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0 (금)

  • 맑음동두천 10.6℃
  • 맑음강릉 14.5℃
  • 맑음서울 10.6℃
  • 맑음대전 10.8℃
  • 흐림대구 13.0℃
  • 흐림울산 12.5℃
  • 흐림광주 11.4℃
  • 흐림부산 12.4℃
  • 흐림고창 10.8℃
  • 흐림제주 16.2℃
  • 맑음강화 11.7℃
  • 구름조금보은 11.0℃
  • 흐림금산 9.2℃
  • -강진군 12.5℃
  • 흐림경주시 13.0℃
  • 흐림거제 14.0℃
기상청 제공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2021년 11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

11월 184건 특허정보 공개 ‘피부 진정, 피부 개선’ 분야 13건 최다 ‘모발 화장료’ 등 다양한 특허 공개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1년 11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1년 11월 공개된 한국특허는 총 184건으로 예년과 비슷한 건수를 보였다. 이 가운데 해외특허는 63건으로서 약 34%를 차지해 11월 공개된 한국특허 중에서 해외특허가 차지하는 비율은 이전에 비해 상당히 높은 비율을 보였다.

 

2021년 11월 공개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피부 진정, 피부 개선’ 분야가 13건으로 가장 많은 건수를 보였 다. ‘모발 화장료’, ‘항균, 항바이러스’ 분야가 각 11건, ‘자외선 차단’, ‘항염증, 아토피성, 민감성’, ‘발모, 육모, 탈모 방지’ 분야가 각 10건으로 상위 순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마스크 팩, 미용시트’ 분야 9건, ‘복합효능’ 분야 8 건, ‘피부미백’과 ‘향료, 정유’ 분야가 7건을 보였고 ‘항노화, 항산화’, ‘샴푸, 세정제, 클렌징’, ‘아이섀도, 블러셔, 하이라이터, 립스틱, 마스카라’ 분야가 각 6건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코로나19의 영향 때문에 색조화장품 등 메이크업 분야의 특허는 감소하고 스킨케어, 헤어케어 분야인 ‘피부 개선’, ‘모발화장품’ 분야의 특허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또 이전에 꾸준히 많은 건수를 보이던 ‘항노화, 항산화’, ‘피부미백’ 분야의 건수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내용적으로 살펴보면 ‘피부미백’ 분야에서는 산나물추출물, 로얄젤리, 이타콘산 유도체가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미백 활성을 갖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도 발표됐다. ‘보습’ 분야에서는 시어 버터와 아보카도 오일이 보고됐다. ‘자외선 차단’ 분야에서는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와 판상 산화아연 입자가 발표됐다. ‘항노화, 항산화’ 분야에서는 유효성분으로 발효복분자추출물, 왜모자반 유래 추출물, 람부탄씨추출물, 해조류 추출물 등이 공개됐고 미세먼지로부터 피부보호 기능을 갖는 님트리잎추 출물 특허도 공개됐다.

 

‘복합효능’ 분야에서는 생열귀추출물, 박달목서추출물, 산양유, 햄프씨드오일, 마누카오일, 달맞이오일 및 보스웰리아추출물, 독도해국 오일 등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콜라겐 증식 효능을 가진 헵타펩타이드와 식물성 추출물 기반 바이오 활성화 화장품 조성물도 발표됐다. ‘피부장벽개선’ 분야에서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 거나 피부 및 점막 세라미드를 증가시키는 스핑고미엘리 나제 함유 국소부위용 화장품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다.

 

‘항염증, 아토피성, 민감성’ 분야에서는 도깨비바늘속 식물 추출물,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 먹넌출잎추출 물, 망개나무잎추출물, 짝자래나무잎추출물, 섬초롱꽃 추출물, 차매자스민이 유효성분으로 발표됐다. ‘항균제’ 분야에서는 편백, 해당화 및 레몬밤 추출물, 검정무 발효 추출물, 미리스톨레익산,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 양돈 혈액 발효물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억제 활성을 갖는 유산균과 항균 활성이 우수한 클렌징폼 조성물 특허도 공개됐다.

 

‘나노입자’ 분야에서는 바이오코폴리머 마이크로캡슐, 바이오틴 함유 나노리포좀, 홍조류 유래 셀룰로오스 나노소재가 보고됐다. ‘상처치료, 피부재생’ 분야에서는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거나 푸에라린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특허와 진주 추출에 의해 진주층의 모든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특허와 피부 세포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다. ‘피부 진정, 피부 개선’ 분야에서는 엘지생활건강이 분갈추출물에서 유래된 화합물 특허 3건을 공개했고 알로에 베라 부정근 추출물, 인삼 식물세포 유래 엑소좀, 녹차추출물과 병풀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다.

