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상장 화장품 기업들이 올해 상반기 실적 회복세를 보였다. 다만 분야별로는 실적에 온도차를 보여 주목된다. 8월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경영실적을 보고한 화장품 상장기업은 48개사다. 코스닥 상장사인 에스디생명공학은 이날까지 실적을 공개하지 않아 제외됐다. 상장 화장품 기업 48개사의 2018년 상반기 총 매출은 14조 2,74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조 7,342억원, 당기순이익은 1조 3,123억원으로 각각 0.1%, 2.3% 성장했다. 화장품 상장기업 48개사 2018년 상반기 경영실적 (단위 : 백만원) 올해 상반기 전체 상장 화장품 기업 가운데 33개사의 매출이 늘어났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LG생활건강이 3조 3,11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아모레퍼시픽그룹(아모레G)이 3조 2,179억원, 아모레퍼시픽이 2조 7,753억원, 코스맥스가 6,162억원, 한국콜마가 6,02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또 동원시스템즈(5,121억원), 애경산업(3,434억원), 한국콜마홀딩스(3,216억원), 차바이오텍(2,225억원), 코스맥스비티아이(2,02…
[코스인코리아닷컴 정현진 기자] 결혼과 출산 후에 더욱 활발한 활동을 보여 주고 있는 모델 장윤주가 모발의 아름다움과 두피 건강의 조화를 중시하는 프리미엄 헤어케어 브랜드 '아윤채 (AYUNCHE)'와 함께한 뷰티 화보가 마리끌레르 9월호에서 공개됐다. 화보 속 장윤주는 화장기가 없는 내추럴한 메이크업에 화이트 셔츠, 블루 진을 매치해 탐스러운 긴 생머리가 더욱 돋보였다. 또 스킨컬러의 피트 되는 원피스에 윤기나는 굵은 웨이브 헤어로 자신이 가진 매력이 돋보이는 완벽한 스타일링을 뽐냈다. 특히 그는 화보 속에서 건강한 모발을 가감없이 보여줬다. 아윤채 브랜드 관계자는 “톱 모델로 장윤주가 보여 주는 프로페셔널함과 건강한 아름다움이 아윤채가 추구하는 브랜드 콘셉트와 잘 맞아 떨어져 그녀를 뮤즈로 선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정현진 기자] 지난 7월 중국에 통관 거부된 화장품이 단 2건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제품은 모두 이탈리아 제품으로 한국 제품은 대상에 없었다. 8월 20일 중국해관총서(中国人民共和国海关总署) 홈페이지에 ‘2018년 7월 통관 거부 식품·화장품’ 자료가 공개됐다. 이번에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2018년 7월 중국 전체지역의 입구 화물 항구에서는 해관검역 절차를 밟아 안전 기준에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은 식품139건, 화장품 2건으로 확인됐다. 통관 거부 식품과 화장품은 모두 항구에서 반송하거나 폐기됐다. 이번 통관 거부를 받은 화장품 2건은 모두 이탈리아산 화장품으로 상하이충야무역유한회사(上海崇雅商贸有限公司)가 수입한 화장품이다. 생산기업 CONTER S.R.L이 만든 '동방이집트보석비듬제거트리트먼트(东方宝石埃及艳后去屑调理润发乳)'와 '동방보석윤기화이트머스크향트리트먼트(东方宝石光耀丝滑白麝香香润发乳)' 제품이며, 이 두 제품은 각 화장품 오염의 품질 불합격과 포장 불합격의 이유로 통관 거부를 당했다. 2018년 7월 중국 수입 불허 화장품 리스트 업계 관계자는 "원료의 오염이나 원료 배합 방식 그리고 원료 저장 방법 등…
동북아에서 한국과 중국의 상호 간 협력과 경쟁을 날로 증가하고 있고 한중 간 정치, 경제, 사회 등 제반 관계 또 복잡하고 밀접하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드 배치의 영향으로 한중 간 제반 관계가 정체된 시기도 있었지만 한국의 정권교체와 북한의 비핵화 움직임 등이 맞물려 중국과의 관계도 또다시 변화하고 있다. 1995년부터 20여 년을 중국에서 비즈니스를 진행한 김창용 사임당화장품 전무는 그동안 체득한 경험들을 시리즈로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 지난 한중 관계를 되새겨 보고 이를 통해 향후 화장품 업계가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편집자 주>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창용 편집위원] 중국 각 성의 규모를 쉽게 파악하는 방법은 차량 번호다. 알파벳 순서로 각 도시의 규모를 이해할 수 있다. 초기에는 도시 내 점을 찍는 방식으로 시장 개척을 개시했다. 그러나 각 지역에서 화장품 소매점(백화점 포함)은 그야말로 갑이다. 모든 거래 조건이 불리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채택한 점의 전략이 도시 내에서 매출액과 지명도가 2위 또는 3위인 소매점을 찾아 협력 협상을 추진하는 것이다. 또 지역 내 유통상 발굴에서도 2~3위 업체와 협상을 진…
