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8,028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자연주의 기능성화장품을 전개하고 있는마녀공장(대표 유근호)이 민족 고유의 명절인 추석을 맞이해 연휴 시작일인 9월 9일 선착순 999명에게 50% 할인 가능한 럭키 쿠폰을 제공하는 ‘딱 999명만50% 이벤트’를 실시한다. 마녀공장의 이번 ‘딱 999명만50% 이벤트’는 그동안 마녀공장을 사랑해준고객들이 풍성한 추석을 기분 좋게 시작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마련했다.이벤트 참여 방법은 간단하다. 마녀공장 공식 온라인 몰에서 원하는 제품을 선택한 뒤 상세페이지에서 럭키 쿠폰을 다운받아 사용 가능하다. 단, 한 제품당 쿠폰 한 장만 사용 가능하며 추석 프로모션 제품은 제외된다. 마녀공장 관계자는 “그동안 마녀공장을 응원하고 사랑해준고객들을 위해 감사의 마음을 담아 이번 이벤트를 마련했다”며, “다가오는 추석 이벤트와함께 넉넉하고 풍요로운 명절 보내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마녀공장은 지난 1일부터 ‘추석에는 특급할인이 情’ 프로모션도 진행 중이다. 해당 프로모션에 따라 오는 13일까지 마녀공장의 베스트셀러 제품을 금액대별 세트로 구성해 최대 5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세트로 구성한 제품으로는 비피다바이옴 앰플&크림세트, 갈락 스킨케어 3종세트, 비피다바이옴컨센트레이트 3종세트 등이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아모레퍼시픽의 럭셔리 뷰티 브랜드 헤라가 국내 최정상급 댄스 크루 ‘MVP’와 특별한 협업을 진행하고 블랙 쿠션 한정판을 선보인다. 이번 협업은 서울을 배경으로 자신만의 독립적인 커리어를 개척해 나가는 인물이나 브랜드를 헤라의 시선으로 담아내는 'HERA A CREW'프로젝트의 일환이다. 헤라는 누군가의 뒤에서 춤을 추던 댄스 크루 MVP가 스스로 무대의 주인공이 되기까지 ‘나다움’을 지향하며 새로운 길을 개척해 국내 최정상급 댄스 크루의 자리에 올랐다는 점에 주목했다. 2017년 출시 이후 5년 연속 쿠션 브랜드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헤라의 블랙 쿠션처럼 최고를 위해 끊임없는 노력과 열정으로 각자의 자리에서 왕좌를 차지했다는 점을 공통점으로 보았다. 헤라와 MVP가 함께 ‘가장 나답게 최고를 향해가는 방법’을 담아낸 'BUILD UP FOR CROWN'캠페인 영상은 오는 12일 헤라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특히헤라는 이번 MVP와의 만남을 기념해 블랙 쿠션 19N1 라이트 바닐라 컬러를 한정 출시한다. 기존 컬러 중 가장 구매율이 높은 21호 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개발한 것으로 어두운 눈가를 커버하는 다크서클 컨실러에서 착안해 채도를 높이고 자연스러운 톤업 효과를 더했다. 새로 선보이는 헤라 블랙 쿠션 19N1 컬러는 9월 12일부터 아모레몰과 네이버 헤라 공식 브랜드관, 무신사 스토어 등 온라인 몰을 비롯해 전국 백화점 헤라 매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한편, 블랙 쿠션은 피부 빈틈을 정교하게 채워주는 레이어리스 매트 커버로 본연의 피부인 듯 가볍게 밀착되어 벨벳같이 매끄러운 피부를 완성해 주는 세미 매트 쿠션이다. 헤라만의 독보적인 초밀착력으로 구현해낸 얇은 사용감과 10가지 컬러로 다채롭게 구성돼 누구나 완성도 높은 피부 표현이 가능하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한국뷰티산업학회(회장 윤천성)이 8월 11일부터 12일까지 공주에서 ‘제2차 회장단, 상임이사회’ 연수를 실시했다. ‘제2차 회장단, 상임이사회’ 연수에는 윤천성 회장, 상임이사, 이사가 참석해 학회 구성원 화합의 시간을 가졌다. 이날 회의 안건은 총 4개 사안으로 먼저 11월 4일 예정인 연차학술대회 준비에 대해집중적으로 논의했다. 2022년 연차학술대회의 연차학술대회위원장(김엘리사벳 박사)과 뷰티산업대상심사위원장(김진숙 교수)은 각각의 준비위원회와 심사위원회 구성을 선정했으며 이사회를 통해사회자와 논문토론자 그리고 발표자 선정 등을 확정했다. 뷰티산업교육대상과 뷰티산업경영대상 후보 선정,뷰티산업연구 제16권 2호(통권 제23호) 발간(편집위원장 이수희 교수)에 관해논의했다. 또 한국뷰티산업학회는 뷰티산업 발전을 위해 산업체와 학교, 학회의 지속적 연계를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한국뷰티산업학회 윤천성 회장은 “이번 연수를 통해 학회 구성원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함께하며 행복한 동행이었다”고 전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전문위원 김선화]한중수교 30주년이 되는 해이지만 지난 울고 웃었던 29년 보다 올해가 더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여러 가지 여파로 전 세계 경제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거기에 끝나나 싶던 중국 코로나 봉쇄가 2022년 상반기에 다시 시작되고 생각지 못했던 추세로 흘러가면서 중국 수출을 염두 했던 기업들은 잠깐의 의도치 않은 정체기에 직면한 것도 사실이다. 한국 기업이 잘되기를 바라는 필자로서는 참 안타까움을 감출 수 없다. 그럼 2021년 5월부터 떠들썩하게 변화된 중국 화장품 법규들은 1년이 지난 지금은 어떻게 시행이 되고 있을까? 여기서 잠깐 법규 변화와 시행을 각자의 시선 차이에 대해 먼저 말해보고자 한다. 법규에 맞춰 대응하고자 하는 부류, 설마 그대로 다 시행되겠어 하는 부류, 전혀 관심이 없는 부류 이렇게 세가지로 나뉜다. 법규가 그대로 시행되고 1년이 지난 지금, 여러분들의 반응은 여전한지 다시 묻고 싶다. 1년 전 그대로 인가? 아닐 것이다. 이번 법규 변화는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원료사까지 수면 위로 떠오르게 했고 앞으로 중국 위생허가(NMPA 허가등록)는 제조사와 책임판매업체 뿐아니라 원료사까지 포함한 세 회사의 긴밀한 서류상 협력이 필요하게 됐다. 또이와함께 판매자 또는 제조사가 기술적인 대외비 부분으로서 감췄던 원료들을 오픈해야 했다. 중국 위생허가 진행 시 원료사는 그동안 방관자 입장이었다면 법규가 변경됐을 때 원료사는 아마 세 부류 중 두 번째와 세 번째 부류가 대부분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도 동일한 생각을 하고 있는 원료사는 많지 않을 것이다. 올해 초에 이미 폭발적으로 원료 안전성 자료 등록이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다. 물론 지금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미 많은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법규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점은 정말 높게 칭찬해 주고 싶다. 분명 등록 업무에 처음 직면하는 어려움들이 있을 것이다. 원료에 대한 순도 또는 분자량, 평균 중합도 등 이전에는 고민을 할 필요가 없던 성분들에 새로운 고민을 해야 했을 텐데 대행사와 함께 고민하고 함께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는 기업들이 있어 너무 감사할 따름이다. 정성들여 등록한 원료 안전성 자료 코드번호 하나가 엄청난 나비효과를 불러올 수도 있다는 점 잊지 말아야 한다. 비록 작은 원료 하나지만 이 원료가 어쩌면 모든 제품에 들어가게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등록한 원료 정보자료가 정확하지 않다고 가정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게 될까? 