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제주도 특산 황근 세포주 추출물에서 미백과 항산화 효능이 확인되며 제주 화장품 바이오 산업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제주테크노파크(원장 태성길)는 지난 8월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간 라마다프라자 제주에서 개최된 2021년 한국식물생명공학회 정기학술발표회에서 ‘제주지역 멸종위기식물 황근의 생물반응기 시스템 이용 부정근 대량증식 및 미백효능 스크리닝(영문제목 : Mass proliferation adventitious root using bioreactor system and whitening effect screening from Hibiscus hamabo Siebold & Zucc.)’라는 주제발표로 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가 우수논문 발표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한국식물생명공학회는 국내 식물생명공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학회로1973년 설립 이후 해마다 정기학술대회에서 우수한 연구성과를 도출한 연구자를 선정해우수논문발표상을 수여하고 있다. 이번 정기학술대회에서는 ‘새로운 시대, 식물생명공학을 위한 신기술’을 주제로 4개 분과 28건의 기조 강연과 신진연구자 발표, 275건의 포스터 발표로 진행됐다. 제주테크…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화장품소재,원료의약품 전문기업 대봉엘에스(대표 박진오)가 최근 식물성 유사콜라겐의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 진피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뼈, 피부, 연골, 힘줄 등 우리 몸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으로 인체 단백질의 약 30~40%를 차지하며 피부탄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이가 들수록 자연 생성량 감소와 분해량 증가, 자외선 노출, 오염, 스트레스 등에 의한 콜라겐 손실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피부가 얇아질 뿐아니라 건조, 탄력 저하, 주름 형성으로까지 이어진다. 이때 피부 탄력 유지를 위해 콜라겐 화장품 사용을 고려하는 사람이 많다. 일반적으로 콜라겐은 피쉬 콜라겐을 포함해 동물성 원료부터 떠올리는 사람이 많지만 최근에는 ‘클린뷰티’, ‘비건뷰티’가 떠오르며 식물성 콜라겐에 대한 고객의 니즈가 커지고 있다. 한편, 식물성 콜라겐이라 불리는 상당수의 화장품 원료가 유통되고 있는데 이는 소비자에게 오인을 유발하는 잘못된 용어이다.콜라겐의 구조를 살펴보면 글리신, 프롤린, 하이드록프롤린 단위와 나머지 아미노산으로 조합된 선형사슬이 로프처럼 삼중 나선 구조로 단단히 꼬여있는 구조이다. 현재 시장에서…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전라남도농업기술원(원장 박홍재)은 7월 19일 지역 특화작목인 유자를 활용해 화장품과 식품 소재 연구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전남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시중에 유통되는 유자 가공품은 유자청, 유자분말, 유자 착즙액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유자분말의 경우 베이커리용으로 사용되고 있고 유자 착즙액은 식초와 음료, 조미료 등에 이용되고 있다. 또현재 수출되고 있는 가공품은 유자차, 유자과즙이 60% 이상이다. 이런 유자차와 과즙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연간 1,800톤 이상에 달하는 유자씨가 막대한 양의 산업폐기물로 발생되고 있다. 이에 전남도 농업기술원 과수연구소는 유자 과실의 30~35%를 차지하는 유자씨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실시해 왔다. 이를 토대로 올해 식품소재로 유자씨 오일을 활용하기 위해 대량 추출 공정을 구명하고샐러드 드레싱 등에 적용해 시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유자씨 오일이 첨가된 마스크팩 제조와 에센스 오일 등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도 본격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전남농업기술원 과수연구소 이보배 연구사는 “전남도 대표 특산물인 유자의 다양한 건…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경기도(지사 이재명)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원장 유승경)는 경기도가 지원하는 ‘국내외 천연물 및 합성물 소재개발 사업’을 통해 경기도 남북 접경지역에서 발굴한 천연물 소재인 개여뀌, 솔방울고랭이 등 6건을 국제화장품원료집(ICID: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에 등재했다고 7월 1일 밝혔다. 이번에 국제화장품원료집(ICID) 등재를 추진한 남북접경 4개 지역(가평, 김포, 연천, 화천) 천연물 소재는 항알러지와항아토피 등 기능성 소재를 포함하고 있는 개여뀌추출물, 까치박달추출물, 누리장나무추출물, 솔방울고랭이추출물, 은사시나무추출물, 참개싱아추출물로 지난 6월 11일 최종 등재 승인됐다. 경과원 바이오센터는 그간 자체 연구개발(R&D) 기술을 바탕으로 남북 접경지역 청정자원을 활용한 기능성 소재 발굴에 주력해 항알러지와항아토피 효능을 가진 활성 소재에 대한 특허를 출원해 왔으며 우수 소재 6건을 선별해 국제적 공신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국제화장품원료집(ICID) 등재를 추진해 왔다. 국제화장품원료집(ICID)은 미국화장품협회(PCPC) 산하 국제화장…
