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장품 용기Premium과 Sustainability공생 시세이도 초대 사장 후쿠하라 신조(福原信三)는 ‘상품을 통해 모든 것을 말하라’, ‘사물이란 모두 풍부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말에는 시세이도가 사회에 다해야할 사명이나 제조 의지가 담겨 있다. 우리는 항상 고객 에게 새로운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높은 안전성과 품질 기준의 준수는 물론 시세이도의 DNA인 높은 기능성, 디자인성이나 유용성(usability)의 향상에 노력해 왔다. 또‘시세이도’의 사명은 중국의 고전 ‘역경’의 ‘지재곤원 만물자생(至哉坤元 万物資生, 대지의 덕은 얼마나 놀라운가, 모든 것은 여기서 태어난다)’라는 구절에서 유래하고 있어 환경과 사회와 사람에 대한 경의가 150년간 우리의 사업 활동을 지탱해 왔다. 우리는 질좋은 제품의 제조와 자연의 혜택 존중, 향유라고 하는 사고방식이시대와 함께 변화하면서 계승할 수 있는 본질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데 중요한 것이라고 평가하고 적절히 되돌아보면서 제품 개발을 실행하고 있다. 그림1 확인할 수 있는 시세이도에서 가장 오래된 리필 가능 상품 ‘시세이도 콤팩트(포켓사이즈) 또우리 기업의 사명인 ‘BEAUTY INNOVATIO
# 시선추적장비 & NeuroAI®활용한 화장품 판촉용 비주얼디자인 평가 ‘디자인’은 라틴어의 ‘Designare(계획을 기호로 표시 하다)’를 어원으로 하는 넓은 의미를 가진 말이다. 일반적으로는 ‘심미성’이나 ‘사용성(usability)’이라는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창의적 궁리를 발휘하는 것과 그 창의적 궁리의 성과를 반영시킨 외형이나 기능의 본연의 자세로 정의되며‘도안’, ‘모양’, ‘조형’, ‘설계’, ‘구상’ 등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 때문에 디자인의 평가는 시각 정보를 바탕으로 직감적, 주관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화장품을 비롯해 일상용품을 취급하는 드럭스토어등의 매장에는 단순히 상품 가격과 같은 필요 최소한의 정보 뿐아니라 고객의 눈길을 끌려는 POP나 보드, 집기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의 판촉물, 나아가 경쟁품과의 차별화를 의 도한 패키지(디자인) 상품이 빼곡히 진열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순간적으로 고객의 시각과 감성에 호소하여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 판촉물의 디자인 개발은 각 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림1 개량판 키비주얼…
# 화장품 OEMODM에서대체법 활용 현황과 과제 화장품 안전성은 많은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된 현재에는 제조업체와 판매업체 뿐아니라 소비자들의 의식도 높아져 그 중요성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화장품은 안전성이 확인된 화장품 원료를 배합해 처방을 설계해 나가지만 그 원료 조합에 의해 단독 원료만의 결과와는 다른 거동을 나타내는 경우도 가정되므로 최종 제품에 의한 피부 자극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화장품 OEMODM에서 안전성에 관한 생각은 제조업체와 기본적으로 차이가 없이 같다고 생각하지만 크게 다른 점은 제품 개발 속도와 양에 대한 대응이다. 당사에서는 1,000품목 이상의 신제품을 개발하고 제조해 국내외의 제조업체 등에 납품하고 있다. 시장 사이클이 빠르므로 단기 납기 의뢰도 많고 각국의 규제에도 대응할 필요가 있어 이러한 요구사항과 규제에 어떻게 안전성을 보장해 나갈지가 큰 과제이다. 이러한 과제에 대해 당사에서는 대체법을 이용한 독자 평가 등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림1 본 연구에 이용한 피부 모델 화장품은 원료의 혼합물이라고 생각하면서 개별 원료에서 안전성을 확인한 후에도 화장품 제제로서의 안전성을 확인해야 한다
# 향장품 나노물질의 안전성 평가 - 획득면역계를 통한 유해성(hazard) 해석과메커니즘 해명 최근 특징적 기능을 갖는 나노물질의 적용 확대, 이용 촉진이 진행되고 이미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응용돼 나노물질은 우리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됐다1)2). 