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최고의 거래- 자연과 과학이 손을 잡은 곳 50세 이상 피부를 위한 지속가능한 올인원 활성 성분인 Natura-Tec Marine BlueRevelation™ 50+과 SILHA®COS 로즈힙씨 오일의 결합 : 현대 50대 연령층의 필요를 충족하는 빛나고 성숙한 피부를 위한 자연과 과학의 연합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에는 치유, 영양, 재생의 광범위한 효과를 지닌 물질이 존재한다. 제약과 화장품 산업 모두 이러한 천연자원에서 영감을 얻는다. 놀라운 발견을 할 수 있는 바이오톱(biotope, 생물 소생활권) 탐험을 떠올리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특별한 메커니즘과 분자로 복잡하고 놀라운 생화학을 발전시키며 종종 적대적인 환경에서도 살아남는 특별한 유기체를 만나기 위해 아마존으로 여행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것 중에 단일 세포 내에 모든 필수 생존 과정과 보호 메커니즘을 통합한 미세조류가 있다. 프랑스 기업 Natura-Tec은 이 작은 단세포 유기체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테스트 종료 시 피실험자 만족도 미세조류는 다양한 화장품 활성 성분을 제공할 뿐아니라 자연 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생태 순환 경제에서 재배할 수 있다.…
# 멀티옴 피부 보호 기능제공하는 최초의 에코시스템 성분 공개 세계가 지구적 규모로 거대하고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로 작동하는 것처럼 생태계라는 복잡하게 얽힌 구조 속에서 식물, 동물, 미생물들은 전체 자연계의 균형과 생명력에 필수적인 다양한 생물 분류 계통 간의 상호 공생 관계(interkingdom symbiotic relationships) 사이의 상호 공생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프로비탈(Provital)사는 친환경 기술 개발, 자연에 대한 경외(reverence), 웰빙 추구의 맥락에서 다중 오믹(multiomic) 검증 방식(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대사체, 후성유전체, 지질체 등 다양한 분자 수준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의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분석)으로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노화 방지(age-defying) 효과를 제공하는 최초의 진정한 ‘에코시스템’ 성분인 Shiloxome™을 소개했다. 최초의 Triplobiome™ 기술을 통해 개발된 이 활성성분은 코르크참나무(Quercus subur)의 보호 껍질에서 발견되는 내생(endophytic) 효모인 권니엘라 망그로비엔시스(Kwoniella mangroviensis)를 분리해 만들었다. 이러한…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10월호는 지난해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계약을 체결하고 2024년 1월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퍼스널 케어 최신 연구를 주제로 ▲멀티옴 피부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최초의 에코시스템 성분 공개 ▲자연의 최고의 거래 - 자연과 과학이 손을 잡은 곳 ▲피부와 모발 관리를 위한 천연 식물성 엑소좀 : 차세대 빅 트렌드에 대한 심층적인 통찰 ▲바오밥 오일의 책임있는 조달 - ‘지속 가능한 아름다움’을 위한 차세대 대체 원료의 사용 ▲균형 잡힌 피부 : 피지 감소를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친화적 솔루션 ▲생산 시설 세척을 위한 플라스마 활성수 등으로 구성됐다. [컬럼] K-Beauty와 인공지능(AI) [퍼스널 케어] 1. 멀티옴 피부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최초의 에코시스템 성분 공개 Unveiling the First Ecosystem Ingredient to Offer a Multi-ome Skin Protection C. Vigo Xancó, E. Escudero, S. Benito, D. Manzano, Provital, S.A. 2. 자연의 최고의 거래- 자연과 과…
[코스인코리아닷컴 류승우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10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지난해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되어 15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그리고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10월호는 독일의 퍼스널 케어 최신 연구를 주제로 ▲멀티옴 피부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최초의 에코시스템 성분 공개 ▲자연의 최고의 거래 - 자연과 과학이 손을 잡은 곳 ▲피부와 모발 관리를 위한 천연 식물성 엑소좀 : 차세대 빅 트렌드에 대한 심층적인 통찰 ▲바오밥 오일의 책임있는 조달 - ‘지속가능한…