 

서브틸리신을 포함하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와 백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특허,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특허도 공개됐다.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방법 특허, 경피흡수를 위한 강유전성 및 압전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특허,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특허가 발표됐다.

 

‘에멀젼’ 분야에서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전 조성물과 글리코리피드를 함유한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다. ‘발모, 육모, 탈모방지’ 분야에서는 동백 나무과피추출물, 콩발아배아추출물, 연잎성게추출물, 발효 복합추출물, 펙틴, 이소프로스타노이드, 런시나트 사이드가 유효성분으로 보고됐다. ‘모발 화장료’ 분야에서는 비듬 제거와 두피 트러블 방지를 위한 모발 화장품, 비듬 억제제 제조방법, 실크 세리신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케어용 화장품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다.

 

‘여성청결제, 세정제, 클렌징’ 분야에서는 소금 및 아시아홀리오크충영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특허와 메이크업 제거, 세안용 클렌징 조성물이 보고됐다. ‘아이섀도, 립스틱, 눈 화장’ 분야에서는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천연 유래 왁스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발림성이 향상된 립스틱,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다.

 

투명성을 갖는 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 파우더 제형 화장료 조성물, 천연색소 변색방지용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고 ‘마스크 팩, 미용시트’ 분야에서는 천연효소를 함유한 마스크 팩,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바이오셀룰로 오스 시트 마스크 팩, 식물성 추출물을 담지하는 하이드 로겔 마스크 팩 특허와 마스크용 쿨링 살균 패드, 영양제 공급을 위한 미용 마스크 특허가 공개됐다.

 

‘구강 케어’ 분야에서는 백합조개의 패각분말과 천연추출물이 함유된 치약 조성물, 치아 우식증 예방 및 치료용의 구강용 조성물, 경화 연고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제 특허가 발표됐다. ‘다이어트’ 분야에서는 지방분해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와 달맞이꽃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고 ‘향료, 정유’분야에서는 두뇌의 집중력을 높이고 각성을 증가시키거나 스트레스 완화용의 그루망 플로랄 향취, 우디 향취, 그린 시트러스 향취의 향료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다.

 

한편, 2021년 11월 공개된 해외특허는 총 63건으로서 미국과 일본, 독일, 프랑스가 각각 15, 14, 13, 9건을 공개해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 밖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이탈 리아, 중국 등 8개 국가가 1~2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해외특허를 내용적으로 살펴보면 미국에서는 내츄럴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과 무스 제품, 모발 색상 라이트닝을 위한 가스 공급장치 특허가 발표됐고 퍼스널 케어 조성물과 방부제 조성물, 자가 중화 아미노산 기반 양이온성 조성물이 보고됐다. 또 클렌징 분야에서 분무 가능한 필름 형성 조성물과 향상된 규소 침착 조성물이 발표됐고 눈 화장 분야에서 컬링 마스카라 조성물, 다공성 금속 산화물 구체와 폴리리보뉴클레오티드의 미용용도 특허가 발표됐다. 알콕실화 페놀을 갖는 청향 조성물도 공개됐다.

 

일본에서는 콜라겐 또는 엘라스틴의 산생 촉진제와 복합효능의 화장료 특허가 발표됐고, 쌀 발효액 및화장료 제조방법 특허와 피부용 조성물, 취기가 적은 1,3-부탄디올에 대한 특허도 공개됐다. 모발 분야에서는 AGEs 형성 억제용 조성물과 모발 화장료용 폴리우 레탄의 제조방법, 에어졸형 착색 염모료 특허가 발표됐고 메이크업 분야에서는 다층형 메이크업 보호 화장료, 화장료용 안료의 수분산체, 유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특허가 보고됐다. 또 액체 화장료 조성물과 시트 형상 화장료와 제균성 분말 치약, 알리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활성제 특허도 공개됐다.

 

독일에서는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와 다른 화합물, UV 필터, 또는 다공성 금속 산화물 구체 등을 함유하는 선스크린 조성물 특허 7건이 발표됐고 항균 기능이 있는 C4 내지 C10 옥소 카르복실산의 염을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 피부 진정을 위한 체리모야의 종자 추출물, 왁스 분산물을 위한 안정화제 농축물 특허가 발표됐다. 또 모발 분야에서 식물 펩타이드류의 모발 용도와 데포지션 보조제로서 람노리피드 특허가 공개됐다. 클렌징 분야에서 바이오 기반의 진주 광택 왁스도 보고됐다.

