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력에 의한 부하에 대항하는 강력한 페이셜 리프팅Gravityl™(그라비틸) 피부 노화 현상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보고에 의하면 소비자의 약 50%가 ‘피부 탄력 저하’, ‘페이셜 라인의 무너짐’, ‘이중 턱’ 등의 현상이 피부 노화를 신경 쓰게 되는 사인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현상들은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주요 구성 성분 열화와 재생능력 상실로 인해 야기되지만통상적으로 몇 가지 외적 요인, 예를 들어 ‘자외선’, ‘대기오염’ 등이 관련되어 피부 노화가 가속화된다. 한편, ‘중력’도 영구적이며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작용 하는 피부에 대한 부하이지만 일상적이기 때문에 피부 노화의 주제로 잊히기 쉽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중력이 피부, 특히 얼굴의 아랫부분에서 일어나는 많은 노화의 징후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속적인 중력 부하에 대해 피부 구성 성분의 재생력을 회복하고 리프팅 효과를 가져올 뿐아니라 웰 에이징의 개혁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성분으로서 본 제품이 개발됐다. 그림1I형 콜라겐의 합성 촉진 Gravityl은 지보단 액티브 뷰티의 마린 바이오 연구시설이 있는 프랑스의 브르타뉴 지역에 서
# 미용 제제에 사용되는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5)대체 원료SilSense™ Bio 5 emollient(실센스 바이오 파이브) 안전성과 환경상의 우려 때문에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5) 등의 휘발성 사이클로메티콘은 퍼스널케어 용도에 제한이 있다. 소비자는 같은 성능을 유지하면서 실리콘 베이스의 제품을 대신할 수 있는 천연 생분해성의 새로운 대체품을 찾고 있다. 그림3 원료 자체에 관한 관능 특성 비교 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Lubrizol life Science Beauty는 비유전자 조작 100% 식물오일로 제조단계에서 RSPO 매스밸런스 인증을 취득한 팜 핵오일 바이오매스 원료에서 유도되는 지속가능한 바이오 알케인인 SilSense™ Bio 5 emollient를 출시했다. D5와 동등한 성능과 관능 특성을 가진 실리콘 대체품으로 COSMOS 인증을 취득한 비건, 할랄과 코셔에 기준한 마이크로바이옴이 뛰어난 원료이다. 끈적임이 적고 양호한 전연성과 윤활성을 제공한다. 헤어케어, 헤어컬러, 메이크업, 스킨케어, 선케어 화장품 제제에 적합하다.…
# 새로운 아미노산형 계면활성제알라논 ® CBK 바디 세정용 계면활성제는 주로 지방산과 아미노산형 계면활성제로 분류되며 목적이나 콘셉트에 따라 구분된다. 지방산의 경우 풍부한 거품, 높은 세정력, 중성 에서 알칼리성으로의 처방 설계와 사용 후 산뜻한 느낌이 특징이다. 한편, 아미노산형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 경우 부드러운 거품, 높은 보습성과 약산성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몸에 자극이 적으며 환경부하도 적은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아미노산형 계면활성제를 바디 세정제로 사용하면 촉촉함이나 미끈거림이 강하게 남아 버리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는 사용감이 돼 버리는 것이 과제이다. 그림3알라논® CBK의 기포력 그래서 당사에서는 산뜻한 느낌을 주는 스킨케어용 아미노산형 계면활성제 개발에 착수한 결과 ‘알라논®CBK’의 개발에 성공했다(그림 1). 