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7년 7월호는 ‘피부노화 특징 : 주름 발생 메커니즘과 그 억제’를 주제로 주름형성에서의 기저막 헤파란설페이트의 변화와 그 제어, 자외선 노출에 의해 형성된 주름에 대한 사과 폴리페놀의 효과, 히알루론산 분해의 주름형성에 대한 관여, 페닐프로파노이드 배당체를 함유한 주름형성의 방지·개선제, 피부의 내측과 외측에서의 다각적 어프로치로 주름을 개선하는 신규 화장품원료의 제안 등 5편의 원고가 수록된 특집을 구성했다. 최신연구 섹션은 가열에 의해 겔화하는 타마린드씨검 유래의 새로운 폴리머, 신소재 신원료 소개 섹션은 유산균에 의한 육균 미용 ‘La Flora EC-12', 순간 주름 지우기 효과를 부여하는 신소재 ’EcoSmooth™ Optitouch'를 소개했다. 테마기획Ⅰ은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창간 2주년을 기념해 개최한 ‘제3회 국제 기능성 화장품 R&D 이노베이션 포럼 지상중계’, 테마기획Ⅱ는 ‘화장품 사용 전면금지, 미세플라스틱 철저 해부’, 테마기획Ⅲ은 ‘식약처, 시판용 16종 화장품 위해평가 결과 첫 공개’에 대한 내용을 다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7년 6월호는 ‘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스킨케어’를 주제로 수분에 응답하는 자율성도포막의 개발과 자외선차단제로의 응용, 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스킨케어, 스포츠 피로와 입욕의 Recovery 효과, 스포츠 아로마테라피의 역할과 정유를 이용한 시술의 혈류효과, 실리콘 원료의 W/O(Water in Oil)형 제제에의 응용, 스포츠 기능성 소재-아미노산 등 6편이 게재됐다. 창간 2주년 기념으로 테마기획Ⅰ은 ‘이슈로 떠오른 기후변화와 미래 트렌드 화장품 대응 기술’, 테마기획Ⅱ는 ‘나만의 화장법, 유전자 맞춤형 화장품 시대 개막’에 대한 내용을 다뤘다. 신소재 신원료는 세일인터네셔널의 ‘손상된 피부를 위한, 최고의 피부장벽 복원 재생 인자’를 소개했다. 원료 최신 연구동향으로는 바이오스펙트럼의‘미성숙감귤 추출물을 이용한 염증성 피부질환 완화용 신규 화장품 소재개발’가 게재됐다. ■ 목차 [컬럼] 신규 천연자원으로서 극한 생물(Extremophile)의 응용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7년 5월호는 ‘화장품의 신소재와 신기술 동향(2)’을 주제로 미생물유래 세라마이드를 나노화한 고기능 스킨케어 제제의 개발, 리퀴드 파운데이션용의 신규 안료 분산체, 카테킨 지방산 유도체의 항바이러스·항균 활성과 화장품 응용, “5개의 액티브와 5개의 액션”에 의해 환경오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다면적인 접근, 미세조류로부터 생산되는 푸코잔틴을 함유하는 기능성 원료 - 케토세로스 칼시트란스 추출물, 각질층 침투성 겔에 의한 경피흡수 촉진, 히알루론산을 뛰어넘는 보습력을 갖는 새로운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개발, 흡착정제법에 따른 망고버터의 특성 등 10편이 게재되었다. 테마기획으로는 '5월 확대 시행되는 기능성 화장품 관리방향은?'에 대한 내용이 다뤄졌다. 원료최신연구동향으로는 래디안의‘AGINON : 미토콘드리아를 타겟으 로 한 새로운 항노화 화장품 소재’가 게재되었다. ■ 목차 [특집] 화장품의 신소재와 신기술 동향(2) 化粧品の新素材と新技術の動向(2) 1) 미생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7년 4월호는 ‘화장품의 신소재와 신기술 동향’을 주제로 '대사적으로 살아있는 식물에서 선택적으로 세포간 성분을 분리, 정제하는 독창적인 신기술', '최신의 멀티 타켓 미백 펩타이드 기술', '침투성이 뛰어나 일상의 스트레스로부터 모발을 보호하고 복원하는 “마이크로 프로테인”', '계면활성제가 없는 새로운 에멀젼 SSE', '두피와 모발 케어 소재로서 일본산 천연소재의 유용성', '나노 사이즈 베지클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바이오 계면활성제 프리믹스 신소재', '돼지태반추출물과 말태추출물-임상평가와 병용의 의의' 등 14편이 게재되었다. 테마기획으로는 '어린이용 화장품 관리기준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에 대한 내용이 다뤄졌다. 