헤어(한국미용메디팜, 한일파테크) 등 총 45개 뷰티 브랜드가 참여했다. 참가사들은 기존 고객들과의 수출상담과 제품 시연을 통한 신규 바이어를 확보하는 등다양한 노하우로 수출상담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참가 업체들은 ▲포스트 차이나 시장 중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진 베트남 시장의 매력 ▲최근 한-베 간…
[코스인코리아닷컴 박상현 기자] 중소기업중앙회가 베트남 시장 한류열풍과 신남방정책의 흐름을 타고 베트남 현지에서 진행한 비즈니스 상담회에서 성과를 거뒀다. 중기중앙회는 지난 4월 22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국내 중소기업 36개사와 베트남 우수 바이어 115개사가 참여한 1대1 비즈니스 매칭 상담회를 통해 186건, 2,909만 달러의 상담성과와 향후 1443만 달러의 수출계약을 성사시켰다고 4월 23일 밝혔다. 베트남은 문재인 정부의 신남방정책의 핵심 지역으로 최근 7% 내외의 빠른 경제성장과 박항서 신드롬 등으로 한국 제품과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아세안 시장 진출을 타진하는 중소기업에 잠재력이 높은 시장이다. 이번 비지니스 상담회는 대전, 충남도, 세종 등 충청권 지자체와 협력을 통해 지방 소재기업의 수출기업 육성을 위해 기획됐으며 화장품과 식품, LED, 건축자재, 생활용품 등 다양한 품목의 기업이 참여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화장품과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 22건, 184만 달러 규모의 수출 협약과 대리점 계약이 체결되는 등 현지 바이어 업체들의 적극 관심에 관련 참가기업들도 큰 기대감을 보였다. 김태환 중소기업중앙회 국제통상부…
[코스인코리아닷컴 송아민 기자] 화장품소재 전문기업 대봉엘에스가 지난 4월 19일 인천 송도 오크우드 호텔에서 ‘2019 바스프(BASF) & 대봉엘에스 글로벌 코스메틱 기술정보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 바스프와 대봉엘에스는 화장품 시장 트렌드와 신기술, 신소재는 물론 화장품법 개정에 따른 대처방안 등 업계 현안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했다. 이날 바스프는 주로 글로벌 트렌드 변화에 대한 솔루션을 발표했고대봉엘에스는 현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중심으로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한국바스프 퍼스널 케어 정경식 과장은 2019년 퍼스널 케어 분야의 메가 트렌드로 인구증가, 중산층의 삶의질 향상, 도시화라는 3가지를 꼽았다. 이어 ▲내츄럴+웰니스(Natural+Wellness) ▲프로텍션(Protection) ▲개인화&맞춤화(Personalization & Customization)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4개 분야에서 글로벌 기업들의 개발 동향을 소개했다. 정경식 과장은 이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진출시 준비해야할 RSPO(환경파괴를 저지하고 지속 가능한 팜유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2004년 조직된 국제…
[코스인코리아닷컴 송아민 기자] 국회 헬스&뷰티 발전포럼 대표인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경기 부천 소사, 보건복지위원회)이 4월 23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전문기관 설립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김상희 의원이 주최하고 국회 헬스&뷰티 발전포럼, 인구정책과 생활정치를 위한 의원모임이 주관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곽승준 창원대학교 교수가 ‘화장품 위해평가 동향과 향후 전망’에 대한 발제를 진행하고 이후 박수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모두순 보건복지부 의료기기·화장품 TF팀장, 김춘래 식품의약품안전처 화장품정책과장, 김은진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김규봉 단국대학교 교수, 장준기 대한화장품협회 상무가 지정토론자로 참여했다. 국내 화장품 산업은 지난해 수출액 62억 달러를 돌파하며 세계 4위 화장품 수출국가로 성장했다. 지속적인 성장과 도약을 위해 어느 때 보다도 국제적인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야 하는 중요한 시기다. 국내 소비자를 비롯해 세계 소비자들로부터 지속적인 사랑을 받으려면 소비자들이 신뢰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으로 거듭나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화장품…