알라논 ® CBK의 특징으로서 다음 4가지를 들 수 있다. ①약산성에서 약알칼리성의 폭넓은 영역에서 계면활성 성능이 높고 거품의 미세함이나 기포력이 뛰어나다. ②세정 시 스컴(scum)이 생성되기 때문에 산뜻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③세정 후 보송보송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④거품, 액체 타입의 세정제에 몇 퍼센트배
# 복합다당체활용한 기능성 보습제글루카 모이스트(Gluca Moist ® ) 평소 우리가 먹는 많은 음식물은 효모 등의 미생물 생명 활동인 발효 작용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한편, 그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효모체는 활용되지 않으며 대부분 폐기되고 있다. 최근 화장품 원료에 있어서 각종의 미이용 자원을 업사이클링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는 감칠맛이나 깊은 맛을 내는 조미료 등의 제조에 의해 생기는 토룰라효모(Cyberindnera jadinii)를 활용한 화장품 원료 개발에 성공했다. 그림5글루카 모이스트에 의한 메시 구조 본 제품은 조미료 추출 후의 토룰라효모를 회수해 알카리 세정, 효소 처리로 세포벽으로부터 복합다당체를 정제함으로써 제조된다. 성상은 백색에서 담황색 분말이다. 주성분인 복합다당체는 세포 증식 작용 등으로 알려진 베타 1,3-1,6 글루칸을 약 40% 함유하고 있으며 약 30%의 만난과 기타 다당류를 함유한다. 시차 주사 열량계를 이용해 본 제품의 자유수, 결합 수/부동수를 측정한 결과 약 10%의 결합수/부동수를 가진 것으로 밝혀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와 동등한 보습성을 갖는 것이 확인됐다.…
# 높은 백색도벤토나이트 수분산액디스파젤 (주)호준(HOJUN)에서는 정제된 높은 백색도의 Na형 벤토나이트를 독자적인 물리적 기법(Super Dispersion Technology : SDT)에 의해 고도로 분산된 멸균 완료액 ‘디스파젤(Dispagel)’을 개발,판매하고 있다. 기존에는 분체로 제공하고 있었지만 분진의 문제나 분산 장치가 필요하고 가온 등의 수고가 든다는 소리에 벤토나이트 수분산액을 발매하는 계기가 됐다. 의약외품 원료 규격에 대응하는 원료인 벤토나이트에서 태어난 디스파젤은 화장품 수성 성분 베이스 등의 용도로서 확실한 성능을 발휘한다. # 특징 · SDT(Super Dispersion Technology)에서 태어난 디스 파젤. 분진의 문제 없이 분산 공정을 용이하게 소량으로 장기간 안정된 분산 상태를 유지한다. · 물 : 오일 = 50 : 50이나 되는 높은 유분의 비율로도 가열을 하지 않고 상온 교반만으로 안정된 유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 멸균 처리로 균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 γ선 조사 증명서 첨부 가능 (<10CFU/g 확인) 디스파젤(Dispagel)의 외관 벤토나이트는 건조한 상태에서는 판상 결정 구
# 세계 최초효모 세포벽활용한 신소재 Yeast Veil® 평소 우리가 먹는 많은 음식물은 효모 등의 미생물 생명 활동인 발효 작용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한편, 그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효모체는 활용되지 않으며 대부분 폐기되고 있다. 최근 화장품 원료에서 각종 미이용 자원을 업사이클링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우리는 맥주 양조에서 생기는 맥주 효모(Saccharomy ces pastorianus)를 활용한 화장품 원료 개발에 성공했다. 본 제품은 맥주 양조 후의 맥주 효모를 회수하고 자기소화, 효소 처리로 세포 내용물을 제거한 후 산 처리 등에 의해 세포벽 표면을 부드럽게 보풀어 줌으로써 제조된다(그림1). 성상은 효모의 형태를 유지한 상태의 효모 세포벽을 포함하는 수분산 슬러리이며(그림2) 방부의 목적으로 에탄올과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한다. 그림1 이스트베일에서의 효모 세포벽의 표면 상태 본 제품을 1% 포함하는 수용액을 건조시킨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효모 세포벽이 비늘조각상으로 변하는 모습이 관찰됐다(그림3). 