원료연구동향으로는 단정바이오의 '황국균을 이용한 수수 발효물 효능과 특성', 래디안의 'HI-CLERA : 만성 피부질환 완화용 신규 화장품 소재'가 소개됐고, 신소재 신원료에는 지에프씨의 'Kombucha로부터 생산되는 Biocellulose의 특성 확인', 세일인터내쇼날의 '남성 케어의 주요 이슈에 관한 연구 : 탈모와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7년 3월호는 ‘모공케어의 동향과 소재 개발’을 주제로 ‘모공 확대의 메커니즘’, ‘프로비타민C의 모공 이상에 대한 효과’, ‘눈에 띄는 모공에 대한 풀러렌 효과’, ‘블랙헤드 성장을 억제하는 케어방법의 개발’, ‘DDS 기능을 갖는 PLGA 나노입자에 의한 여드름·모공 트러블의 개선기술’, ‘비디오마이크로스코프를 이용한 간편한 모공 해석 시스템’ 등 6편이 게재되었다. 테마기획으로는 ‘나고야의정서 발효와 K-뷰티 대응전략 분석’, ‘한국 화장품, 중국 수출장벽 극복 방안은?’에 대한 내용이 다뤄졌다. 또 최신연구에서는 두피 마사지가 모발에 미치는 영향가 게재되었고 신소재 신원료 소개에서는 ‘Full traceabilityr를 취득한 고품질 도카치 플라센타 엑기스’와 ‘돌외의 발효를 통한 주름 개선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등이 수록되었으며 연구소탐방에는 단정바이오 기술연구소가 소개되었다. ■ 목차 [특집] 모공케어의 동향과 소재 개발 毛穴ケアの動向と素材開発 Trend and material develo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7년 2월호는 ‘AGEs 연구의 최전선’을 주제로 ‘당화스트레스에 의한 피부노화와 그 대책’, ‘모델 시스템으로 고려한 당화 피부의 장벽 특성’, ‘AGEs의 작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아르간잎추출물’, ‘AGEs와 체내노화, 인지 연령’, ‘피부 당화스트레스에 미치는 각질층 내 산화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의 영향’, ‘항당화·항카르보닐화 소재-벚꽃추출물, 브로콜리종자추출물’, ‘인체 피부 AGEs와 피부상태와의 관련성과 화장품으로의 응용’, ‘촬영 기능이 있는 피부 AGEs 평가 장치 개발’ 등 8편이 게재되었다. 테마기획으로는 ‘한국 화장품, 중국 시장 진출 총체적 문제와 대응방안은?’이 수록되었다. 또 최신연구에서는 화장품 개발에 있어서 동물 실험에 관한 의식 조사 등이 게재되었고 신소재 신원료 소개에서는 계면활성제 프리이면서 수분산성이 우수한 화장품용 실리콘 알라스토머 Particle, 쌀에서 추출한 Inositol이 피부에 미치는 효과, 효소와 분리정제 기술을 이용한 천연 유래 화장품소재 개발, 복합 원료 Defat complex의 지방 분해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7년 1월호는 ‘가려움증의 메커니즘과 민감성 피부 제품에 대한 접근’을 주제로 ‘온천효모를 이용한 가수분해 콜라겐-에너지 재생메커니즘의 촉진에 의한 피부재생’, ‘아크릴산계 레올로지 조정제를 배합한 비누계 바디워시 계속 사용에 의해 나타나는 겨울철 가려움증 완화작용의 메커니즘 해명’, ‘환경오염으로부터 피부 부담을 막는 안티폴루션 원료’, ‘피부과학과 시장 니즈에 기초한 영유아(乳幼児)용 스킨케어 외용제의 개발’, ‘환경오염으로부터 피부 부담을 막는 안티폴루션 원료’,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의 QOL 향상을 목적으로 한 꽃가루 부착 방지 기술의 개발’, ‘삼차원 배양 표피 모델 이용한 민감 피부의 발생 원인과 환경 스트레스의 영향’, ‘아토피성 피부염 모델에 있어서 키틴(Chitin) 나노섬유의 효과’ 등 7편이 게재됐다. 2017년 신년특집은 전문가 좌담회 '2017년 화장품 산업 전망 전문가 좌담회', '2017년 화장품 시장 분야별 전망 설문조사'를 소개했다. 또 신소재 신원료 소개는 폴리우레탄 피막제로 혁신적인 처방을 가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6년 12월호는 특집 ‘화장품 개발에 있어서 평가·측정의 신기술’을 주제로 ‘높은 재현성과 정확성을 추구한 선스크린의 in vitro SPF 시험법 개발’, ‘화장품 개발에 있어서 새로운 피부 측정 기술’, ‘메이크업 제품의 기능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 화장막의 미시적 해석 방법’, ‘안면 진피 유두 돌기 구조, 진피 섬유상 구조의 물성 검토와 간편 계측법의 개발’, ‘케라틴필름을 이용한 샴푸·컨디셔너 처리에 의한 마찰과 흡착의 평가’, ‘당화 스트레스에 착안한 항당화 식품·화장품의 유용성 평가법’ ,‘세그멘테이션 분석에 의한 소비자의 실감효과에 착안한 헤어케어 성분의 평가법’, ‘미백 화장품 개발에서 유효성 평가와 측정 신기술에 대하여’등 8가지 테마의 연구를 게재했다. 2016년 송년특집으로 전문가 좌담회 '2016년 화장품 산업 결산한다'와 '2016년 화장품 10대 뉴스', '화장품 R&D분야 이슈는?'를 조사, 소개했다. 