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8 (토)

  • 맑음동두천 6.8℃
  • 구름조금강릉 10.1℃
  • 맑음서울 10.7℃
  • 박무대전 9.0℃
  • 맑음대구 8.8℃
  • 맑음울산 9.4℃
  • 맑음광주 10.8℃
  • 맑음부산 13.3℃
  • 구름많음고창 7.7℃
  • 구름많음제주 14.0℃
  • 맑음강화 7.5℃
  • 구름조금보은 6.9℃
  • 구름조금금산 6.6℃
  • 맑음강진군 8.3℃
  • 맑음경주시 6.0℃
  • 맑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2020년 11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

11월 총 130건 공개, 해외특허 41건 32% 차지, '주름개선, 탄력개선' 12건 최다, '항염증, 아토피성' 11건 공개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0년 11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0년 11월 공개된 한국특허는 모두 130건으로 10월 140건에 비해 10건이 줄었으며 이 가운데 해외특허는 41 건으로 전체 특허의 32%를 차지하고 있어 전체 비율은 10월과 비슷했다.

 

11월 공개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주름개선, 탄력 개선’ 분야가 12건으로 가장 많았고 ‘항염증, 아토피성’ 분야가 11건, ‘항노화, 항산화’ 분야 10건, ‘발모, 육모, 탈모방지’ 분야 10건, ‘장치, 기기’ 분야 8건, ‘피부미백’ 분야 7건, ‘안료, 색소, 색조 화장품’ 분야 6건, ‘마스크 팩, 마스크’ 분야 6건,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5건, ‘피부 진정, 피부 개선’ 분야가 5건을 공개했다. 전체적으로 주름개선과 항염증, 항노화, 항산화, 발모, 육모, 피부미백의 특허가 많이 공개됐고 그 다음으로 색조, 마스크팩, 항균, 피부개선, 장치 분야의 특허가 많이 발표됐다.

 

내용적으로는 ‘피부미백’ 분야에서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 유래 유산균(순천향대)과 반하, 쑥부쟁이 유래 캘러스 추출물 및 그 배양액(제너럴바이오)을 피부미백의 유효성분으로 하는 특허가 각각 2건씩 발표됐다. 또 팔리다자주닭개비 추출물(계명대), 인삼 부산물 추출물의 산처리물(문은주), 우유 엑소좀(경희대)도 피부미백의 유효성분으로서 보고됐다.

 

‘주름개선, 탄력개선’ 분야에서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한국화학연구원) 특허와 함께 증삼액 가공물(한국인삼공사), 아스코르빈산(리즈케이), 페디오코쿠스 이노피나투스(한국한의학연구원), 탈수소 트라메테놀릭산 및 컴파운드 K(아모레퍼시픽) 가 유효성분으로서 보고됐다. ‘자외선 차단’ 분야에서는 아모레퍼시픽에서 개선된 피지 흡유능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복합 제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발표했고 자외선과 블루라이트 차단용 폴리스티렌계 고분자(한국과학기술원)도 공개됐다.

 

‘항노화, 항산화’ 분야에서는 발효오디추출물, 하수 오발효추출물, 발효복분자추출물, 죽순껍질추출물, 포트마리골드추출물(라피끄), 은행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으며 세노테라피용 조성물 특허(전남대)도 발표됐다. ‘항오염 화장품’ 분야에서는 다시마 발효물(제주대)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다. ‘항염증, 아토피성, 항알레르기성’ 분야에서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디오스민, 디코토민류 또는 베타-시토스테 롤-3-O-글리코시드를 포함하는 피부염 예방 특허 2 건을 공개했고 전해환원된 온천탄산수(제이알유니버셜), 스트렙토코커스 파이오제네스 세균 유래 단백질의 피부염 용도(엠디헬스케어) 특허와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한국원자력연구원), 절패모의 추출물, 로즈마리 유래 카르노솔이 유효성분으로 공개됐다.