[코스인코리아닷컴 정현진 기자] 대한민국 No. 1 제10회 대한민국 뷰티 박람회(K-뷰티 엑스포 코리아)가 2018년 10월 11일부터 14일까지 4일간 일산 킨텍스 3~5홀에서 진행된다.이번 박람회는 500개사 700개 부스로 B2B, B2C 등 다양한 부스를 만나볼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글로벌 종합화장품 기업 잇츠한불(대표 홍동석)의 직수출 매출액이 2018년 2분기 60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잇츠한불의 연간 직수출 매출액은 2012년 21억원, 2013년 52억원, 2014년 165억원, 2015년 214억원, 2016년 220억원으로 매년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2017년 사드 여파로 인해 164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성장세가 한풀 꺾였으나 올해들어 다시 반등한 것으로 파악된다. 잇츠한불 관계자는 “중국 시장의 성공을 발판으로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가고 있다”며 “2분기 직수출 금액은 60억원을 기록해 분기 사상 최대 매출액을 경신했으며 2018년에는 200억원대 매출액을 회복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잇츠한불의 직수출 국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곳은 중국이다. 잇츠한불의 2분기 중국 직수출 금액은 21억원으로 전체 직수출 금액의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이외의 국가들 중에서는 홍콩, 태국, 러시아, 에스토니아 순으로 전세계 30여개국 이상의 국가에 진출해 있다. 홍콩의 경우 2017년 6월 SASA 116개 매장에…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성인 기자] 코스메카코리아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2분기 실적이 사상 최대로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9.7% 증가한 796억원, 영업이익은 84.1% 증가한 96억원, 당기순이익은 63.5% 증가한 80억원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매출은 1,328억원, 영업이익 103억원, 당기순이익 1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2.2%, 2.2%, 19.8% 증가했다. 2분기 고성장의 요인을 분석해보면 중국향의 국내 온라인 고객사들이 급성장을 이어가며 전반적인 매출을 견인했다.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코스메카코리아의 매출 비중 1위를 차지한 곳은 온라인 고객사이다. 2분기에는 특히 여름시즌을 겨냥한 자외선차단제품, 마스크팩 등의 주문량이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법인은 2분기에 113억원 매출을 달성하며 전년 동기 대비 33.6%, 전기 대비 35.4% 성장했다. 우리나라와 계절적 이슈가 같기 때문에 중국 현지에서도 역시 스킨케어제품(크림류, 썬류, 마스크팩류)의 주문량이 크게 증가했고, 중국 브랜드 전문매장, 온라인 채널 등 현지 주요 고객사들에 대한 매출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해외는 미국 OTC 이슈와 관련…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성인 기자] 회사 내 문화에 새로운 트렌드가 생기고 있다. 유연한 조직문화가 기업들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소위 벤처 IT기업들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직급 단순화’나 ‘수평적 호칭’은 물론 회사 구성원간 자유로운 의견공유를 위한 토론문화 정착 등을 앞다퉈 받아들이고 있다. 화장품 회사도 예외는 아니다. 글로벌 종합화장품 기업 잇츠한불(대표 홍동석)은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춰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현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조직문화 개선의 가장 큰 골자는 ‘유연성’이다. 2017년 5월 모회사인 한불화장품과 자회사인 잇츠스킨의 합병으로 탄생한 잇츠한불은 서로 다른 조직간의 이질감을 극복하고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도록 최근 직원들의 직군과 직급체계를 변경하고 직원간 호칭을 통일했다. 잇츠한불 인사총무팀 박지선 씨는 “예전에는 상호간에 직급을 붙여서 불렀다면, 최근에는 모든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상호간의 직급을 빼고 이름만 부르는 것으로 변경했다”며 “아이디어가 중요한 화장품 산업의 특성상 직급간의 위계질서 때문에 해야할 말을 못한다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직원들도 처음에는 낯설고 어색하겠지만 상호존중과 배려 및 과…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성인 기자] ‘제주화장품인증기업협회’가 제주특별자치도로부터 비영리 사단법인 설립 허가를 받았다. 기업 간 교류를 통한 제주화장품 산업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2017년 5월 정식 출범한 이후 약 1년 2개월 만에 성과다. 