또 신소재 신원료 소개는 저자극이며 거품이 좋은 천연유래의 계면활성제, 천연 복합 추출물의 자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6년 11월호는 특집 ‘최신 유화기술-그 이론과 처방에의 응용’을 주제로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유화기술의 실현’, ‘피커링 에멀전‧폼을 이용한 기능성 재료와 화장품’, ‘신규 고기능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처방기술’, ‘코스메틱 딜리버리 시스템 캐리어를 이용한 삼상유화 화장품의 개발’, ‘아미노산계 소재에 의한 프리 콘셉트 에멀젼의 안정화, 감촉 개량 기술’, ‘조합에 의해 새로운 기능을 창출하는 복합유화제’ 등7가지 테마의 연구를 게재했다. 또 신소재 신원료 소개에서는 중년을 타깃으로 한 새로운 UV care 소재 IZAYOI®, O/W 유화제 혼합편리·고기능·내추럴 symbio® muls GC, “의약부외품 원료규격 적합”, PRTR 비해당(非該当) 헤어케어용 아미노마이크로 에멀젼 BELSIL® ADM 8104 E, 유산균을 이용한 폴리아민 함유 화장품 소재 개발 및 효능과 특성에 대해서 소개했다. 세미나 지상중계는 ‘제1회 화장품 포럼’, ‘2016 화장품 안전성 심포지엄’, ‘2016 국제 CGMP 동향 세미나’, ‘제주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6년 10월호는 특집 ‘포인트 메이크업과 부분 케어 제품 개발’을 주제로 ‘입술의 특징을 바탕으로 한 립케어’, ’독특한 형상 소재가 마스카라 처장의 성능에 주는 영향’, ‘최신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의 트렌드와 기술개발’, ‘펩타이드 기술을 응용한 복합 원료에 의한 종합적인 아이케어(eye care)’, ‘다양화하는 립 화장품에 부가가치를 더하는 올리고머 에스터’, ‘콜라겐 수화효과를 이용한 항주름 동결건조 원료’, ‘덱스트린이소스테아레이트의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응용’등 7가지 테마를 게재했다. 또 신소개 신원료 소개에서는 피부에 데미지를 미치는 공해와 그 대처 방법, 용해성이 우수하고 지속성이 높은 내수성 피막형성제, 화장품 제형을 위한 액정세라마이드의 피부 보호 기능에 대해서 소개했다.세미나 지상중계는 ‘충북도 주최, 서원대 주관 10월 6일 2016 국제 바이오코스메틱 컨퍼런스 ‘, ‘더가든오브 내추럴솔루션 주최 10월 5일 제2회 NS 심포지엄’, ‘한국피부과학연구원 주최 제2회 한・중 화장품 산업 국제공동포럼’에 대해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6년 9월호는 특집 ‘헤어케어 기술의 새로운 지식과 응용’을 주제로 ‘약산성 염모제에서 차카테키을 응용한 모발 염색 제어’, ‘모발의 손상(damage) 개선을 목적으로 한 지질 나노입자 제제의 헤어케어 분야에의 응용’, ‘D상 유화법으로 만든 화장용 유화물의 특성과 모발에서의 효과’,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고윤활성 나노젤 폴리머의 헤어케어에의 응용’, ‘부드럽고 탄력있는 모발을 실현하는 모발 치밀 개질 기술의 개발’, ‘나이든 모발의 탄력을 개선하는 새로운 헤어케어 기술의 개발’, ‘pH 응답성 아미노산 유도체의 헤어케어에서의 응용 - 손상 케어와 모발 질감 개선 효과를 중심으로’, ‘ 끈적이지 않고 보습·보호 피막효과를 실감할 수 있는 ‘양친매성폴리글루코사민(키토산) 유도체’의 헤어케어 화장품에의 응용’ 총 8가지 테마의 연구를 게재했다. 또 일본의 헤어케어용의 신원료 ‘Multi oil complex K-OleoTM’ ‘, 천연(川研)파인케미컬 주식회사의 신규 헤어 컨디셔닝제 가와소프트 ‘EP59SP-K’, 석화(Adenium obes
[코스인코리아닷컴 갈렙 유 베트남 통신원] 베트남에 향수의 새로운 트랜드가 생기고 있다. 일반적인 병에 든 향수와 다른 새로운 형태의 드라이 향수가 고객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샤넬, 구찌, 버버리 등과 같은 향수 브랜드는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러나 드라이 향수를 말하면,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생소하게 생각할 것이다. 드라이 향수는 왁스 형태로 농축시켜 만들기 때문에 작은 케이스나 상자에도 쉽게 담겨 휴대가 간편하다. 최근 뿌리는 액체 향수의 인기가 점