 

‘항균제, 항종양제’ 분야에서는 연세대에서 피부섬 유증의 예방, 치료용 조성물 특허와 MMP 고발현에 의한 질환의 예방, 치료용 조성물 특허를 공개했다. 또 항균 조성물로서 상동나무 추출물(안동대), 키토산-만델산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손태원), 메틸 갈레이트 및 플로로퀴놀론 계열 항균제(경북대) 특허가 보고됐다.

 

‘줄기세포’ 분야에서는 불멸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풍부 배양액(충북대)과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액(에스씨엠생명과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발표됐다. ‘나노입자’ 분야에서는 아스타잔틴 나노입자(사라앤수)가 보고됐고, ‘피부 진정, 피부 개선’ 분야에서는 잣나무 추출물(피러스), 세리포리아 라마리투스 균주 배양물(김병천 외), 기능성 리포펩타이드(바이오 에프디엔씨), 병풀 무균 숙성액(크릴랜드 외) 특허가 발표됐다.

 

‘각질제거, 스크럽제’ 분야에서는 다각뿔 형상의 수용성 미세 침상체 스크럽 입자(파이안에스테틱스)가 보고됐고 ‘용해도 개선’ 분야에서는 난용성 성분 안정 화용 조성물(엘지생활건강) 특허가 공개됐다. ‘약물전달, 경피흡수’ 분야에서는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을 증가시키는 조성물(메가코스)과 다당류-이황화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소재용 모노올레인 나노 큐빅상(강원대) 특허가 공개됐다.

 

‘발모, 육모, 탈모방지’ 분야에서는 닥터스칼프에서 두피관리와 탈모예방 관련특허 5건을 발표했고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HAPLN1(하플사이언스), 베르가모틴(두웰바이오), 트롤록스-펩타이드 결합체(케어젠)와 엽록소가 제거된 식물 추출물(배용태 외)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다. ‘샴푸, 린스, 세정제’ 분야에서는 컨디셔닝 샴푸(엘지생활건강), 이세치오네이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고체 샴푸(아모레퍼시픽)가 발표됐다.

 

‘립스틱, 마스카라, 눈 화장’ 분야에서는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엘지생활건강)와 코스맥스에서 섬유상 파이버를 포함하는 분말 화장료 특허와 발림성이 우수한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특허를 공개했다. ‘안료, 색소’ 분야에서는 누에고치 분말을 이용한 색조 화장품(농촌진흥청장)과 신규한 화장료 색재(엘지생활건강)가 보고됐다. ‘매니큐어’ 분야에서는 코스맥스에서 필 오프 타입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특허와 비누화 베이스를 포함하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특허를 공개했다.

 

‘마스크 팩, 마스크’ 분야에서는 해양식물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에이치비엘글로벌),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시트(셀바이오휴먼텍),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코스맥스), 마스크시트 제조 방법(아모레퍼시픽) 특허가 발표됐다. ‘향료, 정유’ 분야에서는 코스맥스에서 각성, 숙면에 도움을 주는 천연오일 조성물 특허 2건과 ‘장치, 기기’ 분야에서 화장품 제조용 자성 몰드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코스맥스) 특허를 공개했다.

 

한편, 해외에서 2020년 11월 공개된 특허는 프랑스가 1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일본이 10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독일과 이탈리아는 각 4건, 중국과 미국이 각 3 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10월에는 미국이 16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를 공개했으나 11월에는 프랑스가 가장 많은 특허를 공개했지만 그 중에서 7건이 화장품 장치에 대한 내용이었으며 일본은 10건으로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해외 특허의 내용을 살펴보면, 프랑스에서는 항노화 성분으로 임모르텔의 에센셜 오일과 임모르텔 껍질의 유성 추출물(라보하뜨와 엠에엘)을 보고했고 엘브이 엠에이취 러쉐르쉐에서는 피부상재균 균형을 위해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추출물,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과 프리바이오틱와 프로바이오틱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특허 3건을 공개했다.

