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새해, 신학기, 기념일 등을 맞아 화장품 세트를 선물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화장품 세트는 스킨, 로션, 크림 등 가장 기본적이고도 실용적인 구성을 시작으로 부모님을 위한 안티에이징, 보습, 화이트닝 제품과 새내기 대학생, 직장인들을 위한 쿠션 화장품 세트, 남성들을 위한 제품까지 다양한 구성으로 출시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화장품 세트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어디에서 주로 입수하며 어떤 제품을 가장 선호할까?
코스인코리아닷컴은 마케팅 조사 전문기관인 (주)인사이트코리아와 공동으로 서울에 거주하는 20~40대 여성 각 50명씩 총 150명(기혼여성 75명, 미혼여성 75명)을 대상으로 ‘화장품 세트 제품 소비자 동향’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 화장품 세트 관련 정보 입수 경로
소비자들은 화장품 세트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주로 홈쇼핑이나 인터넷 쇼핑(48.0%)을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TV, 라디오(17.3%)’, ‘친구나 이웃(16.7%)’을 통해 제품 관련 정보를 얻는다는 답변 비율이 높았다.
이밖에 ‘화장품 회사의 화보나 간행물(7.3%)’이나 ‘판매사원(5.3%)’, ‘패션잡지(4.7%)’를 통한 정보 입수에 대해서는 10% 미만의 응답률을 보였다.
화장품 세트 제품에 대한 정보 입수와 관련해 ‘홈쇼핑이나 인터넷 쇼핑’을 제외하고 20대는 ‘친구나 이웃(18.0%)’을 통해 정보를 얻는다는 답변이 높았다. 이에 반해 30, 40대 응답자들은 ‘TV, 라디오(30대 22.0%, 40대 24.0%)’를 통한 정보 입수 비율이 ‘친구나 이웃’에 비해 높았다.
2. 화장품 세트 제품 구매 장소
화장품 세트 제품 구매는 주로 인터넷 쇼핑몰(37.3%)을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백화점(27.3%)과 브랜드숍(18.7%), 홈쇼핑(13.3%) 등을 통해 구매가 이뤄졌다.
백화점은 화장품 등 선호도가 높은 상품을 중심으로 GIFT 제안전 등 선물세트 구성과 다양한 사은행사를 마련하는 경우가 적지 않고 브랜드숍은 합리적인 가격대의 기획세트가 소비자의 구매를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홈쇼핑의 경우 다른 화장품 유통채널에 비해 세트 구성 판매가 많이 이뤄지고 있는 점이 이 같은 수치를 뒷받침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마트나 약국, 드럭스토어에서 화장품 세트 제품을 구매했다는 응답은 전체의 2.7%, 0.7%에 그쳤다.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화장품 세트 제품 구매는 연령대와 상관없이 높은 모습을 보였으며, 20대는 브랜드숍(32.0%), 30대는 백화점(36.0%), 40대는 홈쇼핑(22.0%)에서 화장품 세트 제품을 구매한다는 응답이 타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3. 화장품 세트 제품 구입 가격
소비자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화장품 세트 제품 가격은 7만4천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화장품 세트 제품 구입 가격에 대한 질문에 10만원 이상 제품을 구입한다는 응답이 4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만원~10만원(31.3%), 3만원~5만원(20.0%), 1만원~3만원(6.7%), 1만원 이하(0.7%) 제품을 구매한다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 20대는 6만 5천원, 30대는 7만 3천원, 40대는 8만 5천원을 적당한 화장품 세트 제품 가격으로 제시했다.
20대는 3만원~5만원(32.0%), 5만원~10만원(32.0%) 대 제품에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고, 30대와 40대는 10만원 이상 제품에 대한 관심이 각각 40.0%, 58.0%로 가장 높았다.
4. 화장품 세트 제품 구입 이유
화장품 세트 제품을 구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 응답자 10명 가운데 5명이 ‘다양한 구성과 합리적인 가격이 마음에 들어서(56.7%)’라고 답했다. 이어 ‘한가지 제품 라인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18.7%, ‘친구나 연인에게 생일, 기념일 선물을 하기 위해서’라는 답변이 18.0%, ‘설, 추석 등 명절 선물로’라는 응답이 6.0%로 조사됐다.
5. 화장품 세트 제품 구매시 고려 사항
소비자들은 화장품 세트 제품을 구매할 때 ‘가격 할인 행사(25.3%)’와 ‘제품 사용 후기 및 평판(22.0%)’, ‘브랜드의 명성(16.0%)’ 등 3가지를 중요하게 살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주변 사람의 추천, 제조사의 이미지, 다양한 제품의 품목, 프로모션 행사, 사은품 증정 여부, 매장 이미지 등이 구매에 영향을 미쳤다.
