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메이크업자격검정협회(회장 박수향)는 지난 7월 24일부터 8월 14일까지 4회에 걸쳐 교강사를 대상으로 한 퍼스널 컬러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교육은 여름방학 기간을 활용해 메이크업 교수, 강사, 업계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주관했으며 퍼스널 컬러 이론, 컬러 진단법 및 드레이핑 테크닉, 퍼스널 컬러를 이용한 이미지 메이킹, 코디네이트 방법 등 실무 테크닉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케이블 채널 Mnet ‘슈퍼스타K 4’에서 티걸(T-Girl)로 출연 중인 모델 임미향이 아름다운 미모로 화제를 모으고 있다.
배우 윤세아가 지난 1일 서울 명동에 위치한 '클럽 클리오' 그랜드 오픈식에 참가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배우 윤세아가 지난 1일 서울 명동에 위치한 '클럽 클리오' 그랜드 오픈식에 참가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클럽 클리오는 국내 대표 메이크업 브랜드 클리오의 첫 플래그십 스토어다. 트렌디한 20대가 모여드는 도심의 클럽을 메인 컨셉으로 기존 화장품 매장들과 차별화를 꾀한 것이 특징이다.
배우 안혜경이 지난 1일 서울 명동에 위치한 '클럽 클리오' 그랜드 오픈식에 참가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배우 안혜경이 지난 1일 서울 명동에 위치한 '클럽 클리오' 그랜드 오픈식에 참가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클럽 클리오는 국내 대표 메이크업 브랜드 클리오의 첫 플래그십 스토어다. 트렌디한 20대가 모여드는 도심의 클럽을 메인 컨셉으로 기존 화장품 매장들과 차별화를 꾀한 것이 특징이다.
나인뮤지스의 민하, 경리, 성아가 지난 1일 서울 명동에 위치한 '클럽 클리오' 그랜드 오픈식에 참가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나인뮤지스의 민하, 경리, 성아가 지난 1일 서울 명동에 위치한 '클럽 클리오' 그랜드 오픈식에 참가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클럽 클리오는 국내 대표 메이크업 브랜드 클리오의 첫 플래그십 스토어다. 트렌디한 20대가 모여드는 도심의 클럽을 메인 컨셉으로 기존 화장품 매장들과 차별화를 꾀한 것이 특징이다.
나인뮤지스의 민하, 경리, 성아가 지난 1일 서울 명동에 위치한 '클럽 클리오' 그랜드 오픈식에 참가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클럽 클리오는 국내 대표 메이크업 브랜드 클리오의 첫 플래그십 스토어다. 트렌디한 20대가 모여드는 도심의 클럽을 메인 컨셉으로 기존 화장품 매장들과 차별화를 꾀한 것이 특징이다.
바이올렛드림(주)(대표이사 김춘구)는 '보브 스네일 스팟링클 필러크림'을 새롭게 출시한다. 이 제품은 주름개선 효과와 미백 기능이 강화된 이중 기능성의 팔자주름 전용 크림이다. 이 제품은 주름개선 효과와 미백 기능이 강화된 이중 기능성의 팔자 주름 전용 크림이다. 달팽이 점액 여과물(25% 함유)과 아데노신이 팔자 주름과 목 주름 등을 효과적으로 케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끌레드뽀 보떼는 9월 신제품으로 링클케어 에센스 ‘쎄럼 꼬렉뙤르 리드’를 리뉴얼 출시했다. 이 제품은 순수 레티놀이 주름 부위에 직접 작용해 주름을 옅어지게 하는 링클케어 에센스다. 안티리징 처방으로 각 층의 표정 주름을 되돌려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증가시키고 표정 주름을 방지한다. 또한 진피의 재생 능력을 높여 피부 손상으로부터 회복을 촉진하고 노화를 방지해 준다. 아울러 안에서부터 빛을 발하는 피부로 정돈하고 한결 탱탱해진 피부 결을 느끼게 하는
키엘은 공식 온라인몰 ‘e-부티크(www.kiehls.co.kr)’를 오픈한다고 3일 밝혔다. 키엘 e-부티크는 삼청동 부티크에서 쇼핑하듯 온라인에서도 키엘 만의 DNA와 유니크함을 느끼며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공식 온라인 몰이다. 특히 키엘 e-부티크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8가지 차별화된 서비스를 포함, 다양한 이벤트와 혜택을 24시간 만나볼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외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국가기술자격증 종목은 무엇일까?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최근 10년간 외국인 국가기술자격 취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취득자수는 2002년 80명에서 2011년 2,144명으로 26.8배가량 증가했으며, 이중 미용사(일반, 피부 포함) 종목이 누적 인원 1,478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산업 전반의 유통지도를 바꿔가고 있는 온라인 마케팅이 국내 에스테틱 업계에서는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 그 현황을 분석했다. 적극적으로 온라인 마케팅을 활용하는 업체도 있었지만 소수에 불과했고 대부분의 온라인 마케팅도 신제품을 출시할 때 사전 테스트용 리뷰를 위해 블로그와 카페를 활용하는 선을 넘지 못했다.
에스테틱 업체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에 있어서 보수적인 편이다. 회사와 피부미용숍 간 거래인 B2B의 경우 원장들의 수요가 적고, 회사와 일반 소비자 간 거래인 B2C는 자칫 주 고객인 원장들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쇼핑몰을 운영할 전담 인력이 없다는 점도 주력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