 

또 계면활성제 종을 반전제로서 포함하는 증점 자가-가역성 인버스 라텍스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으며 로레알은 투명한 설페이트 무함유 계면활성제 기반 세정제 조성물 특허와 메이크업을 위한 조성물 특허 각 1 건, 그리고 화장용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특허 7 건을 공개했다.

 

한편, 일본에서는 오염방지용 피부외용제 특허(도요보)와 사용감 개선을 위한 질화붕소 분말 특허(덴카)가 공개됐으며 도끼와에서 유성 겔상 화장료 특허와 수성 화장료 특허 각 1건을 발표했다. 또 고형 화장료(고큐 아르코르 고교), 화장료용 백색 안료로서 인산티타늄 분체(후지미인코퍼레이티드), 화장료 특허(신에쓰가가꾸 고교)가 공개됐으며 미쓰비시 엔피쯔에서 화장료용 안료 분산액 특허 2건, 라이온에서 치마제 조성물 특허 1건을 공개했다.

 

독일에서는 세라마이드, 스핑고이드 베이스 및 트리 에틸 시트레이트를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에보닉 오퍼레이션스)과 피부 및 모발관리를 위한 단백질 추출물(시므라이즈), 모발관리 조성물(바스프), 코팅된 착색된 헥토라이트를 기재로 하는 효과 안료(알타나아게) 특허가 보고됐다. 이탈리아에서는 마텍스 랩에서 히알루론산 염기를 가지는 필러의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 4건을 공개했다.

 

미국에서는 주름개선을 위한 주사용 보툴리눔 독소 제제(레반스 테라퓨틱스), 항염증용 국소 피부관리 조성물(오큐소프트), 스킨케어 조성물(다니스코 유에스) 특허가 보고됐고 중국에서는 여드름 제거용 페이셜 마스크 특허 2건과 비만치료를 위한 GLP-1 조성물(상하이 베네마에 파머수티컬) 특허가 발표됐다. 이 밖에도 네덜란드에서 보습을 위한 국소 조성물(디에스엠), 스페인에서 화장품용 펩티드(리포트루) 특허를 보고했다.

 

# 피부미백


6. 반하 유래 캘러스 추출물 및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등록번호 : 10-2234296-0000, 제너럴바이오(주), 2020. 11. 5) https://doi.org/10.8080/1020190048695

 

이 발명은 반하(Pinellia ternata) 유래 캘러스 추출물과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반하 유래 캘러스를 이용함에 따라 인체에 사용했을 경우 독성이 없어 높은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는 등 피부 미백활성에 대한 효과가 우수하고 이를 화장수, 수용성 리퀴드, 크림, 젤, 에센스, 에멀젼 등의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식물을 채집하는 것이 아니라 식물세포 배양을 통해 원료를 취득하므로 원료의 생산성과 효능의 일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반하 식물체 절편의 조직배양을 통해 캘러스를 취득한 후에(실시예1), 반하 유래 캘러스 추출물의 B16F10 세포에서의 미백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림1과 같이 반하 유래 캘러스 추출물은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했다. 상기 추출물이 29.8ug/mL 농도인 경우 멜라닌 합성률이 50%로 감소됨(IC50)을 확인했고, 그림2와 같이 상기 추출물이 50u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했다(실험예1).

 

그림1 반하 유래 캘러스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효과

 

 

# 주름개선, 탄력개선

 

65.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등록번호 : 10-2213396-0000, 한국화학연구원, 2020. 11. 4) https://doi.org/10.8080/1020190048991

 

이 발명은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는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함으로써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물에 대한 낮은 용해성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안정성이 우수하며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해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산화가 억제되므로 안정성이 우수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해제와 항산화제를 달리 하여 실시예1~3, 비교예1~2의 나노입자를 제조해 입자 사이즈를 평가한 결과,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하는 경우는 입자 사이즈가 작으므로 글리콜류 용해제를 포함하는 경우보다 나노입자의 피부투과율이 높아져 주름개선 효능발현 개선이 기대된다. 또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하는 경우가 글리콜류 용해제를 포함하는 경우보다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이 우수하고 항산화제 2가지를 포함하는 경우가 항산화제를 포함 않거나 1가지를 포함하는 경우보다 레티놀의 산화방지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실험예1).