중국 위생허가로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제품에서 의견이 나와 제품 등록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생각만 해도 아찔하지 않는가. 법규가 변경되면서 제조사에서 많은 도움 요청이 온다. 그동안 요구하지 않았던 자료 요청이 오는데 이런 자료가 필요한 게 맞는 건지 문의가 온다. 대부분 법규 변경 전 즉 2021년 4월 30일 이전 급하게 등록은 완료했지만 이후 심사에서 변경된 법규로 심사하는 심사위원들의 관점을 알려달라는 요청들이다. 그 외 변경된 법규로 인해 추가로 자료가 필요한 때가 있고 등록성(省)이 달라 심사위원의 심사 척도가 달라지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이런 부분은 분명 개선돼야 한다. 이로 인해 연구개발과 제품 생산을 맡고 있는 제조사가 감당해야 되는 서류 업무에 여러가지 애로사항이 많기 때문이다. 이번 법규에서 가장 큰이슈는 효능평가이다. 그럼 화장품 효능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단순 화장품 상자에 표기된 효능을 효능이라고 생각하는가? 아니면 제조시 식약처에서 고시한 원료 함량을 넣은 제품의 기능부분을 효능이라고 생각하는가? 이번 법규를 보면 중국 당국의 생각은 달랐다. 실질적인 과학적 근거가 있는 효능을 효능이라고 표기하기를 원했다. 화장품 법에도 효능시험에 대한 법규를 제정했고 라벨 법에도 광고 법에도 효능에 대한 내용을 엄격히 제한했다. 많은 사람들이 효능시험은 수입제품에만 제한해 요구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오해하는데 모든 제품 즉, 중국산 제품에도 해당되는 요구이다. 하지만 효능시험에 대한 중국 기업과 한국 기업의 시각적 차이는 확연히 달랐다. 지금부터 이 내용을 다뤄보고자 한다. 효능시험은 인체적용시험, 소비자 테스트, 시험실 실험 이렇게 세 가지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인체적용시험은 피실험자를 모집해 일정 기간 동안 제품을 사용 하고 대조시험을 진행한 후 사용부위 기계 측정으로 사용 전후 수치와 타제품 사용자 사용 전후 수치를 대조해 시험 결과를 내는 방식이다. 소비자 테스트는 말 그대로 기계 측정 없이 사용자의 사용감으로 시험 결과를 내는 방식이다. 시험실 테스트는 단순 기기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치 정확성이 확연히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비용은 어떨까. 물론 효능이 많으면 소비자 테스트 비용도 조금씩 달라지긴 하겠지만 상대적으로 인체적용시험이 제일 비싸고 시험실테스트가 가장저렴하다. 그럼 이런 차이점에서 중국기업과 한국기업은 각기 어떤 선택을 했는지 궁금하지 않는가? 중국 기업은 인체적용시험을 선택했다. 분명 고가의 인체적용시험 대신에 저렴한 시험실테스트를 선택할 수도 있었지만 중국 기업의 발상은 달랐다. 시험 결과 보고서는 위생허가 뿐아니라 대대적인 홍보효과도 누릴 수 있다고 자부하고 있었다. 반면, 한국 기업은 효능비용에 일단은 주춤하면서 비교적 저렴한 방법을 찾는 방안을 모색하는 모습에 차이점을 느꼈다. 중국 화장품 기업은 허가 중 효능시험을 또 다른 마케팅 수단, 브랜드 전략으로 포지션을 잡았다. 한국 기업은 이 부분에 소홀한 것은 아닌지 돌이켜볼 필요가 있다. 한국 기업은 허가를 위한 허가를 하고 있지는 않나 생각 해야 한다. 서두에 한중수교 30년이라는 부분을 언급했다. 하지만 역대급 냉랭한 경제적 분위기는 어찌 감출 수가 없다. 경제 성장 둔화에는 여러 가지 요소와 요인이 있지만 이것이 한국 화장품업계 발전을 더디게 하는 걸림돌이 되지 않았으면 한다. 대한민국 화장품업계, 화장품 기업이 지금 잘 할 수 있는 것을 더 잘했으면 한다. 더 좋은 제품, 더 창의적인 제품,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이 대한민국이 잘 만드는 제품이지 않는가. 매리스그룹도 대한민국 화장품 업계 발전에 힘이 되겠다. 김선화 북경매리스그룹 한국지사 차장 (전) 네이처커뮤니케이션즈 해외컨설팅 담당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대구한의대학교(총장 변창훈) LINC3.0사업단이 특화분야인 바이오뷰티 관련 'K-Beauty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개설하고 8월 23일부터 27일까지베트남 현지에서 열리는 'VIET BEAUTY SHOW 2022'에 수강학생과참여기업이 함께 참가해 화장품 트렌드 파악 등의 마케팅과시장조사를 실시했다. K-Beauty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은 K-Beauty 제품의 해외 진출을 위한 글로벌 트렌드 파악, 시장조사방법과분석을 목표로 전공 관련분야 학생들이 국내 이론 학습과 해외 현지 조사실습을 효율적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Pre-Do-Post 교육 이수체계로 운영하고 있다. Pre-Do-Post 교육이란 ▲Pre-실습교육에 대한 선행학습▲Do-실제 제작이나 실습 교육 진행▲Post-앞서 교육한 개념을 현장 연계 실무교육으로 배우는 연계교육 과정이다. 해당 과정으로 이번 하계 캡스톤디자인은 국제적 협업 능력 향상과글로벌 감각과 역량을 지닌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K-Beauty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은 ▲제이랩스▲지엘바이오텍▲더나은컴퍼니▲코스엠▲알래스카드림▲라사 등 6개 기업이 참여한다. 베트남 시장조사와제품 만족도 분석이라는 문제를 기업연계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서 문제해결과성과를 도출하는 프리펀딩 클래스(Pre-Funding Class)로 진행됐고향후 사용 후기 조사 분석을 통한 제품개발 방향성 제시, 유사경쟁 제품분석을 통한 제품 경쟁력 강화 등 시장분석 조사보고서를 각 기업에 전달할 계획이다. 참여 학생들은 LINC3.0사업 화장품산업ICC의 참여기업인 6개 가족기업 제품을 중심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설정하고 조사 분석의 틀 수립과 분석 툴 사용법 등을 이론적으로 학습했다. 또 해외 시장조사 실습을 위해 베트남 뷰티쇼(VIETBEAUTY SHOW 2022)에 참여기업과 메칭해 제품 홍보와수출 상담지원, 기업의 판매 전략과마케팅 전략 등 다양한 현장 활동을 기업 관계와 함께 참여하고호치민시 1군 일대 지역을 학생들이 직접 발로 뛰며 설문조사 통해 현지 시장반응을 살피고 기업에 실질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조사 활동을 수행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코로나 펜데믹이 지나고 비대면 소비가 확산되면서 온라인 플랫폼이 시장의 가장 큰 주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중 3차원 가상공간을 의미하는 메타버스(Metaverse)는 분야를 불문한 많은 기업들이 마케팅 플랫폼으로서 활용 중이다. 특히 5G 상용화와 함께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이 발달하고 MZ세대들의 소비 영역이 확대되며 메타버스를 활용한 마케팅은 그 가치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TV 방송사들은 떠나간 MZ세대를 다시 브라운관 앞으로 데려오기 위해 메타버스를 도입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방영에 나서고 있는가 하면 문화체육관장관부는 지난 2일 한류 문화를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18개 과제에 대해 메타버스화를 추진하기도 했다. 