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레이시아 시장조사 당시 사진 |
보건복지부와 화장품협회가 지난해부터 진행했던 국내 화장품 업체의 해외 공동매장 오픈이 사실상 물건너갔다.
이에 대해 화장품협회 측은 "참여 업체가 생각보다 너무 적었다"거나 "앞으로는 참여 업체 두 곳의 의지에 달렸다"는 말로 사업 진행의 애로사항과 협회 역할에 경계선이 있음을 밝힐 뿐 더 이상 나아가지 못했다.
겉모양만 놓고 보면 모든 비난의 화살은 보건복지부가 맞아야 하지만 1차적으로는 화장품협회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화장품 업계의 한 관계자는 "보건복지부가 진행했던 해외 공동매장 1호점 오픈 사업 예산마저 다른 곳에 빼앗겨 도로아미타불이 된 것"이라며 "가뜩이나 책정된 예산(일단 공개된 예산 2억 원)이 적어 올해는 예산이 늘어나지 않을까 기대했는데 사업 자체가 없어졌다니 모두가 바보된 기분"이라고 분개했다.
참가한 두 업체가 부담한 금액도 각각 2천만 원이었다. 브랜드 하나 없는 중소기업한테는 적은 금액이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가 더 문제이다. 화장품협회 측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예산을 받을 능력이 없는 상태여서 지금부터는 모든 비용을 참가 업체 두 곳에서 모두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부담 금액 역시 앞으로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태국에 매장을 오픈하려면 인·허가에 드는 비용만 수천만 원이고 보증금과 참여 업체 각각 매장 하나씩 오픈해야 하니 대략적으로 계산해도 적게는 수억 원에서 많게는 수십억 원의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이에 대해 코스메카코리아와 대봉엘에스의 관계자들은 "많은 비용도 문제지만 지금으로써는 사업 후 성과가 불확실한 상황이어서 고민이 많다"며 "예산 확보가 어려워졌다는 것이 사실이냐"고 되물었다.
이어 참여 업체 관계자들은 "화장품협회에서 앞으로의 대응 방안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해 제출하라는 연락을 받았다"며 "며칠 동안 임원 회의를 거친 뒤 자료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보고서 제출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참여 업체의 적극적인 자세만이 공동매장 오픈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협회의 입장에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화장품 OEM 업체의 한 관계자는 "보고서 제출은 협회가 빠져나가기 위한 노림수일 뿐"이라며 "가장 중요한 것은 협회의 의지와 예산 확보인데 공동매장 오픈하고 싶어서 참여한 업체한테 지금에와서 보고서를 제출하라는 것은 포기하라는 것과 뭐가 다르냐"고 성토했다.
다시 말해 화장품협회 측은 참여 업체의 보고서 내용이 '추진하고 싶다'면 더 적극적으로 하라는 것이고 '추진하기 어렵다'면 다음 기회가 올 때가지 기다리라는 답변을 하고 싶은 것이라며 '첫 단추'를 잘못 꿰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