 

프랑스에서는 식물 생산물에 기초한 화장 조성물, 화장용 제제를 보존하기 위한 다이언하이드로헥시톨, 분말형 모발 탈색제,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고 샤넬 파르퓜 보트에서 장기 지속성 화장품 조성물 특허 3건과 박리성 필름 형성 화장품 조성물 특허 1 건을 공개했다. 또 다공성 금속 산화물 구체의 미용 용도 특허도 발표됐다.

 

이 밖에도 중국에서 피부보호용 올리고머 핵산에 대한 특허와 살리드로사이드 유도체의 피부 미백 외용제 에의 응용 특허, 체코에서 히알루로난 에스테르 유도체 기재의 마이크로입자 특허, 이탈리아에서 참치로부터 추출한 비가수분해성 핵산 물질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다.

 

# 피부미백

 

128. 미백 활성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 및 그의 용도 (공개번호 : 10-2021-0137848, 레드원테크놀러지(주), 2021. 11. 18) https://doi.org/10.8080/1020200056194

 

이 발명은 동해안의 해양퇴적토로부터 분리된 새로운 균주인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기탁번호 KCTC14174BP),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과 상기 균주를 통한 파라쿠마릭산(화학식1)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백용 조성물은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능을 나타낸다. 여기에 포함된 파라쿠마릭산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것이므로 안전하며 피부의 색소침착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해양퇴적토로부터 균주를 분리, 동정한 후에(실시예1), 배양해 균주 배양물을 얻었다. 또 이 배양물을 추출해 분석했다(그림2a, 실시예2). 상기 추출물을 분획해 파라쿠마릭산(p-coumaric acid)을 분리, 정제하고 그 구조를 확인했다(그림2b~그림2d, 실시예3).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배양해 파라쿠마릭산의 멜라닌 생성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파라쿠마릭산은 12.5ppm의 저농도에서 50ppm의 양성대조군 알부틴과 약 38%로 비슷한 멜라닌 생성저해 활성을 나타냈으며 25ppm의 농도에서는 약 45%로 50ppm의 알부틴보다 우수한 멜라닌 생성저해 활성을 나타냈고 50ppm의 동일 농도에서는 약 51%로 훨씬 높은 멜라닌 생성저해 활성을 나타냈다(그림3, 실시예4).

 

그림3 ROA-050 균주로부터 생성된 파라쿠마릭산의 농도 의존적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

 

 

# 자외선 차단

 

87.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1-0144017, 한국과학기술원, 2021. 11. 30) https://doi.org/10.8080/1020200060

 

이 발명은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O1/W/O2(최내상 유상/수상/최외상 유상) 구조의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이고 최외상 오일(O2)에는 유기 자외선차단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피부자극이 저감되고 최외상이 유상이기에 내수성이 우수하며 소수성 무기 자외선차단제와 소수성 실리카를 유상에, 친수성 무기 자외선차단제와 친수성 실리카를 수상에, 각각 피커링입자로 사용해 피커링 에멀젼의 안정성이 향상된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표1~3의 조성으로 각각 최내상 유상(O1) 혼합물, 수상(W) 혼합물, 최외상 유상(O2) 혼합물을 제조한 후에 이중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해 광학현미경 사진을 촬영한 결과, 그림1과 같이 원형의 큰 수상의 액적 안에 작은 원형의 최내상 유상 액적이 있는 이중 피커링 에멀젼이 형성됐다(실시예1~7).

 

실시예1~7과 비교예1~5의 자외선 차단성능을 평가한 결과, 표9와 같이 실시예1~7은 SPF와 PA 값이 각각 250, 279 이상으로 모두 높은 수준의 자외선 차단성능을 보였으나 비교예2는 각각 16, 18로 자외선 차단성능이 불량했다. 그러나 비교예3~5은 자외선 차단성능이 우수했는데 그 이유는 무기 자외선차단제와 유기자외 선차단제의 함유량이 높기 때문이다(시험예1).

