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의약품안전처 유기농 인증기관 인정 현황 중 10% 이상이 잘못된 자료로 나타났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공지하는 국가별 유기농 인증기관 인정현황 리스트 352개 가운데 10% 이상인 38개 인증기관의 웹사이트 또는 홈페이지가 잘못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정부 기관이 이처럼 잘못된 정보를 방치하고 있는 등 관리 감독에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사이 국내 업체와 소비자들의 혼란만 더욱 가중되고 있다.
식약처에서 올해 4월 17일과 6월 24일 기준으로 공지한 ‘국가별 유기농 인증기관 인정현황 리스트’를 분석한 결과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가 352개소 중 8곳, 해당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가 12곳, 유기농 인증과 관계없는 사이트가 18곳인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업소의 주소 변경 등 변동 사항을 수정하기는 했지만 웹페이지의 오류는 수정되지 않았다.
특히 www.fvst.de, www.tansan.jp, www.s-kikou.com 등의 사이트는 유기농 인증과 전혀 관계가 없는 웹사이트로 클릭해 보면 낯뜨거운 내용이 게재돼 있는 곳도 있다.
이런 사이트들이 정부 기관에서 인증한 국가별 유기농 인증기관으로 버젓이 공지됨에 따라 잘못된 정보가 고스란히 국내 업계와 소비자에게 전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 큰 문제는 이같은 실정을 식약처가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본지가 식약처 담당부서에 확인한 결과 관련 담당자는 국가별 유기농 인증기관 인정현황 리스트에 잘못된 정보가 게재된 것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였다. 이를 본지가 지적하자 이 담당자는 “추후 시정할 것”이라고만 답했다.
최근 국내외 상당수 브랜드에서 유기농 화장품의 표시 위반과 허위·과장광고 사례로 적발돼 소비자들에게 ‘불신’을 각인시킨 바 있다.
이에 대해 국내에 유기농 화장품 여부를 사전 심사·확인, 관리하는 제도와 인증기관의 부재로 비롯된 것이라는 한국소비자원의 발표도 있었다.
현재 유기농 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들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정부 기관에서 인증한 해외 유기농 인증기관의 인증마크를 획득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다.
하지만 식약처에서 공지한 국가별 유기농 인증기관 인정현황 리스트와 같이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면 인증마크에 대한 신뢰도 하락은 물론 유기농 제품에 대한 소비자 불신만 커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유기농 화장품은 식약처가 올해 하반기 관련 고시를 만들겠다는 방침을 밝혀 향후 시장에 큰 변화가 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인 데다, 국내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정확한 정의나 기준이 없어 소비자들의 선택에 혼선을 주고 있는 형편이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유기농 화장품 고시 제정에 앞서 소비자들이 올바른 유기농 화장품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의 제공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이 관계자는 "식약처가 유기농 화장품 고시를 마련하는데 전문 인증기관과 단체, 업계 전문가, 소비자단체, 언론계 등 유기농 화장품 전문가들이 광범위하게 참가한 위원회를 통해 세계적인 흐름에 적합한 고시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