연령대 별로 20대와 30대는 화장품 세트 제품 구매시 ‘제품 사용 후기 및 평판’을 주로 살피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40대는 ‘제품 사용 후기 및 평판’보다는 ‘가격 할인 행사’나 ‘브랜드의 명성’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6. 화장품 세트로 선호하는 제품 구성
화장품 세트는 ‘다양한 구성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이 가운데서도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화장품 세트 구성은 스킨, 로션 등 기초 화장품(56.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최근 명절이나 각종 기념일에 부모님 선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안티에이징 등 기능성 화장품 세트(23.3%)와 각 브랜드들이 베스트셀러 제품으로 구성한 화장품 세트(18.7%)가 인기를 끌었다.
안티에이징 등 기능성 화장품 세트는 특히 40대의 34.0%가 ‘선호하는 화장품 세트 구성’으로 꼽았고 각 브랜드 베스트셀러 제품은 30대의 26.0%가 선택했다.
7. 현재 사용 화장품 세트 제품 만족도
소비자들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세트 제품에 대해 만족하고 있을까? 이 같은 질문에 응답자 10명 가운데 8명이 ‘만족한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구체적으로 ‘약간 만족한다’는 응답이 71.3%로 가장 많았으며 ‘보통이다’는 응답이 15.3%로 뒤를 이었다. ‘매우 만족한다’는 응답은 12.0%였으며 ‘만족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1.3%에 그쳤다.
8. 현재 사용 화장품 세트 제품 만족 이유
소비자들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세트 제품에 만족하는 이유로 ‘다양한 구성’과 ‘합리적 가격’을 꼽았다. 응답자의 42.4%가 ‘구성이 다양하고 실속이 있다’는 점을 제품 만족 이유로 선택했으며 40.8%는 ‘가격이 합리적이다’라는 점에 높은 점수를 줬다.
이에 반해 ‘효과가 뛰어나다(12.0%)’, ‘선호하는 브랜드(4.8%)’라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령대 별로 20대는 ‘다양한 구성’과 ‘합리적 가격’에 각각 40.5%의 응답율을 보였고 30대는 ‘다양한 구성(38.6%)’보다는 ‘합리적 가격(40.9%)’에, 40대는 ‘합리적 가격(40.9%)’보다는 ‘다양한 구성(47.7%)’을 선택했다.
9. 현재 사용 화장품 세트 제품 불만족 이유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세트 제품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 10명 가운데 4명은 ‘구성이 단조롭고 실속이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어 ‘효과가 약하다(28.0%)’, ‘가격이 비싸다(24.0%)’는 점도 제품에 불만족하는 이유로 꼽혔다.
특히 40대의 경우 ‘구성이 단조롭고 실속이 없다(16.7%)’는 점보다 ‘가격이 비싸다(50.0%)’, ‘효과가 약하다(33.3%)는 점에 대해 불편함을 느낀 것으로 조사됐다.
10. 향후 화장품 세트 제품 구입 의향
향후 화장품 세트 제품 구입 의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다소 긍정적인 구매 의사를 밝혔다. ‘아마 구매할 것이다’라는 응답이 62.0%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한 것. 이어 ‘확실히 구매할 것이다’라는 응답이 19.3%로 뒤를 이었다.
‘구매할 수도 있고 구매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미온적인 답변이나 ‘아마 구매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부정적인 답변은 각각 18.0%, 0.7%에 그쳤다.
화장품 세트 제품에 대해 ‘확실히 구매할 것이다’라는 강력한 구매 의사는 20대(14.0%)보다는 30대(22.0%)와 40대(22.0%)에서 높았다. 또 ‘아마 구매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부정적인 답변을 한 것은 20대(2.0%)가 유일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인사이트코리아 2016 공동 대기획 “화장품 뷰티 소비 트렌드를 잡아라” 코스인코리아닷컴과 마케팅 조사 전문 기업 (주)인사이트코리아는 소비자들의 화장품, 뷰티 분야에 대한 소비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소비 트렌드 인덱스인 “화장품 뷰티 소비 트렌드를 잡아라”를 공동 기획했다. 이 기획은 국내 화장품 뷰티 산업과 상품에 대해 선정한 이슈를 인사이트코리아가 운영하고 있는 전문 패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한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들의 화장품 뷰티 트렌드를 분석해 매월 게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