이처럼 게임, 연예, 패션 등 메타버스는 K-문화에서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고문화와 밀접한 뷰티업계 역시 메타버스의 영향력이 커질 수 밖에 없다. # 비대면, 온라인 시장확대 메타버스를 활용한 마케팅이 ‘비대면성’과 ‘컨텐츠의 다양성’이다. 팬데믹 상황에서 화장품 유통은 원브랜드숍에서 멀티숍, 온라인화로 변화됐다. H&B 스토어의 왕으로 군림하고 있는 올리브영도 최근 옴니채널과 온라인 채널 확대에 역점을 두고 있을 만큼현재 뷰티업계에서 온라인은 가능성과 중요성의 규모가 큰 시장 중 하나다. 국내 뿐아니라 해외 시장도 마찬가지다. 시장 조사기관 스태티스타의 전망에 따르면, 2021년 미국 퍼스널케어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440억 6,400만 달러(한화 약 51조 9,250억 원)로 예상된다. 2021~2025년 연간 성장률은 6.49%다. 2025년 예상 시장 규모는 566억 5,900만 달러다. 2021년 중국 퍼스널케어 시장을 채널별로 살펴보면 2020년 온라인 구매 비중은 전년보다 큰 폭으로 상승해 36%에 이른 것을 볼 수 있다. 중국 퍼스널케어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188억 6,400만 달러 증가한 1,090억 3,700만 달러(한화 약 128조 7,290억 원)로 추정된다. 이처럼 온라인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메타버스의 비중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세계 최대 화장품 회사인 로렐알 역시 메타버스에 진입했다. 로레알은 지난 2021년 12월 여성 아티스트들의 NFT를 런칭했으며 사용자가 가상 화장품을 탐색, 수집, 구매와교환할 수 있는 메타버스를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또 P&G뷰티는 프록터앤갬블 뷰티 부문의 자체 가상 세계인 뷰티스피어를 자사 브랜드 전용으로 런칭하면서 메타버스에 첫발을 내디뎠다. 또 로레알코리아는 지난 1월 20일까지 네이버쇼핑과 함께 진행하는 초대형 라이브 쇼핑 페스티벌 '뷰티 원더랜드 페스타'를 진행하며 ‘버추얼 인플루언서’ 등 강화된 ‘쇼퍼테인먼트(shoppertainment, 쇼핑+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했다. # 새로운 공간곧 '컨텐츠' 확장 메타버스의 비대면성은 컨텐츠의 확장으로 이어졌다. 소비자들은 직접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브랜드사의 화장품을 체험해 볼 수 있으며 각 브랜드 사의 세계관을 공유하며 감성을 충족하고 친밀감을 쌓을 수 있게 됐다. 국내 대표 뷰티기업 LG생활건강은 국내 뷰티업계 최초로 NFT 발행을 계기로 자사 브랜드 빌리프의 스토리텔링형 세계관이 담긴 ‘빌리프 유니버스 컬렉션’을 올해 공개했다. LG생활건강은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브랜드 마케팅 전략이자 단순 제품 판매를 넘어 브랜드의 두터운 팬 층을 형성할 수 있는 NFT를 업계 최초로 개발하고 판매에 나선 것이다. LG생활건강은 빌리프 브랜드 세계관이 담긴 빌리프 NFT 발행을 통해 소비자들이 빌리프브랜드 스토리와 가치관을 입체감 있는 캐릭터로 소장해 빌리프 유니버스에 몰입할 수 있도록하는 데에 중점을 뒀다. 아모레퍼시픽 컨템포러리 뷰티 브랜드 헤라는 제페토와의 파트너십으로 오픈한 팝업스토어는 헤라의 한정판 ‘위시로켓 컬렉션’의 가상 세계관으로 구성했다. 또 에뛰드는 제페토 내 아이템숍에서 메이크업 룩과 의상 등 다양한 아이템을 선보이고 포토부스와 월드맵 내 ‘에뛰드 버추얼 플래그십스토어’를 오픈했다. 가상으로 에뛰드 제품을 사용해 트렌디한 메이크업을 연출하고 에뛰드의 브랜드 컬러인 핑크 원피스와 러블리한 아이템 등을 아바타에 매치해 나만의 개성을 자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한계뛰어넘무한한 가능성 세계적으로 확장 중인 온라인 시장과 더불어 성장 중인 메타버스의 영역. 글로벌 뷰티 기업들의 메타버스 진출 등 메타버스는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잡은 것이 분명하다. 미국 시장조사 업체 가트너는 최근 보고서에서 2026년까지 전 세계 조직의 30%가 메타버스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보유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이미 여러 브랜드가 메타버스로의 전환을 예상하고 사용자의 삶을 디지털 방식으로 복제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메타버스 시장 규모는 2025년 577조 원에서 2030년 1,817조 원이넘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그런데 이런 메타버스 플랫폼의 발목을 붙잡는 것이 있다. 그것은 놀랍게도 앞서 언급했던 장점인 ‘비대면성’과 ‘다양한 컨텐츠’에 힌트가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온라인 시장을 잡았지만 ‘모든’ 온라인 시장을 사로잡지는 못했다. 증가한 전자상거래의 비중 중에는 모바일이 상당 수를 차지한다. 그런데 현재 시점에서 메타버스는 모발일에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성장했다고 하기엔 아직 이르다. 그것이 메타버스에게 한계를 심어주고 있다. 화장품 온라인쇼핑·모바일쇼핑 거래액 증감률 추이 통계청의 ‘7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은 7,762억 원을 기록 전년보다 20%나 급감했다. 화장품의 월간 온라인 매출은 2017년 11월 7,382억원으로 첫 7천억원대를 기록했고 2018년 1월 7,716억 원 이후 줄곧 상승 곡선을 그려왔다. 그런데 모바일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PC 등을 통한 온라인 시장의 영향력을 줄어가는 것이다. 중소벤처진흥공단이 지난 2021년 4분기 국내 전자상거래 동향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12월과 2022년 12월의 화장품 거래액을 조사 비교한 결과 온라인 거래액은 12.1% 감소했다. 다만 모바일 쇼핑 거래액의 경우에는 1,638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6% 증가했다. 또 ‘컨텐츠의 다양화’에도 비판에 목소리는 나오고 있다. 현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마케팅은 커뮤니티적인 요소에 치중돼 있다. 브랜드에 대한 친밀감이나 감성적인 면을 공유할 수는 있으나 실용적인 면에서는 다소 부족하다는 평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메타버스는 아직 매니아틱한 플랫폼에서 벗어나지를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시간과 기술 발달의 문제일 뿐 메타버스가 무한한 가능성을 지녔다는 것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 메타버스는 가상공간을 이용하는 만큼 개인화와 일대일 등에 특화돼 있다. 이는 현재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맞춤형화장품의 플랫폼으로서 손색이 없다는 뜻이다. 이와 같은 강점은 더욱 강화하고 모발일을 통한 메타버스 실현이 제대로 이뤄진다면 메타버스는 미래 산업에 가장 완벽하게 부합하는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것이 분명하다.
