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소 추출 기술로부터 얻은 아름다움과 시간을 동결시키는 유럽 전나무 추출물 FIREVER 피부는 UV(자외선), 염증성 스트레스, 오염, 활성산소 물질 등 외부 자극에 항상 노출돼 있다. 그것들은 생리학적 평형을 흐트러뜨리고 발적, 과도한 색소 침착, 자극과 조기 노화를 유발한다. BIOLIE사에서는 피부노화 불안 해소를 목적으로 지난번에 소개한 유럽 전나무의 종자 오일(Vosgian Fir Seed Oil)과 종자 추출물(FIREVER) 2가지의 상호보완 성분을 개발하고 이 2가지 성분으로 항산화, 토닝, 진정, 트리플 액션으로 아름다움과 시간(에이징)의 동결을 목표로 한다. BIOLIE사의 효소 추출 기술로 유럽 전나무의 미지의 부분이며 가장 중요한 종자에서 보다 많은 연구결과를 얻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됐다. 안정되고 우수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당사에서는 지역 자원으로서 유럽 전나무의 삼림을 이용하고 있다. 전나무 종자는 최대 30미터 이상의 나무에 오르는 수작업으로 수확돼 매우 귀중한 원료이다. 그림1 FIREVER의 첨가율 별 티로시나아제 저해 티로신은 피부에서 다이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DOPA)과 다른 여러 중간체로 변환돼 멜라닌을 정
# 노화와 싸우는 공격적인 세라마이드 SPHINOX ® Lift 원시 생명이 35억 년 전쯤에 태어난 이래 지상을 그 거주지역으로 삼기까지 무려 30억 년 이상이나 소요됐다. 이것은 육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30억 년분의 진화,변화가 필요하였음을 의미한다. 그 이유 중 하나로서 지상에 존재하며 바닷속에는 없는 위협을 들 수 있다. 그것은 건조와 중력이었다1). 그러나 최초의 육상 동물인 양서류는 건조에 극히 약했다. 파충류는 이를 극복하고 단단한 비늘을 가진 상피 조직으로 스스로를 건조함으로부터 지켰지만 그와 교환해 체표의 섬세한 감각을 잃었다. 포유류는 그것을 더욱 극복하고 세라마이드 등의 유분으로 가득 찬 장벽기능을 가지면서도 부드럽고 섬세한 감각을 가진 표피를 만들어 냄으로써 건조를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2). 그럼 중력은 어떻게 극복했을까? 중력은 양서류 시대부터 제대로 된 내골격에 근육을 조합해 어떻게든 부력이 없는 지상에서의 생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일정한 해결책을 얻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림1 짧은 사슬 세라마이드엔피(SPHINOX ® Lift) 에보닉은 오래전부터 장벽 기능의 중요성에 착안해 왔다. 인간의 세포간지질 중 중량…
#선 케어 기능강화피부건강미용촉진하는 식물 유래 에몰리언트제 'SOLAPURE GLO' 최근 전 세계에서 자외선흡수제 규제가 더욱 엄격해 지고 있으며 반대로 산란제를 사용한 선 케어 제품은 증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산란제로 사용되는 징크옥사이드(산화아연)과 티타늄디옥사이드(이산화티탄)은 광물 유래의 불활성이고 지속가능한 원료이며 특히 징크옥사이드는 UVA/UVB 차단기능을 지녀 세계적으로도 사용이 인정되고 있다. 또징크옥사이드는 굴절률이 비교적 낮고 티타늄 디옥사이드에 비해 중량환산에서 투명도가 더 높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산란제만으로 안전성이 높고 효과적이며 외관, 질감에 뛰어난 선 케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보조적인 원료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SolaPure Glo’는 울금뿌리추출물 특유의 건강효과를 활용한 종합적인 선 케어 원료이다. 그림 1 텍스처의 비교 2. 산란제, 흡수제의 SPF/PA 향상 우선 산란제의 SPF/PA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17.5% ZnO의 선 케어 처방에 대해 6% SolaPure Glo을 첨가해 SPF/PA의 변화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SPF/PA 모두 유의미
