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샤워 거품의 양: 다양한 관능 패널 평가와 표준화된 기기 측정의 상관 관계
샤워 거품의 양은 피부 클렌징 제품에서 중요한 속성이며 긍정적인 제품 성능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지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해 이를 평가하는 것은 퍼스널케어 제품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능 평가 결과(전문가와 일반인 패널)와 도구적 분석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질감과 계면활성제 구성이 달라 거품 특성에 차이가 있는 시판 샤워 제품 5종을 테스트했다.
일반인과 다양한 전문가 패널의 주관적 결과를 다원적 접근 방식으로 표준화된 기기 측정값과 비교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거품이 약한 제품의 경우 상관관계가 낮거나 명확하게 식별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었다.
그러나 거품이 강한 제형은 다양한 테스트 접근 방식과 테스트 센터 간에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해당 제품에 대한 명확한 상관관계를 보여줬다.
감각적인 요소는 화장품 제품의 소비자 수용, 사용 경험, 그리고 궁극적으로 판매 가능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바디 워시나 샤워 제품에서 풍성한 거품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특징이며 제품의 성능과 만족도와도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소비자들은 거품을 우수하고 정확한 세정력과 연관지으며 사용 중에도 즐거운 경험을 한다.
특히 작은 기포(bubbles)와 높은 크리미함(creaminess)과 풍부한 거품(foam)이 샤워 젤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여겨진다. 거품은 또한 기계적인 마찰을 줄여주기도 한다. 따라서 거품의 양을 평가하는 것은 제품 성능에 있어 중요한 요소다.
샤워 제품의 거품 특성은 제형에 포함된 모든 성분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제품 개발과 벤치마킹을 위한 적절한 거품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으로는 소비자 인식에 가깝게 설계된 관능 패널과 사내 테스트와 같은 주관적인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다른 한편으로는 거품을 생성하고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기기적 방법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이들은 시험 조건과 장비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낳는다. 거품의 양과 안정성은 그것이 생성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과거에는 샴푸 등에 일반 소비자와 전문가 관능 패널뿐만 아니라 기기적 시험 방법들을 적용한 사례들이 있었다. 그리고 관능 패널 결과와 기기 분석을 연결하려는 시도들도 있었으며 이를 통해 두 방법을 결합할 것을 권장하는 결론에 도달하기도 했다. 이는 로션과 크림 등의 제품 개발 과정에서도 권장됐다.
표1 기기 측정 매개변수
하지만 샤워 제품의 거품에 대해 서로 다른 관능 패널과 표준화된 기기 측정 결과가 어느 정도까지 연관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있었다. ‘스킨 클렌징 그룹’ 태스크포스 구성원들과 관련 업계 전문가들의 공동 전문성을 통해 본 연구가 설계됐다. 본 조사의 또 다른 이유는 샤워 제품과 거품에 초점을 둔 관련 문헌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필자
S. Benn, J. Blaak, D. Büning, J. Erasmy, S. Hentrey, M. Hoffmann, U. Kortemeier, S. Munke, H. Schelges, D. Segger, G. Springmann, A. Trieder, A. Wanninger(Members of the Germany Society for Scientific and Applied Cosmetics “Skin Cleansing” Group)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
#코스인 #코스인코리아닷컴 #화장품 #코스메틱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5월호 #화장품연구개발마케팅전문저널 #독일 #SOFW저널 #퍼스널케어 #샤워거품 #샤워젤 #거품특성 #거품양 #거품밀도 #기포크기 #제형 #사용경험 #세정력 #제품테스트 #기기측정 #전문가패널평가 #EVONIK절차 #SITA절차 #KRÜSS절차 #일반소비자패널평가 #관능평가 #거품측정기기