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차성준 기자] 국내 화장품 제조와 수입에 미세플라스틱 사용이 전면 금지되는 7월 1일을 3일 앞두고 농촌진흥청이 ‘배 석세포’를 통해 개발한 미세플라스틱 대체제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6월 28일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생활 속 화학물질을 천연 소재로 대체하기 위해 배에서 버려지는 ‘석세포’의 각질 제거, 연마 등의 효능을 입증해 미세플라스틱 대체 소재로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차성준 기자] 잇츠한불(대표 김홍창)의 스테디셀러 잇츠스킨의 3세대 달팽이 크림 ‘프레스티지 프로폴리스 끄렘 데스까르고’의 행보가 심상치 않다. 출시 3주 만에 오리지널 데스까르고 크림과 비슷한 판매 추이를 보이며 놀라운 첫 성적표를 내놨다. 올해 4월 잇츠스킨은 기존 달팽이 제품에 프로폴리스 성분을 추가한 3세대 버전인 프레스티지 프로폴리스 끄렘 데스까르고를 출시했다. 현재 대표적인 관광상권인 명동 4개 점포는 물론 가로수길, 강남점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성인 기자] 코스인은 국내 유일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전문 저널인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창간 2주년을 맞아 7월 6일 서울 임페리얼 팰리스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제3회 국제 기능성 화장품 R&D 이노베이션 포럼(The 3nd International Functional Cosmetics R&D Innovation Forum)’을 개최한다. 올해 행사는 ‘기능성 화장품 연구개발 분야의 새로운 발전 방향 모색’이라는 주제로 국내외 화장품 연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사드 이후 중국 시장 진출이 어려워지면서 위생허가를 받아야 하는지 의문을 가지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향후 기업 성장과 글로벌 시장 진출 과정에서 중국 시장을 배제하지 않는다면 위생허가는 필요하다. 바로 지금이 위생허가를 취득하기 위한 적기다.” 중국 위생허가를 비롯해 국내외 OEM ODM, 마케팅, 아카데미 등 초기 컨설팅과 심사대행 등을 전문으로 하는 레드앤블루의 김경화 대표는 중국 위생허가 취득 문제에 대해
[코스인코리아닷컴 권태흥 기자] 2016년 화장품 생산실적을 분석하면 △독과점 심화 △기초화장품 편중 △마스크팩 신화를 업은 신생기업의 약진 △중화권 몰빵 등으로 정리된다. 그러나 본지가 2017년 모멘텀으로 지적한 ‘중국발 리스크와 재고관리’의 후유증이 만만치 않음이 드러난 2분기 상황을 볼 때 내년도 화장품 시장의 판도 부침이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실적은 13조 514억원으로 성장률은 역대 최대인 전년 대비 21.60%라는 기록을 세웠다. 20
[코스인코리아닷컴 차성준 기자] 최근 화장품 원료 기업 단정바이오(대표 정의수)가 베트남 현지에서 1:1 바이어 상담 등 해외 마케팅 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새로운 수출 판로를 개척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 6일부터 11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와 호찌민에서 열린 ‘강원도 시장개척단 수출 상담회’에 참여한 단정바이오는 현지 바이어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또 현지 유력 바이어와의 1:1 상담을 통해 베트남 시장의 수출 판로 개척의 교두보를 마련했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장미란 기자]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이 협력회사와의 동반성장 노력을 인정받았다. 155개 대기업·중견기업 가운데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등급을 받은 25개사에 이름을 올렸으며 국내 화장품·생활용품 업계에서는 처음으로 3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LG생활건강은 6월 28일 동반성장위원회가 발표한 ‘2016 동반성장지수’에서 최고 등급인 ‘최우수’ 등급을 3년 연속으로 받아 동반성장 최우수 명예기업에 편입됐다. 동반성장지수는 동반성장위원회가 기업의 동반성장 수준을 계량화한 지표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5개 등급(최우수 우수 양호 보통 미흡)으로 발표되며 이번에는 155개 대기업과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평가해 25개사가 ‘최우수’, 50개사가 ‘우수’, 58개사가 ‘양호’, 12개사가 ‘보통’, 10개사가 ‘미흡’ 등급을 받았다. LG생활건강이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등급을 획득한 것은 협력회사와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차성준 기자] 올해로 세 번째를 맞은 국내 최대 화장품 원료 전시회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2017’이 6월 20일 개막했다.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업계 관계자들의 뜨거운 요청과 성원에 힘입어 올해부터 3일로 연장돼 오는 6월 22일까지 개최된다. 올해 인-코스메틱스 코리아는 더 커진 규모 외에도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가들에게 글로벌, 현지 화장품 시장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무료 세미나와 이노베이션 존(Innovation Zone), 제품 트레일(Product Retail), 센소리 바(Sensory Bar) 등을 마련해 시선을 모았다. 