#옥시토신 방출well-being개선피부를 건강하게 빛내주는 자스민 꽃 추출물 'Caressense™ biofunctional' ‘편안함’이나 ‘마인드 케어’와 같은 건강과 행복(well-being)을 소중히 하는 트렌드가 높아짐에 따라 뷰티업계, 스킨케어업계에서도 ‘love beauty’나 ‘emotional beauty’와 같은 감정과 피부의 링크에 관한 연구나 감정에 초점을 맞춘 화장품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느끼는 스트레스의 증가와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자택에서 피부와 멘탈 관리를 하고 싶은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할수 있다. 그림1피부 생검에서의 옥시토신 방출 촉진 효과 그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Ashland사에서는 피부와 감정의 링크에 초점을 맞추고 또한 일본인에게 있어서도 매우 친근한 발효에 영감을 받아 자스민 꽃을 발효시킨 천연 바이오액티브 원료 CaressenseTMbiofunctional을 개발했다. CaressenseTM biofunctional은 피부 촉각 센서인 piezo, 특히 표피 케라티노사이트에 존재하는 piezo 1을 활성 화함으로써 뇌에 특정 시그널이 전달돼 옥시토신이 방출된다.…
# 대두(콩) 유래 히트 액티브 성분 '소이 히트 가드(Promois ® WS-HSIGPD)'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길어지는 마스크 생활에서 사람의 인상을 결정할 때 머리가 중요한 요소가 됐다. 얼굴이 안 보이는 만큼 무심코 시선이 가는 남의 머리를 보고 자신의 모발 관리를 지금까지 이상으로 의식하기 시작한 사람도 많을 것이라 생각된다. 집에 있는 시간 증가와 함께 드라이어나 헤어 아이론을 이용해 셀프 헤어 스타일링을 할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열 손상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는 성분의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그림2 소이 히트 가드에 의한 히트 액티브 효과 (주)성화화성(SEIWAKASEI)은 창업 이래 60년 이상 천연 유래 가수분해 단백질(PPT : 폴리펩타이드)의 모발에 대한 유용성에 주목해 연구를 계속해 왔다. 지금까지 케라틴, 콜라겐, 실크, 밀크, 펄, 식물(완두, 콩, 쌀, 참깨)와 같은 다양한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와 그 유도체를 화장품 원료로 제품화시켜 왔다. 최근 내추럴 콘셉트의 인기에 의해 식물을 유래로 하는 화장품 원료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당사에서는 식물 유래의 펩타이 드에 관한 연구개발을 진행시켜 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당사에서는
#부활 식물 하벌레아 로도펜시스 줄기세포 유래 항노화 원료 'InnovaBio Tech Haberlea' 이 원료는 식물 줄기세포 유래 원료를 줄기세포 자체의 개발, 증식 기술 개발부터 시작해온 불가리아의 화장품 원료회사 INNOVA BM사의 원료이다. 불가리아라고 하면 일본에서는 불가리안 로즈의 산지라는 것 정도 밖에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실은 화장품용 의약품용 식물의 유럽의 일대 산지로 여기에서 수확된 것이 그대로 혹은 1차 가공, 2차 가공돼 프랑스, 독일 등 서유럽으로 수출되며 그곳에서 화장품으로 만들어지는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표1 각각의 추출물 100%당 각종 폴리페놀의 양 비교 따라서 불가리아에는 식물의 육묘 기술, 개량 기술과 같은 직접의 기술의 개발력 뿐아니라 식물 가공 기술 등의 주변 산업, 주변 기술이 축적돼 있다. INNOVA BM사는 그러한 기술의 백그라운드를 가진 화장품 원료회사이다. 2. 하벌레아 로도펜시스란 하벌레아 로도펜시스(Haberlea rhodopensis)는 빙하시대부터 살아온 식물로 지금은 불가리아의 고산에만 서식하는 채취가 금지된 귀중한 부활 식물의 하나이다. 또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음유시인이자 치료사이기
