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페셔널 뷰티컨설턴트 배유미 대표] 경기침체가 이어지면 파격적인 노출이 트렌드가 된다는 얘기가 있다. 이런 경제 이야기를 접어두고라도 계절상 노출은 피해갈 수 없는 게 요즘 날씨다. 본격적인 여름 휴가, 바캉스 시즌을 앞두고 남녀 할 것 없이 몸만들기에 공을 들이는 시기가 왔다. 아름다운 외모와 몸을 갖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다. 하지만 네일, 피부, 헤어 모두 끊임없는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은 공통적이다. 다이어트를 하거나 성형외과나 피부과를 다니
[코스인코리아닷컴 권태흥 기자] 7월 18일 기자와 만난 성균관대학교 유지범 부총장 겸 산학협력단장은 “바이오코스메틱 산업 육성을 위해 성균관대 캠퍼스를 밸리로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유 부총장은 “산학은 악수에 그치는 게 아니라 캠퍼스가 끈끈하게 매개체 역할을 함으로써 실리콘밸리처럼 생태계를 조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AGFT는 웹으로 하나 된 세계를 만든 미국의 IT기업이다. 오늘날 이들 기업은 혁신의 주인공이자 미국의 힘을 상징한다. 그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K-뷰티’로 통칭되는 한국 화장품은 높은 가성비, 우수한 디자인과 더불어 트렌드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는 것으로 전세계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트렌드 변화에 따라 하루가 멀다 하고 신상품들이 시장에 출시되고, 사라져 가며, 이러한 현상은 K-뷰티의 경쟁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한국 화장품 시장의 ‘대세’에 역행하는 쉽지 않은 선택을 한 곳이 있다. 그리고 고집스럽게 만들어 낸 화장품 브랜드가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권태흥 기자] 세계화장품학회(IFSCC)가 개막까지 D-100일로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강학희(姜鶴熙) 2017 IFSCC 조직위원장(대한화장품학회 회장)은 “현재 650여 명이 등록해 지난 쭈리히 대회를 능가했다. 남은 기간 동안 참가자가 더 늘어나 800명 내외가 될 것으로 기대돼 성공적인 대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학희 조직위원장은 “서울대회를 통해 중국이 회원국으로 가입하고 차기 아시아지역 학회 개최를
[코스인코리아닷컴 권태흥 기자] 색조 화장품 전문기업 C&C인터내셔널이 20년의 불비(不飛)와 불명(不鳴)의 시절을 끝내고 21세기 도약을 시작했다. 펜슬 외길을 묵묵히 걸어온 배은철 대표는 그 감회를 이렇게 말했다. “펜슬 하나도 못만들면서 국내 1등은 없다. 세계 1등이 되고 싶다면 더욱 그렇다. 이것을 하지 못하면 다른 것도 인정받지 못한다. 살아 남아야 하기 때문에 지독할 수밖에 없었다. ”C&C인터내셔널은 현재 월 생산량 1,000만개의 제2공
[코스인코리아닷컴 권태흥 기자] 대한화장품협회의 초대 화장품원료분과위원장으로 취임한 박진오(대봉엘에스 대표) 위원장은 K-뷰티 원료산업의 도약을 선언했다. 7월 4일 기자와 만난 박진오 위원장은 “K-뷰티는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이 필요한데 그 역할을 화장품원료 R&D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회원사는 물론 범화장품원료업계의 중지를 모아 성장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박진오 위원장은 화장품원료분과의 업무는 △원료 산업의 경쟁력 방안 연구 △자율
[코스인코리아닷컴 권태흥 기자] 중국 질검총국의 5월 수입불합격 명단에 K-뷰티의 대표 기업들이 올라와 ‘품질관리’에 허점을 드러냈다. 중국 질검총국의 불합격 사유는 △라벨 불합격 △포장 불합격 △금지 성분 포함 등 매번 되풀이 되고 있다. 대한화장품협회는 지난 6월 19일 2016년 이후 올해 4월까지 중국 위생행정허가 신청건수와 비례한 불허가율 조사에서 사드 보복이 아닌 기업들의 ‘규정 미준수’가 이유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런데 대기업 조차 불합격이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사드 이후 중국 시장 진출이 어려워지면서 위생허가를 받아야 하는지 의문을 가지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향후 기업 성장과 글로벌 시장 진출 과정에서 중국 시장을 배제하지 않는다면 위생허가는 필요하다. 바로 지금이 위생허가를 취득하기 위한 적기다.” 중국 위생허가를 비롯해 국내외 OEM ODM, 마케팅, 아카데미 등 초기 컨설팅과 심사대행 등을 전문으로 하는 레드앤블루의 김경화 대표는 중국 위생허가 취득 문제에 대해
[코스인코리아닷컴 권태흥 기자] 6월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이 13조원을 넘어 섰다고 밝혔다. 이 수치를 보는 순간 기자는 아찔한 현기증(Vertigo)을 느꼈다. 최근 코스인 기자들 방담에서 업계의 쓴소리들을 접할 수 있었다. 업계 관계자들의 이야기를 옮긴 취재기에는 K-뷰티의 현주소를 일깨워 주는 내용이 많았다.“K-뷰티가 잘 나가는 이유는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가 잘해서일까? 아니다. 현지에서는 K-팝이나 K-드라마 등 한
[프로페셔널 뷰티컨설턴트 배유미 대표] 노출의 계절이 돌아왔다. 한여름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짙은 화장보다는 윤기 나는 노메이크업에 립 포인트, 그리고 오프 숄더 상의에 짧은 팬츠를 스타일링한 이들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에는 두꺼운 메이크업이 답답하고 번거롭기만 하다. 윤기나는 피부와 얼굴선 등 ‘본바탕’을 가꾸는데 신경 쓰는 것도 이 때문이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권태흥 기자] 세계적인 나노 셀룰로오스 권위자인 톰 린드스트룀 박사가 6월 21일 인-코스메틱 코리아 2017 세미나에 참석, 강의를 했다. 주제는 ‘코스메틱 필드에서의 나노 셀룰로오스’로 화장품 관계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그를 초청한 아시아나노그룹 이중훈 대표는 “린트스트룀 박사는 스웨덴 왕립공과대학 석좌교수이며 세계적인 임산물연구기업인 인벤티아(INNVENTIA AB)의 수석연구원으로 나노 셀룰로오스(nano cellulose)
[코스인코리아닷컴 차성준 기자] 6월 22일 국내 최대 화장품 원료 박람회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2017’이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국내 참여기업과 참관객의 요청에 의해 올해부터 하루가 더 추가돼 총 3일간 대장정을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인-코스메틱스 그룹 이반 라할 마케팅 총괄책임자를 만나 그동안의 소감을 들었다. 특히 글로벌 기업들은 한국 기업과 참관객을 타깃으로 참석했는데 한국 뿐 아니라 동남아와 중국, 일본 등 다른 국가 바이어들의 참여율이 높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