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정현진 기자] 연일 내리쬐는 햇볕에 몸도 피부도 지쳐 있다. 작열하는 태양에 노출된 피부는 모공 확장과 탄력 저하를 유발해 피부 노화를 가속한다. 가급적 외출을 자제한다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태양을 완전히 피할 수는 없는 방법이다. 여름철 안티에이징 관리를 위해선 자외선차단, 피부 온도 낮추기, 진정과 보습 등 자외선차단부터 애프터 케어까지 서머 안티에이징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간단하게 화장품 사용으로 가능한 서머 안티에이징 제품을 소개한다. ■ 뜨거운 태양에 선케어는 기본, 광노화로부터 피부 집중관리 자외선 차단의 중요성과 더운 날씨의 영향으로 선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는 늘어났지만 끈적임과 3시간마다 덧발라줘야 하는 귀찮음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꾸준히 바르기란 쉽지 않다. 꼼꼼한 케어를 하고 싶다면 높은 자외선 차단 지수 확인은 물론 피부 타입과 취향에 따라 맞춤형 제품을 고르는 것이 더 중요하다. 최근 손대지 않고 간편하게 바를 수 있는 선스틱부터 순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멀티 기능을 갖춘 선블록까지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1) 네이처리퍼블릭 캘리포니아 알로에 보송 선스틱 SPF50+ PA++++…
[코스인코리아닷컴 정현진 기자] 무더위가 기승하는 요즘 많은 업계에서 더위를 달래 보기 위한 한 템포 빠른 가을 준비를 시작하고 있다. CJ ENM의 독립 뷰티 브랜드 'SEP(셉)'은 가을 컬러 트렌드를 반영한 립스틱과 스티커 네일 ‘키써블 FW 뮤트 컬렉션’을 출시했다. SEP의 ‘키써블 F/W 뮤트 컬렉션’은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시기에 맞춰 ‘립스틱 얼티매트’와 ‘리퀴드 스티커 네일’에 톤 다운된 컬러를 담았다. 차분한 누드톤부터 강렬한 레드·버건디 메이크업까지 다양하게 소화해내는 최근의 패션위크 메이크업 연출 트렌드를 담아 ‘앤틱 살몬’, ‘뮤트 레드’, ‘할로우 로즈’, ‘딥 플럼’, ‘클래식 레드’ 등 5가지 컬러를 추가했다. ‘립스틱 얼티매트’는 미끄러지듯 부드럽게 발려 건조한 가을에도 부담 없는 사용감이 특징이다. 5가지 가을 컬러가 새로 출시된다. 10가지 이슈 성분을 배제한 착한 성분으로 만들어져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SEP의 ‘리퀴드 스티커 네일’은 ‘뮤트 베이지’, ‘할로우 로즈’, ‘딥 플럼’ 등 3가지 가을 컬러로 출시됐다. 매니큐어처럼 바른 뒤 네일 리무버 없이 스티커처럼 떼어 내는 제품이다. SEP 관계자는…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경기도가 해외 시장 개척에 나선 전도유망한 ‘수출초보기업’을 찾아 적극적인 지원에 나선다. 경기도는 ‘2018년도 수출프론티어기업 인증제’를 추진, 인증 대상 도내 중소기업을 9월 11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수출프론티어기업 인증제’는 수출 초보기업의 사기 진작을 위해 도입된 지원사업으로 인증 업체는 도의 각종 해외 마케팅 지원사업 신청 시 가점 등 인센티브를 제공받는다. 인증 규모는 80개사 내외이며 사업장(본점 포함) 또는 공장 소재지가 경기도인 중소기업 가운데 2016년 1월 1일부터 올해 6월 30일 사이 첫 수출실적이 발생한 업체면 참여할 수 있다. ‘수출 프론티어 기업’으로 인증을 받게 되면 인증패 수여와 함께 해외전시회 참가나 통상촉진단 등 도의 각종 수출지원 사업 신청 시 3점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수출 프론티어 인증 기업 중 뷰티, 생활소비재, 기계류, 자동차부품, IT·전자 등 5개 분야별 최고 수출액 달성 업체에게는 ‘수출 신인왕’의 영예가 주어진다. 수출 신인왕 기업에게는 인증패 수여는 물론 도 수출지원 사업 신청 시 5점의 가산점이 주어진다. 