# 스핑고지질이 광노화로부터 피부지킨다 피부는 인체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최대의 장기이기 때문에 항상 외적 환경으로부터의 위협에 노출돼 있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에 의한 피부에 미치는 영향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홍반이나 지연성 흑화, 광선 과민증 등의 비교적 조기에 일어나는 증상, 노인성 색소반(기미)이나 주근깨(freckles)와 같이 자외선 노출의 축적에 의해 일어 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는 증상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최근 이것들에 더해 장기간 자외선 노출로 진피의 탄성 섬유가 파괴돼 주름이나 늘어짐의 원인이 된다는 것도 조금씩 일반인에게 알려지게 됐다. 일본향장품학회 미라이검토위원회에서는 2017년 ‘피부의 광노화와 그예방에 관한 컨센서스 스테이트먼트’가 책정돼1) 조금씩 계몽 활동은 확산되고 있지만 유감스럽게도 일반 소비자에 있어서 광노화라는 말의 인지도는 높다고는 할수 없는 상황이다2) . 그림1 SPHINOX® Defenda의 활성 성분 : 하이드록시부티로일피토스 핑고신 이 사실은 소비자가 아직 자외선의 폐해에 대해 완전히 인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다양한 계몽 활동의 충실함은 물론이고 자외선의 해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방
#새롭게 발견된 피부 세포 '텔로사이트'에 접근한 시머트리의 개선 'TelophiTMbiotech ingredient' 만성적인 심리적 스트레스는 피부를 포함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코르티솔은 염증, 산화 스트레 스와 DNA 손상을 일으키는 생물학적 경로를 활성화 해 윤기의 결여나 지친 외관 등 조기 노화의 징후를 야기해 최근 연구에서는 얼굴 균형의 시머트리(대칭성)가 심리적 스트레스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길게 연장(extension)된 세포’를 뜻하는 텔로사이트(telocyte, TC)라는 새로운 세포종이 2012년피부에서 발견됐다. TC는 엑소좀으로 알려진 세포외 소포의 방출을 통해 줄기세포 제어에 관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번에 피부 TC에서 코르티솔의 영향을 명확히 해새로운 바이오테크놀로지 추출물 ‘Telophi™(텔로파이) bioteching redient’로 인해 스트레스가 얼굴의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했다. 그림1 코르티솔 처리, 코르티솔 + Telophi™ biotech ingredient 처리 후 TC 배양에서 2중 양성 세포의 CTR과 비교한 평균 통계적 유의차 : *** p&
#적외선으로부터 피부케어하는 산벚나무열매추출물 'Aomori Cherry Extract' 코로나19 이전부터 일본 화장품 업계는 인바운드 수요나 아시아권의 왕성한 Made in Japan 제품 수요에 의해 구조 변화가 진행돼 일본 국내에서 생산 강화라는 흐름이 생기고 있다. 한편, 해외의 법 규제는 엄격하기 때문에 신규 소재의 개발은 어려운 환경이다. 그래서 신규 소재 개발에 자본을 투자하는 회사들이 점점 줄어 들고 있는 환경이다. 동아화성(주)은 이 환경 속에서 지금까지의 영업 활동 중에 얻은 지식이나 정보를 이용해 일본의 재미있는 특산 재료들을 찾아왔으며 일본에 직접 가서 구매하고 싶어지는 신소재의 개발을 실시해 왔다. 이와 같이 우리는 고객에게 독특한 가치 제공을 미션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 그림 산벚나무열매 산벚나무(Prunus sargentii)는 아오모리현이 자랑하는 이와키산 기슭에 목걸이처럼 심어진 벚꽃으로 ‘이와키산 산벚꽃 목걸이 로드’를 물들이는 존재이다. 벚꽃 만개 시기에는 매우 아름다운 연분홍색으로 물들어 눈이 남아 있는 이와키산과 함께 사계절을 느낄 수 있는 풍경으로 인기 있는 관광지지만 신록의 계절을 지나 벚꽃 열매(사진)가…
