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2 (일)

  • 맑음동두천 3.2℃
  • 맑음강릉 8.8℃
  • 맑음서울 7.3℃
  • 맑음대전 6.2℃
  • 맑음대구 7.8℃
  • 맑음울산 10.5℃
  • 맑음광주 9.7℃
  • 맑음부산 12.6℃
  • 맑음고창 5.8℃
  • 맑음제주 16.7℃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3.9℃
  • 맑음금산 3.4℃
  • 구름조금강진군 8.6℃
  • 맑음경주시 5.3℃
  • 맑음거제 9.3℃
기상청 제공

기획특집

[마스크팩 특집] 마스크팩 시장 현황 분석

매년 두자리수 성장 마스크팩 시장 10년 새 5배 성장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세기 기자] 마스크팩 시장이 독립적인 제품 카테고리로 인식되기 시작한 시점은 2000년대 초 세계적인 명품 화장품 브랜드에서 기존의 단순 마스크팩의 효과와 기능을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시작됐다. 

현재 국내외 거의 모든 화장품 브랜드에서 마스크팩은 기초 제품의 중요한 카테고리로 자리를 잡고 있어 마스크팩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이 영양크림이나 에센스 등으로 피부를 관리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분말형이나 얼굴과 특정부위의 팩을 사용하는 것으로 세분화되면서 마스크팩 시장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팩 제품 시장은 단순 트렌드가 아닌 대중적인 화장품 제품군으로 편입됐다고 볼 수 있다. 이중 휴대와 보관, 사용이 간편한 시트 팩 제품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이는 일반 에센스 사용시 액상이 공기 중에 그대로 누출되기 때문에 공기 중으로 증발되는 양이 상대적으로 많고 분말 팩 등의 경우 별도로 액상을 개어 얼굴에 바른 후 마를 때까지 행동의 제약이 따라 세안 등의 사후적인 불편함이 동반되어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마스크팩은 상대적으로 얼굴에 붙이고 떼어내 버리면 된다는 편리함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 중국 화장품 시장의 급성장은 마스크팩 성장의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이 많다.

2013년 마스크팩 시장 2500억 규모 

국내 마스크팩 시장 규모는 지난 2002년 500억원대 규모의 시장에서 지난 2010년 1993억원, 2011년 2391억원, 2012년 2411억원, 2013년 2500억원 등으로 매년 두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하며 10년간 5배 가량 시장 규모가 성장했다. 

2002~2013년 마스크팩 시장 규모



▲ 2009년부터 마스크팩이 기능성 화장품으로 고시가 가능해지면서 일부 마스
크팩이 기능성 화장품으로 분류됨. 이에 따라 마스크팩 생산실적을 집계하기가
곤란하여 2006~2008년 생산개수의 CAGR인 8.77%를 성장률로 가정해 이후 생
산실적을 추정.  자료출처 : 대한화장품협회, 제닉 추정.

이처럼 마스크팩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자 국내외 유명 화장품 브랜드들은 앞다퉈 마스크팩을 내놓으며 소비자들을 유혹했다. 

이같은 성장 배경에는 마스크팩 전문 기업들의 확산을 꼽을 수 있다. 대표적인 마스크팩 전문기업인 제닉을 비롯해 산성앨엔에스의 리더스코스메틱, 이미인, 이지코스텍, 셀랩, 코바스, 씨앤텍 등이 자체 브랜드 외에도 OEM ODM을 통해 뛰어난 기술력을 갖춘 마스크팩을 공급하면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상승하고 있다.

해외 마스크팩 시장 현황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사무소에 따르면, 중국은 2013년 세계 3대 화장품 시장으로 성장했다. 이같은 성장은 소득 증가와 함께 미용의 관심이 많아지고, 최근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미용 제품 수요가 크게 늘어 구매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에 힘입어 중국 화장품 시장은 최근 5년간 약 12%의 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2년 기준으로 254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중국 화장품 시장 매출 현황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코스메틱 기업의 매출은 2012년 기준으로 유니레버 33억달러, 로레알 20억달러, P&G 60억달러 등을 각각 기록했다. 이중 마스크팩이 중국 미용 시장에서 5.18%의 제품별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국내 마스크팩 업계가 중국 진출을 서두르고 있는 이유와 맞아 떨어진다.

특히 2012년 중국 화장품 시장의 주요 성장 동력 중 하나로 마스크팩이 꼽히면서 마스크팩은 화장품 시장 매출액 중 비중이 불과 2년 만에 2%에서 10%로 급성장했다.

중국 미용 시장 제품별 점유율



현재 중국 마스크팩 시장은 2012년 130억위안에서 2015년 300억위안(5조 3000억원)으로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K-뷰티 열풍이 불고 있는 아세안 시장에서도 태국에서의 한국 마스크팩 인기는 눈에 띈다. 현재 태국 마스크팩 시장의 65% 이상을 한국 제품이 차지하고 있다. 

태국은 마스크팩이 센트랄(Central), 더몰(The Mall), 빅씨(Big C) 등 대형 할인매장에 위치한 부츠(Boots), 왓슨스(Watsons)와 같은 드럭스토어 등에서 절찬리 판매되고 있고 최근 10대 청소년을 중심으로 마스크팩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태국 마스크팩 국가별 시장점유율



이는 태국 소비자들이 외국 제품에 대한 거부감이 없는 편이고 한류의 영향으로 화장품 구매 시 한국 제품을 선호해 마스크팩 구매 시에도 한국 제품을 선뜻 선택하지만 한류보다 더 중요한 요소는 품질인 것으로 조사돼 국내 마스크팩 기업들의 기술력을 높이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태국 내 판매되고 있는 주요 한국 마스크팩 제품



또 태국내 제바(Jeba), 바닐라(Vanilla), 판팁(Pantip), 덱디(Dek-d), 산누크(Sanook) 등 다수의 화장품 구매 웹사이트에서 태국 메이크업 아티스트들의 의견을 종합한 제품 후기와 리뷰 랭킹을 공개한 바 있다. 

이 후기에는 선택, 구매, 소비과정 전반이 언급돼 태국 화장품 소비자들의 최종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태국에서 판매되는 한국 마스크팩 제품은 리더스클리닉, 바비팻, 왓슨, 에뛰드하우스, 더페이스샵, 스킨푸드, 라네즈, 더샘 등이다. 이들 제품의 판매가격은 29~500밧(한화 1200원~2만원)으로 다양하게 팔리고 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