수출 프론티어 기업과 수출 신인왕 인증…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성인 기자 국내 유일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전문지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8년 8월호가 발간됐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최신 트렌드를 전달하는 전문 매체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8년 8월호는 ‘활성산소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과 항산화제에 의한 제어’라는 주제로 ▲피부의 건조에 관련된 산화적 루프의 제안 ▲활성산소종과 항산화물질 ▲항산화 기능을 갖는 에르고티오네인의 시스테인 생산 대장균에 의한 발효 생산 ▲풀러린의 항산화 작용과 화장품에의 응용 ▲대기오염에 의한 피부의 산화스트레스 영향과 그 억제 소재에 대하여 ▲포도씨 폴리페놀 ‘프로안토시아니딘’이 갖는 항산화 기능과 피부에의 유용성 ▲활성산소종을 완화시키는 새로운 타입의 항산화제 ▲구기자 유산균 발효액의 항산화능력과 토털 안티에이징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 등의 특집을 수록했다. 신원료 신소재 섹션에서는 스키놀런스(SkinolanceⓇ)와 바이오제닉스의 기술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테마기획 섹션에는 천연 화장품과 유기농 화장품에 대해 집중 조명했다. 최신 연구동향 섹션에…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반복되는 일상 속 작은 선물 같은 브랜드 ‘시크먼데이(Sick Monday)’가 8월 그랜드 오픈했다. 시크먼데이는 ‘현대인들에게 아픈 월요일처럼 반복되는 일상 속 자신감(Beauty), 활력(Health), 여유(Time)을 선물해준다’는 슬로건을 가진 헬스 앤 뷰티 전문 브랜드이다. 브랜드 런칭과 동시에 시크먼데이는 현대인들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어 줄 신제품 ‘데일리 슬림앤 케어(DAILY SLIM & CARE)’를 선보였다. 데일리 슬림앤 케어의 주원료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는 남아시아에서 서식하는 가르시니아종 나무의 과일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억제해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탄수화물 위주의 식습관을 가진 한국인에게 적합한 다이어트 기능성 원료로 건강하고 효과적인 다이어트를 도와주는 제품이다. 더불어 청사과 농축액, 슈퍼 드롭 공법으로 추출한 콜드브루 히비스커스 추출 원액, 레몬농축액, 후레쉬깔라만시과즙액, 세븐베리 농축액 등 부원료을 추가해 다이어트뿐만 아니라 이너뷰티까지 세심하게 챙겼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가볍고 휴대가 편한 액상 스틱으로 언제 어디…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사드 여파 등으로 주춤했던 국내 화장품 시장이 글로벌 기업들의 러브콜에 다시금 미소짓는 모습이다. 해외 투자자들이 바라본 국내 화장품 산업의 투자 매력도는 얼마나 될까? 화장품 섹터 전반에 대한 투자 매력은 다소 회의적이지만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긍정적이라는 게 NH투자증권의 분석이다. NH투자증권은 최근 홍콩과 싱가포르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화장품과 음식료 섹터 마케팅을 실시한 결과 화장품 섹터 중장기 투자에 대한 관심이 컸다고 밝혔다. NH투자증권 한국희 연구원은 “최근 국내 화장품, 음식료 주요 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대체로 기대치 수준이거나 그 이하로 발표되고, 하반기 이후 실적 하향 조정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전반적으로 아시아 지역 투자자들은 한국 소비재 섹터의 투자 매력에 대해 다소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매력적인 구조적 성장 스토리가 부재하고, 타 시장의 소비재 대비 상대적인 밸류에이션 매력이 낮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분석했다. 