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서의 오토파지 작용 - 화장품에 응용 피부는 몸 표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세균, 바이러스, 그 외의 이물질이 체내에 침입하는 것을 막아내는 가장 중요한 장기(臟器) 중 하나이다. 따라서 피부가 장벽(barrier)기능을 얻기 위해 필요한 발생(發生) 과 분화(分化)에 관계되는 메커니즘 해명은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피부는 장벽기능 뿐 아니라 사람의 외관이나 용모에도 밀접하게 관련되기 때문에 사회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피부 컨디션은 큰 고민을 생기게 하기도 하고 이러한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기초연구는 심신(心身)의 QOL(quality of life)을 높이는 관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표1 오토파지 활성화 화장품원료 피부는 몸 외부에 있기 때문에 자외선 등 외부로부터 스트레스를 받는다. 실제 자외선을 받은 피부는 광 (光)노화가 유발(誘發)되고 아포토시스(apoptosis)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포토시스에 의한 피부 구성 세포의 죽음(死) 시그널은 UV조사(照射) 등으로 인해 유전체(genome) 장해를 받은 피부세포로 유도되고 결과적으로 피부암(癌)화를 막는 역할로 연결된다1). 그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국내 유일한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전문저널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9년 9월호가 발간됐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R&D분야 전문 매체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9년 9월호는 '오토파지와 향장품 과학의 접점을 찾다'를 주제로▲피부에서의 오토파지 작용 - 화장품에 응용▲오토파지 관련 분자의 피부형성에서의 역할▲오토파고솜을 만들기 위해 지질을 공급하는 메커니즘▲멜라노사이트 내의 멜라노솜 수송과 오토파지의 관계▲미토콘드리아 오토파지와 노화의 관계로 총 5개 특집으로 구성했다. 이번호 테마기획은 국내 화장품 공개기업 50개사 2019년 상반기 경영실적(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액성장율, 영업이익성장율, 당기순이익성장율 등)을 자세하게 분석했다.특허정보는 지난 8월호에 이어 미국 특허와 유럽, 세계의 항노와 특허 현황을 분석, 게재했다. 핫인터뷰는 천연 유기농 원료 전문회사인 에코먼트 신정은 사장을 만나 지난 10년간 천연, 유기농 화장품 한길만을 걸어오며 터득한 노하우와 앞으로의 연구개발…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9년 9월호는 '오토파지와 향장품 과학의 접점을 찾다'를주제로▲피부에서의 오토파지 작용 - 화장품에의 응용 ▲오토파지 관련 분자의 피부형성에서의 역할 ▲오토파고솜을 만들기 위해 지질을 공급하는 메커니즘 ▲멜라노사이트 내의 멜라노솜 수송과 오토파지의 관계 ▲미토콘드리아 오토파지와 노화의 관계 등의 특집을 구성했다. [칼럼] 한국이 '세계 화장품 연구소'라고 불리는 이유 [테마기획] 2019년 상반기 화장품 공개기업 50개사 경영실적 분석 [특집] 오토파지와 향장품 과학의 접점을 찾다 1. 피부에서의 오토파지 작용 - 화장품에 응용 Potential of autophagy in cosmetics application,긴키대학 안티에이징센터(近畿大学 アンチエイジングセンター) 森山麻里子,긴키대학 약학종합연구소(近畿大学 薬学総合研究所) 森山博由 2.오토파지 관련 분자의 피부형성에서의 역할 The role of autophagy-related molecules in skin development,도쿄의과치과대학 난치병연구소…
#Polymeric Micelle 기술을 이용한 난용성 Phytoalexin을 함유하는 화장품 소재 개발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은 치료부위에 생리적 활성을 갖는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약물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약물에 대한 인체 순응도를 높이며 효능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기존의 약물이나 새로운 약물의 제형을 설계해 약물 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기술이다. 그림1 Phytoalexin을 함유하는 Polymeric micelle의 고온 저장안정성 분석 난용성 성분의 가용화(solubilization) 기술은 용매에 녹지않는 난용성 또는 불용성의 생리활성성분을 용매에 녹이거나 분산시켜 결정이나 침전이 석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화장품 산업에서는 주로 물을 베이스로 하는 수용액 또는 수상 에멀젼에서 기능성 성분의 석출 또는 상분리를 방지하는 기술로 일컫는다. 난용성 성분의 가용화기술은 약물전달시스템의 핵심기술군 중 하나로 약물흡수 촉진기술에 속한다. 약물의 표적효율을 높이기 위해 리포솜, 마이크로입자, 자가응집체, 나노입자, 고분자-약물접합체, 고분자 마이셀 등 수많은 입자형태의 전달체가 개발되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수진 기자] 풋귤 추출물이 피부 보습과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제주대학교와 임상시험을 통해 풋귤(덜 익은 귤) 추출물의 피부 보습력 향상과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20대~50대 여성 54명에게 풋귤 추출물을 첨가한 화장품 시제품을 4주간 사용했다. 