 

그림1 이중 피커링 에멀젼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광학현미경 사진 (실시예1)

 

 

# 항균제

 

72. 편백, 해당화 및 레몬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 하는 항균 및 항진균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1-0141085, (주)가나씨앤피, 2021. 11. 23) https://doi.org/10.8080/1020200058228

 

그림1 1,3-Propanediol을 용매로 한 혼합 추출물(실시예1)을 이용해 제조한 로션과 에탄올을 용매로 한 혼합 추출물(비교예)을 이용해 제조한 로션의 색상 비교

 

 

이 발명은 편백(Chamaecyparis obtusa)잎추출물, 해당화(Rosa rugosa)추출물, 레몬밤(Melissa officinalis) 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과 항진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제형에 적용 시 변색과 변취가 없어 제형 안정성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으며 다양한 균들에 대해 폭넓은 항균과 항진균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편백잎추출물, 해당화추출물, 레몬밤잎추출물과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1,3-Propanediol을 용매로 해 제조했다(실시예1). 또 대조군으로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혼합 추출물도 제조했다(비교예). 실시예1과 대조군을 이용해 제조한 로션의 색상을 그림1에 나타냈다. 그람양성균 2종, 그람양성균 1종, 효모 1종, 곰팡이 1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표1~4와 같이 세균 3종, 효모, 곰팡이는 7~28일 이내에 99.9% 이상의 항균 효과가 확인됐다.

 

또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1.1%(w/w) 농도 이상 에서 7일 경과 시 모든 병원성 세균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편백 잎, 해당화, 레몬밤 잎의 3종 성분의 혼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확인했다(실시예2). 본 발명의 단일, 혼합 추출물에 대한 미생물 생장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한 결과, 표5와 같이 단일 추출물 모두는 혼합 추출 물에 비해 비교 열위의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됐다. 또 혼합 추출물은 단일 추출물 중 가장 항균 효과가 우수한 편백잎추출물 대비 50%~75% 감소된 유해 미생물 생장 최소억제농도가 측정되어 가장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냈다(실시예3).

 

# 마이크로캡슐

 

44. 바이오코폴리머 마이크로캡슐 포함 안정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1-0130335, (주)바이오스탠다드, 2021. 11. 1) https://doi.org/10.8080/1020200048372

 

그림1 마이크로 캡슐 매트릭스 조성물의 제조 흐름

 

 

이 발명은 바이오코폴리머로 피부에 유익한 유효물질(작약 추출물에서 분리한 파에오니플로린, 화학식1)을 캡슐화해 안정화시킨 마이크로(1~1000μm)의 캡슐 입자를 포함하고 이를 중심으로 매트릭스 형태로 둘러싼 섬유상 단백질 형태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에 관한 것이다.

 

작약 추출물을 제조해 파에오니플로린을 확인한 후에 마이크로 캡슐 매트릭스 조성물을 제조했다(그림1, 제조예1~2). 인체 피부 케라틴 세포를 배양한 후 처리군(실시예1)과 대조군(비교예1~2)을 처리해 인간 열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 HSP)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 각기 유전자는 실험 환경에서 문제없이 발현됐다. 스트레스 상황(Oxidative stress : H2O2 100uM 처리군)에서 전체 Hsp의 발현은 2.8배 가량 증가했으며 실시예의 처리에 의해 스트레스 상황보다는 안정적인 발현율인 1.5~2.4배의 유전자 발현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유전자 발현율은 스트레스를 주고 실시예를 처리했을 때 더욱 증폭되어 나타났다. 전체적인 유전자 발현율이 2.9~4.4배까지 증폭되어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성이 2배 가량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방어 기전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진 Hsp70과 Hsp27 유전자의 발현율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그림3, 표5, 실험예2). 

 

# 마이크로바이옴

 

58.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장치 (공개번호 : 10-2021-0130405, (주)아미코스메틱, 2021. 11. 1) https://doi.org/10.8080/1020200048548

 

그림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의 제조방법 흐름도

 

 

이 발명은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상자 피부 샘플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해 복수의 유익균, 유해균, 무해균을 기반으로 대상자의 피부 유형을 확인하는 단계, 피부 유형을 기반으로 대상자에게 적합한 원료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기구축된 프로바이오틱스 데이터베이스와 프리바이오틱스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원료를 추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원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 가용화, 용해도 개선

 

168.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방법 (공개번호 : 10-2021-0132617,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2021. 11. 4) https:// doi.org/10.8080/1020210053844

 