하반기 이후 대외 환경이나 섹터 실적 성장의 동력에 대한 가시성이 낮은 시점이라 다수의 투자자들은 과매수·도 종목이나 면세점 관련주들에 대한 단기…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8년 8월호는 ‘활성산소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과 항산화제에 의한 제어’를 주제로 ▲피부의 건조에 관련된 산화적 루프의 제안 ▲활성산소종과 항산화물질 ▲항산화 기능을 갖는 에르고티오네인의 시스테인 생산 대장균에 의한 발효 생산 ▲풀러린의 항산화 작용과 화장품에의 응용 등의 특집을 구성했다. ■ 목차 [컬럼] 화장품 제형기술의 발전 방향 [테마기획] 천연 화장품, 유기농 화장품 시장 대응 전략 시급 [특집] 활성산소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과 항산화제에 의한 제어 1) 피부의 건조에 관련된 산화적 루프의 제안 A proposal for an oxidation loop related to skin dryness - 도쿄공과대학 응용생물학부(東京工科大学 応用生物学部) 正木 仁 2) 활성산소종과 항산화물질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nts - 도쿄공과대학 응용생물학부(東京工科大学 応用生物学部) 藤沢章雄 3) 항산화 기능을 갖는 에르고티오네인의 시스테인 생산 대…
[코스인코리아닷컴 정현진 기자] 현재 중국 시장에서 아미노산 클렌징 제품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유명 셀럽이든 뷰티 스타이든 친환경 아미노산 클렌징 제품을 극찬하며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아미노산 제품 글로벌 브랜드 프리플러스(free plus), 프레쉬(Fresh), 엘타MD(Elta MD), 미논(MINON) 등은 중국 최대 쇼핑 플랫폼 사이에 높은 매출을 자랑하고 있다. 중국 티몰(天猫) 데이터 자료에 따르면, 프리플러스 아미노산 클렌징폼은 월 4만 개를 판매했고 엘타MD 아미노산 클렌징폼은 월 2만 개 판매를 했다. 중국 클렌징 브랜드 하이써웨이(海瑟薇), 즈관(植观), 쒀웨이야(索薇娅) 등 업체는 아미노산 제품의 가능성을 보고 아미노산 클렌징 제품에 뛰어 들고 있다. 중국 국가기록원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서 아미노산 클렌징 제품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매출 규모가 100억 위안(한화 약 1조 6,462억 원)을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클렌징 제품이 급부상한 이유는 중국 소비자들이 안정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제품 선택에 있어서 안정성과 친환경적 키워드는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사로 실리콘 오일, 다이옥세인, 발암물…
[코스인코리아닷컴 최지윤 스페인 통신원] 뷰티 패션 매거진 모다 에스(Modaes.es)는 2018년 회계 상반기 로레알 그룹의 매출실적을 보도했다. 매출액 기준으로 전세계 최대 규모의 화장품 회사인 로레알은 지난 6월 30일 마감된 상반기를 2017년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이 마감했다. 그러나 순이익은 23억 유로(한화 약 2조 9,771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두자릿수로 증가했다. 로레알은 2017년 20억 3,750만 유로(한화 약 2조 6,373억 원)의 이익을 낸 반면 2018년 1월에서 6월 사이에 22억 7,520만 유로(한화 약 2조 9,450억 원)의 이익을 달성했다. 이 기간 중 로레알의 총매출은 133억 9,070만 유로(한화 약 17조 3,330억 원)에 달한다. 사업 부문 별로는 컨슈머 사업부가 12억 7,540 유로(한화 약 1조 6,508억 9,051만 원)로 0.6 % 증가한 반면, 럭셔리 프로덕트 부문에서는 5.8 % 성장한 10억 2,670만 유로(한화 약 1조 3,289억 원)를 달성했다. 액티브 코스메틱스 부문은 3억 2,620만 유로(한화 약 4,222억 3,654만 원)로 7.5 % 증가한 반면 프로페셔널 사업부…