■개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9월호는 특집 '화장품의 새로운 평가 · 측정법의 개발을 주제로 ▲화장품 사용 시 기분과 행동변와에 관한 정서가치의 정량화▲방사선 X선CT에 의한 프레스드 파운데이션의 3차원 내부 구조 관찰 방법▲TPR채널을 이용한 피부 자극감 평가 방법의 개발과 응용▲아임계수 추출 기술을 이용한 식물 추출에서 파이토케미컬의 복잡성 증가▲마이크로 니들 전극에 의한 피부 장벽기능 평가와 경피 분자 전달▲적외선 서모그래피와 떡 절편 시험법을 이용한 셀룰로오스 구형 미립자 배합 화장품의 보습성과 사용감의 기기 평가 등을 구성했다. [칼럼] 한중수교 30주년, 중국 화장품 법규 변화 후 1년 ‘현재 화장품 시장은?’ [테마기획] 화장품업계 상반기 매출실적 현황분석 [특집] 화장품의 새로운 평가· 측정법의 개발 1.화장품 사용 시 기분과 행동변화에 관한 정서가치의 정량화, Quantification of emotional values related to feelings and behavioral changes in cosmetics use, 시세이도 미래개발연구소(資生堂 みらい開発研究所) 岡崎龍太 · 佐藤智穂 · 渡辺智子 2.방사광 X선 CT에 의한 프레스드 파운데이션의 3차원 내부 구조 관찰 방법, Observation method for three-dimensional internal structure of pressed foundation by X-ray CT using synchrotron radiationg, 마루젠제약 종합연구소 (丸善製薬 総合研究所) 豊田直晃 3.TRP 채널을 이용한 피부 자극감 평가 방법의 개발과 응용, Assay development for skin irritation focus on TRP channels function, 맨담 제품평가연구소 (マンダム製品評価研究所) 高石雅之 4.아임계수 추출 기술을 이용한 식물 추출에서 파이토케미컬의 복잡성 증가, Naturally increasing phytochemical complexity in botanical extractions using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technology, 루브리졸(Lubrizol) Rebecca Chisholm · Fan Yang · Jung Mo Kim · Sandra Méndez · Caroline Vitrac · J ú lia Comas · Sylesh Venkataraman · Raquel Delgado 5.마이크로 니들 전극에 의한 피부 장벽기능 평가와 경피 분자 전달, Porous microneedle electrodes for evaluation of skin barrier and for transdermal molecular delivery, 도후쿠대학 공학연구과 (東北大学 工学研究科) 西澤松彦 6.적외선 서모그래피와 떡 절편 시험법을 이용한 셀룰로오스 구형 미립자 배합 화장품의 보습성과 사용감의 기기 평가, Equipment evaluation of moisturizing properties and usability o f cosmetics containing cellulose spherical fine particles using infrared thermography and cut rice cake test method, 긴키대학 생물이공학부생물공학과 (近畿大学 生物理工学部生物工学科) 鈴木高広 [원료 최신 연구 동향 Ⅰ] Snow Blossom (흰목이버섯 다당체) / (주)모아캠 [원료 최신 연구 동향 Ⅱ] DUB G-SMART / By. Stéarinerie Dubois [신소재 신원료 소개 Ⅰ] InnovaBio Tech Haberlea / (주)JTS [신소재 신원료 소개 Ⅱ] 소이 히트 가드 (Promois ® WS-HSIGPD) / (주)성화화성 [신소재 신원료 소개 Ⅲ] Caressense™ biofunctional / Ashland 재팬(주) [신소재 신원료 소개 Ⅳ] SOLAPURE GLO / (주)이나무역상회 [원료기업 탐방Ⅰ] 두웰씨앤아이, 소비자 니즈 트렌드 맞춘 원료 공급 ‘심혈’ [원료기업 탐방Ⅱ] 온시, 천연유기농화장품 원료 공급부터 등록, 컨설팅까지 지원 [화장품 빅데이터 분석 시리즈] 구강용품 트렌드 분석 [MARKETING] 결국 남는 것은 브랜드 네임, 브랜딩 포인트 ‘브랜드 네이밍’ [물류] 유통공룡 맞서기 위한 무기 ‘D2C 전략’ [차이나 리포트] 중국 화장품 시장 과도기 ‘포기 대신 선택을’ [최신 한국 특허정보 소개] 2022년 4월 공개 한국 화장품 특허 현황 [중국 시장에 도전한다] 전반기 최대 EC 세일 ‘6.18’ 쇼핑축제 [Catch the Wind] 미용성분 마케팅 가치 Journal by Journal NEWS & NEWS 2022년 글로벌 화장품 미용 대표 박람회 일정표 편집위원, 전문위원, 해외통신원 소개 편집후기, 판권 ■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소개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1973년 창간된 일본 유일한 향장품(화장품, 의약부외품)에 대한 연구개발 기술 전문 저널 프레그런스저널의 한국판이다. 국내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한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전문지로 일본과 국내의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원료, 부자재, OEM ODM, 임상실험, 기계설비 등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한다.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분야에서 국내 보다 앞선 일본의 수준 높은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논문과 최신 트렌드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글로벌 화장품 시장을 겨냥한 국내 업계에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프레그런스저널사와 정기적으로 화장품 신소재 신기술 교육 세미나, 기술 이전, 수출입 교역, 화장품 B2B 박람회 등 다양한 공동업무 진행을 통해 전문저널의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다. 회사명 : (주)코스인 설립일자 : 2012년 4월 대표이사 : 길기우 사업내용 : 화장품 뷰티 산업 온라인 웹뉴스, 교육 세미나 정보 사업, 컨설팅 사업, 국내외 화장품 박람회 공동 주관, 협회 신문 발간 대행 사업, 출판 및 전자상거래 사업 등 주소 : 서울시 금천구 디지털로9길 99 805호(가산동 스타밸리) TEL 02-2068-3413 FAX 02-2068-3412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코스노리가 9월 톤업크림 브랜드평판 1위 수성에 성공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8월 8일부터 9월 8일까지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톤업크림 브랜드 30개에 대한 빅데이터 913,431개를 평판 분석했다. 지난 8월 톤업크림 브랜드 빅데이터 926,688개와 비교하면 1.43% 줄어들었다. 9월 톤업크림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코스노리, 나인위시스, AHC, 듀이셀, 페리페라, 구달, 뷰티영, 한율, 롬앤, 비비드온가 상위 10위권을 차지했다. 이어 넘버즈인, 비원츠, 내추럴더마프로젝트, 이프너리, 리엔케이, 다슈, 컬러그램, 루이비엘, 유이라, 블랑풀, 에스투엔디, 차앤박, 쏭레브, 한스킨, 썸바이미, 미친스킨, 어퓨, 닥터자르트, 몬스터팩토리, 웨이크메이크 톤업크림 순으로 분석됐다. 