예를들면 향장품 영역에서는 자외선의 산란이나 피부 보호 작용을 나타내는 우수한 성분으로서 자외선 차단제 중의 UV 필터에 이용되고 있는 나노 산화아연이나 나노 산화티탄, 항균 작용을 발휘한다는 뛰어난 특성으 로부터 데오도란트나 케어용품, 페이스 마스크 등에 사용이 많은 은 나노입자, 친수성의 표면을 가짐으로써 화장품의 사용감이나 사용 기간의 향상이라는 점에서 기대되고 있는 실리카 나노입자 등을 들 수 있다3). 따라서 앞으로도 나노물질 함유 제품의 사용으로 우리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나노물질에 노출될 기회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나노물질은 그 미세함 때문에 종래 소재와는 다른 생체 내 움직임을 나타내기 때문에 나노물질 노출에 기인한 예상외의 생체 응답을 일으키는 것이 우려되고 있다4). 그림2 획득면역계를 통한 유해성 해석과 그 메커니즘 해명 (참고문헌 18과 20의 내용을 요
# 화장품, 의약부외품안전성 평가 대체법의 현상과 장래 2013년유럽에서 화장품 개발과 관련된 동물실험이 금지된 이래 다른 많은 나라나 지역에서도 금지돼 이제는 불가역적인 흐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국내에서도 많은 화장품 혹은 관련 기업들이 동물실험을 폐지하고 있다. 한편, 안전성 평가에 관한 동물실험대체법(이하 대체법)의 개발과 검증은 아직 완전하지 않으며 국소독성으로는 OECD 테스트 가이드라인과 의약부외품의 가이던스가 정비돼가고 있지만 적용 범위나 사용목적에 큰 제약이 있어 완전한 대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가 전신독성에 대해서는 언제 개발이 될지에 대한 기약도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안심, 안전하고 유효한 새로운 화장품 개발에 있어서 세계적으로도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그 해결을 목표로 한 다양한 대처가 행해지고 있다. 본 특집호에서는 화장품의 안전성 평가를 주제로 다양한 대처를 소개할 생각이지만 필자가 먼저 강조하고 싶은 것은 화장품, 의약부외품 안전성 평가법 개발과 검증은 누군가가 해주는 것이 아니라 화장품 개발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이 주체적으로 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림1 나노물질을 함유한 화학 물질의…
# 사철쑥꽃추출물로 인한 하이알루로닉애씨드(히알루론산) 보호 효과와 피부 처짐 예방 효과 하이알루로닉애씨드(히알루론산, HA)는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과 N -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이 번갈아 결합한 심플한 반복 구조로 이루어진 분자이지만분자량은 1,000kDa 이상이나 되는 거대분자이다. 불과 1g으로 약 6L나 되는 물 분자를 보유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1)이 특성 때문에 HA는 용액에 점탄성을 부여한다. HA는 연골이나 혈관 등 다양한 조직에 존재하지만 생체 내 약 절반의 HA가 피부에 존재한다2). 피부에서 HA는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표피층에서는 보습효과에 의한 장벽기능 유지나 표피각화세포 증식 등에 기여하고 있다2)3). 진피층에서는 세포외기질(ECM)의 구성성분 중 하나로서 진피층의 항상성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콜라겐 등의 섬유 간의 공간을 메움으로써 피부 구조를 유지하고 영양인자나 다양한 전달 물질의 확산을 조절하고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등의 다른 ECM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세포의 발판으로서 기능을 하는 등 이다3). 그림1 HA에 의한 콜라겐 겔의 형상
# 마그네슘 첨가로 GSK3와 CREB 활성화를 통한 표피 히알루론산의 생성 촉진 마그네슘은 필수 미네랄로서 건강 유지를 위한 중요한 영양소이다. 