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장미란 기자] 더마프로(대표이사 고재숙)의 ‘2017 국가별 피부특성은행’ 구축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더마프로는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국가별 피부특성은행’ 과제의 일환으로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뉴욕 현지인들의 피부 특성 연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6월 13일 밝혔다. ‘국가별 피부특성은행 구축사업’은 국가별, 인종별에 대한 피부측정과 화장품 이용형태 설문조사를 수행, 분석해 국내 화장품 기업들에게 맞춤형 화장품 개발과 해외 마케팅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사업의 일종이다. 더마프로 관계자는 “이번 파견에서 총 574명의 미국인(코카시안 225명, 히스패닉 349명)을 대상으로 피부 수분량, 경피수분손실량, 모공, 탈모 등 10가지 항목을 측정했다”고 밝혔다. ▲ 더마프로는 9개국 11개 도시에서 약 5,600명 이상의 피험자 피부측정을 수행했다. 더마프로는 지난 2014년 2월 피부특성은행 구축과제의 인체적용시험 기관으로 선정된 후 올해까지 4년 연속으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코스인코리아닷컴 차성준 기자] LG생활건강의 장기 신용등급이 ‘AA’에서 ‘AA+’로 6월 12일 상향조정됐다. 평가기관은 나이스신용평가이다. 나이스신평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재무수치가 상향 조정 검토 기준을 모두 충족했다. 일단락된 대규모 투자로 개선된 재무안전성의 지속이 예견되고 화장품 사업 실적 변동성을 감안해도 향후 우수한 실적이 전망돼 신용등급을 상향조정 했다는 것이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성인 기자] 국내 여성들의 최대 피부 고민은 미백과 모공관리이다. 특히 강렬한 자외선으로 인해 어두워지는 피부 톤과 과다한 피지분비로 늘어가는 모공이 여성들에게는 커다란 고민이 됐고 이를 커버하기 위한 화장품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자연주의 화장품 ‘뮤즈베라(MUSE VERA)’는 이러한 여성들의 미백과 모공 고민을 한 번에 해결하고 여름철 빛나는 피부를 위한 ‘더 미모’ 라인 3종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정혜인 기자] 단기간에 빠른 효과를 만끽할 수 있는 미용주사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중국 내 주사액 불법 유통 건수도 증가하고 있다. 피부에 직접 주입되는 미용 주사액의 불법 유통은 사회 안전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미용 주사액 불법 유통 증가' 소식에 중국 사회 전체가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이런 문제는 중국 광저우에서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6월 12일 중국 현지언론 광저우일보(广州日报 )는 광저우 검사검역국 발표를 인용해 "올해 1월부터 5월말까지 광저우 검역국의 불법 반입 미용 주사액 몰수 건수는 총 6.7만건에 달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1배가 늘어난 것"이라고 보도했다. 검사검역국 관계자는 "문제의 미용 주사액은 위생허가 과정을 거치지 않고 우편으로 중국으로 반입됐다"며 "검사검역국은 규율에 따라 문제의 미용 주사액을 모두 몰수했다"고 밝혔다. 광저우일보는 "최근 우편을 통해 중국으로 유입되는 크로스보더 미용 주사액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며 "광저우 검사검역국은 올해부터 '국가 생물 안전
[코스인코리아닷컴 정혜인 기자] 단기간에 빠른 효과를 만끽할 수 있는 미용주사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중국 내 주사액 불법 유통건수도 증가하고 있다. 피부에 직접 주입되는 미용주사액의 불법 유통은 사회 안전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미용주사액 불법 유통 증가' 소식에 중국 사회 전체가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이런 문제는 중국 광저우에서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6월 12일 중국 현지언론 광저우일보(广州日报 )는 광저우 검사검역국 발표를 인용해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한국콜마의 국내 화장품 매출 부진을 제약, 북미, 중국법인이 상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SK증권 서영화 연구원은 6월 13일 “한국콜마는 현재 피할 수 없는 브랜드숍 부진의 영향을 받고 있다. 