#COSMOS 인증 취득 식물 유래 UV 프로텍션 부스터 'PONGAMIA BUTTER 80 PLUS' BIOSYNTHIS SARL사에서는 인도의 마하라슈트 라주와 마디야프라데시주(그림1 상단 지도)에서 비식용으로 재배된 퐁감[Pongamia glabra(Karanja)]의 씨에서 오일을 추출해 거기에 포함된 천연의 자외선 흡수 기능 성분인 퐁가몰과 카란진에서 PONGAMIA BUTTER 80 PLUS를 제조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퐁감의 조유(raw oil)가 연간 약 15,000t 이 생산되며 전통적으로 민간요법이나 피부병 등에 사용되어 왔다. 또현재는 바이오 연료, 도료나 비누, 등화구용 연료, 님오일과 함께 생물학적 살충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림3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비교 PONGAMIA BUTTER 80 PLUS에 포함된 퐁가몰과 카란진의 화학 구조식은 UVA 흡수제로서 알려진 아보벤존(그림2)과 같이 벤젠고리를 갖고 있다. 또아보벤존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최댓값이 355nm 인데 반해 퐁가몰은350nm, 카란진은 302nm이다. 퐁가몰과 아보벤존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비교하면 퐁가몰은 아보벤존보다 자외선 흡수율은 낮지만 비슷한…
#실크 나노 파이버로 오일겔화 '바이오매스 나노 파이버(BiNFi-s 실크)' BiNFi-s 실크(이하 BF 실크)는 오일겔화제로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 나노 파이버이다. BF 실크 겔화 기능의 특징에는 높은 오일 농도의 겔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나 오일의 종류(탄화수소계, 유지, 왁스, 실리콘 오일 등)의 선택성이 넓은 점과 상온에서 조제가 가능해 점도 조정이 용이한 점을 들 수 있다. 또BF 실크의 제법을 개량해 보다 실크에 가까운 유백색의 나노 파이버로 되어 있다. 이 개량으로 실크가 지닌 색감을 살리면서 실크 나노 파이버의 기능성을 도입하기 쉬워졌으므로 실크의 이미지를 살린 제품으로의 전개나 용도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BF 실크와 다가알코올의 조합으로 실리콘 오일이나 스쿠알란, 유동파라핀 등의 오일류를 겔화한 사례를 소개한다. 그림1 BF 실크의 외관(FE-SEM에 의한 이미지) 견직물의 원료로알려진 실크는 섬유질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천연 소재로 세리신(수용성)과 피브로인(불용성)의 2가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BF 실크는 피브로인을 워터제트로 해섬(fibrillated)하는 것으로 유백색으로 슬러리 성상을 나타낸다. BF
#새로운 헤어케어용 실리콘 'HydroxySHIELDTM Polymer' 현재 세계 시장에서 헤어케어 신제품의 대부분은 그 기능으로‘모발에 윤기를 준다’, ‘보습, 수분보충’, ‘손상으로부터 보호,복구’ 등을 강조하고 있어 소비자들은 손상의 감소와 윤기 개선을 원하고 있는 것을 엿볼 수 있다. HydroxySHIELDTM Polymer는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켜 주는 차세대 헤어케어 제제를 조제 가능한 하이드록시 관능성 아미노실리콘폴리머로 열, 퇴색, 마찰 등 다양한 손상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할 수 있는 다기능적인 제품이다. HydroxySHIELDTM Polymer는 샴푸, 컨디셔너, 씻어내지 않는 헤어트리트먼트, 스타일링제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설페이트 프리 샴푸(그림1)나 씻어내는 트리트먼트(그림2)에 응용한 경우에서는 기존의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이나 아미노,글라이콜 변성 실리콘과 비교해 대폭적인 마찰 저감 효과가 확인됐다. 그림1 설페이트 프리 샴푸 처방에서의 마찰계수 또컨디셔너로 사용했을 경우 그림3에 나타낸 것처럼 컨트롤(실리콘 비첨가)이나 아모다이메티콘 함유 컨디셔너와 비교해 건조 시간이 약 35% 빨라졌다.이렇게…
#유니크한 센서리 특성부여하는 비이온계면활성제 'Brij™ S200' 크로다재팬은 퍼스널 케어 분야에서 폭넓게 원료를 제공하고 있다. BrijTM은 폴리 옥시에틸렌과 지방산의 에터(ether) 타입 비이온계면활성제로산화에틸렌의 부가 몰수에 의해 HLB(친수성-친유성의 밸런스)가 다른 여러 가지의 타입이 존재한다. 이번에 개발한 BrijTM S200는 산화에틸렌 200몰이 부가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형 비이온계면활성제이다. 일반적으로 크림 타입의 산화염모제 처방으로는 낮은 HLB와 높은 HLB의 2종의 비이온계면활성제를 병용해 유화하는데 처방 중 높은 염 농도의 영향으로 적당한 점도의 조정이나 안정성의 확보가 어렵다. 또마무리된 모발의 정돈이 어렵다는 등의 과제가 있다. 그림1 점증 효과의 비교 BrijTM S200은 산화에틸렌 200몰이 부가된 비이온계면활성제로 에몰리언트 특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헤어 케어에서는 건조한 후 모발을 쉽게 진정시키는 관능을 처방에 가져온다. 헤어 컨디셔너와 산화염모제의처방, 씻어내는 세팅제 등의 용도에 적합하며 염 농도가 높은 처방의 유화제 겸용 점증제이다. 본고에서는 BrijTM S200를 헤어케어에 사용했을 때의…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국내 바이오코스메틱 기업 라파로페(대표 황기철)가 자사 연구소의 논문이 해외 유명저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라파로페 기업부설연구소는 지난 2년간 연구해온 코스메틱 차별화 기능성 소재인 ‘감 추출물 안에서 피부염 억제성분이 규명’된 논문이 해외 SCI(Science Citation Index)급 Molecules(IF 3.267) 저널에 게재했다. 