생체 내에서 마그네슘 이온은 4번째로 많은 양이온이며 다양한 장기에서 수행하는 역할이 크고 결핍에 의해 신경계 질환이나 심장병, 고혈압 등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마그네슘은 피부 세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세포밖 마그네슘 농도가 높으면 세포 접착이 강해지고 세포 증식이 활성화되는 등의 보고가 있다2)3). 당사에서도 오랜 세월 마그네슘 이온을 비롯한 전해질 이온이 표피 항상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계속해 왔다. 칼슘이나 마그네슘 등의 양이온의 표피 존재를 밝혔으며 각질층 장벽기능이 파괴된 표피에 서는 그 존재가 소실되는 것을 밝혔다4)5). 또염화마그네슘 수용액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표피 장벽기능 회복이 빨라지는 것도 보고하고 있다6). 세포 밖에서 마그네슘을 공급함으로써 일어나는 효과는 마그네슘 이온이 마그네슘 트랜스포터(transporter)를 통해 세포로 유입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림8 본 연구에서 찾아낸 세포 안으로의 마그네슘 이온 유입에 의한 히알루론산
# 피부의 히알루론산 대사에 기초한 항노화 기술 개발 히알루론산(hyaluronan)은 1934년소의 눈 유리체로부터 분리됐기 때문에 1) ‘유리체(hyaloid)에서 유래한 우론산(uronic acid)’이라는 의미로 명명됐다. 그로부터 90년 가까이 지난 지금 그 생체적합성(안전성)의 높음과 우수한 보습성,점탄성,팽윤성이 주목돼 화장품에의 응용 뿐아니라 주름개선과 리프팅을 목적으로 한 미용의료(히알루론산 주입)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원래 히알루론산은 우리 몸 안에서 만들어져 피부의 건강과 아름다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우리가 오랫동안 노력해 온 피부의 히알루론산 대사 연구와 그 연구 결과에 기초한 노화방지 기술의 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그림2 진피와 표피의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은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의 2개 당이 교대로 결합한 곧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며 분자량은 수백만에 이르는 생체에서 가장 큰고분자 폴리머이다(그림1). 피부에는 전신의 약 50%의 히알루론산이 존재하는데 진피에서는 수화겔로서 다른 매트릭스 성분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조직의 수분 유지에 관여할 뿐아니라 분자 내 소수면의
# 경구 섭취한 히알루론산의 장내 세균에 의한 분해와 피부에 대한 작용 히알루론산은 N-acetyl glucosamine과 D-glucuronic acid의 2당이 반복 구조를 갖는 곧은 사슬형의 글루코사 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이며 분자량은 큰 것이 1×10 6 Da(달톤)을 넘는다. 히알루론산의 가장 큰 특징은 높은 수분 보유력이며 분자량이 높은 것은 약 1,000배의 수분을 보유할 수 있다고 한다1). 또생체 내에서 세포외기질 성분으로서 전신에 분포하며 특히 피부, 관절, 눈의 유리체에 많이 존재한다. 히알루론산의 생리학적 기능으로는 수분 보유에 의한 세포 유지와 영양성분의 이동, CD44나 TLR4와 같은 수용체를 통한 항염증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2). 히알루론산은 높은 수분 보유력 때문에 관절과 눈을 대상으로한 의약품과 보습을 목적으로 한 화장품 등 다양한 용도에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무릎 등 관절의 통증 개선과 피부 보습을 목적으로 한 건강기능식품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림5 히알루론산의 경구 섭취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 히알루론산을 경구 섭취함으로써 사람 피부에 대한 효과를 설명한 많은 연구 보고가 있으며3)…
#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 대사 메커니즘 히알루론산은 우리의 피부, 유리체, 관절, 뇌 등에 존재하며 화장품부터 건강식품, 관절 내 주사제, 주름개선을 위한 미용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기에 폭넓은 세대에 알려진 성분이다. 