국내 화장품 사업은 브랜드숍 부진의 영향으로 2분기 매출액 증가 폭이 축소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콜마의 2016년 기준 국내 화장품 부문 채널별 매출 비중은 H&B&홈쇼핑 20%, LG HH&AP 25%, 원브랜드숍 1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페루 화장품 수출에 순풍이 불고 있다. 페루 정부 내 화장품 관리감독기관이 변경됨에 따라 화장품 수입과 제품등록 절차 간소화로 수입 화장품 시장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줄을 잇고 있다. 특히 수입 화장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와 ‘가성비’에 주목하는 소비특성으로 한국산 화장품은 빠른 시장 진입이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더마프로(대표이사 고재숙)의 ‘2017 국가별 피부특성은행’ 구축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더마프로는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국가별 피부특성은행’ 과제의 일환으로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뉴욕 현지인들의 피부 특성 연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6월 13일 밝혔다. ‘국가별 피부특성은행 구축사업’은 국가별, 인종별에 대한 피부측정과 화장품 이용형태 설문조사를 수행, 분석해 국내 화장품 기업들에게 맞춤형 화장품 개발과 해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정혜인 기자] 중국 5월 온라인 뷰티 시장서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가 엇갈린 성적을 기록했다. 중국 로컬 브랜드가 스킨케어, 색조 분야 매출 TOP 10에 모두 포함됐지만 한국 색조 브랜드는 매출 상위권에서 벗어나는 굴욕을 맛봤다. 전체적으로 5월 중국 온라인 뷰티 시장은 해외 브랜드가 주도했다. 스킨케어와 향수·색조 매출 1위 자리를 해외 브랜드가 차지했다. 다만 스킨케어 순위에서 바이췌링(百雀羚)이 2위 자리에 올라 스킨케어 분야에서의 강세를 보였고, 색조 시장에서 약세를 보였던 중국 브랜드가 매출 상위권에 포함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냈다. 6월 12일 중국 화장품 전문매체 C2CC는 5월 통계자료를 인용해 "지난달 중국 온라인 뷰티시장에서 해외 브랜드의 강세가 포착됐다. 색조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브랜드는 평범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톈마오 스킨케어 분야에서 중국 브랜드는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5월 중국 온라인 뷰티시장의 스킨케어 분야 매출 1위를 차지한 브랜드는 일본의 시세이도였다. 시세이도의 거래지수는 3,467,451로 전월 대비 9.33%가 증가했다. 2
[코스인코리아닷컴 정혜인 기자] 중국 5월 온라인 뷰티 시장서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가 엇갈린 성적을 기록했다. 중국 로컬 브랜드가 스킨케어, 색조 분야 매출 TOP 10에 모두 포함됐지만 한국 색조 브랜드는 매출 상위권에서 벗어나는 굴욕을 맛봤다. 전체적으로 5월 중국 온라인 뷰티 시장은 해외 브랜드가 주도했다. 스킨케어와 향수·색조 매출 1위 자리를 해외 브랜드가 차지했다. 다만 스킨케어 순위에서 바이췌링(百雀羚)이 2위 자리에 올라 스킨케어 분야에서
[코스인코리아닷컴 권태흥 기자] ‘코스메슈티컬’이 화장품 산업의 ‘블랙홀’로 부상했다. 기능성 화장품 품목 확대 시행은 코스메슈티컬의 카테고리 확대와 시장 확보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화장품 업계가 수성에 나서고 ‘기능성’을 무기로 제약사와 병원이 시장 확보에 나선 모양새다. 화장품사 vs 제약사 vs 병원은 저마다의 강점을 내세워 시장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즉 △용어 △소재 △트렌드 △시장 확대 가능성 △R&D △소비자 반응 △유통채널 △매장 재창조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성인 기자] 중국의 금한령 이후 중국인 관광객 수가 급감하고 있음에도 국내 면세점 매출이 선방을 해 이에 대한 원인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메리츠종금증권에 따르면 3월 중국인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40%, 4월은 –66.6%를 기록하는 등 감소했지만 3월 면세점 매출은 전년 대비 9%, 4월은 –6.9%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메리츠종금증권은 매출 증가 요인으로 ‘따이공(代工)’ 매출로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