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4 (금)

  • 맑음동두천 -3.8℃
  • 맑음강릉 3.3℃
  • 맑음서울 -0.4℃
  • 맑음대전 -0.9℃
  • 맑음대구 -2.8℃
  • 맑음울산 0.9℃
  • 맑음광주 -1.6℃
  • 맑음부산 0.7℃
  • 맑음고창 -4.4℃
  • 맑음제주 2.5℃
  • 맑음강화 -1.7℃
  • 맑음보은 -5.8℃
  • 맑음금산 -4.7℃
  • 맑음강진군 -3.6℃
  • 맑음경주시 2.2℃
  • 맑음거제 -1.5℃
기상청 제공

기획시리즈

소비자 트렌드 인덱스 (15) 안티에이징 제품

모든 연령대 관심 높고 나이 많을수록 관심도 높아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대한민국이 안티에이징에 열광하고 있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화장품이 일상생활 깊숙이 자리잡은데 이어 시간의 흔적이 느껴지지 않는 피부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화장품 소비자 10명 가운데 9명은 ‘안티에이징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답했으며, 안티에이징을 위한 활동으로는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안티에이징 제품 관련 정보는 주로 홈쇼핑이나 인터넷 쇼핑에서 접했으며, 구매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이뤄졌다. 

코스인코리아닷컴은 마케팅 조사 전문기관인 (주)인사이트코리아와 공동으로 서울에 거주하는 20~40대 여성 각 50명씩 총 150명(기혼여성 75명, 미혼여성 75명)을 대상으로 ‘안티에이징 제품 소비자 동향’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 안티에이징 관심 정도 


소비자 10명 중 9명은 안티에이징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티에이징에 대한 관심 정도를 묻는 질문에 48.0%가 ‘매우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답했으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답변도 44.0%에 달했다. 

반면 안티에이징에 대한 관심도를 ‘보통’이라고 답한 이는 7.3%, ‘관심이 없는 편’이라는 답변은 0.7%에 불과했다. 

안티에이징에 대한 관심도는 연령대와 상관없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40대에서 ‘매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답변이 54.0%로 가장 높았다. 

2. 안티에이징을 위한 관리 활동


소비자들은 안티에이징을 위해 어떤 활동을 하고 있을까?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한다’는 응답이 70.0%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규칙적인 운동(13.3%), 보톡스·필러 등 시술(10.7%), 마사지(6.0%) 순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는 30대에서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한다는 응답이 7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대에서는 기능성 화장품 외에 규칙적인 운동(20.0%)에 비중을 뒀으나, 40대는 운동이나 마사지(각 8.0%)보다는 보톡스·필러 등 시술(12.0%)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3. 안티에이징 제품 관련 정보 입수 경로 


안티에이징 제품과 관련한 정보 입수 경로는 다양하게 조사됐다. 홈쇼핑이나 인터넷 쇼핑(34.0%)에서 얻는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친구나 이웃(23.3%), TV, 라디오(18.7%) 순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패션잡지(8.0%), 화장품 회사의 화보나 간행물(7.3%), 기타(5.3%), 판매사원(5.3%) 순으로 집계됐다.

4. 최근 1년 내 구입 안티에이징 제품


최근 1년 내 구입한 안티에이징 제품(복수응답)으로는 에센스(78.0%)와 크림(75.3%)의 비중이 높았다. 세럼(57.3%)과 앰플(42.7%)의 구입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젤(14.7%), 기타(0.7%) 순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는 20대에서는 크림(84.0%)의 구매 경험이 높게 나타났으나, 30대와 40대에서는 에센스 구매 경험이 많았다. 
 
5. 안티에이징 제품 구매장소


안티에이징 제품 구매는 인터넷 쇼핑몰(36.7%)에서 주로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백화점(26.0%)과 브랜드샵(20.7%)이 뒤를 이었고 약국, 드럭스토어(6.0%)가 마트(4.0%), 홈쇼핑(3.3%), 기타(3.3%)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쇼핑몰 구매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많아져 20대가 28.0%, 30대가 32.0%, 40대가 50.0%로 나타났다. 반면 브랜드샵 구매는 20대가 36.0%, 30대가 18.0%, 40대가 8.0%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용률이 낮아졌다. 또 30대는 백화점(34.0%)에서 높은 구매율을 보였다. 