코르크 참나무(학명 : Quercus Suber)는 지중해 지방에서 자라며 150~200년의 수명을 가지고 있다. 코르크 참나무에서 얻어지는 코르크는 화재, 해충, 그 밖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나무를 보호하는 스폰지 형태의 물질이다. 수세기 동안 와인병을 밀봉하는데 사용돼 온 코르크에는 항염 성분이 매우 풍부해 포도주의 맛이 변질되지 않도록 유지해준다. 코르크 참나무 너겟은 코르크 제조 과정의 부산 물이다. 이 너겟은 고함량의 항염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 너겟을 폴리페놀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코르크 참나무 뿌리, 잎, 꽃과 혼합했다. 또한 높은 함량의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가진 버진 코코넛 오일은 효능 성분이 피부속으로 침투할 수 있는 완벽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 시스템을 가진 Diam Oeloactif Ⓡ 는 100% 안전하고 매우 안정적인 뛰어난 원료이다. 수용성기와 양친매성 성분의 함유량이 높은 버진 코코넛 오일을 베이스 오일로 선택해 코르크 참나무 껍질, 뿌리, 잎, 꽃을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영하 80도에서 동결 건조 후 분쇄해 버진 코코넛 오일과 함께 초음파 기능이 결합된 전자파 추출기에 투입한다. 코르크…
화장품 시장은 트렌드와 더불어 제품 기술의 다양 화를 추구하며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특히 제품의 브랜드와 컨셉에 의존하던 시장에서 글로벌 트렌드는 소재와 제형 기술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듯 고기능성 중심이었던 제품 개발 방향도 소재와 제형 기술에 초점을 맞춰 기능성과 뷰티, 재미와 감성을 아우르는 오감 충족의 형태로 탈바꿈하고 있다. 화장품 소재 개발 측면에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은 트렌드를 주도하는 기술 중 하나이다. 기능성 중심의 화장품에서 캡슐레이션 기술은 핵심소재의 제제화와 경피전달을 위해 리포좀, 유효성분 전달체, 나노캐 리어 등의 형태로 변화했다. 기본적으로 인캡슐레이션 기술은 열, 수분, 산소 등의 조건으로부터 불안정한 유효 성분의 안정화, 난용성 성분의 가용화, 기능성 유효 성분의 분비 조절과 유지 · 전달, 제형이나 소재의 유동 특성, 관능 특성 개선 등으로 제품에 부가가치를 제공한다. 또한 습식, 건식, 분말, 비드, 캡슐 등의 여러 입자 유형과 나노에서 밀리미터에 이르는 입자 크기를 구체화할 수 있고 캡슐의 쉘(shell) 내부에 기체, 액체, 고체 등의 물질을 담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캡슐레
최근의 연구에서 우리 인간의 장내에는 1,000종류~100조(兆)개 이상이라고도 하는 미생물이 존재하며 다종다양한 미생물무리(microbiota)는 사람이 할 수 없는 음식물 소화나 비타민 합성을 진행하는 일 외에도 면역작용 등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하는데 불가결한 파트너이다. 또한 장내(腸內) 이외에도 피부 등 여러 신체 부위에 존재하고 있으며 몸 안팎의 균무리 밸런 스가 우리들의 건강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사진 한천 평판상의 S. epidermidis의 증식 인체 최대의 기관인 피부에서 선옥균으로 대표되는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S.epidermidis)이나 잠재적 병원성을 갖는 황색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 S. aureus)등 약 20종류의 균이 1cm2 당 약 100만개 정도가 생식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피부 상재균으로 불리고 있다. 피부 상재균의 다양성이나 존재량은 개인 또는 부위마다 다르고 각각 정해진 장소에 존재해 밸런스를 갖는 균무리로서 성립한다. 더불어 숙주인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면역기능이나 장벽기능에 기여, 더욱 병원균 증식억제 등 피부의 항상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