[코스인코리아닷컴 정가현 기자]중국 중장왕(中状网)에 따르면 최근 수입 스킨케어와 화장품,의류등이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처럼 수입 제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은중국의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2018년~2019년 중국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48%의 소비자들은 해외직구를 통해 월평균 1,000위안(한화 약 17만 원)을 사용하고 매주 한 번씩 해외직구를 하는 소비자들은 19.1%나 됐으며 매월 한 번씩 해외직구를 하는 소비자들은 41%에 달했다.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많아 지면서수입 제품 소비도 동반 증가하고 있다. 중국 인민대학교의 연구생 소경(小耿)은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애용하고 있다. 그는 주변 친구들에게도 다양한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소개해 주고 왕이카오라(网易考拉), 샤오홍슈(小红书), 국제 티몰(天猫国际) 등을 애용하고 있다. 소경이 쓰고 있는 스킨케어 제품과 화장품은 대부분 수입 제품이다. 그 뿐 아니라 그녀 주변 친구들도 수입 제품을사용해 본적이 있다. 북경의 한 시민은 중장왕과의 인터뷰에서 "외국 제품과 성분을 더 믿기 때문에 글로벌 전자상거래가 좋다"고 답했다. 통…
[코스인코리아닷컴 박상현 기자] 충청북도가 바이오헬스 등 도내 주력 산업 기업을 강소기업으로 육성해 스타로 키우는 사업을 진행한다. 충북도는 도내 경쟁력 있는 산업을 주력 산업으로 선정, 강소기업으로 육성하는 '2019년 충북 스타기업'을 본격 발굴한다고 4월 23일 밝혔다. 지역스타기업 육성사업은 충북지역의 성장잠재력이 높고 일자리 창출능력이 뛰어난 우수 중소기업을 선정해 기술혁신, 수출, 신규 거래처 발굴, 기업지원 서비스 등 다양한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충북 스타기업에 선정된 기업은 기업당 3,600만원 내에서 성장단계진단을 통한 기업성장 계획 수립, 수요자 중심의 기술혁신과 수출 관련 맞춤형 지원 제공, 수출상담, 정부 지원사업 연계와 참여 우대 등 다양한 혜택을 3년 동안(최대 5년) 지원받을 수 있다. 또 기업의 기술적 주요현안과 경영적 애로사항 해결을 도와주기 위해 사업특성별 1사 2PM(Project Manager)제를 운영하고 R&D분야 전략수립을 지원하고 우수기업은 다음해 지역기업 혁신성장 지원 사업으로 연계 지원한다. 신청자격은 충북도내 본사 소재의 충북 주력 산업(스마트IT부품, 바이오헬스, 수송기계소재부품), 전후…
헤어케어 제품 위한 신소재 가능성을 살피다 2017년 헤어케어 제품의 출하량은 일본경제산업성 통계에 따르면, 약 4,000억 엔이었다. 최근의 움직임이나 시장 상황으로 볼 때 해당 시장에 있어서는 향후도 안정된 동향이 될 것임을 엿볼 수 있다. 한편, 판매 되고 있는 상품군을 보면 퍼스널화가 진행되어 고객의 고민이나 요구하는 성과에 따라 상품 라인업이 많이 전개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표1 샴푸 처방 고객별 만족도를 높이는 부가가치 전략에 의해 단가 상승은 향후에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화장품 원료에서도 헤어케어 상품의 가치창조로 이어지는 제품이 요구된다. 또 이러한 구체적인 고객의 고민으로 대표되는 항목으로서는 곱슬머리ㆍ손상ㆍ윤기ㆍ마무리 정돈, 백발, 탈모ㆍ박모 등이 여성, 남성을 불문하고 니즈로 꼽힌다. 본고에서는 고객 니즈에 맞춘 제품 개발로서 헤어 케어 제품인 샴푸와 머리의 안티에이징 제품에 관해서 보고한다. 샴푸 처방을 풀이하자면 주(主)가 되는 계면활성제에 대해서는 음이온계면활성제로 Sodium Laureth Sulfate 뿐만 아니라 Sodium Cocoyl Glutamate 등의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Sodium Me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