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이 한류를 이끄는 대표 산업으로 부상한 가운데 화장품 분야 특허출원 건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국내 빅2 화장품 기업은 물론 세계 1위 화장품 업체인 로레알도 국내에서 비교적 높은 특허출원 건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특허출원을 통한 시장 선점과 브랜드 보호에 대한 기업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특허출원된 기술은 심사에 통과해야 특허등록이 돼 특허권이 생긴다. 특허 정보넷 키프리스에서 코리아나화장품이 등록한 특허실용신안등록 건수를 검색한 결과 총 339건이 검색됐다. 2012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코리아나화장품의 화장품 관련 실용신안 특허등록 기술을 소개한다. 1. 적외선과 자외선 동시차단용 복합분체와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Pulverulent composite for protecting UV and IR ray and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외선 차단 입자와 상기 적외선 차단 입자의 일 표면에 코팅된 자외선 차단 입자로 구성된 복합분체,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외선 차단 입자와 자외선 차단 입자를 함께 이용해 복합분체를…
그림 챠콜의 다양한 효능 최근 대기오염을 비롯한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다양한 화장품 트렌드가 생겨나고 또한 실제 제품에 적용하려는 시도들이 잇따르고 있다. Anti-Polution, EXPOSOME 등은 공해와 환경 악화로 발생하는 피부 오염, 노화를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 우리 피부를 건강하게 만들려는 창의적인 발상이다. 이러한 화장품 트렌드에 맞춰 (주)바이오제닉스(대표 손태훈)는 지난 10년간 축적해 온 컬러 체인지 비드 제조 기술을 응용해 다양한 컬러 체인지 챠콜 캡슐을 개발했다. 천연 재료인 챠콜은 공기정화, 수질 정화, 노폐물 제거, 악취제거, 중금속 흡착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응용되며 식품 첨가제 뿐만 아니라 Oral care, Pet care, 특히 미백 치약에 사용될 정도로 우리 삶과의 관계가 밀접하다. ※ 이 기사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에 수록된 기사입니다. 이 기사의 전체 내용은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8년 4월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림1 에스토겔(EstoGel)에 의한 겔 형성의 개략도 1. 서론 초분자는 복수의 분자간 상호작용에 의해 단분자(單分子)를 넘어선 새로운 성질을 발현하는 단분자의 집합상태다. 초분자의 가까운 예로는 계면활성제의 미셀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미셀을 형성해 단분자로는 발휘할 수 없는 유화작용이나 세정작용을 발휘한다. 또한 극히 복잡한 초분자의 예로는 생체를 들 수 있다. 초분자화학은 이와 같이 초분자를 다루는 학문분야이며 차세대의 혁신적인 기능성 소재 개발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에스토겔(EstoGel)은 프랑스의 PolymerExpert사에 의해 혈액응고 메커니즘을 모방해 개발된 신규 폴리머다. 비교적 짧은 폴리머 사슬 간에 만들어진 수소결합에 의해 오일을 겔화한다. 이 젤은 틱소트로피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도포 시의 전단응력으로 점도가 저하하고 부드럽고 끈적임이 없는 촉감을 얻을 수 있다. 에스토겔은 폭넓은 유종을 투명하게 겔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동성이 있는 상태에서 글리터(glitter)나 안료의 현탁을 유지하거나 W/O 에멀젼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어 모든 화장품 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2. 특징 에스토겔은 피마자유
정부와 지자체가 화장품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남 화장품 소재, 충북 바이오산업, 광주 헬스케어 등 시도별로 사회적경제 커뮤니티비즈니스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보건복지부 역시 올해부터 국가적으로 육성해야 할 사업으로 인지하고 화장품 산업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가칭)‘화장품산업진흥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자체 역시 박람회, R&D, 마케팅 영역으로 나눠 지원사업을 추진해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는 2018년 각 지자체의 화장품산업 지원 내용을 정리했다. 인천시, 경쟁력 갖춘 뷰티 산업 적극 육성 2011년부터 화장품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확인하고 ‘뷰티 산업 특화도시’를 만들어 가고 있는 인천시. 2017년 중국의 사드 악재 속에서도 동남아시아 등 신흥 시장 진출과 중국 시장 내실 다지기 등 이원화된 전략을 추진해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이다. 인천시는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 화장품 산업이 성장하기에 최적의 요건을 갖춘 도시다. 전국 화장품 제조사의 10% 정도가 밀집돼 있어 성장할 기반은 충분히 갖춘 상황이다.…