이에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2017’에는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 혁신적이고 새로운 제품들을 선보였다. 크로다, 다우코닝, 에보닉 등 글로벌 원료 공급업체를 비롯해 박람회 전체 참가 업체 가운데 58%가 해외 업체로 구성됐다. 국내 참가 업체 중 초이스엔텍(대표 최홍규)은 메도우폼 시드 오일(Meadowfoam Seed Oil : MSO)을 출품해 국내외 바이어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모았다. 1994년 창립한 초이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차성준 기자] 올해로 세 번째를 맞은 국내 최대 화장품 원료 전시회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2017’이 6월 20일 개막했다.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업계 관계자들의 뜨거운 요청과 성원에 힘입어 올해부터 3일로 연장돼 6월 22일까지 진행된다. 전시회 참가 업체 중 스위스에 본사를 둔 DKSH코리아 전시 부스에는 스위스, 이스라엘, 일본, 독일, 프랑스, 미국 등 6개국 9개 업체가 셰어 부스 형태로 참가해 다국적 고퀄리티 화장품 원료를 인-코스메틱스 2017을 통해 한자리에서 선보였다. 국내외 바이어들의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고 셰어 부스마다 연이은 수출상담이 진행됐다. DKSH코리아는 글로벌 시장 확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DKSH그룹의 한국지사이다. 한국 화장품 원료 무역을 전담하고 있으며 유럽의 좋은 원료를 한국에 소개·납품한다. 또 한국의 뛰어난 원료를 발견하면 유럽으로 역수출하기도 한다. 실제 지난 4월 1일 아시아 여성을 사로 잡은 일본의 대표 헤어케어 브랜드 ‘허니체’ 의 국내 론칭에 적극 나섰고 한미약품이 자체 개발한 고혈압복합제 ‘아모잘탄&rsq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차성준 기자] 매년 국내외 인-코스메틱스 박람회를 빠짐없이 참가하는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신제품 ‘에코드롭젤’이 글로벌 화장품원료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들이 제시한 내추럴 콘셉트가 고객사들의 마음을 뒤흔들었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6월 20일부터 22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2017(in-cosmetics Korea 2017)’에 참가해 내추럴 콘셉트를 적용한 논-실리콘 원료 에코드롭젤의 적극적인 홍보에 나섰다. ▲ 선진뷰티사이언스가 지난 4월 론칭한 내추럴 콘셉트 '에코드롭젤'. 지난 4월 ‘인-코스메틱스 아시아’를 통해 론칭한 신원료 ‘에코드롭젤(ECO DROP GEL)’은 기존 실리콘 베이스 처방에서만 볼 수 있었던 워터 드롭 효과를 Non-silicone 포뮬러로 가능하게 만든 신개념 신기술 내추럴 콘셉트 제품이다. 즉각적인 보습효과를 보이는 기존 워터 드롭 처방은 지속력이 짧다는 단점을 지닌다. 그러나 에코드롭젤은 즉각적인 보습은 물론 지속성을 갖춘 Fresh & Rich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차성준 기자] 바이오인캡슐레이션 기술로 외국 바이어의 마음을 사로잡은 H&A파마켐이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2017’에서 독립부스를 구성해 보다 공격적인 홍보에 나섰다. 매번 국내외 박람회를 참석했지만 독립부스는 이번이 처음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H&A파마켐은 6월 20일부터 22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2017(in-cosmetics Korea 2017)’에 참가해 나노에멀전이 적용된 바이오인캡슐레이션과 비지블(보이는) 바이오인캡슐레이션을 선보였다. H&A파마켐은 테크니컬 세미나장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부스를 설치했다. 바이어와 테크니컬한 상담이 필수인 만큼 지리적 공략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이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처음으로 심플하면서도 눈에 띄는 인테리어의 독립부스도 설치했다. 특히 비지블 바이오인캡슐레이션 기술이 도입된 화려한 ‘그래픽 디자인’ 화장품을 전면에 배치해 부스를 지나가는 고객들의 발길을 붙잡는데 성공했다. 지리적, 비주얼적 유리함을 적극 활용한 결과다. H&A파마켐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차성준 기자] 올해만 2개의 자체 신기술 원료를 론칭한 바이오제닉스는 향후 수출 목표를 총 생산량의 80%로 설정해 새로운 도약을 꿈꾸며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바이오제닉스는 6월 20일부터 22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2017(in-cosmetics Korea 2017)’에 참가해 ‘유자 에센셜 오일’, ‘레이크 안료 캡슐레이션’을 선보였다. 전 세계에서 유자는 한국과 일본에서만 재배된다. 현재 일본에서 제조, 유통되고 있는 유자 에센셜 오일은 국내에서 개발에 성공한 사례가 없었다. ▲ 올해 개발에 성공한 바이오제닉스 '유자 에센셜 오일'(좌측), '레이크 안료 캡슐레이션'. 바이오제닉스는 보란 듯이 이번 인-코스메틱스 코리아에서 국내 최초 개발에 성공한 ‘유자 에센셜 오일’을 공개했다. 지난 5월 일본에서 열린 2017 사이트 재팬(CITE JAPAN 2017)에서 첫 론칭 후 하세가와 기업과 만족스러운 내용이 오갔다. 유자 에센셜 본고장 일본에서 품질력을 인정한 재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