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화장품의 국내 판매가격이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호주, 일본 등 8개 국가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병행수입 매장의 경우 백화점보다 약 14.8% 저렴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서울YWCA(회장 이연배)는 13일 이 같은 내용의 자료를 공개했다. YWCA 측은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구매 선택을 돕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김동수)로부터 예산 지원을 받아 수입 화장품 4개 품목(에센스, 아이크림, 컴팩트 파운데이션, 립스틱) 중 지난해 백화점에서 높은 매출을 기록한 상위 10개 브랜드 총 36개 제품을 대상으로 조사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외 가격차, 유통채널별 가격, 수입가격 대비 소비자가격 수준에 이어 수입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조사도 실시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기준 국내 화장품 시장의 매출액은 약 13조 원 규모(소비자가격 기준)이고, 국산 화장품과 수입 화장품의 비율은 약 55 : 45인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최근 4년간(2007~2010년) 국산 화장품의 시장 점유율이 62%에서 55%로 감소한 반면 수입 화장품의 시장 점유율은 38%에서 45%로 증가한 결과이다.(대한화장품협회 자료)
이번 조사는 8개 국가의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 면세점(한국,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만 해당)에서 이루어졌고 한국의 경우는 병행수입 제품 판매 매장도 포함됐다.
백화점
한국을 포함한 8개 국가의 백화점에서 공통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에센스 6종, 아이크림 5종, 컴팩트 파운데이션 2종, 립스틱 5종 등 총 18종의 구매력평가(PPP: Purchasing Power Parity) 환율을 적용해 백화점 평균 소비자가격을 비교해 본 결과 한국이 8개 국가 중에서 가장 비쌌다. 한국을 100으로 보았을 때 한국(100) > 일본(70.9) > 이탈리아(68.0) > 독일(65.9) > 미국(63.7) > 영국(58.8) > 프랑스(58.5) > 호주(46.4)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이 일본의 1.41배(100/70.9), 호주의 2.16배(100/46.4)라는 결과이다. 이는 시장 전체적인 물가 수준을 고려했을 때 한국 시장에서의 수입 화장품 가격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돼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8개 국가 백화점 화장품 가격 지수 비교(PPP 환율 적용)
▲ 자료 제공 : YWCA, 공정거래위원회 |
면세점
한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면세점 가격을 조사한 4개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에센스 3종, 아이크림 4종, 컴팩트 파운데이션 3종, 립스틱 5종 총 15종의 평균 소비자가격(PPP 환율)을 비교한 결과도 한국을 100으로 보았을 때 한국(100)> 이탈리아(78) > 프랑스(74) > 영국(57)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이 프랑스의 1.35배(100/74), 호주의 1.28배(100/78)인 것으로 나타나 면세점의 경우에도 시장 전체적인 물가 수준을 고려하면 한국 시장에서의 수입 화장품 가격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돼 있음을 알 수 있다.
4개 국가 면세점 화장품 가격 지수 비교(PPP 환율 적용)
▲ 자료 제공 : YWCA, 공정거래위원회 |
인터넷 쇼핑몰
8개 국가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공통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에센스 3종, 립스틱 1종 등 총 4종의 평균 소비자가격을 비교한 결과는 한국을 100으로 보았을 때 한국(100)> 이탈리아(70.3) > 프랑스(64.7) > 독일(62.1) > 영국(61.7) > 미국(53.2) > 호주(42) > 일본(40.6) 순으로 나타나 이 역시 한국이 가장 비쌌다.
한국 내 판매가격은 호주의 2.38배(100/42), 일본의 2.46배(100/40.6)로 나타나 한국의 인터넷 쇼핑몰 가격 차이가 백화점과 면세점보다 더 큰 것으로 집계됐다.
8개 국가 인터넷 쇼핑몰 화장품 가격 지수 비교(PPP 환율 적용)
▲ 자료 제공 : YWCA, 공정거래위원회 |
한편 국내 인터넷 쇼핑몰은 롯데닷컴, 현대H몰, GSeshop 등의 종합 인터넷 쇼핑몰과 G마켓, 옥션, 11번가 등의 오픈마켓 쇼핑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오픈마켓에서 판매되는 병행수입 제품의 경우 같은 제품에 대해서 가격차가 매우 크고 외국에서는 오픈마켓에서의 화장품 판매가 미미한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해 오픈마켓은 이번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