촉각의 주관성과 피부 진동을 바탕으로 한 정보화 触覚の主観性と皮膚振動に基づく情報化 Subjectivity of tactile sensation and informatization based on skin vibration 田中由浩(다나카 요시히로, Yoshihiro Tanaka) 그림1 웨어러블 피부진동센서 1. 서론 촉각의 정보화는 이제 막 시작됐다. 아직 많은 과제가 있지만 촉각을 평가하려는 시도와 촉각 제시(提示) 장치도 게임기나 스마트폰에 도입되는 중이다. 정보화에 의해 촉각을 기록, 변조, 제시하게 되면 평가와 설계에 활용할 수 있고 촉각을 응용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다. 촉각에 관한 기초 연구에서는 대상의 요철이나 물성 값, 우리가 느끼는 감각량과의 대응관계를 연구했다. 그러나 촉각의 지각 메커니즘을 이해하거나 감각량을 분석하려고 할 때는 이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촉각은 피부와 대상과의 역학적 상호작용에 바탕을 둔 것이며 우리는 자신의 신체를 통해 촉각을 얻고 있다. 즉, 자신의 피부변형이나 진동, 열의 이동이 기본이 되고 있어 촉각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대상의 물성 값뿐만 아니라 자신의 피부에 대해서도 연구해야 한다.…
‘고보습’과 ‘보송보송한 감촉’을 모두 만족시키는 새로운 파운데이션의 개발 “高保湿”と“さらさら感触”を両立した新ファンデーションの開発 Development of novel foundation having powdery texture and occlusion 十塚幼子(도츠카 요코, Yoko otsuka) 宗吉裕樹(무네요시 유키, Yuki Muneyoshi) 堀江 亘(호리에 와타루, Wataru Horie) 표 파운데이션의 일반적인 조성 1. 서론 파운데이션을 개발할 때 감촉을 디자인하는 요소는 많이 존재한다. 처방설계의 관점에서는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분체, 유분, 수분의 배합률을 변화시켜 감촉을 디자인한다.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 타입은 파우더파운데이션, 유화파운데이션, 유성파운데이션으로 크게 나뉘며 제품별로 일반적인 조성을 표로 나타냈다. 파우더파운데이션은 분체의 배합률이 높으므로 보송보송한 감촉을, 유성파운데이션은 오일성분의 배합률이 높아 촉촉한 감촉을, 유화파운데이션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산뜻한 감촉이 특징이다. 파운데이션에는 피부에 도포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도포 초기, 막이 형성되는 과정에 해당하는 도포 중기, 도포 후 그리고 하루 종일
역학적인 화장품 감촉의 레올로지 계측 力学的な化粧品感触のレオロジー計測 Rheological measurements of mechanical sensory attributes of cosmetics 名畑嘉之(나바타 요시유키, Yoshiyuki Nabata) 그림1 용기에서 퍼낼 때(좌측), 피부에 도포 시(우측)의 화장품의 변형과 발생하는 힘의 검출 1. 서론 사람은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통해 자신이 처한 상황을 알게 되고 상황에 대응해 위험회피 행동을 한다. 자동차 소리가 가까워지면 주변을 확인하고 이상한 냄새나 맛을 느끼면 먹는 것을 멈춘다. 또한 오감에는 이 같은 위험회피를 위한 정보 입수라는 역할에 더해, 사람의 기분이나 마음을 변화시키는 자극 입수의 역할도 있다. 예를 들면 라임 향을 맡아 상쾌감을 느끼거나 벨벳 옷감을 만졌을 때 기분 좋음을 느낀다. 생존을 위해서는 위험을 회피할 정보입수 수단인 오감의 검출능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위험 예지를 위한 검출능력이 높다는 것은 기분이나 마음을 변화시키는 자극의 감도도 높이는 것이다. 화장품은 외모를 보기 좋게 바꾸거나 피부에 보습효과 부여 등 기능적 가치를 위해 사용하지만…
카복시변성실리콘계면활성제를 포함한 α형 수화(水和)결정상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화장품 제제에서의 응용 カルボキシ変性シリコーン界面活性剤を含むα型水和結晶相の物理化学的特性と化粧品製剤への応用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α-form hydrated crystalline phase of 3-(10-carboxydecyl)-1, 1, 1, 3, 5, 5, 5-heptamethyl trisiloxane/fatty alcohol/polyoxyethylene(5 mol) glyceryl monostearate/water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a cosmetic product 宇山允人(우야마 마코토, Makoto Uyama) 그림1 (a)CDTS, (b)TEA, (c)GMS-5의 화학구조 1. 서론 에멀션은 oil-in-water type(O/W형)과 water-in-oil type(W/O형)으로 크게 나뉘고 화장품을 비롯해서 식품, 의약품, 농업, 연료 등 많은 공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된다. 유화 입자의 부유(浮遊) 또는 침강에 따른 에멀션의 불안정을 논의할 때 Stokes식에 의해 설명하는 경우가