화장품이 한류를 이끄는 대표 산업으로 부상한 가운데 화장품 분야 특허출원 건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국내 빅2 화장품 기업은 물론 세계 1위 화장품 업체인 로레알도 국내에서 비교적 높은 특허출원 건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특허출원을 통한 시장 선점과 브랜드 보호에 대한 기업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특허 출원된 기술은 심사에 통과해야 특허등록이 돼 특허권이 생긴다. 이와 관련 특허 정보넷 키프리스에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더페이스샵이 등록한 특허실용신안등록 건수를 검색한 결과 총 20건이 검색됐다. 2016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더페이스샵의 화장품 관련 실용신안 특허등록 기술을 소개한다. 1. 화장품 용기 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손질 표면을 노출하는 손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에 손질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손질부를 이용해 손톱 등
[코스인코리아닷컴 최미영 기자] 사드로 냉각됐던 중국 화장품 시장에 다시 훈풍이 불 조짐이 보이고 있다. 얼어붙었던 한중 관계가 회복되면서 부진했던 중국 뷰티 시장 진출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중국 시장 진출의 주요 통로로 꼽히는 뷰티 전시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 상해 뷰티 전시회(CBE)는 중국 Top3 전시회로 꼽히는 행사다. ‘2018 제23회 중국 상해 뷰티 박람회(CBE)’는 지난해보다 더 커진 260,000sqm 면적에
[코스인코리아닷컴 최지윤 스페인 통신원] 글로벌 음악 스트리밍 회사인 스포티파이(Spotify)가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아티스트들의 머천다이징 판매를 하는 브랜드인 멀치바(MerchBar)와의 협조로 뷰티 제품을 스포티파이 플랫폼을 통해 판매한다. 스포티파이는 아티스트들의 머천다이징을 판매하는 브랜드인 멀치바(MerchBar)의 협조로 뷰티 제품을 스포티파이 플랫폼을 통해 판매한다. 음악 산업 외에 스포티파이는 고객들이 음악에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6년 8월호는 특집 ‘클렌징 기술의 개발’을 주제로 ‘아이 메이크업이 눈가에 미치는 영향과 클렌징 효과’, ‘오일계 메이크업 제거 세정 기술의 진화’, ‘클렌징 오일의 사용감 평가법의 개발’, ‘클렌징 제제와 처방 설계’, ‘화장용 Cotton에 의한 ‘닦아내는 행위’의 스킨케어 효과 검증’, ‘인체용 세정제에 기능성 당질을 배합’, ‘클렌징에 부가가치를 주는 기능성 에스테르’, ‘우수한 현탁성을 갖고 다양한 처방의 제제화를 용이하게 실현하는 신규 아크릴레이트 레올로지 개량제’ 총 8가지 연구를 게재했다. 또 일본의 화장품 신원료 ‘VITA-HA 400’과 (주)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의 ‘황백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Magali Borel의 ‘완벽한 사진을 위한 천연 모공지우개 MiniporylTM(Picture-Perfect Pore Minimizer)-MiniporylTM(LUCASMEYER)’을 소개했다. 최신연구에서는 ‘과도한 방사선 폭로에 의한 세포 장해에 대한 헨나(헤나, Lawsonia inermis) 꽃 추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6년 7월호는 특집 ‘이너뷰티의 새로운 동향과 소재 개발’을 주제로 ‘기능성 표시 식품의 인지도와 이용 실태’, ‘피부·모발을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한 내외(內外) 미용의 현상’, ‘패션 플라워 추출물의 지방 세포에서의 에너지 소비 촉진 작용’, ‘플라센타추출물의 효과를 영상으로 확인해 보다’, ‘피부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제에 대하여’ 등 총 6가지 테마의 연구를 게재했다. 또 일본의 화장품 신원료 ‘더마-리듬(Derma-Rhythm)’과 ㈜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의 ‘발효 인삼 열매 화장품 기능성 소재 개발’을 소개했다. 최신 연구에서는 '멜라닌 생성계에 미치는 항염증약의 작용 메커니즘'을 게재했다. 테마기획으로는 ‘창간 1주년 기념 제2회 국제 기능성 화장품 R&D 이노베이션 포럼’과 ‘2015년 100대 화장품 기업’을 기사로 실었다. ■ 목차 [칼럼] 최근 화장품 산업의 발효기술 동향과 오믹스 기법의 적용 - 강희철 지에프씨 대표이사