그 구조는 D-글루쿠론 산과 N-아세틸-D-글루코사민이 번갈아 가며 곧은 사슬형으로 결합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며(그림1) 1g당 2~6L의 물을 보유할 수 있는 뛰어난 보수력1)과 높은 점성, 탄성이 특징이다. 이러한 성질에 의해 세포외기질(ECM)의 구성 분자로서 보습작용과 완충작용에 기여하고 있으며 조직의 유연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온몸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 중 50% 이상은 피부에 존재하며 약 1일이라는 짧은 주기로 대사 순환을 통해 생성과 분해가 이루어지고 있다1)2). 이렇게 다이나믹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기에 히알루론산 생성과 분해의 균형 붕괴는 피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7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의 새로운 히알루론산 대사 메커니즘 제안 또히알루론산은 그 분자량에 따라 완전히 반대의 생리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 생체 내에 서는 고분자 히알루론산(>
# 화장 지속,메이크업 스킨케어 효과양립하는 베이스 메이 크업용 신규 아미노산계 콤플렉스 메이크업 화장품은 정신적인 충족감과 만족감을 가져다 줌으로써 일상의 'Live well'에 공헌하고 소비자의 QOL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아직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사회생활의 답답함이 계속되는 가운데 메이크업 화장품이 갖는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메이크업 화장품을 스트레스 없이 즐기기 위해서 메이크업을 한 초기 상태를 되도록 오랫동안 유지하고 싶다는 화장 지속의 요구는 강하다. 실제로 매장에 진열된 많은 메이크업 화장품이 ‘화장 지속’, ‘화장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롱래스팅’ 등을 표방하고 있는 것에 서도 니즈의 크기를 알 수 있다. 한편, 메이크업 화장품은 맨살을 다양한 혼합물(오일, 계면활성제, 분체)로 장시간 덮고사용이기 때문에 메이크업 화장품에 의해 피부 상태의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도 적지 않다고 생각된다. 귀가하면 먼저 메이크업을 지운다는 소비자도 많다고 생각되며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품은 피부 상태를 적극적으로 개선한다고는 생각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림1 화장 지속과 메이크업 스킨케어 효과를 양립하는 신규 아미노
# 퀴논 가교이용한 아미노기 함유 성분결합에 의한 모발 표면 개질 최근 모발 색을 바꾸는 미용 기술로서 산화 염모제를 이용한 헤어 컬러가 미용실이나 일반 가정에서 사용 되고 있어1) 많은 사람이 다양한 모발 색을 즐기고 있다. 헤어 컬러의 기술은 나날이 진화하고 있어 최근에는 탈색 처리로 모발을 밝게 한 후에 헤어 컬러에 의해 섬세한 색 표현을 하는 기술도 확대되고 있다. 한편, 헤어 컬러나 헤어 디자인 기술의 진보와 함께 모발에 주는 손상도 복잡해지고 있어 그것을 보수(repair)하는 헤어케어 제품에 대해서도 높은 효과가 요구되고 있다. 모발 표면에는 큐티클이라고 불리는 비늘 모양의 조직이 존재하고 있어 손으로 만졌을 때의 감촉에 큰 영향을 미친다. 헤어 컬러 등의 시술 이력이 없는 모발이라면 그 가장 바깥 표면에는 18-메틸에이 코사노익애씨드(18-MEA)이라고 불리는 마찰 저감이나 발수성 등에 기여하는 지질 성분이 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그림3 각 아미노기 함유 수지의 XPS 서베이 스펙트럼과 S2p 피크 스펙트럼 18-MEA는 큐티클 표면의 단백질과 티오에스터(thioester)결합에 의해 고정돼 있지만 알칼리성의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