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오현지 기자] 화장품 방문판매업자가 계약을 취소한 소비자에게 주는 지연 배상금 산정 이율이 낮아졌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청약 철회 대금 환급 지연에 따른 지연 배상금 산정 이율을 인하하고, 영업정지 처분 기준 등을 정비하는 내용을 담은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11월 24일 밝혔다. 공정위는 시중은행 대출 연체 금리 하락 등 변화된 경제 여건을 반영하고, 일부 법 위반 행위에 대한 영업 정지
[코스인코리아닷컴 오현지 기자] 잇츠스킨의 모회사 한불화장품이 김홍창 부회장(전 CJ제일제당 대표이사)을 영입했다고 11월 23일 밝혔다. 김홍창 부회장은 1954년 생으로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1981년 제일제당에 입사해 제일투자증권, CJ 투자증권, CJ GLS, CJ 제일제당의 대표 이사를 역임했다. 김 부회장은 CJ투자증권 대표로 취임한 후 1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전 현대차그룹에 회사를 매각
[코스인코리아닷컴 오현지 기자] 올해 화장품업계의 흐름을 정리하고 2017년 국내와 글로벌 화장품 시장을 전망하는 컨퍼런스가 개최됐다. 코스인(대표 길기우)은 한국화장품공업협동조합, 순천향대학교 BRTC, 지에프씨와 공동주관해 11월 23일, 24일 양일간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글로벌 이슈, 2017 화장품 시장 현황과 전망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첫날인 11월 23일에는 건국대학교 KU융합과학기술원 화장품공학과 최상숙 교수가 좌장을 맡은
[코스인코리아닷컴 윤선영 기자] 앞으로 화장품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할랄 화장품의 성장, 모발의 홈케어 시장이 주목받는다는 예상이 나왔다. 코스인과 한국화장품공업협동조합, 순천향대학교 BRTC, 지에프씨는 11월 23일, 24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글로벌 이슈, 2017 화장품 시장 현황과 전망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2016년 국내외 화장품 분야 이슈 리뷰와 2017년 전망을 공유하는 이번 컨퍼런스에는 수많은 변화에 직면한 화장품 분야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미선 기자] 최근 화장품 산업의 새로운 메가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감성 화장품의 전 세계적인 R&D 트렌드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코스인과 한국화장품공업협동조합, 순천향대학교 BRTC, 지에프씨는 11월 23일, 24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글로벌 이슈, 2017 화장품 시장 현황과 전망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2016년 국내외 화장품 분야 이슈를 돌아보고 이에 근거한 2017년 화장품 시장 전망을 관련 업계가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미선 기자] 2017년 화장품 소비시장 상황을 미뤄 짐작해 볼 수 있는 ‘2017년 소비 트렌드’ 정보가 공유됐다.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전미영 연구교수는 11월 23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열린 ‘글로벌 이슈, 2017 화장품 시장 현황과 전망 컨퍼런스’ 행사에서 ‘최근 소비 트렌드 변화와 화장품 기업의 대응’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오현지 기자] 올해 관심을 끌었던 화장품 이슈가 내년에도 비슷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화장품 안전성에 대한 이슈가 계속 제기되고 기능성 화장품 범위가 넓어지면서 이와 관련한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코스인과 한국화장품공업협동조합, 순천향대학교 BRTC, 지에프씨는 11월 23일, 24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글로벌 이슈, 2017 화장품 시장 현황과 전망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전세계적으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소비자가 생각하는 기능성 화장품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리얼 효능'이며, 이에 의학 차별화된 제품 개발 접근법이 필요하다." 코스인과 한국화장품공업협동조합, 순천향대학교 BRTC, 지에프씨는 11월 23일, 24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글로벌 이슈, 2017 화장품 시장 현황과 전망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올해 화장품 업계는 맞춤형 화장품 시범사업을 비롯해 제조판매관리자 고용 부담 완화, 제조업 등록 의무 완화, 염모제에 사용 가능한 타르색소 확대 등 다양한 정책 변화를 겪었다. 특히 가습기 살균제 파동의 여파로 화장품 안전관리 기준이 강화됐으며 K-뷰티 열풍에 힘을 실어줄 수출 지원책이 마련돼 눈길을 끌었다. 그렇다면 2017년 화장품 제도정책에는 어떤 변화가 예고돼 있을까?
[코스인코리아닷컴 오현지 기자] 천연화장품 두두베베가 ‘3050세대’의 ‘동안 피부’를 위한 천연 기능성 화장품 ‘두두비(DUDU B)’를 신규 론칭 한다고 11월 23일 밝혔다. 가수 김태우의 아내 김애리의 천연화장품 두두베베에서 ‘케어유(Care You)’ 론칭 1년만에 항산화 효과가 있는 천연 기능성 라인 두두비 제품을 출시했다. 두두비는 ‘포밍 클렌저(Foaming Cleanser)’, ‘수딩 미스트(Soothing Mist)’, ‘엔자임 에센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미선 기자] 국내 화장품 시장이 포화상태에 달한 가운데 2017년에는 본격적으로 화장품 산업이 치킨게임에 돌입할 것이라는 위기론이 제기됐으며, 이같은 위기론을 성장세로 돌리기 위해서는 브랜드 강화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WK마케팅그룹 마케팅전략연구소 한태수 소장은 11월 23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열린 ‘글로벌 이슈, 2017 화장품 시장 현황과 전망 컨퍼런스’에서 2017년 화장품 시
[코스인코리아닷컴 오현지 기자] 최근 국내 건강식품과 기능성식품 소재의 동향과 시장을 담은 책이 출간됐다. 전문출판사 임팩트는 국내외 식품의 생체조절 기능을 가진 건강기능식품 시장과 원료 현황을다양하게 분석한 단행본인 ‘2016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식품소재 시장현황’을 출간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건강기능식품 생산액은 건강기능식품 제도가 시행된 2004년 2,506억원에서 2010년에는 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1조원 시장을 넘어섰다. 2014년 1조 6,310억원에 이어 2015년 1조 8,230억원으로 건강기능식품 생산은 2011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 7.4%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2015년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도 2조 3,291억원으로 2014년(2조 52억원)에 비해 16.2%가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일명 가짜 백수오 사건에도 불구하고 일상 속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로 면역기능 개선 제품이나 비타민 등과 같은 영양보충용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이 생산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같은 결과를 보면 국내 건강기능식품 산업은 질병예방을 통한 국민의료비 절감과 건강증진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고부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