■ 개요 창간 1주년 특집호인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6년 6월호는 특집 ‘배스케어와 바디케어’를 주제로 ‘저자극 샴푸·컨디셔너의 유용성’, ‘피부와 모발에 장시간 지속되는 보습 효과’, ‘온천 조류 RG92에 의한 건강과 미용의 촉진효과’, ‘이온성 계면활성제와의 회합에 의해 레올로지기능을 발휘하는 새로운 음이온성 마이크로겔폴리머를 비누계 세정제로 응용’, ‘입욕에 따른 건조케어를 목적으로 한 보습입욕액의 개발’, ‘지방산대사 발상의 바디케어 제안’, ‘붓을 사용한 새로운 스킨케어’, ‘마이크로버블 샤워헤드의 응용과 세정효과·온열호과의 검토’, ‘아토피 피부염 유발 NC/Nga mouse에서 온천수와 한방입욕보조제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항알러지 효과’ 등 총 9가지 테마의 연구를 게재했다. 또 일본의 화장품 신원료 ‘유용성 플라센타(Placenta) 엑기스’와 건조한 피부나 입술을 위한 ‘트로피컬 식물성 버터 IRWINOL™’, ㈜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의 ‘山家要錄(산가요록)의 전통발효 기법을 활용한 발효화장품 소재 개발연구’를 소개했다. 최신 연구에서는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6년 5월호는특집 ‘항노화 소재 개발과 화장품 응용’을 주제로 ‘피부 유전자 발현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영지 초임계 추출물’, ‘키틴 나노 섬유의 피부에 대한 효과’,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유래 추출물의 세포 노화 및 스킨톤의 유용성’, ‘“엑토인(Ectoine)": 새로운 항노화 소재 -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의 조정을 매개로 한 매트릭스 메타프로테아제의 억제’, ‘신규 플라센타 추출물의 항노화 소재로서의 평가’, ‘자외선 이외의 빛에 의한 광노화 영향의 가능성에 대해’ 등 총 6가지 테마의 일본 연구를 게재했다. 또 일본의 화장품 신원료 ‘CELLYNKAGETM’과 ‘그라비놀 KPA-CU’, ㈜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의 ‘황금보리 맥주 발효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소재의 개발’을 소개했다. 최신연구에서는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의 ‘UVA 조사가 지방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줄기세포능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했다. ■목차 특집 :항노화 소재 개발과 화장품 응용 1)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6년 4월호는 특집 ‘구강 헬스 케어’를 주제로 ‘일반인의 오랄케어 실태와 예방치과 실천에 관한 상품개발’, ‘치주병 예방의 기능성 식품 : 유칼립튜스 추출물’, ‘인산화 올리고당 칼슘의 구강케어에의 응용’, ‘첨차(甜茶)추출물의 보습기능과 구취 소취효과’, ‘퍼미스(와인 압착박) 추출물의 구강케어 소재로서의 전망’, ‘구강 건조 케어를 목적으로 한 보습 구강청결제의 개발’ 등 총 6가지 테마의 일본 연구와 ‘대한예방치과 구강보건학회의 구강건강 관련 연구동향’, ‘생리적 구취조절법 소개’, ‘구강환경관리와 구강환경용품’ 등 3가지 테마의 한국 연구를 게재했다. 또 일본의 화장품 신원료 ‘바이오 아파타이트®’와 ‘ANSOROL®’, 성균관대 화학과와 ㈜바이오에프디엔씨 연구소가 공동으로 연구한 ‘프레임 형태의 귀금속 나노입자를 활용한 항노화 화장품의 개발’, ㈜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의 ‘신규 비피도박테리움을 활용한 발효화장품 소재 개발 및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기능 확인’, 세일인터내쇼날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제2의 피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성인 기자] 토니모리가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을 제외한 기타주주를 대상으로 1주당 현금배당 50원을 결정했다. 토니모리(대표이사 배해동)가 3월 23일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토니모리 본사에서 제 12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지난해 경영실적와 신규 사내이사 선임에 대한 안건을 의결했다.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6년 3월호는 특집 ‘안티에이징의 새로운 지식과 제품 개발’을 주제로 ‘환경오염에 의한 피부노화에 대한 황금추출물의 효과’, ‘가령에 따른 얼굴 형상 변화 메커니즘 해명’, ‘안면의 처짐과 피하 조직 내부의 선유구조’ 등 총 5가지 테마의 일본 연구와 ‘레스베라트릴 트리아세테이트를 함유한 크림의 피부 미백 임상 시험’, ‘피부탄력과 기계적 틍징에 대한 경희안면저항운동(KFRP) 효과 등 2가지 테마의 한국 연구를 게재했다. 