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회의에는 미용 관련 협회와 학교, 업계 종사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인력공단, 보건복지부가 참여했으며 미용 면허·자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미용 면허·자격제도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인정하는 학교에서 미용 학과를 졸업한 자와 미용 관련 학위를 취득한 자에게 제공하는 '무시험 면허 제도'와 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미용사 국가기술자격 시험을 통과한 자에게 미용사 면허 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증 제도'로 이원화 돼 있다.
그리고 공중위생관리법에 따라 미용사 면허를 가진 자만이 미용업을 개설하거나 그 업무에 종사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업계로부터 '탁상공론 법안'이라고 지적 받는 이유는 여기서 비롯된다.
△미용 관련 학과를 졸업하면 곧바로 사회에 투입될 수 있을 만큼 전문성을 갖추게 되는가 △자격증을 취득한 다음 짧은 시일 내에 면허를 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과연 이원화가 필요한가 △면허증이 너무 남발되는 것은 아닌가 등이 업계가 지적하는 대표적인 내용들이다.
이날 회의에는 면허와 자격제도를 일원화해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일원화 방안, 자격증 취득후 면허 전환 기간 조정 등에 대해 학계와 산업계의 다양한 의견이 교환된 것으로 알려졌다.
나아가 일정 수준 이상의 교육을 받은 자만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화 여부와 무시험 면허 제도 개선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참석자는 전했다.
이와 관련해 보건복지부 구강생활건강과 관계자는 "이날 회의는 브레인스토밍 차원의 회의일 뿐 확실한 해결방안이 나온 것은 아니다"라며 "계속해서 미용 관련 산·학·협 관계자과 회의를 갖고 의견을 수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