 

또 항산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보다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이 우수하고 글리 콜류 용해제보다는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하는 것이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이 우수했다(실험예2).

 

그림1 본 발명의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의 구조

 

 

92. 탈수소 트라메테놀릭산 및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0-0127661, (주)아모레퍼시픽, 2020. 11. 11) https://doi.org/10.8080/1020190052227

 

이 발명은 탈수소 트라메테놀릭산과 컴파운드 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탈수소 트라메테놀릭산과 컴파운드 K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피부세포 증식, 콜라겐 생성촉진, 리포푸신(Lipofuscin) 축적억제 효과가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Chemfaces사에서 구매한 화학식1의 탈수소 트라메테놀릭산을 비교예1로 하고, Ambo Institute사에서 구매한 화학식2의 컴파운드 K를 비교예2로 하고, 상기 탈수소 트라메테놀릭산과 상기 컴파운드 K를 1 : 7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실시예1로 하여 피부세포 증식효과와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를 조사했다.

 

그 결과, 실시예1은 비교예1~2보다 피부세포 증식효능,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능이 약 1.61~1.81배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표1~2, 시험예1~2). 또 피부세포 내리포푸신 축적억제 효과도 실시예1은 비교예1~2보다약 1.81~1.89배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표3, 시험예3).

 

# 자외선 차단

 

88. 개선된 피지 흡유능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0-0132142, (주)아모레퍼시픽, 2020. 11. 25) https://doi.org/10.8080/1020190057114

 

이 발명은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이 분산된 안정화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보울(bowl) 형태의 비다공성 마이크로 입자를 포함하는 피지조절용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발명은 난용성인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보울 형태의 마이크로 입자로 포함함으로써 높은 피지 흡유능을 가지며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낸다. 실시예 1에서 본 발명의 보울 형태의 마이크로 입자를 제조해 SEM으로 관찰한 결과, 그림1과 같이 둥근 그릇 모양의 특징적인 구조를 갖고 있으며 오일 흡유량과 침투 부피를 측정한 결과는 표1 과 같다(실시예1).

 

상기 조성물의 사용감을 분석한 결과, 발림성은 그림 2와 같이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파우더별 마무리감은 그림3과 같이 조금씩 다른 경향을 나타냈으나 실시예2와 비교예5(Art-pearl)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세부 사용감을 비교한 결과, 그림4~5와 같이 실시예2가 비교예3(Vehicle)보다 더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면서도 흡수 후의 유분감, 잔여감, 끈적임 등이 매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시예2의 보울 형태의 마이크로 입자가 피부의 피지를 흡유해 더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1 본 발명의 보울 형태의 마이크로 입자(a, b), 비교예인 다공성 PMMA 구형입자(c, d), 비다공성 PMMA 구형입자(e, f)의 SEM 이미지

 

 

# 항오염, 방진 화장품

114. 오염방지제 및 피부외용제 (공개번호 : 10-2020-0128063,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일본), 2020. 11. 11) https://doi.org/10.8080/1020207027396

 

이 발명은 미생물이 생산하는 발효물인 만노실에리트 리톨리피드(MEL)를 유효성분으로 한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오염 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는데 유용한 오염 방지제와 해당 오염방지제를 함유한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MEL의 자기 조직화능을 이용해 피도포 물질 표면에 MEL을 포함하는 오염방지층을 형성함 으로써 피도포 물질에 대한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흡착, 침입을 방해하는 것이며 피부의 손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 오염방지제로서 유효하다.