6. 안티에이징 제품 구입 가격 


소비자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안티에이징 제품 가격은 7만8000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안티에이징 제품 구입 가격에 대한 질문에 5만원~10만원 대 제품을 구입한다는 응답이 32.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10만원~15만원(24.7%), 3만원~5만원(22.0%), 1만원~3만원(13.3%) 제품을 구매한다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15만원 이상의 제품을 구매한다는 응답은 7.3%였으며, 1만원 미만의 제품을 구매한다는 소비자는 0.7%에 불과했다. 
 
20대는 6만원, 30대는 9만3000원, 40대는 8만1000원을 적당한 안티에이징 제품 가격으로 봤다. 20대는 3만원~5만원 제품에 대한 관심이 36.0%로 가장 높았고, 30대는 10만원~15만원(38.0%), 40대는 5만원~10만원(40.0%) 대 제품에 관심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현 사용 안티에이징 제품 만족도


응답자들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안티에이징 제품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약간 만족한다’는 응답이 52.7%로 가장 높았으며 ‘보통이다’는 응답이 37.3%로 뒤를 이었다. ‘매우 만족한다’와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각각 6.7%, 3.3%로 낮았다.  

8. 현 사용 안티에이징 제품 만족 이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안티에이징 제품에 만족하는 이유로는 ‘효과가 뛰어나서’라는 답변이 27.0%로 가장 높았다. ‘사용의 편리성’(23.6%)도 제품 만족 이유로 손꼽혔다. 

이 외에 ‘품질의 좋은 원료 사용’(15.7%), ‘합리적인 가격’(14.6%), ‘선호하는 브랜드’(13.5%)라는 응답 순으로 나타났다. ‘용량이 많아서’라는 응답과 기타 의견이 각각 3.4%와 2.2%로 가장 적었다. 
 
9. 현 사용 안티에이징 제품 불만족 이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안티에이징 제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응답자 10명 가운데 8명이 ‘효과가 약하다’(80.3%)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30대에서는 응답자 전원이 ‘효과가 약하다’는 점을 제품 불만족 이유로 답했다. 

이 외에 ‘용량이 적다’(8.2%), ‘가격이 비싸다’(6.6%), ‘용기나 케이스의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3.3%), ‘기타’(1.6%) 등의 의견이 있었다. 
 
10. 안티에이징 제품 구매 시 고려사항


안티에이징 제품을 구매할 때는 ‘제품 사용 후기 및 평판’(44.7%)를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외에 브랜드의 명성(16.7%), 가격 할인 행사(10.0%), 제조사의 이미지(8.7%), 프로모션 행사(8.7%) 여부도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안티에이징 제품 선호 유형


다양한 안티에이징 제품 가운데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유형은 에센스였다. 응답자의 39.3%가 선호하는 안티에이징 제품 유형으로 에센스를 첫 손에 꼽았으며, 크림(27.3%), 세럼(16.7%), 앰플(14.7%) 등에 대한 선호도 고루 나타났다. 

다만 젤 타입 안티에이징 제품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1.3%만이 ‘선호한다’고 답했고, 연령대별로는 20대의 4.0%만이 선호하는 제품 유형으로 지목했다. 
 
12. 향후 안티에이징 제품 구입 의향
  

향후 안티에이징 화장품 구입 의향에 대해 응답자의 50.7%가 ‘아마 구매할 것이다’라고 답했다. ‘확실히 구매할 것이다’라는 응답도 37.3%로 높게 나타났다. ‘구입할 수도 있고 구입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미온적인 답변은 12.0%에 불과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인사이트코리아 2015 공동 대기획

“화장품 뷰티 소비 트렌드를 잡아라”
 
코스인코리아닷컴과 마케팅 조사 전문 기업 (주)인사이트코리아는 소비자들의 화장품, 뷰티 분야에 대한 소비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소비 트렌드 인덱스인 “화장품 뷰티 소비 트렌드를 잡아라”를 공동 기획했다. 이 기획은 국내 화장품 뷰티 산업과 상품에 대해 선정한 이슈를 인사이트코리아가 운영하고 있는 전문 패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한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들의 화장품 뷰티 트렌드를 분석해 매월 게재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