협회는 사단법인 전환 후 더욱 공신력 있는 단체로서 제주도와 제주테크노파크 측과 협력해 제주화장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며 국내를 넘어 세계화에 앞장설 계획이다. 관련 기업 뿐 아니라 지역 경제와 동반 성장하겠다는 방침이다. ‘제주화장품인증제(Jeju Cosmetic Cert)’는 제주도지사가 증명하는 지자체 최초의 지역 화장품 품질 인증 제도로 2016년 5월부터 시행됐다. 천연과 유기농 화장품의 인기와 더불어 청정 지역 제주를 활용한 화장품 마케팅이 활발해지면서 소비자에게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제주화장품인증기업협회는 제주화장품인증(JCC)을 획득한 기업들로 구성됐다. 협회 초대 회장은 화장품 OEM ODM 전문기업 유씨엘의 이지원 대표가 맡고 있으며정기총회를개최해 인증제도 개선과 업계 공통의 애로사항 해결, 공동 판로 확보 등에 힘쓰고 있다. 오는 9월…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천연소재를 활용한 최고의 화장품 원료 개발에 힘써온 지에프씨생명과학이 올해 새로운 출발선에 섰다. 1월 1일, 2018년의 시작과 함께 사명을 지에프씨에서 지에프씨생명과학으로 바꾼데 이어 지난 3월에는 17년간 머물던 용인 시대를 마감하고 동탄으로 회사를 이전했다. 경기도 동탄시 에이팩시티 지식산업센터에 새 둥지를 튼 지에프씨생명과학은 첨단 연구시설을 갖추고 천연소재를 활용한 연구개발과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 데이터를 마련,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 ‘생명과학기업’을 목표로 사명 변경, 회사 이전, 인재 영입 등 바쁜 걸음을 재촉하고 있는 지에프씨생명과학 강희철 대표와 만나 회사의 변화와 관련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2018년 시작과 함께 사명을 ‘지에프씨’에서 ‘지에프씨생명과학’으로 바꾸고, 3월에는 회사를 이전하는 등 많은 이슈가 있었다. 올해 들어 일어난 회사의 주요 변화와 그 이유는 무엇인가? 우선 사명 변경은 회사의 비전과 향후 발전 방향을 규정하는 CI 작업의 일환으로 진행하게 됐다. 그간 ‘지에프씨생명공학’은 피부과학, 화장품 분야에서 연구 중심 기업으로 회사의 토대를 다져왔다고 자평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박하영 일본 통신원] 뷰티 리뷰 사이트 '앳코스메틱(@COSME)'을 운영하는 '아이스타일'에서 2018년상반기 결산 금액을 발표했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50.7% 증가한 284억엔(한화 약 2840억원), 영업이익은 45.0% 증가한 21억엔(한화 약 210억원), 경상이익은 65.3% 증가한 (한화 약 210억원), 순이익은 10.0% 증가한 11억엔(한화 약 110억원)이었다. 앳코스메틱의 각 사업부 매출을 살펴 보면 앳코스메틱 등 플랫폼을 운영하는 사업부에서는 개발 지연에 따른 영향에도 불구하고 브랜딩 광고와 배너 광고, 브랜드 팬클럽 서비스 등 제조 업체를 위한 기존 서비스가 성장함으로서 매출이 7.8% 증가한 73억엔(한화 약 730억원)을 기록했다. 해외에서 전개하고 있는 EC, 매장, 미디어를 관리하는 글로벌 사업은 인수 기업의 감가상각이 있었지만 중국 EC 사업에 호황이 있어 매출액은 158.4% 증가한 76억엔(한화 약 760억원)을 기록했다. EC사이트 '앳코스메틱 쇼핑(@COSME SHOPPING)'과 오프라인 숍인 '앳코스메틱 스토어(@COSME STORE)'의 브랜드 기획, 개발, 판매 등을 담당하는 뷰티서비…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K-뷰티가 해외 곳곳으로 뻗어나가고 있는 가운데 세계 미용인들이 함께 하는 축제 한마당인 ‘2018 대한민국 국제 뷰티 아티스트 엑스포’가 10월 막을 올린다. ‘제13회 2018 대한민국 국제 뷰티 아티스트 엑스포&콘테스트(IBEAC 2018)’는 10월 12일과 13일 양일간 KBS 스포츠월드 아레나홀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소상공인연합회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주관 하에 (사)국제미용가총연합회(이사장 성기하)가 시행한다. 올해로 13회째를 맞는 ‘국제 뷰티 아티스트 엑스포’는 K-뷰티를 선도하는 국내 미용인들의 기술과 미용산업기기, 화장품 등을 세계인에게 알리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사)국제미용가총연합회 성기하 이사장은 “이번 대회는 국내 100만 미용인과 관계자들에게 자부심과 긍지를 심어주고 저변의 인재를 발굴 육성해 한국 미용계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자리”라고 말했다. 아울러 “올해에는 주최국인 한국을 비롯해 중국, 대만, 일본, 몽골, 필리핀, 홍콩, 말레이시아,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러시아, 태국, 미국, 우즈베키스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 17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