 

실시예1에서 Pseudozyma tsukubaensis(NBRC 1940)를 배양, 분배, 분취, 농축해 정제 MEL-B를 얻었다. 실시예2에서는 표1의 조성으로 피검 시료를 조제한 다음, 인공피부모형 바이오스킨을 사용해 유수처리 전후의 사진을 촬영해(그림1) 도시대기분진 제거율을 산출한 결과, 그림2와 같이 MEL-B를 포함한 피검 시료를 도포한 경우에는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바이오스킨에 부착된 도시대기 분진이 유의미하게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MEL-B가 바이오스킨 표면에서 자기 조직 화해 친수기끼리, 소수기끼리가 정연하게 배열된 층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미소 입자상 물질의 부착예방 효과를 발휘하고 유수 노출 시에 도시대기분진이 효율적으로 탈락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1 유수 처리 후의 MEL-B의 오염방지 효과

 

 

# 항염증, 아토피성, 항알레르기성

 

51.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 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0-0125047, 한국원자력연구원, 2020. 11. 4) https://doi.org/10.8080/1020190048732

 

이 발명은 화학식(I)로 표현되며 세포 독성이 현저히 감소되면서도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학식(Ia)로 표현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크리신(Chrysin)에 대한 방사선 조사에 의해 크리신의 방사선 조사 생성물로써 획득될 수 있다. 크리신 용액에 감마선을 조사해 크리신 유도체1과 2가 생성된 것을 확인했으며 유도체1을 비교예1, 유도체2를 실시예1로 지칭했다(그림1).

 

실시예1의 화합물 (Ia)는 화학식이 C17H16O5이며 화학명은 4-(히드록시메톡시)-2-페닐-4H-크로 멘-5,7-디올(4-(hydroxymethoxy)-2-phenyl-4Hchromene-5,7-diol)로 판명됐다(실험예1). 실시예1 화합물의 항염증 효능을 평가한 결과, LPS로 유도되는 NO와 사이토카인(그림3(b)), 그리고 표면분자(surface molecules, 그림3(c))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세포독성을 비교한 결과, 비교예1 화합물 처리 군에서는 세포독성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실시예1 화합물 처리군에서는 세포독성 없이 우수한 항염 효과가 발현됐다(그림3(a), 실험예2). 실험예3~4에서는 실시예1 화합물의 염증성 질환에 대한 치료효과와 DNCB 처리 마우스에서 Th1-, Th2-, Th17-사이토카인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그림1 방사선 조사로 인해 생성된 크리신 유도체1과 2

 

 

# 줄기세포


94. hPL 함유 배지에서 배양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0-0127455, 에스씨엠생명과학(주), 2020. 11. 11) https:// doi.org/10.8080/1020190051596

 

이 발명은 인간 혈소판 용해물(human platelet lysate, hPL) 함유 배지에서 배양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해 얻은 성장인자(growth factor)와 사이토카인를 함유하는 줄기세포 배양액 제조방법, 상기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의 hPL 함유 배지에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한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면 FBS 함유 배지에서 배양한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보다 사이토카인, 성장인자 함량이 높고 인간진피섬유아세포 증식촉진성능, 콜라겐 합성성능, 엘라스틴 합성 성능, 멜라닌 합성 억제성능, 발모 효능이 우수한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수득할 수 있다. 또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해 피부재생, 주름개선, 피부탄력 증진, 피부미백, 발모효과가 있는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1에서 제조한 FBS-CM과 hPL-CM 내에 존재하는 사이토카인을 분석해 각각의 줄기세포 배양액내 함유성분을 그림1과 표1에 나타냈고 각 성장인자들의 상대적인 함유량 분석결과는 그림2에 나타냈다. 그림2a와 같이 줄기세포 유래 무혈청 배양액 내에 다양한 사이토카인과 성장인자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FBS-CM과 hPL-CM을 비교하면 FBS-CM에서 32종, hPL-CM에서 48종의 단백질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했다(실시예2).