피부 유연감의 객관적 평가법의 개발 皮膚柔軟感の客観的評価法の開発 Development of objective methods to evaluate skin softness 荒川尚美(아라카와 나오미, Naomi Arakawa) 그림1 연구 어프로치 1. 서론 노화와 환경에 의해 피부상태는 변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기를 원하고 화장품은 하나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사람들이 이상적인 피부상태를 표현하는 언어는 다양하다. 그 대표적인 언어로서 보습이 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촉촉함’이나 ‘보습’, 표면의 균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매끈함’이나 ‘미끄러움’, 적절한 유연성을 나타내는 ‘부드러움’이나 ‘탄력감’을 예로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가운데 사람들이 느끼는 ‘부드러움’이나 ‘탄력감’을 총칭해 ‘유연감’으로 부른다. 노화와 환경에 의해 피부상태가 변하면 유연감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사람들이 느끼는 유연감의 실태를 아는 것은 화장품 개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화장품 개발에서는 사람들이 표현하는 주관적인 평가와 함께 객관적인 평가가 다양하게 있고 유연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수법도 다양하게 제안돼 있다. 유연감의 객관
인간은 어떻게 표면의 질(거칠기와 마찰)을 지각하고 있는가 人はどのように表面の質(粗さと摩擦)を知覚しているのか How do we feel surface quality including roughness and friction? 岡本正吾(오카모토 소고, Shogo Okamoto) 그림1 복수의 지각메커니즘에 의한 광범위한 표면 거칠기 지각 1. 서론 인간이 갖는 소재에 대한 촉감지각은 5차원의 정보공간에서 표현된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각각의 차원은 거시적인 거칠기(coarse or macroscopic roughness)와 미시적인 거칠기(fine or microscopic roughness), 단단함과 부드러움, 마찰, 냉온의 지각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 서로 관련이 깊은 거칠기와 마찰지각의 메커니즘에 관해 신경생리학과 심리물리학, 기계공학(contact mechanics)의 분야에서 밝혀진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2. 거칠기 지각의 메커니즘 2-1. 2종류의 거칠기 지각 인간은 2종류의 거칠기에 대한 지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고 그것들의 대상이 되는 표면 거칠기의 정도가 다르다. 거칠기 지각에 대한 연구에서는 가늘고 긴 격자(gra
화장품·화장품 원료를 위한 촉각 센싱 化粧品・化粧品原料のための触覚センシング Tactile sensing for cosmetics and cosmetic ingredients 浅沼夏海(아사누마 나쓰미, Natsumi Asanuma), 清水らな(시미즈 라나, Rana Shimizu), 和賀美音(와가 미오토, Mioto Waga), 野々村美宗(노노무라 요시무네, Yoshimune Nonomura) 그림1 손가락 모델과 마찰 평가 시스템의 개요 1. 서론 화장품 개발에 있어 크림을 바르는 느낌이나 파우더의 감촉은 중요하다. 비록 그 크림의 스킨케어 효과가 높거나 파운데이션의 피부 미용 효과가 높다 하더라도 언제까지나 끈적끈적해서 바르기 어렵거나 감촉이 부드럽지 못하고 뻣뻣하다면 계속 사용하기 힘들고 그 훌륭함을 전달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화장용 크림이나 그 원료를 도포했을 때의 부드러움·촉촉함·끈적끈적함·매끈매끈함과 마찰 특성의 관계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검토가 이뤄져 왔다. 지금까지 다양한 촉각 센싱 시스템이 개발됐지만 사람이 화장을 하거나 피부와 모발에 접촉했을 때 다양한 감각을 환기하는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 즉 촉각에 관한 단어를 수집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성인 기자] 충청북도가 지속적인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북도는 4월 18일 2018년 1분기 수출실적을 발표했다. 1월~3월까지 수출은 56억 3,100만불(전년 동기대비 22.5% 증가), 수입은 16억 7500만불(전년 동기대비 10% 증가)로 39억 5600만불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이 수출실적은 전국 수출실적의 3.9%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기준으로 전국 시·도 중 4위이며, 3월 무역수지는 2009년 1월 이후 110개월 연속흑자를 기록했다. 이번 1분기 실적은 도의 올해 수출목표인 220억불 달성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잣대로 1분기까지의 수출실적이 연간 목표의 25.6%를 달성함에 따라 금년 수출목표 달성이 희망적인 것으로 기대된다. 수출 국가별로 살펴보면 대만(△19.4%)을 제외하고는 EU(68.1%), 홍콩(52.4%), 인도(44.4%), 아세안(30.3%), 일본(17.5%), 중국(8.7%) 등 전 국가에 대해 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과 홍콩 지역의 수출비중이 60%를 차지하고 있어 해당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FTA 체결이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