본 구조는 효모 세포벽 표면의 부드러운 보풀(fluff)들이 서로 얽힘으로써 조밀한 구조가 형성된 것으로 추측
# 오더메이드 엑소좀의 화장품 원료RemyEV-Carrier(레미이브이-캐리어) 인체 줄기세포 배양액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인 엑소좀은 최근에 매우 주목받고 있다. 엑소좀은 세포가 분비하는 직경 50~150nm 정도의 소포를 말하며 다양한 세포가 분비하지만 간엽계 줄기세포가 분비하는 엑소좀은 상처 치유에 관련된 정보를 운반하고 있다고 한다1). 상처 치유와 관련된 세포들은 미용에 크게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엑소좀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은 크다고 안티에이징(주)은 생각하고 있다. 당사의 인체 줄기세포 배양액에는 모두 엑소좀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지만 엑소좀의 특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원료가 ‘RemyEV-3’(리포좀 가공 인체 줄기세포 순화배양액 하이브리드 엑소좀)이다.이 기능을 인체 줄기세포 배양액 이외의 화장품 원료에도 응용할 수 있도록 OEM 원료의 제조로서의 서비스를 개시한다. 그것이 이번에 소개하는 ‘RemyEV-Carrier’이다. RemyEV-Carrier는 임의의 독자적인 화장품 원료를 엑소좀의 힘으로 세포까지 배달하는 원료 제조 서비스이다. 그림2 RemyEV-3(하이브리드 엑소좀)의 공정 동사는 일찍부터 엑소좀의 기능에…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주)라비오(대표 조광진)가 인체 피부 오염물질인 피지의 완화개선 신소재 ‘Stratocare’ 를 출시했다. 공개된 ‘Stratocare’는 극한 환경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을 활용해다양한 화장품 활성 소재를 연구개발하고 생산하는 (주)라비오의 연구법에 따른 것으로성층권에서 서식되어 발견되는 B. stratosphericus의 발효 대사산물을 활용한 피지 완화 소재이다. 이번 연구의 핵심 물질로 떠오른 ‘Bacillus stratosphericus(B. stratosphericus)’는 성층권 구성 성분인 질소화합물을 이용해 호흡과생장을 할 수 있는 미생물이다. Stratocare는 피지와 피부의 상관관계 속에서 잘 알려진 피지의 발생 기전에 다양한 방식으로 관여하는 것을 in-vitro assay를 통해 확인됐다. 라비오는 인공 피지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점차적으로 피지량이 감소되는 것을 발견됐으며특히 피지 증가의 원인인 C. acnes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고대식세포가 만들어내는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성층권에서 살아남도록 자외선 B(UV-B)에 대한 강한 내성과저온, 고염…
# 클리어 처방가능해지는 자연 유래,생분해성 헤어스타일링 폴리머MaizeCare™ Clarity Polymer 현재 세계적으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는 가운데 헤어스타일링 시장에서도 자연 유래 성분과 생분해성 원료가 함유된 유기농 제품이나 내츄럴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어 소비자를 끌어들이고 있다.또SNS의 보급으로 세계적인 패션 트렌드와 헤어스타일링의 변화가 급속히 일어나게 돼 자신의 모발을 살린 헤어스타일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우는 비유전자 조작 콘스타치로부터 얻는 100% 자연 유래(ISO16128) 헤어스타일링 폴리머인 MaizeCare™ Style Polymer를 이미 판매하고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것은 동 MaizeCare™ 시리즈에서 새롭게 출시된 뛰어난 투명도를 실현하는 스타일링 폴리머인 ‘MaizeCare™ Clarity Polymer’이다. 본 제품은 COSMOS, ECOCERT 인증도 취득했다. 