 

그림2a 배양조건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내에 존재하는 단백질과 성장 인자의 분석결과

 

 

# 가용화, 난용성, 용해도 개선

 

93.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0-0131795, (주)엘지생활건강, 2020. 11. 24) https://doi.org/10.8080/1020200152925

 

이 발명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과 난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함으로써 고압유화 공정 없이 안정한 구조체, 즉 마이셀(micelle)을 형성하는 저점도의 투명한 제형을 제조하고 상기 안정한 구조체에 난용성 성분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난용성 성분의 분리, 석출을 방지한다.

 

따라서 경시에 따라 석출 문제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이 어려웠던 난용성 성분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다양한 타입의 제형을 갖는 난용성 성분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표1과 같은 조성으로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을 제조한 직후 육안 또는 탁도계로 탁도를 측정한 결과, 표3, 그림1과 같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함량 대비 세틸 포스페이트 또는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 타마이드라이신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조성물이 보다 투명해지는 것을 확인했다(실시예1~8). 또 상기 조성물의 경시별 제형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하이드로 제네이티드 레시틴 함량 대비 세틸 포스페이트 또는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마이드라이신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상온 조건에서 성상이 변하지 않고 투명한 상태를 유지했다(표4, 표5, 실험예1).

 

난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해 그 제형 성상과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과 세틸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실시예9~11의 경우, 상온 조건에서 석출이 잘 발생하지 않는 반면, 세틸 포스페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세드롤 함량을 높인 비교예2에서는 제조 1일차부터 석출이 발생했다(표6, 표7, 실험예2).

 

그림1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과 세틸 포스페이트의 중량비에 따른 제형 탁도

 

 

# 약물전달, 경피흡수

 

5.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0-0124061, (주)메가코스, 2020. 11. 2) https://doi.org/10.8080/1020190047456

 

이 발명은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와 동시에 피부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0.001~10.00중량%의 Vitamin P4(Troxerutin, 트록세루틴)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유효성분의 피부투과가 증가되고 피부자극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에멀젼, 크림, 에센스 등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트록세루틴은 괴화나무(Sophora japonica) 등의 식물에서 추출해 얻을 수 있으며 화학식1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표1의 조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1~4와 비교예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에 피부침투 깊이를 평가한 결과, 표2와 같이 비타민 P4를 포함하는 실시예1~4는 비타민 P4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1에 비해 짧은 시간 안에 월등히 우수한 피부침투 깊이를 확인했다(실험예1). 또 피부자극을 평가한 결과, 표3과 같이 비타민 P4,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스 테아레이트(트윈-80), 소듐 DNA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1은 피부자극이 없었다.

 

반면, 비타민 P4와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을 포함하고 소듐 DNA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3은 피부자극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실험예2). 홍반발생 유무를 관찰한 결과, 실시예1~4, 비교예1은 모두 홍반이 관측되지 않았다(실험예3).

 

# 발모, 육모, 탈모방지

 

4. HAPLN1을 포함하는 탈모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공 개번호 : 10-2020-0126920, (주)하플사이언스, 2020. 11. 9) https://doi.org/10.8080/1020200051429

 

이 발명은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의 HAPLN1 단백질은 투여시 TGF-β 단백질로 활성화되는 RasERK1/2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모모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모발을 성장시킨다. HAPLN1이 어떤 기전 으로 세포 증식을 유도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mad2 pathway와 ERK1/2 pathway에 대한 HAPLN1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HAPLN1 및/또는 HA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TGF-β2에 의한 ERK1/2 신호전달이 활성화됐다. 또 ERK1/2의 상위 기전(upstream)인 MEK1/2와 c-Raf도 HAPLN1 및/또는 HA 처리에 의해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그림14~16, 실시예9).