또 일본의 화장품 신원료 Arganssential™’ 과 ㈜ 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의 ‘김치로부터 신규 유산균의 분리동정 및 이를 활용한 발효화장품 소재 개발’을 소개했다.그 외에도 ‘코스메카코리아’와 ‘리봄화장품’ 방문 등 화장품 연구개발 관련 최신 뉴스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목차 특집 : 안티에이징의 새로운 지식과 제품 개발 1) 환경오염에 의한 피부노화에 대한 황금추출물의 효과 – PM2.5와 담배연기의 영향 – - 이치마루파코스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6년 2월호는 ‘육모・ 탈모 ・백발의 메커니즘’을 주제로 ‘탈모 인자의 해명과 브로콜리 스프라우트(Broccoli Sprout) 추출물의 육모효과’, ‘백발을 방지하고 멜라닌 합성을 활성화하는 기능성 펩타이드의 효과 검토’, ‘노화물질 AGE에 의한 탈모의 메커니즘’ 등 총 6가지 테마의 일본 연구와 ‘리포좀 제형 이용한 4가지 약재추출물이 남성형 탈모에 미치는 영향’, ‘식물성 스테롤 유도체의 발모 효능 Screening’ 등 2가지 테마의 한국 연구를 게재했다. 또 ‘천연유래의 헤어케어 실리콘 대체성분 dermofeelⓇ sensolv (더모필 센솔브)’와 ‘매실에서 분리된 동충하초 균주를 활용한 매실 발효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화장품 분야에서의 효소의 미래’ 등 일본과 한국의 신소재, 신원료 개발을 소개했다. 특히 이번 호에는 ‘2016년 주요 화장품 업체 R&D 전략’을 신년특집으로 다뤘고 토픽에서 해외 기업탐방으로 ‘일본 최고의 입욕제 전문 기업 바스크린’을 소개하며 ‘일본 입욕문화와 입욕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6년 1월호는 ‘신규 분체기술과 파운데이션의 개발’을 주제로 ‘생체 친화 성분을 이용한 표면 처리 분체의 개발과 새로운 기능성 제품에의 응용’, ‘라멜라상 코팅 파우더 파운데이션의 개발’, ‘메이크업 화장품을 진화시키는 다기능형 산화아연(징크옥사이드)’ 등 총 7가지 테마의 일본 연구를 게재했다. 특히 이번 호에는 2016년 화장품 산업을 분석한 ‘전문가 좌담회 2016년 화장품 산업을 전망한다’와 ‘2016년 주요 화장품 업체 R&D 전략 분석’을 신년특집으로 다뤘다. ■ 목차 특집 : 신규 분체 기술과 파운데이션의 개발 1) 생체 친화 성분을 이용한 표면 처리 분체의 개발과 새로운 기능성 제품에의 응용 - 주식회사 코세연구소(株式会社コーセー 研究所) 佐藤朗見, 五十嵐啓二 2) 라멜라상(Lamella 相) 코팅 파우더 파운데이션의 개발 - 폴라화성공업(ポーラ化成工業) 堀江 亘 3) 메이크업 화장품을 진화시키는 다기능형 산화아연(징크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5년 12월호는 특집 ‘남성 케어와 트렌드’를 주제로 ‘현재 남성 미용에서 요구되는 것 ∼그 의식과 사회 번화에 대해서∼’, ‘남성 미용이 주는 심리 작용’, ‘남성 피부 특징 해석과 남성 화장품 개발에의 활용’ 등 총 7가지 테마의 일본 연구와 ‘남성들의 피부미용 인식과 관리 실태’, ‘한국 남성의 피부 노화 특성 연구’ 등 2가지 테마의 한국 연구를 게재했다. 특히 이번호에는 2015년을 결산하는 ‘전문가 좌담회 2015년 화장품 산업을 결산한다’, ‘2015년 화장품 R&D분야 핫 이슈는?’, ‘2015년 화장품 10대 핫 뉴스’를 2015년 송년특집으로 다뤘다. ■ 목차 특집 : 남성 케어와 트렌드 1) 현재 남성 미용에서 요구되는 것 ∼그 의식과 사회 변화에 대해서∼ - 남성미용연구소(男性美容研究所) 藤村 岳 2) 남성 미용이 주는 심리 작용 - Suan Sunandha Rajabhat University 平松隆円 3) 남성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5년 11월호는 특집 ‘보습에 관한 새로운 기술개발과 소재’를 주제로 ‘에비던스(과학적 증거)에 근거한 보습에 관한 최신 기술개발’, ‘피부의 생체리듬에 근거한 새로운 스킨케어 기술의 개발’, ‘천연 보습 인자로서의 유산 칼륨의 보습 메커니즘에 대하여’ 등 총 9가지 테마의 일본 연구와 ‘바이오인캡슐레이션 : 금속-유기 골격체의 개발’, ‘히알루론산나트륨의 제조와 미용 소재로의 개발’, ‘피부 각질층 구조 및 세라마이드 연구’ 등 3가지 테마의 한국 연구를 게재했다. 또 일본의 화장품 신원료 ‘레오펄Ⓡ WX’, ‘ADSC-CM’와 한국 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의 ‘수련꽃을 활용한 화장품 기능성 소재 개발’을 소개했다. 