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스인코리아닷컴 서예진 기자] “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세가지 포인트는 ‘화이트닝’, ‘친숙한 이미지 구축’, ‘한류’다. 이 세가지를 성공적으로 공략해야 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코스인(대표 길기우)에서 한국무역협회와 공동주관으로 국내 기업들이 중점을 두고 있는 해외 화장품 시장인 인도네시아 진출과 관련한 ‘2016 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 성공진출 해법 세미나’을 6월 28일 코엑스 컨퍼런스룸 403호에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 전문가를 초청해 ▲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 동향과 향후 전망, 소비 트렌드 ▲인도네시아 화장품 제도법규와 할랄인증제도, 수출관련 규정 ▲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 인기 제품 동향, 유통 플랫폼, 마케팅 핵심 전략 ▲한국 브랜드 마케팅 사례 분석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 진출에 관한 사항을 공유했다.
네번째로 발표에 나선 나성민 함께함트 대표는 ‘한국 화장품 업체의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 사례와 마케팅 성공 전략’이라는 내용을 주제로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사례를 설명했다.
나 대표는 우선 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에 대해 ▲최근 매년 약 15% 내외의 성장세 ▲2013년 시장 규모는 약 10억달러 ▲주요 소비층은 15~64세 여성 ▲소비인구 매년 1.3$~1.4$씩 증가 ▲15~64세의 남성 소비인구도 눈에 띄게 증가 ▲수입제품이 전체의 약 13% 차지 ▲2012년 인도네시아 화장품 산업 수출 규모는 약 8억900만달러 ▲인도네시아 화장품 기업 약 800개 ▲화장품 산업 종사자 약 7만5000명이라고 분석했다.
우선 한국 화장품의 성공 마케팅 전략에 대해 덥고 습한 열대성 기후를 고려한 ‘무결점 피부, 화이트닝 제품’에 초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나 대표는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인종적인 특징 뿐 아니라 항상 태양에 노출돼 있기에 피부가 까무잡잡한 편”이라며 “그들은 하얗고 잡티없는 피부를 선망한다”고 설명했다.
이에따라 라네즈, 에뛰드 하우스 등의 브랜드가 화이트닝 제품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인기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하얀 피부를 선망의 대상으로 삼는 인도네시아 여성의 심리를 잘 분석해 화이트닝 제품을 선보이고 무결점 메이크업 하는 방법을 홍보수단으로 사용한 것이다.
라네즈는 지난 2013년 인도네시아에 진출해 고급 몰에 입점했으며 인도네시아 어 웹사이트를 운영했다. 나 대표는 라네즈의 화이트닝 제품이 큰 인기를 끌었다고 밝혔다.
특히 라네즈에서 운영하는 ‘스쿨 오브 케이뷰티’는 홈페이지에 다양한 동영상을 업로드해 화장하는 법 등을 알려주고 있어 화장을 배우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평가를 얻고 있다고 한다. 이외에도 전문 메이크업 아티스트들이 화장법을 강의하는 동영상도 많이 업로드한다.
아모레퍼시픽 계열사 중 가장 빨리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에뛰드 하우스도 한국에서는 색조 화장품으로 유명함에도 화이트닝 제품을 어필하고 있다. 현재 32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Beautify Me' 프로그램을 운영해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소비자들이 에뛰드 하우스 제품을 사용하기 전과 후의 사진들을 일련의 과정을 찍어서 설명과 함께 올리는 코너다. 앞서 라네즈의 ‘스쿨 오브 케이뷰티’이 전문성을 강조하는 대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마케팅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 |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