#프랑스 숲흰전나무씨오일 'Vosgian Fir Seed Oil' 피부는 UV(자외선), 염증성 스트레스, 오염, 활성산 소물질 등의 외부 자극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그것들은 생리학적인 밸런스를 흐트러뜨리고 발적, 과도한 색소 침착, 자극, 조기 노화를 유발한다. BIOLIE사에서는 피부 노화의 불안 해소를 목적으로 한 2가지 성분을 유럽의 흰전나무 씨로부터 개발했다. 그림 프리라디컬의 제거능력 흰전나무씨오일은 항산화, 토닝 진정의 트리플 액션 중 항산화의 진정을 재촉한다. 중앙, 남유럽의 산에서 자라는 Silver Fir(유럽 흰전나무)라고 불리는 Vosgian Fir는 유럽대륙의 장대한 수목중 하나로 수목 전반에 약효를 갖고 있다. 싹은 항생제, 나무 부분은 수렴성, 잎은 거담, 수지는 이뇨제나 소화 조제의 생약이 된다. 수세기 동안 흰전나무의 정유는 발열, 관절염, 근육통, 호흡기계 질환용으로 유럽 대륙전체에서 사용되어 왔다. BIOLIE사의 효소 추출 기술에 의해 유럽 흰전나무의 미지의 영역 중 가장 중요한 종자로부터 보다 많은 연구결과를 얻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됐다. 안정되고 뛰어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BIOLIE사에서는 지역 자원으로서
#새로운 디바이스 기술을 이용한 iLiNPSOME 시리즈 '인지질 나노입자' 인지질 나노입자는 생체 구성 성분인 ‘인지질’이 형성하는 지질 이중막을 가진 입자이다. 지질 이중막은 세포막의 구조와 유사하며 생체 친화성이 높고 유효성분의 침투성 향상과 인지질의 피부 공급에 의한 피부장벽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인지질 나노입자는 그 성질상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워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iLiNPSOME 시리즈는 마이크로 유로(流路) 디바이스 ‘iLiNP’(그림1)의 기술을 보유한 홋카이도 대학 벤처 기업인 라일락파마(주)와 일본촉매가 공동으로 개발한 높은 입자 안정성을 가진 인지질 나노입자이다. 그림1 iLiNP 디바이스 본 디바이스는 그림1과 같은 지그재그의 경로를 지나가면서 발생하는 대류에 의해 입자가 형성되기 때문에 조건을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간편하게 나노입자의 크기와 조성을 커스터마이즈한 인지질 나노입자를 조제할 수 있다. 인지질 나노입자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iLiNP’ 디바이스와 호모 믹서를 이용해 형광 색소(카복시플루 오레세인)를내포한 인지질 나노입자를 제작했다. 각각의 나노입자의 안정성과 3차원 피부
#피부‘순환, 촉촉함’을, 환경에는 지속가능성을 '和ism® <도사 유자>' 화장품을 고를 때 ‘내 피부에 맞는지’ 뿐아니라 사용하는 제품의 환경, 윤리(사회공헌) 등 ‘자신과 환경에 친화적인 제품’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그 배경에는 SDGs(지속가능한 개발목표)에 대한 의식 향상이 있다고 생각된다. 앞으로의 화장품 개발에는 한정된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는 ‘미사용 자원의 유효 활용’으로서 과즙용인 고치현산 유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착즙 후 통상 폐기되는 열매’를 추출 원료로 한 ‘咊ism <도사 유자>’ 화장품 원료 개발을 실시했다. 또和ism <도사 유자>의 피부에 대한 유용성을 발견했으므로 소개한다. 그림1 표피 각화세포 증식 억제 작용 유자(Citrus junos)는 중국 원산의 상록나무로서 헤이안 시대에 이미 도래했다고 하며 예로부터 약용으로, 일본요리의 조미용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유자는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헤스페리딘이 함유되어 있고 향기도 좋기 때문에 유자를 욕탕에 띄운 ‘유자 탕’으로도 사랑받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