# 탄력개선(HC) 콤플렉스기반으로 한 앰플 제조,효능평가 최근 생체 재료, 제약, 의료, 기능성 식품, 화장품 등의 산업에서 내약성이 좋은 Hydrolyzed collagen(HC)을 중심으로 피부 특성과 피부 표면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HC를 화장품 원료로 한 제품의 탄력개선 효능평가를 수행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C 콤플렉스를 이용해 탄력개선 앰플(EI ampoule)을 제조했고 in vitro 측면에서 효능평가를 실시했다. 제조한 EI ampoule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원심분리 테스트, 사이클링 테스트, pH, 점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Vehicle과 EI ampoule 모두 원심분리, 사이클링 테스트에서 상의 분리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4주간의 pH, 점도 변화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했다. 안전성 평가로는 Dermal skin fibroblast cell을 사용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Vehicle과 EI ampoule 시료 모두 일정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 앰플의 사이클링 테
#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MC)자외선 B 유도 광노화 억제 자외선(UV)은 피부를 손상시키고 자외선B(UVB)는 피부 표피 두께, 거친 질감, 표피와 진피 성분 감소, 이소성 혈관 발달, 주름 등의 변화를 일으키는 광노화를 유발한다.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MC)는 UVB를 차단하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이다.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으로 인한 홍반 뿐아니라 광노화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UVB에 의한 광노화와 OMC의 항광노화 효과에 대한 세포와 분자 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UVB에 의한 피부 노화에 대한 OMC의 항광노화 효과를 연구했다. OMC 처리는 UVB에 의한 VEGF 과발현과 TSP1 하향 조절의 mRNA 수준을 억제했다. OMC는 Th2 관련 사이토카인 IL-10, IL-4의 상향 조절과 관련된 UVB 유발 사이토카인 혼란을 조절했다. UVB로 유도된 광노화 피부에서 OMC 효과(Verhoff's elastic 염색) RT-PCR로 검증한 결과 MMP와 VEGF는 상향 조절되고 TSP-1은 하향 조절되어 마이크로어레이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외선 조사는 MAPK를 활성화하고 MMP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편집위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4년 4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4년 4월 공개된 한국 특허는 총 169건으로 2월의 180건에 비해 11건 감소했다. 이 가운데 해외 특허는 32건으로 2월의 52건에 비해 20건이 감소했으며 그 비율도 19%로서 2월의 28%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전체적으로 2024년 4월 한국 특허는 2월에 비해 특허 공개 건수와 해외 특허가 차지하는 비율 모두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24년 4월 공개된 특허를 출원인별로 살펴보면 기업
# HME-DDS 기술 사용한 하이브리드 원료 개발 본 연구에서는 그린코스(주), (주)비네이처바이오랩, (주)더마랩이 협업체를 구성해 화장품 분야 최초로 HME-DDS(Hot Melt Extrusion-Drug Delivery System) 기술이 적용된 하이브리드 원료를 개발했다. 연구 결과 HME-DDS 공법을 적용한 원료는 기존 방법보다 유효성분 함량이 평균 6.42% 증가했으며 입자 크기와 구조가 더욱 균일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Ferulic Acid를 포함한 천궁과 참당귀에서 우수한 성과가 확인돼 해당 소재들을 추가로 연구했고 둘을 접목한 혼합 소재를 ICID에 등록했다. 이후 천궁과 참당귀, 히알루론산을 접목한 HME-DDS 하이브리드 원료를 개발했다. 여러 실험을 통해 안정성과 안전성을 검증했으며 피부투과도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현재 본 원료를 적용한 신제품을 2025년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인체적용실험을 진행 중이다. 화장품 시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와 기술 혁신에 의해 그 제품 사이클이 짧고 새로운 기술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다. 특히 2024년에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과 지속가능한 발전 트렌드가 주목받으며
# 리포좀 나노입자이용한 혼합식물추출물블랙헤드 제거 효과연구 이 연구는 코 부위의 침착된 노폐물인 블랙헤드를 쉽게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사용된 표고버섯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더덕뿌리추출물, 우엉뿌리추출물, 국화꽃추출물,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위치하젤추출물, 겨우살이잎추출물,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1,2-헥산다이올, 라벤다꽃추출물, 피토스테롤, 라벤더오일, 판테놀의 조성으로 리포좀화했다. 