톤업크림 브랜드평판 2022년 9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톤업크림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코스노리 톤업크림 브랜드는 참여지수 58,580 소통지수 64,255 커뮤니티지수 57,10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79,936으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123,906과 비교하면 31.14% 상승했다. 2위를 차지한나인위시스 톤업크림 브랜드는 참여지수 42,827 소통지수 52,389 커뮤니티지수 46,43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41,653으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116,882와 비교하면 17.49% 상승했다. 또 3위를 기록한AHC 톤업크림 브랜드는 참여지수 24,884 소통지수 35,839 커뮤니티지수 51,46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12,193으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108,399와 비교하면 3.38% 상승했다. 4위를 차지한듀이셀 톤업크림 브랜드는 참여지수 20,612 소통지수 25,209 커뮤니티지수 22,42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8,248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71,997과 비교하면 5.49% 하락했다. 이어 5위를 기록한페리페라 톤업크림 브랜드는 참여지수 9,986 소통지수 17,699 커뮤니티지수 28,03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5,719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51,229와 비교하면 8.06% 상승했다. 톤업크림 브랜드평판 2022년 9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톤업크림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톤업크림 브랜드평판 2022년 7월, 8월, 9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9월 톤업크림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는 코스노리 톤업크림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톤업크림 브랜드 카테고리 빅데이터 분석을 해보니 지난 8월 톤업크림 브랜드 빅데이터 926,688개와 비교하면 1.43%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4.53% 상승, 브랜드소통 4.77% 상승, 브랜드확산 9.03% 하락했다"고 평판 분석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셀피글로벌(대표 김정은)의 최대주주가 (주)로켓인터내셔널(대표 김경아, 이서준)로 변경된다. 8일 셀피글로벌 측은 “향후 회사의 셀피 사업에 속도를 내고 사업적인 시너지 확대를 위해 최대주주를 변경한다”며, "신사업 진행에 속도를 내고 사업협력이 가능한 전략적 투자자(SI)로 최대주주를 변경했다. 새로운 최대주주와 협력해 경영권을 안정화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로켓인터내셔널은 화장품 무역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이다. 중국 내 인적 네트워크와 유통 인프라를 갖고 있다. 셀피글로벌이 중국을 비롯한 해외로 사업을 확장할 때 로켓인터내셔널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로켓인터내셔널이 오름에프앤비가 갖고 있던 지분 15.72%를 인수하고 최대주주 지위에 올랐다. 기존 아이씨케이에서 변경 상장된 셀피글로벌은 지난 8월 임시주주총회에서 신규 경영진을 선임하고 셀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셀피글로벌은 최근 다양한 신사업에 진출하며 체질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메탈카드 영업 강화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하고국내외 결제시장 선점을 위해 영업력을 강화에 매진 중이다. 미국 내에서 수수료 분배 계약 뿐아니라 국내 대형편의점과 탭투페이(Tap to Pay) 서비스 도입을 위한 협의도 진행 중에 있으며이르면 연내 국내에서도 셀피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셀피글로벌 관계자는 “수익성 높은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공격적인 사업 확대를 통해 기업 가치를 제고하겠다”며, “관련 전문인력 추가 영입을 통해 신사업 진행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영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2년 9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9월호는 특집 '화장품의 새로운 평가, 측정법의 개발을 주제로 ▲화장품 사용 시 기분과 행동변와에 관한 정서가치의 정량화▲방사선 X선CT에 의한 프레스드 파운데이션의 3차원 내부 구조 관찰 방법▲TPR채널을 이용한 피부 자극감 평가 방법의 개발과 응용▲아임계수 추출 기술을 이용한 식물 추출에서 파이토케미컬의 복잡성 증가▲마이크로 니들 전극에 의한 피부 장벽기능 평가와 경피 분자 전달▲적외선 서모그래피와 떡 절편 시험법을 이용한 셀룰로오스 구형 미립자 배합 화장품의 보습성과 사용감의 기기 평가 등을 구성했다. 테마기획은화장품 공개기업 70개사 올해 상반기 매출실적 현황을 분석했다. 마케팅 섹션에서는 브랜드 네이밍에대해서 다뤘다. 명확한 기업 아이덴티티를 전달 하기 위한 브랜딩 포인트에 대한 실제적 사례를 들어 풀어냈다. 물류 섹션에서는 D2C 전략에 대해 살펴봤다.유통공룡의 의존도를 줄이며 물류 경쟁력의 핵심이 될 D2C 모델을 제시했다. 차이나 리포트에서는 중국 화장품 시장 과도기에 대해서 자세히 다뤘다. 최근 법과 제도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을 돌파구와 조심해야 할 것들을 짚어냈다. 원료 최신 연구동향으로는 Snow Blossom, DUB G-SMART 등이 소개됐고 원료기업 탐방에서는 소비자 니즈 트렌드에 맞춘 원료 공급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두웰씨앤아이'와 천연, 유기농화장품 원료공급부터컨설팅까지 지원하는 '온시' 전략을 분석했다. 2020~2021학년도 화장품 R&D 분야박사학위 논문 7편이 실렸다. 최신 한국 특허정보 소개에는 2022년 4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이 게재됐다. 한편,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국내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한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저널로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원료, 부자재, OEM ODM, 임상시험, 기계설비 등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를 제공하고 있다. 또 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등 전국 유명 대형서점과 예스24, 인터파크, 도서11번가, 알리딘, 갓피플 등 유명 인터넷 서점 등에 배포돼 보다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괴산세계유기농산업엑스포조직위(위원장 김영환)는 7일 구독자 153만 유튜버이자 스타강사인 ‘김미경’ 대표를 명예홍보대사로 위촉했다. 