친숙한 과일인 감(Diospyros kaki)을 발효해 유기산,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테르페노이드, 다당류 등 다양한 약효 활성 화합물과 유용물질을 추출, 피부 기능향상에 관한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연구결과 이번 논문에는 감 추출물에 관한 연구에서 감 추출물이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에 효과가 입증됐다. 황기철 대표(라파로페 기업부설연구소장)은 “뷰티 산업에서 감 추출물이 기능성화장품의 주성분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더욱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라파로페는 앞으로도 감 추출물의 안전한 소재로 피부염, 건조함, 가려움증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을 더욱 다양하게 만들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라파로페는 감 추출물을 활용해 카…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농촌진흥청이 약용작물인 참당귀 잔뿌리 ‘세미’의 추출물에서 미백효과와 기능성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했다고 3월 25일 밝혔다. 연구진은 세포(B16F10) 실험에서 멜라닌 생성 촉진제(IBMX)와 참당귀 뿌리 추출물을 처리해 뿌리 부위별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며 이 같이 전했다. 그 결과, 참당귀 뿌리의 신, 대미, 중미의 멜라닌 억제효과는 12∼19%였고 세미의 멜라닌 억제 효과는 15% 수준으로 다른 부위와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아울러 부위별 추출물의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하게 화장품 소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참당귀 뿌리 부위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자료 :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은 지난 2019년 연구에서 참당귀 세미의 유효성분이 다른 부위보다 높다는 것을 밝힌 적이 있다. 당시 연구에서도 항노화와 치매 예방, 당뇨합병증에 효과가 있는 ‘데쿠르신(decursin)’과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decursinol angelate)’는 다른 부위보다 세미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연구 결과는 ‘참당귀 세미 추출물의 미백 및 항산화 효과’를 주제로 올해 초 국내…
#고농도 나노캡슐화 레티놀 'Inumax Advanced Retinol' 레티놀은 비타민A의 한 종류로 소비자 인지도도 높아 ‘안티에이징 성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노화에 따른 주름이나 기미 개선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자외선으로 인한 주름, 처짐 등 광노화를 개선하는 등의 여러 가지 보고가 있다. 또 표피에서는 세포의 턴 오버를 촉진해 피부의 탱탱함과 살결을 케어하며 잔주름을 완화하고 얼룩과 고르지 못한 피부색을 개선한다. 피부의 수분을 유지시키는 히알루론산 합성이나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진피 콜라겐, 엘라스틴의 생성도 촉진해 노화에 따라 얇아지기 쉬운 피부나 깊은 주름이 새겨진 피부에도 탄력을 주어 젊어 보이는 인상으로 만들어 주는 것에 확실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림1 레티놀의 안전성 한편, 레티놀은 빛, 열이나 산화의 영향을 받기 쉬운 불안정한 성분이다. 안정한 처방을 만들기 위해서는 높은 제제 기술이나 밀폐성이 높은 패키지에 대한 연구 등이 필요하며 레티놀 원료 단독의 경우에서의 안정성에 대한 담보가 아직도 과제로 남아 있다. 또 생리 활성이 높은 레티노익애씨드에 비해 자극성이 낮다고 하지만 역시 붉어짐이나 따끔거림 등의 자극에 대한 가
#환경 스트레스로부터 모발을 보호하는 'ZORYALYS™' 모발은 크게 나누어 외부의 큐티클, 중간부의 코텍스(cortex), 중심부의 메듈라(medulla)인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그림1) 95%가 케라틴과 지질(지방산, 스테롤, 세라마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모발의 구조를 유지하는 것은 모발의 뛰어난 강도와 광택, 부드러움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 그러나 햇빛이나 오염물질 등 환경적으로 유해한 인자에 날마다 노출됨으로써 케라틴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카보닐화나 지질의 과산화가 일어난다. 이로 인해 모발의 구조가 손상되고 모발의 강도가 저하되어 광택이 상실된다. 그림1 모발의 구조 GREENTECH사는 햇빛이나 오염물질 등의 외부 자극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는 유효성분을 설계, 개발했다. Pentaclethra Macroloba Seed Oil은 베헤닉애씨드, 올레익애씨드, 리그노세릭애씨드를 많이 함유해 모발을 보호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후박나무(목련과의 낙엽고목)의 주성분인 호노키올이나 마그놀올은 예로부터 한방약으로 사용됐으며 항산화 작용과 햇빛이나 환경적 유해인자로부터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생강에 함유된 쇼가올이나 진저롤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