그 외에도 아시아 최대 화장품 원료전문 전시회 ‘인-코스메틱스 아시아’의 생생한 개최 현장 리포트 등 화장품 연구개발 관련 최신 뉴스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목차 특집 : 보습에 관한 새로운 기술개발과 소재 1) 에비던스(과학적 증거)에 근거한 보습에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5년 10월호는 특집 ‘프로비타민C의 기능과 응용’을 주제로 ‘프로비타민C의 시대가 만개(滿開)하다’, ‘레이저 시술 후의 케어와 프로비타민C’, ‘신규 비타민C 유도체의 여드름에의 효과’ 등 총 9가지 테마의 일본 연구를 게재했다. 또 일본의 화장품 신원료 피부를 균일하게 밝게 하는 BiointecTM Series ‘BrighletteTM Marine Ingredient’, 신규 디메치콘에멀젼 ‘BELSILⓇ DM 5700 E’와 한국의 화장품 신원료 신규 유산균을 이용한 저분자 달팽이 점액 발효물 화장품 소재 개발, 지방 이식술의 대안 ‘ADIPOFILL'INTM’를 소개했다. 그 외에도 화장품 연구개발 관련 최신 뉴스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목차 특집 : 프로비타민C의 기능과 응용 1) 프로비타민C의 시대가 만개(滿開)하다 - アイ・ティー・オー(아이 티 오) 2) 레이저 시술 후의 케어와 프로비타민C - クリニックF(클리닉F) 3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5년 9월호는 특집 ‘땀, 체취의 연구와 제한·데오드란트 제품의 개발’을 주제로 ‘현대인의 체취 · 다한증 사정과 그 케어’, ‘중년 체취에서 착안한 데오드란트 기술 개발’ 등 총 7가지 테마의 일본 연구를 게재했다. 또 일본의 최신연구 ‘모유두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화 기구와 가수분해 효모추출물의 효과’와 일본의 화장품 신원료 SYNⓇ-TC, 사라사이타이Ⓡ를 소개했다. 국내 신원료로 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의 ‘무지개 송어 Hatching Enzyme 활용 화장품 소재’를 게재했다. 특히 이번호에 새로 준비한 코너 ‘Market Intelligence’에서는 원료에 특징이 있는 인기 화장품 14개의 소개와 전성분을 볼 수 있다. ■ 목차 특집 : 땀, 체취의 연구와 제한·데오드란트 제품의 개발 1) 현대인의 체취·다한증 사정과 그 케어, 고미클리닉(五味クリニック) 2) ‘중년 체취’에서 착안한 데오드란트 기술 개발, 맨담 기술개발센터(マンダム 技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5년 8월호는 특집 ‘탄산가스의 효과와 화장품에의 응용’에 대해 ‘혈행 촉진 효과를 높이는 탄산 제제 설계와 스킨케어 효과의 검증’ 외 7가지 테마의 일본의 연구를 게재했다. 또 ‘신소재 신원료 소개’코너에서는 일본의 DM Nutrition Japan의 ‘레그센스’와 사카이화학공업의 ‘무기 형광분말 LumateⓇ‘과 한국 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과 네오바이오연구소가 공동 연구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기전 접근을 통한 천연 복합추출물‘과 Personal Care at Indena의 ’CentevitaTM’을 소개했다. 이번호부터 시작하는 ‘컬럼’ 코너에서는 안봉전 교수(대구한의대학 화장품약리학과)의 ‘한방화장품의 세계화’를 소개하고 ‘마켓 & 트렌드’에서는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 22년 현황을 진단했다. ‘제도 & 법률 규정’에서는 중국 CFDA 화장품 감독관리조례 개정 초안과 미국과 유럽연합(EU)에서의 성분과 효능 주장의 법규 준수에 대해 소개했다. 이 외에 GMP 적합업소 리스트와 아모레퍼시픽 2014년 특허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5년 7월호는 특집 ‘자외선차단의 신기술과 소재 개발‘에 대해 일본의 연구 9개, 한국 연구 4개, 총 13가지 테마의 연구를 소개했다. 최신 연구로 신규 기능성 재료인 곤약 유래의 글루코만난올리고당의 구조 해석을 소개하고, ‘신소재 신원료 소개’ 코너에서는 ‘진피 줄기세포를 타겟으로 한 PhytoCellTecTM 시리즈 최신작, 플러렌 내포 실리카 Veil Fullerene, 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의 제주 알로에로부터 신규 유산균의 분리 동정 및 이를 활용한 발효화장품 소재 개발을 다뤘다. ‘마켓&트렌드’ 코너에서는 소비자 설문조사에 근거한 자외선차단 제품에 대한 소비자 트렌드 인덱스를 소개하고 신생코너 ‘제도&법률‘에서는 7월 1일부터 화장품으로 관리되는 ’물휴지‘ 화장품 전환 관련 Q&A를 게재했다. ■ 목차 특집 : 자외선차단의 신기술과 소재 개발 1) UV 흡수제의 광 에너지 이동의 해명과 그 안정화 이론에 근거하여 설계한 신규 UV-B 흡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5년 6월호는 특집 화장품 용기의 최신 동향을12가지세부 내용을 집중 분석했다. 