하루에 2번씩 바른 참가자들은 사용 전보다 보습 상태가 18%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기(3D 피부 촬영장치)로 주름을 측정했더니 눈가는 6.5%, 이마는 10% 가량 줄어든 것으로 확인했다. 시제품의 유효성 평가를 설문한 결과 참가자 모두(100%) 보습, 눈가 주름개선, 이마 주름개선 항목에서 보통 이상이라고 평가했다. 피부 자극 시험에서도 시제품과 원료 모두 피부 자극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앞서 농촌진흥청은 연구를 통해 풋귤에 다양한 유용 성분이 많이 함유돼 있음을 밝힌 바 있다. 풋귤 추출물은 다 익은 귤보다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이 최대 2.3배 많았다. 항산화, 항암, 항염증 효과가 있는 플라보노이드 성분도 최대 3.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질 세포 대상 연구에서는 1% 풋귤 추출물을 처리했더니 주름과…
# 에보닉 천연유래 가용화제 TEGO® Solve 61 MB/90 MB, Symbio® solv clear plus MB 최근 화장품 소재 시장은 굳건한 추이를 보이고 있지만 그 주된 요인의 하나로 식물유래 성분을 시작으로 하는 ‘재생 가능’을 제창한 천연유래 성분의성장이 주목을 받고 있다. 업종을 불문하고 지구환경에 대한 배려가 중시되는 경향이 있는 것에 더해 마이크로 플라스틱 비즈의 문제 등에 의한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식의 향상으로 국내에서도 ‘재생 가능’을 주장하는 천연 유래 성분의 니즈가 향후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1 에센셜 오일의 가용화 그리고 화장품의 천연, 오가닉에 관한 국제표준인 ISO16128이 발효됨으로써 종래보다 간단하고 알기 쉽게 ‘오가닉’이나 ‘내추럴’을 어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가닉, 내추럴 화장품 시장의 성장도 기대되고 있다. 에보닉 인더스트리즈는 환경 의식이 앞선 구미 화장품 시장의 강력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재생가능 천연 유래 성분의 개발, 제안을 중점테마로 내세우고 있다. 이번에는 천연 지속가능성의 어필이 가능하며 다기능성이 있고 COSMOS나 HALAL 등의 인증을 취득하고 있는 천연 유래 가용화제 중
화장품 분야의 특정 주제로 ‘항노화’에 대한 2018년 미국 특허출원을선정했으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각국의 특허출원 정보를 소개한다. #미국 특허 (2018. 1. 1~2018. 12. 31) 18-1. 케라티노사이트 및 / 또는 섬유아세포와 진피에 영향을 미치는 피부질환과 피부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조합 생성물과 화장품 조성물 (US-A-180214365, NUTRICOS Technologies (프랑스), 2018. 8. 2) 이 발명의 화장품 조합 생성물은 글루코사민 또는그 염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1의 화장품 조성물과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2의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3의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히알루론산과 콜라겐은 연골 추출물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이 발명의 효과는 상기 제1~제3 화장품 조성물의 상승적 조합에 의해 케라티노사이트에 영향을 미치는 매트릭스 조직의 상실과 연관된 노화징후, 섬유아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피부노화, 특히 진피결합조직의 상실과 연관된 노화징후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림2 글루코사민황산염, 히알루론산, 콜라겐의 조합에 의한 히알루론산 생성의 상승효과 실
# 일본의 자연소재와 일본의 기술과 일본의 문화로 재팬 밸류를 세계로 세계의 뷰티 산업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여성들이 점점 아름다워지는 가운데 다양한 사회과제도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뷰티 산업이 사회와의 적합성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 뷰티 산업이 안고 있는 과제의 해결은 불가피하다.구체적으로는 화장품 내용물의 환경 부담이 과제로 꼽힌다. 화석연료 유래 성분, 배수 후에 자연계에서 분해하기 어려운 성분, 소비 발전으로 자원이 고갈 되는 성분 등이 뷰티 산업의 일용품에는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림1 시만토 부슈칸 계면활성제에 많이 사용되는 팜커넬오일(palm kernel oil)의 생산이 삼림파괴와 관련되어 있음은 분명하지만 동시에 지속가능한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코스모스(COSMOS : COSmetic Organic Standard)는 팜오일, 팜커넬오일과 그 유도체의 원료 입수에 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인증 팜오일을 사용한다는 새로운 기준을 도입하기로 결정 했다는 사례도 있다1). 