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3 (목)

  • 맑음동두천 -8.7℃
  • 맑음강릉 -1.8℃
  • 맑음서울 -5.8℃
  • 맑음대전 -4.2℃
  • 맑음대구 -2.2℃
  • 맑음울산 -2.2℃
  • 맑음광주 -1.3℃
  • 맑음부산 -1.6℃
  • 맑음고창 -3.5℃
  • 맑음제주 2.7℃
  • 맑음강화 -8.1℃
  • 맑음보은 -6.2℃
  • 맑음금산 -5.9℃
  • 맑음강진군 -0.7℃
  • 맑음경주시 -2.4℃
  • 맑음거제 -0.3℃
기상청 제공

기획시리즈

소비자 트렌드 인덱스 (19) 네일케어 제품 소비자 동향

제품 정보 ‘입소문’ 전달 브랜드샵 판매 비율 높아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아름다움을 향한 인간의 욕구는 끝이 없다. 머리 끝에서 발 끝까지 꼼꼼히 챙기고 가꾸고 싶은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최근 들어서는 나를 위한 작은 사치가 주목받으면서 그동안 조연에 불과했던 손 끝 관리, 네일케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단순히 건조한 손을 촉촉하고 매끈하게 관리하는 데서 한 발 더 나아가 손톱 하나하나에 영양을 더하고 시즌 별로 색상을 입히는 이들이 늘고 있다. 

네일케어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얼마나 되고, 어떤 이유로 제품을 선택할까?

코스인코리아닷컴은 마케팅 조사 전문기관인 (주)인사이트코리아와 공동으로 서울에 거주하는 20~40대 여성 각 50명씩 총 150명(기혼여성 75명, 미혼여성 75명)을 대상으로 ‘네일케어 제품 소비자 동향’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 네일케어 관심 정도  


네일케어에 대한 관심은 연령대와 상관없이 높은 모습을 보였다. 네일케어에 대한 관심 정도를 묻는 질문에 42.7%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답했으며, ‘매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답변도 40.7%나 됐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10명 가운데 8명이 넘는 이가 네일케어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나타낸 셈이다. 

반면 네일케어에 대한 관심도를 ‘보통’이라고 답한 이는 12.7%, ‘관심이 없는 편’이라는 응답은 3.3%, ‘전혀 관심이 없다’는 응답은 0.7%에 불과했다.  
 
2. 네일케어 제품 관련 정보 입수 경로  


네일케어 제품 관련 정보 입수 경로에 관한 질문에 주로 친구나 이웃(30.7%)을 통해 듣는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 ‘입소문’ 효과를 실감케 했다. 

이어 홈쇼핑이나 인터넷 쇼핑(19.3%), TV, 라디오(15.3%), 패션잡지(14.7%)를 통해 제품 관련 정보를 얻는다는 답변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화장품 회사의 화보나 간행물(6.0%), 판매사원(3.3%)을 통한 제품 홍보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친구나 이웃’에게 제품 관련 정보를 얻는다는 답변(20대 38.0% > 30대 32.0% > 40대 22.0%)은 낮아졌다. 반면 ‘TV, 라디오’(20대 8.0% < 30대 12.0% < 40대 26.0%)와 ‘패션잡지’(20대 10.0% < 30대 16.0% < 40대 18.0%)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3. 최근 1년 내 구입한 네일케어 제품 유형


최근 1년 내 네일케어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 10명 중 9명은 매니큐어를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 답한 이들 가운데 90.7%가 최근 1년 내 구입한 네일케어 제품으로 ‘매니큐어’를 첫 손에 꼽았다. 

이어 네일 영양제(66.7%)와 젤네일(59.3%), 네일 스티커(54.0%)를 구입했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4. 네일케어 제품 구매 장소


소비자들이 네일케어 제품을 구매하는 ‘핫 플레이스’는 브랜드샵으로 조사됐다. 브랜드샵에서 네일케어 제품을 구입한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55.3%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인터넷 쇼핑몰(20.7%), 약국, 드럭스토어(12.0%), 백화점(5.3%), 홈쇼핑(4.0%), 마트(2.0%) 순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샵에서의 구매는 연령대와 상관없이 높은 모습을 보였으나 특히 20대가 60.0%, 30대 54.0%, 40대 52.0%로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구매율도 높아졌다. 반면 인터넷 쇼핑몰에서에서는 20대 14.0%, 30대 22.0%, 40대 26.0% 등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구매율이 낮아져 브랜드샵 구매 패턴과는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5. 네일케어 제품 구입 가격


소비자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네일케어 제품 가격은 1만3천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네일케어 제품 구입 가격에 대한 질문에 5천원~1만원 대 제품을 구입한다는 응답이 35.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1천원~5천원(28.7%), 1만원~3만원(26.7%) 대 제품을 구매한다는 답변 순으로 조사됐다. 

3만원~5만원(5.3%), 5만원 이상(4.0%) 제품을 구입한다는 의견은 소수에 불과했다. 

