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뷰티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138억달러... 화장품 55.1억달러로 선두

품목별 △ 1위 기초 41억달러 △ 3위 색조 △ 11위 인체세정용 △ 13위 두발용 차지

[코스인코리아닷컴 길태윤 기자] ‘25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은 화장품, 의약품의 호조에 힘입어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산업은 ’25년 상반기 138억달러(+13.2%)로 우리나라 수출품목 8위에 해당된다. 

 

상반기 수출액은 ▲ 화장품 55.1억달러(+14.9%) ▲ 의약품 53.8억 달러(+20.5%) ▲ 의료기기 29.1억 달러(△0.6%) 순이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최다 수출액을 기록한 화장품은 중국 둔화에도 미국, 일본 등 기초화장품 수출 확대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이어 의약품은 바이오의약품이 미국, 유럽 호조로 최대 실적을 경신했으나, 의료기기는 임플란트 등 치과용품 실적 저하로 소폭 감소했다. 

 

보건산업 품목별 전체 수출 1위는 기초화장품(41억달러)였다. 이어 △ 3위 색조화장품( 7.5억달러) △ 11위 인체세정용(2.7억달러) △ 13위 두발용(2.2억달러) 순이었다. 

 

품목 유형별 수출 특징으로 ‘기초화장용 제품류’(전체 화장품 수출의 약 74.6% 차지)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한 41.1억 달러[반기 최대실적]를 기록했다. 미국(7.4억 달러, +16.4%), 홍콩(3.2억 달러, +38.0%), 폴란드(1.1억 달러, +133.0%)를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를 보였고, 중국(8.3억 달러, △8.7%)과 베트남(1.7억 달러, △20.2%)에서는 감소했다.  

 

‘색조화장용 제품류’(전체 화장품 수출의 약 13.7% 차지)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3% 증가한 7.5억 달러[반기 최대실적]의 실적을 나타냈다. 일본(1.9억 달러, +38.3%), 미국(1.4억 달러, +12.4%), 프랑스(0.3억 달러, +107.1%)를 중심으로 증가하였으나, 중국(1.2억 달러, △30.4%)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인체세정용 제품류’(2.7억 달러, +22.2%) 수출은 중국(0.7억 달러, +10.3%), 미국(0.5억 달러, +40.9%), 폴란드(0.1억 달러, +70.3%)를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2025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은 화장품과 의약품 분야에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산업 전반의 성장을 견인했다”며, “하반기에도 바이오의약품과 기초화장품 등 주력 품목의 글로벌 수요 확대에 힘입어 수출 증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다만,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는만큼, 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신중하고 전략적인 대응에 나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