침착된 피지의 일종인 블랙헤드를 쉽게 제거하기 위해 리포좀 소포체에 고농축의 추출물을 봉입해 흡수가 빨리되도록 여러 층으로 리포좀화했다. 이 소포체의 외관은 갈색의 액체로 특이한 고유 냄새를 가지고 있었다. 리포좀 베지클의 입경은 50~180nm였으며 피지 안으로 쉽게 흡수되어 쉽게 불려서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졌다. 전자 현미경(FIB-Quanta-3D) 시스템으로 관찰한 MLV 리포좀 소포 사진 임상적으로 피지 제거 효과가 대조군 대비 유의하게 우수했으며 오래된 블랙헤드 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었다. 또모공 수축 효과가 사용 전 대비 6.43% 작아졌다. 피지 제거 효과도 사용 전 대비 우
# 화장품 생산에 사용되는 물에 대한 미생물학적 요구사항 제2부 : 샘플링과 제어 분석 제2부에서는 화장품 제조 시 원료 또는 세척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이 미생물학적 품질 요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미생물학적 관리 연구에서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수처리 시스템에서 샘플을 채취해야 한다. 샘플은 공장의 여러 지점에서 샘플 수와 샘플링 빈도 측면에서 결과 이력을 기반으로 정의된 샘플링 계획에 따라 채취해야 한다. 샘플링 지점은 적절한 샘플링이 가능해야 하고 샘플량은 선택한 분석 방법에 충분해야 한다. 샘플의 운송과 보관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하며 샘플은 독일 음용수 조례의 방법과 같이 지정된 적절한 방법으로 분석해야 한다. 방법은 박테리아의 수(정량적)를 결정하고 발견된 미생물의 종(정성적)을 식별하고 품질 요구 사항과 관련해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선택해야 한다. (본 논문의 제1부 순도 요구사항과 급수 시스템은 본지 2024년 6월호 43~48페이지에 게재됨) 제1부에서는 화장품 생산에서 원료와 세척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에 대한 미생물학적 품질 요건에 관해 설명했다. 제1부에서는 수처리 시설 건설을 위한 기본 요건도
# 제품의 보존력 강화위한 허들 기술 2부 우리는 다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제품 보존력 효과 최적화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연이어 보고한다. 1부에서는 화장품과 가장 관련성이 높고 좁은 범위 내에서의 pH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1]. 또다기능성 성분을 강화하기 위해 배리어 기술 또는 허들 기술의 개념을 탐구하는 기술 플랫폼인 Symshield®의 일환으로 유기산과의 강력한 조합이 연구됐다. 본 논문에서는 금속이온봉쇄제(chelating agent)와 수분활성도(water activity)라는 두 가지 추가 매개변수를 사용한 연구 결과를 보고한다. 현대의 제품 보호(Modern Product Protection)는 종종 논란이 되는 전통적인 보존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생물 번식으로부터 화장품 제형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수십 년 된 보존제에 대한 규제 압력과 소비자 불신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보존제가 각광을 받고 있다. 다기능성 성분은 제품 보호 강화 뿐아니라 가용화, 에멀젼 안정화, 보습 등 제형이나 소비자에게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하는 성분이다. 이들은 ‘적을수록 더 좋다(less is more)’에 초
# 남아시아인 피부위한 선구적인 비자외선 차단 광방어 활성제 목표 : 인도에 널리 퍼져 있는 남아시아인 피부는 적도 지역의 어두운 톤(dark tone)과 높은 자외선 노출로 인해 태닝에 특히 취약하다. 이러한 피부 타입은 기존의 SPF 크림 이상의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이 필요하다. 폴리페놀이 풍부한 녹차추출물(Polyphenol-enriched green tea extract)인 CamiSooth™는 UVA로 인한 태닝과 UVB로 인한 염증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법 : 용매 추출 공정을 통해 폴리페놀 농축 녹차추출물(CamiSooth™)을 제조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UV 분광법을 사용해 정량화했고 카테킨(catechin)과 에피갈락토카테킨 갈레이트(epigallactocatechin gallate, EGCG) 함량은 RP-HPLC로 정량화했다. 2,2-디페닐 피크릴 히드라질(2,2-diphenyl picryl 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분석법을 사용해 CamiSooth™의 항산화 잠재력을 평가했다. UVA에 노출된 B16F10 마우스 흑색종 세포에서 CamiSooth™의 항태닝 활성을 평가하고 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