그 외에 최신연구 '식물추출물에 의한 LOX의 재활성화가 초래하는 가령(加齡) 피부의 표피 분화 프로세스 개선 및 피부 배리어 기능의 회복효과'를 소개하고, '신소재 신원료 소개'코너에서는 국내외에의 3가지 신원료를 활용한 향장품에의 개발을 소개한다. 신생코너 '마켓&트렌드'에서는 '코스메틱 마케팅 트렌드의 변화와 전략', '마스크팩 시장 동향 분석', '소비자 트렌드 인덱스 - 클렌징 제품' 등의 화장품 유통에 관한 최신 정보를 접할 수 있다. ■ 목차 특집 : 화장품 용기의 최신 동향 1) 기능으로 특화한 디자인 개발 - KOSÉ Corporation 2) 화장품 용기의 설계와 폐기물 감용화 - Shiseido Co., Ltd. 3) 마케팅 관점에서 바라본 화장품 용기 동향 - Sophia Links Inc. 4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5년 5월 창간호는 4월 창간준비호에 이어 특집 화장품 신원료, 원료의 신기능을 주제로 16가지 세부 내용을 집중 분석했다. 그 외에 신소재 신원료 코너에서는 모발 침투력을 강화한 무실리콘 헤어 컨디셔닝제 개발을, 업계의 학회, 컨퍼런스, 논문소개 등 국내 업계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며, 중국 화장품 시장 시리즈에서는 중국 소비자를 파고드는 중문 브랜드 네이밍 비법을 엿볼 수 있다. ■ 목차 특집 : 화장품 신원료, 원료의 신기능(2) 1) 천연 미네랄 클레이의 스킨케어 및 헤어케어 기능 I.T.O. Co., Ltd., 2) 자외선, Blue Light, 근적외선에서의 수용성차단제로써 수(水)분산형 세륨옥사이드의 효능 검증 Clinic F 3) 건강한 표피로 이끌어 주는 스킨케어 원료 : 인산화올리고당칼슘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Ezaki Glico Co., Ltd. 4) 술패랭이꽃 종자 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Oryza Oil & Fat Chemical Co., Lt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4월 창간준비호는 일본 유일의 향장품(화장품, 의약부외품) 연구개발 기술 저널 프레그런스저널의 한국판 창간준비호다. 일본 프레그런스저널 3월호 특집으로 소개된 화장품 신원료, 원료의 신기능에 대한 12가지 연구 내용을 정리했다. ■ 목차 특집 : 화장품 신원료, 원료의 신기능(2) 1) 저농도 지방산염을 성분으로 하는 페이스트상 세안제의 개발 – 지금까지 없었던 제제로의 도전 Iwase Cosfa Co.Ltd. 2) 발효로 만드는 폴리펩타이드 서팩틴의 우수한 기능 Kaneka Corporation 3) 차세대 계면활성제의 OD 시스템으로의 응용 Croda Japan Plc. 4) O/W 유액에서 안정한 신규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 수분산체 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5) 신규 비타민C 유도체 ‘미리스틸 글리세릴 아스코르빈산’의 유화성능과 유효성 Seiwa Kasei Co., Ltd. 6) 천연유래의 스페셜 컨디셔닝 성분 GSI Creos Corpora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성인 기자] 세계 주요 미용 전시회 중 하나인 이탈리아 볼로냐 미용 전시회에서 한국 기업들이 주목을 받았다. 51주년을 맞이하는 코스모프로프 이탈리아 볼로냐 미용전시회는 한국을 포함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미국, 일본, 중국 등 수많은 해외 기업들이 참가해 다양한 해외 바이어와 상담이 이뤄졌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급변하고 있는 세계 미용 트렌드에 대한 내외부 의견을 적극 수렴해 기존의 전시회 분위기와는 사뭇 다른 형태로 진행됐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성인 기자] 10조 달러 이상의 가치를 지닌 인도 뷰티 시장에 K-뷰티를 전파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다. 인도 뷰티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 중 하나로 매년 15~20% 이상의 증가를 보이며 약 10조 달러 이상의 가치가 있는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 세계에서 2번째로 인구가 많으며 향후 3년간 인도 화장품 시장의 성장률이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