표 테스트 처방 헤어스타일링 젤 MaizeCare™ Clarity Polymer는 사용하기 쉬운 분말 형태로 차가운 물에서도 쉽게 분산 가능하다. 5% 스타 일링 폴리머 배합한 테스트 처방(스타일링 젤)에서의 탁도
# 기모토양조법 X 사케 X 알코올프리 탄생한 쌀 발효액 SHONAI BIJIN 시리즈 백약의 장이라 칭해지는 사케는 일본 문화에 뿌리를 내린 전통적인 발효 미용성분이다. 쌀, 쌀 누룩, 효모, 물을 발효해 얻는 발효액 중에는 펩타이드, 아미노산, 유기산, 당류, 미네랄, 비타민 등 700가지 이상의 발효 유래 성분이 함유돼 있다. 그 중에서도 미생물이 자연 생성하는 유산균을 활용한 전통기법 ‘기모토제법’의 사케 ‘쇼나이비진’을 원료로 개발한 화장품 원료 ‘쌀 발효액 SHONAI BIJIN(이후 SB)’은 D-아미노산 등의 미용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돼 피부에 높은 유효성(보습, 피부 거칠어짐 개선 효과, 피부 정돈 작용, 피지 억제, 혈액 순환 촉진 효과 등)을 가진다. 그림1 피부 상재균에 대한 효과 한편, 사케는 알코올 발효 공정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알코올 프리를 컨셉으로 한 화장품에는 배합할 수 없었다. 그래서 유래 원료는 SB와 같은 ‘쇼나이비진’을 이용해 알코올을 제거한 새로운 화장품 원료 ‘AF 쌀발효액 SHONAI BIJIN’(이후 본 개발품)을 개발했다. AF는 Alcohol Free의 약자이다.…
# 보습, 항산화 작용가진 올리브 유래 유사 실리콘오일 이번에 소개하는 ‘Sensolene Light ET’는 올리브 유래의 성분을 응용한 고기능 오일 추출물이다. 용매에는 실리콘과 비슷한 보송보송하고 가벼운 감촉을 가지며 에몰리언트성도 뛰어난 올리브 유래 에스터를 이용하고 있다. 이 특별한 에스터오일을 기반으로 특허 기술 ‘Oléo-éco추출’을 이용해 올리브 잎에서 유용 성분을 추출했다. 이것에 의해 보습성과 항산화 작용을갖는 유사 실리콘오일이 실현됐다. Sensolene Light ET의 특징 중 하나는 뽀송뽀송하며 가벼운 감촉이다. 피부에 바르면 잘 퍼져서 빠르게 흡수 되므로 내추럴하고 서스테이너블한 저점도 실리콘 대체품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이 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15명의 피험자에 의한 5% Sensolene Light ET 처방의 랭크 평가를 실시했다. 그림1 이미지 분석의 결과 평가항목은 ‘퍼짐성’, ‘흡수성’, ‘피부의 부드러움’의 3항목으로 비교 대상으로는 다이메티콘 2cSt, 다이메티콘 5cSt를 각각 5% 함유한 처방을 이용했다. 그 결과 각 샘플에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Sensolene Light ET는…
# 북해도산 유용성 천연 착색 소재 시코닉스리퀴드 MD(J)는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Boraginaceae)] 뿌리에서 얻어진 색소 성분을 Octyldodecyl Myristate에 용해시킨 의약외품,화장품 원료이다. 지치는 홋카이도에서 규슈, 한반도, 중국에 자생하고 6~7월희고 작은 꽃을 피운다(그림1). 일본에서는 만요집이나 고금와가집에서 읊어질 정도로 예로부터 친근한 식물이었다. 지치의 뿌리(그림2)는 자근(紫根)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보라색 색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염료로도 매우 중용돼 왔다. 성덕태자가 정한 관위 12단계 최고위 관의 색이 보라색이었다는 점 등자근이 만들어내는 보라색은 예로부터 기품이 있는 고귀한 색으로서 취급돼 왔다. 그림1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Zucc. (Boraginaceae)] 자근은 한방에서도 이용되며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본초서(약물서)인 신농본초경에도 수록돼 해열이나 해독, 항염증제로 사용됐다. 자근이 배합된 가장 잘 알려진 한약은 하나오카 아오슈(華岡青洲)가 발명한 연고 ‘자운고’로 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