밸류체인(value chain) 전체를 무배출시스템(zero emission)으로 하는 주제 뿐 아니라 그것이 반영구적으로 지속
#일본전통 식재료 ‘술지게미’와 ‘와삼봉 당밀’ 이용한 새로운 화장품원료 개발 화장품에 함유된 원료 중 천연유래의 화장품 원료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식물 추출물이 첨가 원료라면 함유한 유용성분이 나타내는 기능성이나 증점제, 계면활성제 등의 기재원료라면 생분해성이 높고 환경 부하가 낮은 등 그 이용가치는 여러 가지이지만 최근 들어 그 천연유래 원료에 대한 기대도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림1 순미주 ‘키노쿠니야분자에몬’ 예를 들어 신뢰성이 높다는 이미지에서 ‘일본산’, ‘Made in Japan’의 소재가 주목받는 동시에 서스티너빌리티(지속가능성), 트레이서빌리티(추적가능성)를 배려한 소재를 출발원료로 하고 있는 것도 소비자의 보다 높은 안심으로 이어져 배합된 화장품의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하는 경우도 많다1). 또 최근 내외 미용의 고조로 인해 예로부터 먹어본 경험이 있고 가까이에 존재하고 있는 등 소재 자체의 인지도가 높기 때문에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케이스도 있다. 우리는 이러한 시장동향을 감안해 일본전통의 식소재인 ‘술지게미’과 일본전통의 기법으로 만들어진 와삼봉 제당 공정 시에 얻을 수 있는 ‘당밀’을 모두 갖고 있는 ‘와미노봉봉’ 을 개발했다
#일본산 야생종 벚나무 플라센타 추출물과 동백나무캘러스추출물 개발 식물유래의 플라센타는 학명에서는 태좌(胎座)라고 하며 씨방(子房) 속 배주(胚珠)의 접하는 부분을 말한다.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축적하는 조직으로 영어에서는 동물의 태반(胎盤)도 식물의 태좌 (胎座)도 구별하지 않고 플라센타(placenta)라는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그림1 벚나무 플라센타 추출물의 피토케미컬 분석 식물 플라센타는 아미노산이나 미네랄, 피토케미컬로 알려진 식물의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높은 항산화성, 피부세포의 성장, 증식 효과와 콜라겐 합성촉진 등 기능성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있다. (주)긴자토마토(GINZA TOMATO)에서는 다마스크 로즈(Damask rose)의 플라센타 세포를 조직 배양하는데 성공해 그 추출물을 장미플라센타(バラプ ラセンタ®) 추출물로 개발 · 판매하고 있다. 또 플라센타 뿐 아니라 뿌리, 줄기, 잎, 꽃에서 유도한 캘러스추출물을 속속 개발해 기능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 본고에서는 교토의 산림에서 자생하고 있는 산벚나무 야생종의 플라센타로부터 유도된 산벚나무 플라센타 추출물과 일본인이 예로부터 애용하고 있는 동백나무 꽃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수진 기자] 화장품 원료개발의 독보적 기술력을 가진 바이오제닉스가 국내 최초로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으로 천연 유자에서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기술을 상용화했다. 에센셜 오일 성분의 경우 일본 의존도가 높아 수출규제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바이오제닉스의 이번 원료 상용화는 국내 원료의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의미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K-뷰티, 아시아 뷰티새로운 트렌드 천연원료 '유자' 아시아를 대표하는 과실인 유자만이 가지는 특색 있는 향과 효능으로 코스메틱 스킨케어, 퍼스널케어 분야 전반에 유자 성분이 주목을 받고 있다. 농촌진흥청 식품영양분석표 유자는 천연원료로 다양한 효능이 입증되었으며 미래 화장품의 주요 이슈가 될 아시아만의 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유자 성분 제품은 컨셉 위주의 낮은 가격 제품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더욱 적극적인 유자의 향과 효능을 높일 수 있는 소비자의 니즈가 커지고 있다. # 한국 대표 과실 남해 대표 '유자' 화사한 향기의 약귤 현재는 한국 남해 지역과 일본 북부해안에서 생산되는 유자는 한국을 넘어 아시아의 대표 과실…
# 구지산 호박의 초임계 CO₂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유용성 구지(久慈)산 호박(琥珀, amber)은 중생대 백악기 후기(9,000~8,600만 년 전, 90~86million years ago, Mega annum(Ma)) 식물의 수지(樹脂) 화석이다. 호박 중에서 상업화된 것은 발트해(Baltic Sea) 연안 러시아산과 도미니카공화국산 호박이 가장 오래됐다1). 현대 식물에서는 흰버드나나무(Salix Alba, Willow) 유래의 살리실산이 해열 · 진통약인 아스피린으로 초마황(草麻黃, Ephedra sinica Stapf) 유래의 천식약인 에페드린(ephedrine)과 일일초(日日草, Catharanthus roseus) 유래의 항암제인 빈블라스(vinblastine) 등이 실용화되어 있다. 그림1 구지산 호박 메탄올 추출물(MEKA)에 포함된 신규 생물 활성물 질과 바이오마커의 구조 식물은 의약품의 중요한 천연자원이다. 한편, 태고 식물 유래인 호박의 생물 활성화에 착안한 보고서로 서는 표피 각화세포의 헤파린(heparin) 결합성 표피 증식인자(HB-EGF),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2), 혈관내피 세포 증식인자(VEGF) 생성 촉진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