충북이 고향인 김미경 대표는 화려한 언변으로 대중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각종 TV 프로그램 등에 출연하며 왕성하게 활동해 왔으며 최근에는 교육 종합 플랫폼 MKYU를 운영하며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충북에 대한 애향심이 남달라 9월 개막하는 유기농엑스포 홍보에도 적극 동참하기로 하고 이날 청주 고인쇄 박물관에서 충북 도민을 위해 '코로나 이후 위기를 이기는 법'이라는 주제로 특강도 준비했다. 김미경 대표는 “고향에서 열리는 국제 행사인 괴산세계유기농산업엑스포의 명예홍보대사로 위촉되어 의미가 남다르다”며 “유기농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엑스포가 성공리에 개최될 수 있도록 열심히 홍보하겠다”고 위촉 소감을 밝혔다. 엑스포 관계자는 “지역 출신 스타 강사 김미경 대표가 엑스포 명예홍보대사로 위촉되어 뿌듯하다”며, “엑스포 공동조직위원장인이시형 박사와 김미경 대표의 유기농에 대한 이야기가 9월 15일 유튜브 채널 김미경 TV로 공개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조직위는 지난 8월 SBS 트롯신이 떴다 3위를 차지한 가수 한봄을 비롯해총 94명의 다양한 분야의 인사를 명예홍보대사로 위촉해엑스포 홍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비앤에이치코스메틱의 한국 전통 피부과학 화장품 브랜드 아크웰(ACWELL)의 비건 클린뷰티 라인 ‘온 비자 에센스’가 '2022 얼루어 베스트 오브 뷰티 어워드' 클린 진정 에센스 부문에서 에디터스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16회를 맞이하는 '2022 얼루어 베스트 오브 뷰티 어워드'는 뷰티·라이프 스타일 매거진 '얼루어 코리아'에서 지난 1년간 출시된 뷰티 제품을 심사해 우수 제품을 시상하는 뷰티 어워드이다. 공정한 조사와 함께 관계자들과 일반인 평가단의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해 최고 점수를 받은 제품을 선정한다. 아크웰의 ‘온 비자 에센스’는 자극지수 0.000의 진정, 브라이트닝 비건 에센스로 저온에서 3번 추출한 TDX 공법을 이용해 관리된 청정 제주의 숲에서 자란 비자나무 추출물을 온전히 담았다. 피부 무자극 테스트를 완료한 민감성 피부 대상 무자극성 제품으로 판정받았으며 제품 사용 후 외부 자극에 의한 진정 효과와 누적 보습 개선 효과와 피부 브라이트닝 효과 그리고 투명도 개선 효과를 입증했다. 또 아크웰의 온 비자 에센스는 JEJU COSMETICS, VEGAN, FSC 인증, SOY INK 인증까지 모두 완료된 제품으로 환경까지 생각한 제품이다. 비엔에이치코스메틱 아크웰 관계자는 "2022 얼루어 베스트 오브 뷰티 어워드 수상을 통해 ‘온 비자 에센스’의 제품력을 인정받아 기쁘다"며, "앞으로도 많은 고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은 물론 다양한 이벤트도 준비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아크웰의 온 비자 에센스는 아크웰 공식 홈페이지에서 만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청소년 여드름 화장품과 피부 저자극에 집중한 클린뷰티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는 스킨구하리가 9월 8일부터 19일까지 추석맞이 이벤트 50%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추석 50% 이벤트는 스킨구하리에서 출시하는 전 라인이 대상이다. 여드름과 같은 트러블 피부에 도움을 주는 리바이브 테라피 라인과온 가족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ATL 보습 라인이 이에 해당된다. 리바이브 테라피는 폼클렌징과 토너, 앰플, 크림 4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ATL 라인은 헤어앤바디워시, 올인원 에센셜 미스트, 수딩젤, 릴리프 로션과 크림 총 5종으로 출시한 모델이다. 스킨구하리의 관계자는 "무더운 여름철은 민감성 피부이거나 트러블성 피부를 가진 사람이라면 제일 힘든 시기이다. 여드름의 경우에는 과잉 유분과 피지 뿐아니라 외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더욱더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많은 분들의 피부 고민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스킨구하리 추석맞이 50% 이벤트 행사 품목은 공식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이벤트 기간 동안 기존에 지원되던 구매 금액별 사은품과신규 회원 이벤트도 함께할 예정이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올리브영이 ‘쉽고 재미있는 건강식품’을 주제로 대규모 건강 캠페인을 펼친다. CJ올리브영(이하 올리브영)은 8일부터 9월 30일까지 ‘오늘부터 건강올령’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이날밝혔다. ‘오늘부터 건강올령’은 올리브영이 지난 5월 올리브영에서 건강함을 올린다는 의미로 기획한 ‘건강올령’ 연중 캠페인의 일환이다. 올리브영은 이번 캠페인을 통해 올리브영에서 쉽고 간편하게 만나볼 수 있는 건강 루틴을 제안하고MZ세대가 즐겨 찾는 건강식품 대표 구매 채널로 입지를 확고히 할 계획이다. 9월 말까지 진행되는 ‘오늘부터 건강올령’ 캠페인은 건강 고민에 따른 건강식품 추천을 다양화하고체험요소도 한 층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 MZ세대의 주목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일러스트레이터 이십오일(25일) 작가의 ‘후츄수(후후, 츄츄, 수수)’ 캐릭터를 활용, 올리브영에서 만나볼 수 있는 일상 속 건강식품을 웹툰, 영상 등으로 위트 있게 소개한다. 먼저 ‘활력’과 ’장 관리’, ’체중 관리’를 콘셉트로 멀티 비타민과 유산균, 슬리밍, 이너뷰티 등 다양한 건강식품을 선별해 최대 50% 할인한다. ▲오쏘몰 ▲푸드올로지 ▲딥트3일 ▲세노비스 ▲락토핏 ▲비비랩 등이 참여한다. ‘후츄수’ 캐릭터가 추천하는 기능별 건강식품도 올리브영 공식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채널에서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올리브영이 추천하는 건강 루틴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는 ‘건강올령 키트’도 준비했다. 효소, 콜라겐 등 이너뷰티(먹는 화장품) 상품을 중심으로 꾸려진 ‘맛있는 키트’와 유산균, 오메가3 등 건강 관리에 초점을 맞춘 ‘건강한 키트’ 두 종류다. 각각 건강식품 체험분 최대 6종과 건강 부적 굿즈로 구성했으며오는 9월 16일부터 건강식품을 1만 원 이상 구매한 고객에 한해 1인 1회 선착순 증정한다. 모바일 앱(App)에서는 추석 ‘건강 선물’ 시즌을 겨냥, 오는 15일까지 적용 가능한 ‘건강올령’ 장바구니 쿠폰을 발급한다. 건강식품 4만 원 이상 구매 시 3천 원이 추가 할인된다. 올리브영은 “MZ세대에게 건강 관리가 필수로 자리잡으면서근거리 매장의 접근성과 온라인몰의 편의성을 모두 갖춘 올리브영에서 건강식품을 쇼핑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상이 됐다”며, “뷰티를 넘어 건강식품도 가장 쉽고 빠르게 구매할 수 있는 대표 채널로 시장 트렌드를 선도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종근당건강(대표 김호곤)이 전개하는 CKD 비오틴 헤어솔루션 ‘아미노비오틴’의 염색샴푸 ‘미노비오틴 퀵블랙 염색샴푸’가 첫 출시 이후 3개월 만에 4,0000개 이상의 판매량을 돌파했다. 