이 발명은 인삼류 추출물과 모그로사이드 배당체로 구성된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물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조성 물은 이데베논, 레스베라트롤, 커큐민, 비스디메톡시 커큐민, 탁솔, 퀘르세틴, 올레오놀산과 같이 유용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으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정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 킴으로써 이들 난수용성 물질을 다양한 분야에 기능성 소재로서 적용할 수 있도록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용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산양삼 추출물을 제조해 다양한 종류의 진세노사이드를 확인한 후에(표1, 제조예1), 난용성 화합물인 커큐민, 레스베라트롤 등과 산양삼 추출물의 복합체, 이데베논, 레스베라트롤, 커큐민, 탁솔 등과 모그로사이드 배당체의 복합체를 제조했다(실시예1~10). 상기 난수용성 물질의 수용액 가용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 산양삼 추출물과의 복합체를 형성하거나 모그로사이드V와의 복합체를 형성하면 수용액 가용화 정도가 현저히 증가했다(표2~4, 그림1~3, 실험예 1~2). 또 수용액 가용화된 난수용성 물질의 미백 활성, 항염증 활성도 확인했다(실험예 6~7).

 

그림2 모그로사이드 V와 복합체를 형성한 이데베논(A), 레스베라트롤 (B), 커큐민(C), 비스디메톡시커큐민(D), 탁솔(E), 퀘르세틴(F), 올레오놀산(G)의 수용액 가용화 정도

 

 

# 유화물, 유화안정성

 

38. 글리코리피드를 함유한 베지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1-0143444, (주)코스메카코리아, 2021. 11. 29) https://doi.org/10.8080/1020200060192

 

이 발명은 글리코리피드를 함유한 베지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계면활성 제로 글루코리피드를 사용해 형성된 베지클을 화장품의 미용성분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분자량이큰 화장품 미용성분을 적은 양으로도 생체 이용률을 높이고 잘 녹지 않는 물질의 용해성을 높이며 미용성분의 안정성을 높이는 글리코리피드를 함유한 베지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표1~20의 각각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을 혼합, 교반하고 고압미세균질기를 1,000bar 연속 5회 통과시킨 후 냉각, 탈포함으로써 각각의 베지클을 제조 했다(실시예1~20). 실시예1의 입자 분포를 측정한 결과, 그림1과 같이 입자의 크기가 59.4nm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통상의 리포좀의 입자 크기 87.3nm에 비해 현격하게 작은 크기이다.

 

또 입자 사진을 그림2에 나타냈다(실험1~2). 글리 코리피드 함유 베지클의 경피 흡수촉진 효과를 측정한 결과, 경피흡수율이 46.86% 증가됐다(표22, 실험3). 글리코리피드 함유 베지클의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입자의 전위가 -67.39mV로 안정함을 알 수 있다(그림3, 실험4). 레티놀의 안정성을 보기 위해 실시예16(크림B)과 비교예1(크림A)에 대해 빛,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HPLC로 분석한 결과, 유효성분인 레티놀을 글리코리피드로 안정화한 것이 더 효과적임을 알수 있다(그림5, 실험6).

 

그림5 레티놀 함유 글리코리피드 함유 베지클의 빛, 온도에 대한 안정성

 

 

# 발모, 육모, 탈모방지

 

4. 동백나무과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1-0131598, 바이오스펙트럼(주), 2021. 11. 3) https://doi.org/10.8080/1020200049884

 

이 발명은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유도해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5알파 환원효소의 활성을 저해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할 수 있는 동백나무(Camillia japonica)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자극과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Wnt 신호전달 과정을 활성화해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 억제에 매우 효과적이므로 탈모방지와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제조한 후에(실시예1) 인간 모유두 세포를 배양해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의 모유두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모유두 세포 성장 배지군과 비교해 60% 정도의 모유두 세포 증식 효능을 나타냈다(그림1, 실시예2).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농도별로 테스토스테론 반응 용액에 첨가해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의 5알파 환원효소 활성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피나스테라이드와 비교해 농도 의존적으로 우수한 5알파 환원효소 저해 효능을 나타냈다(그림2, 실시예3).

 

또 Wnt-베타 카테닌 신호전달 활성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무처리군에 비해 TCF 루시퍼라제 발현을 유도하는 결과를 나타냈고 양성대조군인 염화리튬(LiCl)과 비교해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그림3, 실시예4).

 

그림1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에 의한 모유두 세포 증식 효과

 

 

관련태그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2년4월호 #화장품연구개발마케팅전문저널  #화장품최신특허정보  #2021년11월공개 #한국화장품최신특허출원현황(KIPRIS)  #피부진정 #피부개선분야13건최다 #모발화장료특허공개 #해외특허총63건 #미국15건 #일본14건 #독일13건 #프랑스9건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