 

HAPLN1의 세포증식 효과를 실험한 결과, TGFβ2 존재 시 HAPLN1 및/또는 HA를 처리한 군에서 대조군보다 세포증식이 촉진된 것을 확인했다. 이는 HAPLN1이 non-canonical TGF-β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인간 모모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킴을 의미한다(그림17, 실시예10). 마우스의 모발성장을 조사하기 위해 HAPLN1을 복강 주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HAPLN1을 처리한 군에서 단기간에 모발 성장기로 진입했으며 HAPLN1이 결핍되면 모발성장기로의 진입이 늦어졌다(그림19~20, 실시예12).

 

그림3 HAPLN1의 모모세포 증식과 모발성장 촉진 기전을 나타내는 모식도

 

 

# 안료, 색소, 색조 화장품

 

75. 신규한 화장료 색재 및 이의 용도 (공개번호 : 10-2020-0132825, (주)엘지생활건강, 2020. 11. 25) https://doi.org/10.8080/1020200155522

 

이 발명은 폴리아미드 및/또는 폴리우레탄계 분체와 수용성 염료를 포함하는 신규한 색재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신규한 색재는 수용성 염료를 무수 제형에 이용 가능하게 하여 제한적인 염료의 사용범위를 넓힐 수 있고 반사도가 우수하며 형광을 발하는 특성을 갖는 점에서 화장료 분야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화장료 색재의 스펙트럼을 넓힐 수 있다.

 

분체를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은 실시예1~9, 비교예1~7의 색재를 제조한 후에(표1~3, 제조예1-1~2), 신규 색재의 특성을 확인한 결과, 그림1과 같이 실시예1~4의 색재와 비교예1~2의 종래 수용성 염료는 육안으로도 큰 색차를 나타내며 특히 실시예1~4의 색재에만 형광 색감이 관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시분해 형광분광광도계를 이용해 비교예1~2 와 실시예3~4의 각 색재의 형광을 분석한 결과, 그림2a~2d와 같이, 실시예3~4의 색재는 방출이 나타나는 반면, 비교예1~2에서는 광원이 준 빛 외에 다른 빛은 관찰되지 않았다(실험예1).

 

그림1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색재와 기존의 수용성 염료의 색의 차이

 

 

# 아이섀도, 립스틱, 마스카라, 눈 화장

 

67. 발림성이 우수한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등록번호 : 10-2211896-0000, 코스맥스(주), 2020. 11. 6) https://doi.org/10.8080/1020190050093

 

이 발명은 발림성이 우수한 매트 타입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왁스와 휘발성 오일을 포함해 제조한 유분산 제형의 화장료로서 고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매트 텍스쳐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발림성과 사용감이 우수하므로 매트 타입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표1과 같은 조성을 갖는 실시예1~3과 비교예1~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했다(실시예1). 상기 조성물의 성형성을 평가한 결과, 실시예1은 충분한 왁스류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고형 스틱상으로 성형이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그림1~2, 실험예1). 경도와 안정도는 실시예1~3 조성물과 비교예1~4 조성물이 별로 차이가 없었다(표2~3, 실험예2~3). 광택도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1~3은 각각 78.8%, 82.3%, 84.9%의 광택력 감소를 나타내어 매트 텍스쳐를 갖는 것을 확인했다(그림3, 실험예4).

 

발림성은 실시예1~3을 도포하기 위한 최대응력이 비교예1~3보다 훨씬 적게 측정됐으므로 실시예1~3의 조성물은 발림성이 가볍고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표4, 그림4, 실험예5). 사용감은 실시예1~3의 조성물이 발림성, 영양감, 밀착성 등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비교예1~4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표5, 실험예7).

 

그림2 실시예1 조성물을 몰드에 넣고 굳혀서 고형으로 성형한 사진

 

 

관련태그

#코스메틱저널코리아 #CJK  #화장품연구개발마케팅전문저널 #2021년6월호  #화장품최신특허정보 #2020년11월공개  #한국화장품최신특허출원현황 #11월130건특허정보공개 #해외특허41건32%차지  #주름개선 #탄력개선12건최다 #항염증 #아토피성11건공개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