이번 판매 성과에 대해 화장품사업본부 조영한 본부장은 “염색샴푸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1~3회 정도만 사용해도 빠르게 염색이 가능한 제품을 원한다는 점에 착안해 CKD 아미노비오틴 퀵블랙 염색샴푸를 개발하게 됐다”며, “향후에는 빠른 염색력은 유지하면서도 두피와 모발 건강에 더욱 세심하게 케어할 수 있는 프리미엄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므로 계속해서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면 좋겠다”고 판매 성과에 대한 소감을 밝혔다. ‘아미노비오틴 퀵블랙 염색샴푸’는 머리를 감는 것을 통해 손쉽게 염색효과를 볼 수 있는 샴푸로뿌리염색에서부터 백발까지 염색이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제품은 병풀 추출물 30%와 노니 추출물을 함유한 저자극 포뮬라로 두피 진정 효과와저자극 테스트를완료했다.
인천광역시는 인천의 8대 전략산업인 뷰티산업의 육성과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위해 2022년 코리아 뷰티&코스메틱 쇼에 참가 시 프리미엄 부스임차료를 지원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오는 9월 7일까지 참가기업을 모집한다. 지원대상은인천에 본사 또는 공장을 소재한 화장품 제조 또는 책임판매 기업, 식약처 등록필증을 제출한 1년 이상(등록일 기준) 영업 중인 중소기업에 한한다.단, 미용기기 등 식약처 등록필증 제출이 어려운 경우 사업자 등록증 상 미용기기 제조, 화장품제조업 등 뷰티관련 기업 확인 가능 시 신청이 가능하다.사업내용은프리미엄 부스임차료 약 88% 지원(기업당 1,500천원)한다.지원규모는10개사 내외다.신청은비즈오케이(http://bizok.incheon.go.kr)에 온라인으로 접수하면 된다. 자세한 문의는인천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센터 최인구 과장(032-260-0642)에게 하면 된다. * 제목 : 2022년 코리아 뷰티&코스메틱 쇼 참여기업 모집 * 주관 : 인천광역시 * 사업기간 : 2022년 11월 3일~11월 5일 * 모집기간 : 2022년 9월 7일 * 사업개요 : 인천의 8대 전략산업인 뷰티산업의 육성과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위해 2022년 코리아 뷰티&코스메틱 쇼에 참가 시 프리미엄 부스임차료를 지원하는 사업 * 지원대상 : 인천에 본사 또는 공장을 소재한 화장품 제조 또는 책임판매 기업, 식약처 등록필증을 제출한 1년 이상(등록일 기준) 영업 중인 중소기업에 한함, 단, 미용기기 등 식약처 등록필증 제출이 어려운 경우 사업자 등록증 상 미용기기 제조, 화장품제조업 등 뷰티관련 기업 확인 가능 시 신청 가능 * 사업내용 : 프리미엄 부스임차료 약 88% 지원(기업당 1,500천원) 지원 * 지원규모 : 10개사 내외 * 신청방법 : 비즈오케이(http://bizok.incheon.go.kr) 온라인 접수 * 상세문의 : 인천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센터 최인구 과장(032-260-0642)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삼양그룹의 식품, 화학 계열사인 삼양사의 클린 뷰티 화장품 브랜드 어바웃미(About Me)가 ‘메이플 세라’ 라인을 선보이고 비건 제품인 핸드 버터 1종, 립 버터 2종을 8일 출시한다. 어바웃미는 코로나19감염 예방을 위해 잦은 손소독으로 민감해진 손과 쉽게 마르고 갈라지는 입술로 고민하는 소비자를 위한 뷰티 신제품 ‘메이플 세라 비건 핸드 버터’와 ‘립 버터’ 2종을 선보였다. 메이플 세라 라인은 피부 보습에 도움을 주는 설탕단풍(메이플)추출물과 버터 3종(시어버터, 쿠푸아수씨버터, 야자씨버터)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해 거칠고 메마른 손과 입술에 깊고 진한 보습감을 선사한다. 버터 성분 3종은 피부 보습과 유연성 향상, 피부 보습막을 형성해 피부 수분 증발 방지에 도움을 준다. 또 피부 보습과 장벽 케어에 도움이 되는 세라마이드(피부 지질층을 구성하는 성분 중 하나) 성분을 함유해 피부 보습에 효과적이며 튼튼한 보습막으로 피부를 보호한다. 특히 메이플 세라 라인에 함유된 에코 세라마이드는 촉매나 용매와 같은 화학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달맞이꽃 씨앗에서 추출한 식물성 오일이 함유돼 피부를 촉촉하고 건강하게 케어해 준다. 메이플 세라 라인은 민감한 피부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성인 여성 33명을 대상으로 피부 자극 정도를 테스트한 결과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비(무)자극’ 성분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출시되는 신제품은 핸드 버터 1종, 립 버터 2종 총 3종이다. 핸드 버터는 피부에 부드럽게 스며드는 버터 텍스처로 버터 성분 특유의 우수한 보습력은 유지하면서 끈적거리는 사용감 없이 매끄럽게 마무리된다. 인공 향료가 아닌 천연 향이 첨가돼 은은하고 싱그러운 향도 느낄 수 있다. 립 버터는 번들거림 없이 부드럽게 입술에 밀착돼 매끈하고 촉촉한 입술을 만들어 준다. 색상은 투명한 무색의 ‘가을하늘’(1호)과 단풍잎처럼 톤 다운된 레드 색상의 ‘돌담길단풍’(2호)로 구성됐다. 2호 돌담길단풍 색상은 자연스러운 발색으로 생기 있는 입술 피부를 연출할 수 있다. 삼양사 어바웃미 관계자는 “이번 신제품은 동물성 원료를 배제하고 한국비건인증원의 비건 인증을 획득한 순한 저자극 제품으로 남녀노소 모두 사용할 수 있다”며, “특히 잦은 손 세정제 사용으로 민감해진 손 피부와 갈라진 입술 피부로 고민하는 소비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신제품은 8일부터 어바웃미 공식몰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14일부터는 공식 네이버스토어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 네이버스토어에 한해 30일까지 30%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앙방이 9월 샴푸 브랜드 평판에서도 꾸준하게 1위를 이어나가고 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8월 7일부터 9월 7일까지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샴푸 브랜드 30개에 대한 빅데이터 26,732,645개를 평판 분석했다. 지난 8월 샴푸 브랜드빅데이터 26,007,412개와 비교하면 2.79% 증가했다. 9월 샴푸 브랜드평판 순위는 앙방 샴푸, 헤드앤숄더 샴푸, 닥터그루트 샴푸, 아베다 샴푸, 아모스 샴푸, TS 샴푸, 쿤달 샴푸, 케라시스 샴푸, 밀크바오밥 샴푸, 려 샴푸가 상위 10위권을 차지했다. 이어 엘라스틴 샴푸, 르네휘테르 샴푸, 제이숲 샴푸, 러쉬 샴푸, 케라스타즈 샴푸, 아로마티카 샴푸, 오가니스트 샴푸, 비욘드 샴푸, 시세이도 샴푸, 미쟝센 샴푸, 댄트롤 샴푸, 도브 샴푸, 댕기머리 샴푸, 록시땅 샴푸, 부케가르니 샴푸, 보타랩 샴푸, 라우쉬 샴푸, 앙포레 샴푸, 팬틴 샴푸, 클로란 샴푸 순으로 분석됐다. 