연령대별로 20대는 9천원, 30대는 1만4천원, 40대는 1만6천원을 적당한 제품 가격으로 봐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제품의 가격대도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1천원~5천원대 제품에 대해 20대의 46.0%가 높은 관심을 보였으나 30대 26.0%, 40대는 14.0% 등 관심도가 낮아졌다. 20대는 또 전 연령대 가운데 유일하게 5만원 이상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4.0% 가량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6. 현 사용 네일케어 제품 만족도 


소비자들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네일케어 제품에 대해 만족하고 있을까? 설문조사 결과 그 대답은 ‘네’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약간 만족한다’는 응답이 58.0%로 가장 높았으며 ‘보통이다’는 응답이 29.3%로 뒤를 이었다. ‘매우 만족한다’는 응답은 11.3%였으며 ‘만족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1.3%에 그쳤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약간 만족한다’는 응답(20대 52.0% < 30대 54.0% < 40대 68.0%)이 늘어났으며, ‘매우 만족한다’는 답변(20대 20.0% > 30대 10.0% > 40대 4.0%)은 줄어들었다. 

7. 현 사용 네일케어 제품 만족 이유 


그렇다면 소비자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네일케어 제품에 만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현재 사용하고 있는 네일케어 제품에 만족하는 이유에 대해 ‘가격이 합리적이다’라는 점을 꼽은 이가 33.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사용의 편리성’(27.9%), ‘뛰어난 효과’(19.2%)가 뒤를 이었다. 

‘선호하는 브랜드’라거나 ‘품질이 좋은 원료 사용’, ‘마음에 드는 용기나 케이스 디자인’ 등에 대해서는 5.8%의 고른 평가가 있었다. 

연령별로 20대는 ‘합리적인 가격’에 높은 점수를 줬고, 30대는 ‘뛰어난 효과’, 40대는 ‘사용의 편리성’이 제품에 만족하는 이유라고 답했다. 

8. 현 사용 네일케어 제품 불만족 이유


현재 사용하고 있는 네일케어 제품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이가 ‘효과가 약하다’(45.7%)는 점을 지적했다. 또 ‘용량이 적다’(17.4%)는 것도 제품에 불만족하는 이유로 꼽혔다. 

이외에 ‘사용이 불편하다’, ‘가격이 비싸다’, ‘선호하는 브랜드가 아니다’, ‘품질이 좋지 않은 원료가 들어갔다’는 데는 각각 6.5%의 동일한 응답이 있었고, ‘용기나 케이스의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 의견은 4.3%였다. 

20대와 30대는 ‘효과가 약하다’는 데 높은 불만을 표했으며, 40대는 이보다는 ‘용량이 적다’는데 불편함을 느끼는 이가 많았다. 

9. 네일케어 제품 구매시 고려 사항


네일케어 제품을 구매할 때는 ‘가격 할인 행사’(31.3%)를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제품 사용 후기 및 평판’(28.7%)도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주변 사람의 추천’, ‘제조사의 이미지’, ‘다양한 제품의 품목’, ‘프로모션 행사’, ‘브랜드의 명성’, ‘사은품 증정 여부’에 대해서는 10% 미만의 응답율을 보였다. 

특히 ‘주변 사람의 추천’은 9.3%만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친구나 이웃을 통해 주로 네일케어 제품 관련 정보를 얻더라도 구매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제3자에 가까운 이들이 작성하는 ‘제품 사용 후기 및 평판’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해 시선을 모았다. 

10. 네일케어 제품 선호 유형  


다양한 네일케어 제품 가운데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유형은 매니큐어(52.0%)였다. 이어 젤네일(30.7%), 네일 영양제(13.3%), 네일스티커(4.0%)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20대와 40대는 매니큐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나, 30대는 상대적으로 젤네일에 대한 선호도가 타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 30대 응답자의 18.0%가 네일 영양제에 대해 선호한다고 밝혀 각각 16.0%, 6.0%에 그친 40대, 20대와 비교됐다. 

11. 향후 네일케어 제품 구입 의향 


향후 네일케어 제품 구입 의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적극적인 구매 의사를 밝혔다. ‘확실히 구매할 것이다’라는 응답이 46.0%로 ‘아마 구매할 것이다’라는 응답 42.7%를 근소한 차이로 앞섰다. 

이러한 긍정적인 구매 의사는 ‘구매할 수도 있고 구매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미온적인 응답(10.0%)이나 ‘아마 구매하지 않을 것이다’(0.7%) 혹은 ‘절대 구매하지 않을 것이다’(0.7%) 등 부정적인 답변과 큰 격차를 보였다. 

 

코스인코리아닷컴-인사이트코리아 2015 공동 대기획

 “화장품 뷰티 소비 트렌드를 잡아라”

 

코스인코리아닷컴과 마케팅 조사 전문 기업 (주)인사이트코리아는 소비자들의 화장품, 뷰티 분야에 대한 소비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소비 트렌드 인덱스인 “화장품 뷰티 소비 트렌드를 잡아라”를 공동 기획했다. 이 기획은 국내 화장품 뷰티 산업과 상품에 대해 선정한 이슈를 인사이트코리아가 운영하고 있는 전문 패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한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들의 화장품 뷰티 트렌드를 분석해 매월 게재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