샴푸 브랜드평판 2022년 9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샴푸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앙방 샴푸 브랜드는 참여지수 748,338 소통지수 741,470 커뮤니티지수 771,05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 2,260,866으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2,211,693과 비교하면 2.17% 상승했다. 2위를 차지한헤드앤숄더 샴푸 브랜드는 참여지수 870,590 소통지수 836,239 커뮤니티지수 544,07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 2,250,908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2,185,155와 비교하면 2.92% 상승했다. 또 3위를 기록한닥터그루트 샴푸 브랜드는 참여지수 811,415 소통지수 463,098 커뮤니티지수 463,65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 1,738,169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2,146,475와 비교하면 23.49% 하락했다. 4위를 차지한아베다 샴푸 브랜드는 참여지수 659,924 소통지수 689,909 커뮤니티지수 388,24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 1,738,077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1,597,427과 비교하면 8.09% 상승했다. 이어 5위를 기록한아모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559,840 소통지수 568,807 커뮤니티지수 314,37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 1,443,025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1,575,993과 비교하면 9.21% 하락했다. 샴푸 브랜드평판 2022년 9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샴푸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샴푸 브랜드평가지표에는 브랜드채널 평가, 브랜드에 대한 평판리스크, 브랜드 마케팅지표 분석과 한국브랜드모니터의 정성평가도 포함했다. 샴푸 브랜드평판 2022년 7월, 8월, 9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2년 9월 샴푸 브랜드 분석결과, 앙방 샴푸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샴푸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 보니 지난 8월 샴푸 브랜드빅데이터 26,007,412개와 비교하면 2.79%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2.02% 상승, 브랜드소통 0.14% 상승, 브랜드확산 7.74%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올리브인터내셔널 밀크터치가 취약계층을 위해 9,200만원 상당의 화장품을 기부했다. 밀크터치가 후원하는 스킨케어 제품은 미혼모와 한부모 가정, 여성청소년 등 취약계층에게 전달될 예정이다. 밀크터치는 최근 신제품 론칭과 프로모션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고객에게 받은 성원에 보답하고자 국제개발협력 NGO 지파운데이션을 통해 취약계층을 위한 9,200만원 상당의 화장품을 기부했다고 7일 밝혔다. 밀크터치는 차별화된 성분과 포뮬러, 깐깐한 효과 검증을 통해 고객들의 피부 고민 해결에 도움을 주는 종합 코스메틱 브랜드다. 2019년 브랜드 론칭 이후 아동 보호 시설과 후원 취약 지역에 밀크터치 베스트셀러 제품과 손소독제 등을 전달하며 꾸준한 선행을 실천하고 있다. 밀크터치 한송이 사업본부장은 "밀크터치는 Start From You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고객으로부터 시작된 브랜드를 지향하고 있다"며, "고객으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은 만큼도움을 필요로 하는 분들께 더 많이 베풀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지파운데이션은 UN 경제사회이사회의 특별 협의적 지위를 취득한 국제개발협력NGO로 국내 아동, 청소년지원사업, 독거노인지원사업, 사회적경제사업 등을 비롯해 해외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교육지원과 보건의료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롯데면세점(대표이사 이갑)이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 고객의 팬심을 사로잡기 위해 슈퍼주니어와 스트레이키즈를 모델로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롯데면세점은 지난 5일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8인조 남성 아이돌 그룹 ‘스트레이키즈(Stray Kids)’의 모델 발탁을 알리는 영상 콘텐츠를 선보였다. 지난 8월에 공개한 가수 겸 배우 이준호와 걸그룹 에스파에 이은 세 번째 모델이다. 스트레이키즈는 2018년 데뷔해 지난 3월데뷔 4년 만에 미국 종합 앨범차트인 ‘빌보드 200’에서 1위를 차지하며 글로벌 대세 그룹으로 자리 잡았다. 스트레이키즈에 이어7일 슈퍼주니어도 새 모델로 합류한다. 모델 라인업을 알리는 ‘게스후(Guess Who)’ 모델 공개 영상과 함께 SNS 이벤트가 업로드될 예정이다. 슈퍼주니어는 2005년 데뷔 후 ‘쏘리쏘리’, ‘미인아’ 등 히트곡을 내며 동남아 지역에서 K-POP 대표 가수로 한류를 이끌어 왔다. 특히 슈퍼주니어는 2013년부터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까지 약 7년 동안 장수 모델로 활동한 만큼 롯데면세점과 인연이 깊다. 롯데면세점의 대표 문화 콘텐츠인 ‘롯데면세점 패밀리콘서트’를 비롯해 웹드라마 ‘퀸카메이커’에 출연했으며하노이공항점 오픈식 등 주요 행사를 함께하며 수년간 롯데면세점의 브랜드 가치 제고에 기여했다. 롯데면세점은 팬층이 두터운 슈퍼주니어와 스트레이키즈를 필두로 고객 다변화와동남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국내와해외 롯데면세점 매장을 포함해 공식 SNS계정과 LDF매거진 등을 통해 슈퍼주니어와 스트레이키즈의 다양한 매력이 담긴 인터뷰와 사진 등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상진 롯데면세점 마케팅부문장은 “최근 동남아 방한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고다낭시내점 신규 출점 또한 앞두고 있는 만큼 새로운 모델들과 함께 다양한 이벤트를 선보여 고객들의 팬심을 사로잡을 계획이다”며, “앞으로도 롯데면세점은 관광과 쇼핑을 연계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해국내 관광시장 회복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롯데면세점은 관광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엔터투어먼트 마케팅의 선두주자로서 그동안 한류스타들과 함께 콘서트와 웹드라마, 팬미팅 등 K-콘텐츠를 지속해서 제작해 고객들에게 선보여 왔다. 특히 ‘롯데면세점 패밀리콘서트’는 2006년부터 직접 관람한 내외국인이 100만 명에 달하며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으로 진행한 31번째 랜선 공연은 조회수 300만 뷰를 기록하는 등 명실상부 대표 한류 이벤트로 자리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